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허커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허커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남서부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창바이 산맥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냉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 1879년 청나라에 의해 해룡청으로 설치된 이후, 해룡현, 휘북현을 거쳐 1985년 메이허커우시로 개칭되었다. 현재 5개 가도, 12개 진, 6개 향, 1개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산청진에는 조선족이 많이 거주한다. 중공업과 농업의 중심지이며, 식품 산업과 관광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선지 철도, 쓰메이 철도, 메이지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헤이다 고속도로와 지시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화시의 행정 구역 - 둥창구
둥창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에 위치한 구로, 7개의 가도, 1개의 진, 2개의 향을 관할하며 철도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다. - 퉁화시의 행정 구역 - 후이난현
후이난현은 지린성 퉁화시에 위치하며 과거 휘난 직례청으로 불렸던 지역으로, 10개의 진,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고 창창, 휘린 고속도로와 국도, 철도를 통해 교통이 연결되며 류호존과 같은 인물을 배출한 현이다. - 지린성의 현급시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지린성의 현급시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메이허커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梅河口市 |
로마자 표기 | Méihékǒu Shì |
유형 | 현급시 & 부지급시 |
우편 번호 | 135000 |
면적 | 2,174.6 km² |
도시 면적 | 80.00 km² |
인구 (2017년) | 709,000명 (추정) |
도시 인구 | 285,100명 |
인구 (2009년) | 617,262명 |
호구 | 183,565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해발 고도 | 180 m |
행정 구역 코드 | 220581 |
웹사이트 | 메이허커우시 인민 정부 |
위치 | 지린성 |
소속 | 통화시 |
정부 소재지 | 신화 가도 |
역사 | |
건치 | 1879년 |
개제 | 1985년 |
2. 지리
메이허커우 시는 지린성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위 42° 08'에서 43° 02', 동경 125° 15'에서 126° 03' 사이에 있다. 남북으로 97km, 동서로 35km 뻗어 있다. 창바이 산맥 서쪽 산기슭, 후이파 강() 상류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후이난 현,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류허 현, 남서쪽으로는 칭위안 만족 자치현(랴오닝성),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둥펑 현과 접한다.
메이허커우 시는 쑹랴오 평원과 창바이 산맥의 중간 지대에 위치하며, 쑹화강의 지류인 다류허와 메이허가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메이허커우라는 이름이 붙었다.
2. 1. 기후
메이허커우시는 쑹랴오 평원과 창바이 산맥의 중간 지대에 위치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4.9°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14.6°C로 가장 춥고, 7월 평균 기온은 23.1°C로 가장 덥다. 연평균 강수량은 682mm이며, 강수는 주로 여름철에 집중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7.7°C | -2.7°C | 4.8°C | 14.7°C | 21.7°C | 25.9°C | 28°C | 26.9°C | 22.2°C | 14.2°C | 3.1°C | -5.5°C | 10.9°C |
평균 기온 (°C) | -14.6°C | -9.5°C | -1.1°C | 8.1°C | 15.4°C | 20.4°C | 23.1°C | 21.7°C | 15.4°C | 7.3°C | -2.5°C | -11.6°C | 4.9°C |
평균 최저 기온 (°C) | -20.3°C | -15.4°C | -6.4°C | 2.1°C | 9.4°C | 15.4°C | 18.9°C | 17.3°C | 9.8°C | 1.7°C | -7.3°C | -16.8°C | -0.1°C |
역대 최고 기온 (°C) | 6.2°C | 13.9°C | 18.8°C | 29.9°C | 33.5°C | 35.2°C | 36.1°C | 34.4°C | 30.4°C | 28.9°C | 20°C | 10.8°C | 36.1°C |
역대 최저 기온 (°C) | -37.7°C | -34.7°C | -27.6°C | -12.2°C | -5.4°C | 5.4°C | 9.9°C | 4.5°C | -3.4°C | -12°C | -25.5°C | -34.7°C | -37.7°C |
평균 강수량 (mm) | 5.8 | 8.6 | 18.0 | 36.2 | 64.4 | 95.9 | 163.2 | 172.5 | 63.2 | 41.0 | 23.1 | 10.1 | 682 |
평균 상대 습도 (%) | 68 | 63 | 59 | 53 | 57 | 68 | 78 | 81 | 75 | 67 | 68 | 69 | 69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5.6 | 4.9 | 6.7 | 8.2 | 11.9 | 14.3 | 14.8 | 13.8 | 8.7 | 8.6 | 7.4 | 6.6 | 101.5 |
평균 일조 시간 | 173.6 | 186.8 | 216.4 | 213.9 | 236.8 | 223.6 | 205.2 | 205.7 | 217.0 | 197.3 | 157.7 | 154.1 | 2,388.1 |
평균 일조율 (%) | 59 | 62 | 58 | 53 | 52 | 49 | 45 | 48 | 59 | 58 | 54 | 55 | 54 |
[3][4][5]
1879년(광서 5년), 청나라에 의해 '''해룡청'''이 설치되었다. 1902년(광서 28년) '''해룡부'''로 승격되었지만, 중화민국 성립 후 '''해룡현'''으로 개칭되었다. 1929년(민국 18년) '''휘북현'''으로, 1947년(민국 36년) 다시 '''해룡현'''으로 개칭되었다. 1985년 현급시로 승격되면서 '''메이허커우 시'''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메이허커우시는 5개 가도, 12개 진, 6개 향, 1개 민족향을 관할한다. 산청 진(山城镇)은 화위안 조선족 향(花园朝鲜族乡)과 합쳐져 조선족향(진) 대우를 받고 있으며, 진장은 조선족이 담당한다. 산성진에는 조선족 소학교 1개소와 완전중학교 1개소가 있고, 조선족 인구는 약 3만 명이다.
3. 역사
4. 행정 구역
4. 1. 하위 행정 구역
5个街道、12个镇、6个乡、1个民族乡|5개 가도, 12개 진, 6개 향, 1개 민족향중국어을 관할한다.
산청 진(山城镇)은 산청 진(山城镇)과 화위안 조선족 향(花园朝鲜族乡)이 합쳐졌기에 조선족향(진)대우를 받고 있어 진장은 조선족이 담당하고 있다. 조선족 소학교 1개소, 완전중학교 1개소가 있다. 조선족 인구는 약 30,000명이다.
5. 인구
2010년대 메이허커우시의 인구는 30% 이상 감소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년대에 메이허커우시는 60%의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여,[7] 2010년대 중반 30만 명에서 2023년 42만 명으로 증가했다.[8]
6. 경제
메이허커우시는 중공업과 농업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7] 최근 몇 년 동안 이 도시는 식품 산업을 발전시켰으며 관광 산업도 육성하고 있다.[8]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주요 자원으로는 석탄, 금, 규조토, 셰일 오일, 철, 흑연, 석영, 미네랄 워터 등 17종이 알려져 있다.
7. 교통
메이허커우시는 지역 교통의 요충지이다. 철도로는 선지 철도(선양시-지린시), 쓰메이 철도(쓰핑시-메이허커우), 메이지 철도(메이허커우- 지안시)가 연결된다. 고속도로는 헤이다 고속도로(헤이허시-다롄시), 지시 고속도로(지안시-시린하오터시)가 이 지역을 통과한다.
7. 1. 철도
메이허커우시는 지역 교통의 요충지로, 선지 철도(선양시-지린시), 쓰메이 철도(쓰핑시-메이허커우), 메이지 철도(메이허커우- 지안시)가 연결된다.- - 중국 국가 철로 집단
메이허커우 역 - 메이지 선, 선지 선, 쓰메이 선의 접속역
7. 2. 도로
메이허커우시는 지역 교통의 요충지로, 헤이다 고속도로(헤이허-다롄), 지시 고속도로(지안-시린하오터)가 이 지역을 통과한다.- 고속도로
- * -- 지솽 고속도로
- * -- 선지 고속도로
- 국도
- * -- G202 국도
- * -- G303 국도
- * -- G504 국도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梅河口市人口民族
http://www.mhk.gov.c[...]
Meihekou People's Government
2011-04-28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5]
웹사이트
梅河口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8
[6]
웹사이트
通化市-行政区划网
http://www.xzqh.org/[...]
xzqh.org
[7]
Youtube
Chinese city of Meihekou sees population growth, bucking national trend
https://www.youtube.[...]
2023-08-20
[8]
웹사이트
走进县城看发展丨吉林梅河口:打造宜居宜业的活力之城-新华网
http://www.news.cn/f[...]
2023-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