맨위로가기

충청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중부에 위치한 도이다. 과거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충청도로 불렸다. 1896년 충청도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분리되었고, 1910년 도청을 청주로 이전했다. 현재 3개의 시(청주시, 충주시, 제천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16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법주사, 구인사 등이 있으며, 스포츠 팀으로는 청주 KB 스타즈(여자 농구) 등이 있다. 일본의 야마나시현 등 여러 국가 및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반기문, 도종환, 엄정화 등 여러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1896년 설치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충청북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대한민국 내 충청북도 위치
대한민국 내 충청북도 위치
충청북도의 위치
충청북도의 위치
충청북도 지도
충청북도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충청북도
한자 표기忠淸北道
로마자 표기Chungcheongbuk-do
McCune–Reischauer 표기Ch’ungch’ŏngbukto
행정 구역 유형
지역호서
수도청주시
하위 행정 구역5시; 8군
면적7,433 km²
면적 순위8번째
인구1,578,934명
인구 기준 년도2014년 10월
인구 밀도213 명/km²
인구 순위7번째
ISO 코드KR-43
방언충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면적 (2023년)7,407.4 km²
인구 (2023년)1,594,007명
인구 밀도 (2023년)215.61 명/km²
하위 행정 구역 (2023년)3시 8군
남자 인구 (2023년)810,448명
여자 인구 (2023년)783,021명
세대수 (2023년)779,967
행정 구역 분류 코드33
상징
백목련
나무느티나무
까치
마스코트고드미 & 바르미
표어중심에 서다
정치 및 행정
도지사김영환
도지사 소속 정당국민의힘
행정부지사이우종(제18대)
경제부지사김명규(제2대)
도청 소재지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82(문화동)
경제
GDP (2022년)79조 원
GDP (2022년, 미국 달러 환산)630억 달러
명목 GDP74,766,578백만 원
실질 GDP70,139,551백만 원
1인당 GDP45,803천 원
기타
지역 번호043
ISO 3166-2KR-43
깃발 및 휘장
충청북도 깃발
충청북도의 깃발
충청북도 휘장
충청북도의 휘장

2. 역사

충청북도 지역은 고대 마한의 일부였으며, 삼국 시대 초기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세력이 교차하는 경계 지역이었다가 점차 백제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현재의 충주 지역에 중원경(中原京), 청주 지역에 서원경(西原京)이라는 소경(小京)이 설치되어 중요한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고려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가 있었고, 조선 시대에도 충청도 관할 지역에 변동이 있었다. 1896년 대한제국의 13도제 실시에 따라 기존의 충청도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나누어지면서 '충청북도'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충청북도의 중심지(수부, 首府)는 충주에 있었으나, 1908년 청주로 이전하여 현재의 충청북도청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1914년 3월 1일에는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도내 행정 구역이 10개의 군으로 통폐합되었으며, 이후 몇몇 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행정 구역 변화는 계속되어, 1946년 6월 1일 청주읍이 청주부(이후 청주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시군 통합을 통해 3시 8군 체제가 되었다. 2003년에는 괴산군에서 증평군이 분리 신설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는 청주시청원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 틀을 갖추게 되었다.

2. 1. 고려 시대

995년(고려 성종 14년) 전국을 10개의 도로 나누었을 때, 오늘날의 충청북도 지역은 중원도(中原道)[13]로 불렸으며, 충주가 절도사[14]의 소재지가 되었다. 1106년(예종 원년)에는 중원도, 하남도[15]와 관내도 일부[16]를 합쳐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로 개편되었다. 1171년(명종 원년)에는 다시 충청도와 양광도로 분리되었는데, 이때 충청도[17]에 속하게 되었다. 1324년(충숙왕 원년)에는 충청도와 양광도가 다시 양광도(楊廣道)로 통합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년)에 양광도의 이름이 충청도로 바뀌었다.

2. 2. 조선 시대

1395년(태조 4년), 고려 말의 충청도[18] 일부 지역이 현재의 충청도 지역, 경기도 남부 일부, 강원도 영월[19] 등과 함께 새로운 충청도로 분리되었고, 충주관찰사의 소재지가 되었다. 1413년(태종 13년)에는 여주, 안성, 양성군, 죽산군, 음죽군, 이천, 용인 지역이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대신 경상도에 속해 있던 옥천, 청산군, 황간군, 영동, 보은 지역이 충청도로 편입되었다.

1896년 8월 4일, 대한제국의 13도제 실시에 따라 충청도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나뉘면서 '충청북도'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때 충청북도의 중심지(수부, 首府)는 충주에 두었다.[20]

2. 3.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에 충청북도의 도청 소재지를 청주로 이전하였다.[21] 이후 1914년 3월 1일에는 일제강점기 하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충청북도 내 행정 구역이 10개의 군으로 통폐합되었다. 1931년 4월 1일에는 행정 제도 개정에 따라 청주면과 충주면이 각각 으로 승격되었으며, 1940년 11월 1일에는 영동면과 제천면이 추가로 읍으로 승격되었다.

2. 4. 대한민국

3. 지리

충청북도는 호서 지역에 속하며,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경기도강원특별자치도, 남쪽으로는 전라북도, 동쪽으로는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룬다. 이로 인해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접하지 않는 내륙도가 되었다. 도의 면적은 7431.5km2이다.

지형은 대부분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의 노령산맥과 동쪽의 소백산맥이 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소백산맥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어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내륙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기온의 일교차가 큰 편이다.

도시1월 평균 기온8월 평균 기온
청주-2.8°C25.4°C
충주-4.1°C24.8°C
제천-5.3°C23.7°C


4. 행정 구역

충청북도 행정 구역 지도


충청북도는 3개의 시와 8개의 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는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이며, 군은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이다. 각 행정 구역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4. 1. 시

충청북도에는 3개의 시가 있다. 청주시충청북도청 소재지이다.

이름한자인구 (명)면적 (km²)하위 행정구역
청주시淸州市839,626943.3km24개 일반구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청원구), 3개 , 10개 , 30개 행정동
충주시忠州市208,233983.76km21개 , 12개 , 12개 행정동
제천시堤川市137,249883.02km21개 , 7개 , 9개 행정동


4. 2. 군

충청북도에는 8개의 군이 있다.

이름한자인구세대면적 (km²)하위 행정구역
보은군報恩郡34,79115,454584.15km2읍 1개, 면 10개
옥천군沃川郡53,68022,310537.08km2읍 1개, 면 8개
영동군永同郡50,25221,788845.52km2읍 1개, 면 10개
증평군曾坪郡33,50913,76781.83km2읍 1개, 면 1개
진천군鎭川郡62,60926,218407.02km2읍 1개, 면 6개
괴산군槐山郡36,86617,474842.14km2읍 1개, 면 10개
음성군陰城郡91,40038,250520.42km2읍 2개, 면 7개
단양군丹陽郡31,69714,029780.61km2읍 2개, 면 6개


5. 인구

2020년 기준 충청북도의 인구는 1,632,088명이다.[3] 특정 시점 조사에 따르면, 도 전체 남녀 성비는 1.02로 남자가 조금 더 많다.

'''시군별 남녀 성비''' (특정 시점 기준)



'''연도별 인구 추이'''[3]

연도인구비고
1949년1,145,964명
1955년1,191,268명
1960년1,370,315명
1966년1,551,662명
1970년1,454,824명
1975년1,523,058명
1980년1,424,725명
1985년1,391,682명
1990년1,390,150명
1995년1,396,728명
2000년1,501,459명
2005년1,501,674명
2006년1,511,885명
2007년1,527,339명
2008년1,542,287명
2009년1,550,126명
2010년1,573,981명
2011년1,588,633명
2012년1,590,457명2012년 부용면 대부분 지역 세종 편입
2013년1,600,163명
2014년1,609,588명
2015년1,616,589명
2016년1,627,124명
2017년1,594,432명
2018년1,599,252명


6. 문화

충청북도는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채로운 문화를 꽃피워왔다. 도내 곳곳에는 유서 깊은 사찰들이 자리하고 있으며, 지역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6. 1. 문화재

충청북도의 주요 관광지로는 소백산맥속리산(해발 1058m)과 그곳에 있는 속리산 국립공원이 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로 꼽히는 법주사가 이 국립공원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천태종의 본산인 구인사도 충청북도에 위치한다. 월악산 주변에도 또 다른 국립공원이 있다.

6. 2. 관광

충청북도의 주요 관광지로는 소백산맥속리산( 1058m )과 그곳에 있는 국립공원을 들 수 있다. 속리산 국립공원에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인 법주사가 있으며, 천태종의 본산인 구인사도 자리 잡고 있다. 월악산 주변에도 월악산 국립공원이 있다.

6. 3. 언어

기본적으로 충청 방언에 속하지만, 충주시, 괴산군 대부분 지역, 음성군 일대에서는 경기 방언과 거의 차이가 없는 표준어를 사용한다. 다만, 표준어를 사용하더라도 일부 단어 사용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얘야 대신 저기야라는 표현을 사용하며,[23] 대답할 때 대신 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7. 스포츠

wikitext


8. 자매 결연

충청북도는 국제 교류 및 협력 증진을 위해 세계 여러 국가의 지역 및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상세한 국외 자매결연 현황은 아래 목록을 참고한다.

8. 1. 국외

wikitext


8. 2. 국내

(작성할 내용 없음)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연령별 인구현황 https://web.archive.[...] 2015-10-01
[2]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3]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4] 웹사이트 Population http://eng.cb21.net/[...] Chungcheongbuk-do 2012-09-00
[5]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6] 웹사이트 충청북도公式サイト http://www.cb21.net/[...] 2016-09-11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8]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03-29
[9]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3-06-01
[10]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2-12-22
[11]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3-06-16
[12] 위키
[13] 위키
[14] 위키
[15] 위키
[16] 위키
[17] 위키
[18] 위키
[19] 위키
[20] 위키
[2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6호 :s:조선총독부령 1910-10-01
[22] 법률 군정법령 제84호 :s:군정법령 제84호 1946-05-23
[23] 텍스트
[24] 웹사이트 자매·우호결연도시 http://www.chungbuk.[...] 2019-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