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멋쟁이딱정벌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멋쟁이딱정벌레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머리는 길고 앞머리는 흑색, 뒷머리는 홍록색 점무늬를 띤다. 딱지날개는 녹색을 띤 흑색이며, 뒷날개는 퇴화되어 날지 못한다. 몸길이는 28~40mm이며, 6~8월에 주로 산의 숲 속에서 관찰된다. 한반도, 제주도, 중국,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러 아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기재된 곤충 - 대모잠자리
    대모잠자리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황금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습지나 연못에 살며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는 잠자리이다.
  • 아시아의 곤충 - 사마귀
    참사마귀는 사마귀목 곤충으로 몸이 가늘고 길며 앞가슴등판이 길고 날개가 짧고 좁은 특징을 가지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 분포한다.
  • 아시아의 곤충 - 호랑나비
    호랑나비는 아시아에 분포하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를 가진 중형 나비로, 뒷날개의 눈알 무늬와 애벌레의 식성, 짧은 성충 수명, 문화적 의미와 해충으로서의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서식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멋쟁이딱정벌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한 천마산에서 잡힌 멋쟁이딱정벌레
북한 천마산에서 잡힌 멋쟁이딱정벌레
분류 정보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딱정벌레목
아목식육아목
상과딱정벌레상과
딱정벌레과
딱정벌레속
멋쟁이딱정벌레
학명Coptolabrus jangkowskii
학명 명명자Oberthur, 1883
이명Damaster jankowski

2. 특징

멋쟁이딱정벌레는 화려한 색상과 무늬를 가진 곤충으로, 자세한 형태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막질의 뒷날개가 퇴화하여 날지 못하는 대신, 빠른 발을 이용하여 먹잇감을 사냥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3][4]

2. 1. 형태

머리는 길고 앞머리 부분은 흑색이며 주름살 무늬가 많다. 뒷머리 부분은 홍록색의 점무늬가 많다. 딱지날개는 점무늬가 빽빽하게 있으며, 녹색을 띤 흑색 바탕에 양쪽 가장자리는 금빛이 도는 녹색 광택이 난다. 막질의 뒷날개는 거의 없다.[3] 뒷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하지만, 빠른 발을 이용하여 먹잇감을 사냥한다.[4]

2. 2. 생태

멋쟁이딱정벌레는 서식하는 에 따라 빛깔과 크기의 변이가 나타난다. 대부분 흙 속에서 성충 상태로 월동하지만, 유충 상태로 겨울을 나는 경우에는 이듬해 이른 봄에 번데기가 되었다가 5월 중순경 성충이 된다.[5]

2. 2. 1. 성충

몸길이는 28mm에서 40mm 정도이다. 등의 색은 옅은 검은색을 띠며, 테두리 부분에는 금속 광택이 나타난다. 성충은 주로 6월부터 8월까지의 여름철에 활발하게 활동하며, 속에서 관찰할 수 있다.[6]

3. 분포

한반도, 제주도,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4. 한국의 아종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멋쟁이딱정벌레 아종이 서식하고 있다.

국명학명발견자 및 연도
진도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chindoensisKwon & Park, 1989
지리산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obtusipennisIshikawa & Kim, 1983
부산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fusanusBorn, 1907
멋쟁이딱정벌레 (원명아종)Coptolabrus jangkowskii jankowskiiOberthür, 1883
강원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kangwonensisKwon & Lee, 1983
거제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kojensisKurosawa & Kudo, 1980
제주도멋쟁이딱정벌레Coptolabrus jangkowskii quelpartianusHauser, 1932


참조

[1] 웹사이트 "''Carabus jankowskii'' Oberthür, 1883" https://www.biolib.c[...] Biolib 2012-06-15
[2] 두산백과 두산백과사전 doopedia www.doopedia.co.kr/m[...]
[3] 서적 한국의 딱정벌레
[4] 서적 곤충검색도감
[5] 서적 한국의 딱정벌레
[6] 웹인용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s://web.archive.[...] 2017-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