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타세쿼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타세쿼이아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고목으로, 20세기 중반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살아있는 표본이 발견되어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린다. 중국 중부 지역에 자생하며, 잎은 마주나고 가을에 붉은 갈색으로 변하며, 빠르게 성장하여 관상수로 널리 심어진다. 또한, 목재는 펄프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기재된 식물 - 방아풀
    방아풀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약용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중국에서는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 중국의 고유종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중국의 고유종 식물 - 탱자나무
    탱자나무는 2~4m 높이의 운향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날카로운 가시와 겹잎, 향기로운 흰색 꽃을 가지며 신맛과 쓴맛이 강한 열매는 가공하여 식용하고 약재, 생울타리, 접붙이기 대목으로 활용되며, 한국의 여러 탱자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과거 독립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감귤속으로 통합 논의 중이다.
  • 측백나무과 - 삼나무
    삼나무는 일본 고유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곧게 자라는 원추형 수관과 적갈색 수피, 바늘 모양 잎을 가지며, 건축재, 가구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 측백나무과 - 세쿼이아
    세쿼이아는 미국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자생하는 상록성 교목으로, '미국삼나무'라고도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 중 하나이고, 목재는 가구재로 사용되며, 캘리포니아주의 나무로 지정되어 레드우드 국립공원 등은 관광 명소이다.
메타세쿼이아
구글 지도
기본 정보
학명Metasequoia glyptostroboides
명명자Hu 및 W.C.Cheng, 1948
메타세쿼이아속
낙우송과 (이전에는 측백나무과)
아과세쿼이아아과
히노키목
마쓰강
상문겉씨식물
식물계
로마자 표기Metasequoia glyptostroboides
다른 이름아케보노스기 (曙杉)
누마스기모도키
이치이노키
이치이히노키
영어 이름dawn redwood
일본어 이름メタセコイア (메타세코이아)
보존 상태
IUCNEN (멸종 위기)
IUCN 평가 년도2013
특징
50 미터 (167 피트)까지 자랄 수 있음
기타 정보
관련 소프트웨어Metasequoia

2. 역사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 glyptostroboides'') 분재


메타세쿼이아는 북반구 전역의 화석 기록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나, 20세기 중반까지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1941년 미키 시게루 박사가 새로운 속을 발견하고 ''Metasequoia''라고 명명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살아있는 메타세쿼이아가 발견되고 연구되었다. 1946년 정완준 교수와 후시앤수 교수는 화석 속과 살아있는 표본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내고 종소명을 ''glyptostroboides''로 명명했다. 1947년 하버드 대학교 아놀드 수목원의 지원으로 화징찬이 종자를 채집하여 전 세계에 배포되었다.[15][16][17]

2. 1. 화석 기록과 발견

북반구 전역의 화석 기록에서 흔히 발견되었지만, 메타세쿼이아는 20세기 중반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1941년에 교토대학교의 미키 시게루 박사는 측백나무과 화석 표본을 연구하는 동안 다른 잎 형태를 발견했다. 그는 새로운 속을 발견했다는 것을 깨닫고, "세쿼이아와 같은"이라는 뜻으로 ''Metasequoia''라고 명명했다.[5]

같은 해, 국립 중앙대학교(당시 중경 소재) 임업경영학과 교수였던 칸 두오(Toh Kan, 1903–1961)는 쓰촨성후베이성에서 조사를 수행하는 동안 거대한 살아있는 표본을 관찰했다. 미키의 새로운 속을 알지 못했지만, 그는 그 나무의 독특한 특징을 알아차렸다. 불행히도, 그는 일부 식물 표본을 채취했지만, 그의 발견을 확인하거나 발표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6] 이 나무는 마을 사람들이 水杉|Shuǐshān중국어(물삼나무)이라고 부르는 지역 사당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다.[7][8] ''Shuǐshān''은 중국어로 메타세쿼이아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9]

1943년, 중경 농림부 산하 국립산림연구소의 왕전(Chan Wang, 1911–2000)은 후베이성 리촨시의 谋道镇|Moudao중국어(이전에는 Motaochi, Maodaoqi 또는 Modaoxi)[10][11] 마을에서 미확인 나무의 표본을 채취했다. — 현재는 칸이 발견한 나무와 같은 나무로 여겨진다.[12] 이 표본들은 아직 과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나무에 속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추가 연구가 연기되었다.

정완준 교수와 후시앤수 교수는 1946년에 미키의 화석 속과 살아있는 표본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밝혀냈으며,[13] 중국 낙우송(''Glyptostrobus'')과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glyptostroboides''"라는 종소명을 제시했다.[14]

1947년 7월, 하버드 대학교의 아놀드 수목원은 정완준의 조수인 화징찬(Ching-Shan Hwa, 1921–현재)이 무다오의 메타세쿼이아 표준종 나무와 인근 메타세쿼이아 계곡(수이샤바 계곡)의 나무에서 아놀드 수목원을 위한 종자를 채집하는 탐험에 250USD를 지원했다.[15][16] 화의 채집 여행은 수 킬로그램의 종자를 가져왔고, 그 후 몇 달 동안 중국 기관, 아놀드 수목원, 미주리 식물원, 미국 내 기타 지역, 큐 가든, 에든버러 등 영국 내 기타 지역의 식물원, 그리고 유럽 대륙과 전 세계의 식물원에 재배 시험을 위해 배포되었다.[17]

3. 특징

메타세쿼이아는 빠르게 자라는 나무로, 재배 환경에서 50년이 되면 높이 35m 이상, 줄기 지름 1m 이상으로 자란다(더 큰 크기로 자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8] 기록된 가장 큰 메타세쿼이아는 중국에 있었는데, 높이 약 50m, 폭 약 2.2m였으나 1951년 낙뢰로 인해 죽었다.[19] 이 나무가 발견된 메타세쿼이아 계곡 동부에는 여전히 이 정도 높이의 메타세쿼이아 여러 그루가 살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세쿼이아(해안 레드우드)와 세쿼이아덴드론(자이언트 세쿼이아)와 함께, ''메타세쿼이아 글립토스트로보이데스''는 측백나무과 세쿼이아아과에 분류된다. 비록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있는 종이지만, 세 종의 화석 종도 알려져 있다.

3. 1. 형태적 특징

메타세쿼이아의 잎은 마주나며, 길이는 약 1~3cm이고 밝은 녹색이며 가을에는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낙우송(Taxodium distichum)처럼 낙엽성이다. 오래된 나무는 밑동에 넓은 판근을 형성할 수 있다. 줄기는 각 가지 아래에 독특한 "겨드랑이"를 형성한다. 수피는 수직으로 갈라지며 리본 모양의 조각으로 벗겨지는 경향이 있다.

낙우송 잎 – 마주나기임에 유의


수꽃구과는 길이가 5~6mm이며 이른 봄에 긴 꽃차례에 달린다. 구과는 구형 또는 난형이며 지름이 1.5~2.5cm이고, 16~28개의 비늘이 마주보며 4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쌍은 인접한 쌍과 직각을 이룬다. 구과는 수분 후 약 8~9개월 후에 성숙한다.[18]

생태형에 따라 구과의 크기가 다르며, 대형, 중형, 소형의 세 가지 변이가 관찰되었다.[21]

생태형대형 구과중형 구과소형 구과
생장 속도빠름중간느림
생태적 선호도산비탈, 가뭄에 강함산비탈, 중간 정도 가뭄 저항성도랑과 개울, 가뭄에 약함
수피 두께두꺼움중간얇음
수피 색깔회색갈색 회색갈색
줄기 홈뚜렷함매우 뚜렷함뚜렷하지 않음
잎 색깔연한 녹색녹색진한 녹색
잎 밀도낮음중간높음
가지 수관넓음중간좁음
가지 분포성기 듬성듬성중간조밀
가지 각도>90°중간<50°
구과 크기2.2cm x 2cm2cm x 1.8cm1.5cm x 1.4cm
500g 당 종자 수128161280
구과 당 종자 수1068562
종자 크기0.6cm x 0.5cm0.53cm x 0.48cm0.48cm x 0.42cm
1000개 종자 당 무게(g)2.962.842.40
종자 발아율 (%)152118



낙엽 활엽 고목으로 높이 10~20m이며, 큰 것은 높이 50m, 줄기의 지름이 2.5m에 달한다.[63][64] 줄기는 종종 울퉁불퉁하며, 수피는 어린 나무일 때는 적갈색, 성목이 되면 회갈색으로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63][65][66] 수관은 어린 나무일 때는 원추형이며, 주지(主枝)는 불규칙하게 윤생(輪生)하고 사립(斜立)하며, 가지는 대생(對生) 또는 대생상(對生狀)으로 달리고, 숙존성(宿存性)의 장지(長枝)와 일년생의 단지(短枝)가 있다.[63][65][69][59] 단지에는 많은 잎이 붙어 전체적으로 난형(卵形)에서 타원형(楕円形) 3–7 × 1.5–4 cm이며, 가을에 낙지(落枝)하고, 낙지흔은 둥글고 흰색이며, 겨울눈이 1~2개 달린다.[63][65][66][67] 겨울눈은 길이 2–5mm, 끝은 둔두(鈍頭)이며, 아린(芽鱗)은 대생하고 황갈색, 약 2–2.5 × 2–2.5 mm이다.[63][66][67][69]

잎은 단지에 대생하여 2열 우상(羽狀)으로 달리고, 편평한 선형(線形)으로 8-30 × 1-2 mm이며, 끝은 뾰족하지만 부드럽고, 기부(基部)에서 비틀려 무병(無柄)이며, 향축측(向軸側)(앞면)은 밝은 녹색이고 중륵(中肋)은 오목하며, 배축측(背軸側)(뒷면)은 녹백색이고 중륵은 돌출하며, 4–8열의 기공(氣孔)으로 이루어진 기공대(氣孔帶)가 있지만 불명확하다.[63][68][69][70] 잎은 가을에 적갈색으로 변하고, 가지에 붙은 채로 떨어진다.[65][62][69][59]

암수한그루이며, 개화기는 잎이 전개되기 전인 2~3월이다.[63][66][69][70] 수구화(雄球花) ("수꽃")는 난형(卵形), 2.5–5.5 × 2-3.8 mm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많은 수구화가 유이화서(尾狀花序)와 같은 모양을 이룬다.[63][65][66][69] 수구화는 15-20개의 소포자엽(小胞子葉)으로 이루어지며, 각 소포자엽은 2-3개의 화분낭(花粉囊)을 가진다.[75] 자구화(雌球花)는 전년지(前年枝)의 정단(頂端) 또는 아정단(亞頂端)에 단생(單生)하며, 타원형(楕円形), 약 9 × 5.5 mm이며, 짧은 자루가 있다.[75][63][62]

구과(球果)는 10~12월에 성숙하며, 타원형(楕円形), 1.4-2.5 × 1.6-2.3 cm이며, 성숙함에 따라 자루가 길어진다.[63][65][67][69] 과린(果鱗)은 16-30개가 대생(對生)하고, 기부(基部)는 설형(楔形)이고 상부(上部)는 순형(盾狀)이며, 목질(木質)이고, 각각 종자(種子)가 5-9개 붙어 있다.[63][65][67][59] 종자는 편평하고 도란형(倒卵形), 약 5 × 4 mm이며, 주변에 날개가 있다.[75][65][67][69] 자엽(子葉)은 2개이다.[75][65] 염색체 수는 2n = 22이다.[75][65][70]

3. 2. 생태적 특징

메타세쿼이아는 다양한 미세 서식지에서 생태형 변이가 진화해 왔다. 구과의 크기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의 세 가지 변이가 관찰되었다. 대형 구과형은 산비탈에서 자라고, 넓은 수관을 발달시키며, 종자 생산이 더 용이하고 가뭄에 더 강하다. 소형 구과형은 개울가 근처에서 발견되며, 가뭄에 더 민감하고, 더 균일한 줄기를 발달시킨다.[21]

생태형대형 구과중형 구과소형 구과
생장 속도빠름중간느림
생태적 선호도산비탈, 가뭄에 강함산비탈, 중간 정도 가뭄 저항성도랑과 개울, 가뭄에 약함
수피 두께두꺼움중간얇음
수피 색깔회색갈색 회색갈색
줄기 홈뚜렷함매우 뚜렷함뚜렷하지 않음
잎 색깔연한 녹색녹색진한 녹색
잎 밀도낮음중간높음
가지 수관넓음중간좁음
가지 분포듬성듬성중간조밀
가지 각도>90°중간<50°
구과 크기2.2cm x 2cm2cm x 1.8cm1.5cm x 1.4cm
500g 당 종자 수128161280
구과 당 종자 수1068562
종자 크기0.6cm x 0.5cm0.53cm x 0.48cm0.48cm x 0.42cm
1000개 종자 당 무게(g)2.96g2.84g2.4g
종자 발아율 (%)152118



메타세쿼이아는 낙엽 활엽 고목으로 높이 10m~20m이며, 큰 것은 높이 50m, 줄기의 지름이 2.5m에 달한다.[63][64] 줄기는 종종 울퉁불퉁하며, 수피는 어린 나무일 때는 적갈색, 성목이 되면 회갈색으로 세로로 길게 벗겨진다.[63][65][66] 수관은 어린 나무일 때는 원추형이며, 주지(主枝)는 불규칙하게 윤생(輪生)하고 사립(斜立)하며, 가지는 대생(對生) 또는 대생상(對生狀)으로 달리고, 숙존성(宿存性)의 장지(長枝)와 일년생의 단지(短枝)가 있다.[63][65][69][59]

암수한그루이며, 개화기는 잎이 전개되기 전인 2~3월이다.[63][66][69][70] 염색체 수는 2n = 22이다.[75][65][70]

3. 3. 생태형 변이

생태형 변이는 다양한 미세 서식지에서 진화해 왔다. 구과의 크기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의 세 가지 변이가 관찰되었다. 대형 구과형은 산비탈에서 자라고, 넓은 수관을 발달시키며, 종자 생산이 더 용이하고 가뭄에 더 강하다. 소형 구과형은 개울가 근처에서 발견되며, 가뭄에 더 민감하고, 더 균일한 줄기를 발달시킨다.[21]

생태형대형 구과중형 구과소형 구과
생장 속도빠름중간느림
생태적 선호도산비탈, 가뭄에 강함산비탈, 중간 정도 가뭄 저항성도랑과 개울, 가뭄에 약함
수피 두께두꺼움중간얇음
수피 색깔회색갈색 회색갈색
줄기 홈뚜렷함매우 뚜렷함뚜렷하지 않음
잎 색깔연한 녹색녹색진한 녹색
잎 밀도낮음중간높음
가지 수관넓음중간좁음
가지 분포성기 듬성듬성중간조밀
가지 각도>90°중간<50°
구과 크기2.2cm x 2cm2cm x 1.8cm1.5cm x 1.4cm
500g 당 종자 수128161280
구과 당 종자 수1068562
종자 크기0.6cm x 0.5cm0.53cm x 0.48cm0.48cm x 0.42cm
1000개 종자 당 무게(g)2.962.842.40
종자 발아율 (%)152118


4. 분포

중국 중부에 분포하며, 자생하는 개체는 대부분 후베이성(湖北省) 리촨현(利川県)의 해발 750~1500m에 분포하지만, 일부는 후난성(湖南省) 룽산현(竜山県), 충칭시(重慶市) 스저우 투자족 자치현(石柱トゥチャ族自治県)에서도 보고되었다.[51] 1947년 조사에 따르면, 리촨시 충루구(利川市忠路区) 시아오하(小河, Xiaoha)의 숲에는 약 5000그루의 성체가 확인되었다.[76] 또한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식재되고 있으며, 식재된 개체는 가로수나 공원 등에서 볼 수 있다.

보통 계곡이나 강가 등 습한 곳에서 자라며, 사면 등 건조한 곳에서는 볼 수 없다.[65][67][77] 원산지에서는 논 아래에서 큰 뿌리줄기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논을 개간할 때 벌채된 것으로 추정된다.[67] 실생(実生)은 밝은 곳에서 자라며, 내음성은 낮다.[65][67][77]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며(특히 따뜻한 지역), 3년 만에 수고 2m, 십수 년 만에 큰 나무가 된다.[64][67] 수령은 세쿼이아나 세쿼이아덴드론처럼 길지 않고, 수백 년 정도로 추정된다.[64][77] 이러한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메타세쿼이아는 식생 천이(植生遷移)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선구 식물이며, 홍수 등으로 식생이 반복적으로 갱신되는 환경에서 자라던 것으로 생각된다.[77]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는 멸종위기종(EN)으로 지정되어 있다.[51]

5. 보존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주로 후베이성 리촨 지역에 5,371그루의 메타세쿼이아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2][23][24] 충칭시 스저 투자 자치현과 후난성 롱산현에는 훨씬 적은 수의 나무들이 분포하고 있다.[2]

후베이성 메타세쿼이아 계곡의 범람원은 나무가 발견될 당시 이미 논으로 변해 있었지만, 한때는 훨씬 더 광범위한 메타세쿼이아 숲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숲은 미국의 낙우송 숲과 유사했을 것이며, 많은 유사 종들이 함께 자랐을 것이다. 계곡 바닥에서는 기저부 폭이 2m~8m에 이르는 약 3,000개의 나무 줄기가 발견되었다. 또한, 200~300년 된 메타세쿼이아 목재로 지어진 집들이 아직 존재하며, 이는 아마도 계곡의 초기 정착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것이다.[19][2]

메타세쿼이아는 발견 이후 중국에서 국가적 자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중국 법에 따라 보호되고 널리 심어지고 있다.[23] 그러나 여전히 야생에서는 멸종위기종에 처해 있다.[25] 나무나 가지를 베는 것은 불법이지만, 묘목에 대한 수요로 인해 구과 채집이 심해져 메타세쿼이아 숲에서 자연적인 번식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있다.[23] 1950년부터 1980년 사이에 메타세쿼이아 계곡에서 수백 그루가 벌채되었는데, 그중 일부는 2m가 넘는 폭을 가진 나무들이었다.[18][19] 또한, 인간의 이용으로 인해 경관이 크게 변형되었으며, 1980년 탐험대는 나무가 발견된 이후 서식지가 상당히 훼손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식물의 대부분이 베어졌고, 대부분의 지역은 더 이상 묘목에 적합한 토지가 아니다.[18]

2000년대 조사에서는 모든 야생 메타세쿼이아의 수와 크기를 조사하고 측정했다. 남아 있는 건강한 나무들의 가슴높이 지름은 25cm~1.65m, 높이는 12m~51m이며, 추정 연령은 41~265년이다. 평균 크기는 높이 27m, 가슴높이 지름 0.45m~0.9m이며, 추정 연령은 약 95년이다. (가슴높이 지름 2.48m인 모식표본은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묘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묘목이 나타나더라도 제거하여 이식하는 것이 합법이다.[2] 메타세쿼이아는 중국 전역의 마당, 공원, 도로변에서 계속 살아남겠지만,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숲 생태계는 성숙한 나무들이 죽으면 사라질 수 있다.[2]

중국 중부에 분포하며, 자생으로 여겨지는 개체는 대부분 후베이성 리촨현의 해발 750~1500m에 분포하지만, 일부는 후난성 룽산현, 충칭시 스저우 투자족 자치현에서도 보고되었다.[51] 1947년 조사에 따르면, 리촨시 충루구 시아오하의 숲에는 약 5000그루의 성체가 확인되었다.[76] 또한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식재되고 있으며, 식재된 개체는 가로수나 공원 등에서 볼 수 있다.

보통 계곡이나 강가 등 습한 곳에서 자라며, 사면 등 건조한 곳에서는 볼 수 없다.[65][67][77] 원산지에서는 논 아래에서 큰 뿌리줄기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논을 개간할 때 벌채된 것으로 추정된다.[67] 실생은 밝은 곳에서 자라며, 내음성은 낮다.[65][67][77]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며(특히 따뜻한 지역), 3년 만에 수고 2m, 십수 년 만에 큰 나무가 된다.[64][67] 수령은 세쿼이아나 세쿼이아덴드론처럼 길지 않고, 수백 년 정도로 추정된다.[64][77] 이러한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메타세쿼이아는 식생 천이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선구 식물이며, 홍수 등으로 식생이 반복적으로 갱신되는 환경에서 자라던 것으로 생각된다.[77]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 목록에는 멸종위기종(EN)으로 지정되어 있다.[51]

6. 이용

메타세쿼이아는 묘목으로 공원, 유원지, 관광지, 학교, 공장 지대의 녹화를 목적으로 하거나 풍치 개발, 기념수, 교육용으로 식재되며, 가로수로도 쓰인다.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워 펄프용으로 많이 쓰인다. 조림수로도 쓰이지만, 목재는 부서지기 쉬워 크게 유용하지는 않다.

메타세쿼이아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고, 빠른 성장과 아름다운 수형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관상용으로 널리 심어지고 있다.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메타세쿼이아 종자가 보내졌고, 1950년에는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가 보내져 일본 각지의 연구기관과 식물원에 배포되었다. 현재 일본 각지의 공원, 가로수, 학교 운동장 등에서 메타세쿼이아를 볼 수 있다. 시가현 고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은 일본 단풍 명소 100선, 신·일본 가로수 100경에 선정되었으며, 도쿄도 가츠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의 단풍으로 유명하다.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시가현 고시마시, 마키노고원)

6. 1. 조경 및 관상

메타세쿼이아는 묘목으로 공원, 유원지, 관광지, 학교, 공장 지대의 녹화나 풍치 개발, 기념수, 교육용으로 심기에 적합하며, 가로수로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워 펄프용으로 쓰인다.[11]

메타세쿼이아는 발견 이후 전 세계 공원과 정원에서 인기 있는 관상수가 되었다. 1948년 아놀드 수목원에 씨앗이 도착한 후, 전 세계 수목원으로 보내졌다. 1951년에는 상업적인 원예 무역에 진입했고, 언론의 뜨거운 관심 속에 판매량이 급증했다.[11]

메타세쿼이아는 온대 지역에서 재배하기 쉬우며, 관상수로 널리 심어진다. 재배된 지 70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미 가슴높이 지름이 1.84m, 높이가 41.15m에 달하는 나무들이 있을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빠른 성장률 덕분에 임업 조림용으로도 고려되고 있다. 낙우송처럼 물이 고인 곳에서도 잘 자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가지가 땅까지 뻗도록 두면 큰 뒤틀린 줄기를 발달시킨다. 어린 시절 가지치기를 통해 이러한 형태 형성을 막을 수 있다.

메타세쿼이아는 USDA 5구역까지 내한성이 있어 -25°C의 추위에도 견디며, 습하고 물이 고인 토양을 선호한다. 야생에서는 범람원에서 자라도록 적응되어 있다. 그러나 정착할 때까지는 가뭄과 물 부족에 취약하다. 빠른 성장률과 대기 오염에 대한 내성 덕분에, 다른 종들이 살기 어려운 북미 중서부, 남동부, 동부 해안의 도시 지역에 권장된다. 하지만 미국 서부와 같이 건조한 기후에서는 물가에 심지 않으면 관개 없이는 생존이 어렵다. 또한, 겨울철 제빙용 염분과의 접촉으로 인한 피해에 매우 취약하다.[26]

1980년대에는 재배 중인 2세대 나무들 중 상당수가 근교퇴화(유전적 변이가 매우 낮음)로 인해 질병에 대한 감수성 증가와 생식 실패를 겪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원래 씨앗이 한 그루의 나무에서 나왔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다양한 나무에서 나온 씨앗이었다. 근교 퇴화는 고립된 나무의 자가 수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재배된 개체군은 야생 개체군보다 유전적 변이가 적었으며, 1990년대 중국의 광범위한 종자 채취 탐험을 통해 재배되는 메타세쿼이아의 유전적 다양성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27]

장쑤성 피저우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약 60km, 100만 그루 이상)이 있다.[28][29] 장쑤성 싱화시의 싱화 수림은 많은 메타세쿼이아 나무가 있는 공원이다. 장시성 뤄산의 뤄산 식물원에도 많은 메타세쿼이아 나무가 있다.[30]

메타세쿼이아는 영국 전역, 특히 남동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캠브리지대학교 식물원에는 1949년에 심어진 메타세쿼이아가 있으며, 2019년 7월 현재까지 살아있다.[31] 1940년대 윈체스터 근처 힐리어 정원에 배포된 씨앗은 현재 정원의 상징이 되었고,[32]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을 기념하여 스트랫퍼드 공원(스트라우드)에 심은 나무도 크게 자랐다.[33] TROBI에 등록된 가장 큰 나무들은 워킹 공원(서리주)(높이 22m, 가슴높이 지름 144cm), 클레어 칼리지(캠브리지)(높이 21m × 가슴높이 지름 129cm, 1949년 식재), 웨이퍼드 우즈(서머싯주)(높이 32m × 가슴높이 지름99cm)에 있다.[34] '골든 오지' 품종은 왕립원예협회의 정원 공로상을 수상했다.[35][36]

미국 동부, 남부, 서부 해안 등 넓은 지역에서 메타세쿼이아가 잘 자란다. 아놀드 수목원을 비롯한 많은 기관에 표본이 있으며, H. H. 허뉴웰 저택에는 1949년 아놀드 수목원이 최초로 씨앗을 배포했을 때의 표본 두 그루가 있다.[37] 베일리 수목원에는 작은 낙우송 숲이 있고, 그중 한 그루는 지름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져 있다.[38] 뉴욕시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부는 맨해튼브루클린 전역의 보도에 낙우송을 심고 있다. 워싱턴 D.C. 도시림과는[39] 도시 전역에 수백 그루를 심었는데, 여기에는 북서부 레드우드 테라스 1800 블록의 모든 가로수가 포함된다.[40] 로스크루시안 공원에는 하비 스펜서 루이스를 기념하기 위해 심어진 낙우송이 있는데,[41] 1950년에 랄프 체니 박사가 중국에서 가져온 묘목으로 심어졌고,[42] 익명의 기증자가 H. 스펜서 루이스의 미망인에게 기증했다.[41] 샌호세 주립대학교와[43] UCLA 캠퍼스에도 낙우송이 있다.[44]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사우어타운 산맥에 메타세쿼이아 보호 구역을 조성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45] 오리건주 포틀랜드에는 1948년 호이트 수목원에 심은 표본을 포함하여[46]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낙우송 일부가 있으며, 1952년에는 서반구에서 처음으로 구과를 맺은 낙우송이라는 기록을 세웠다.[47][48] 1950년 서던 일리노이 대학교 카본데일에 심은 낙우송도 현재까지 남아있다.[49]

2005년 오리건주는 낙우송을 주의 주 화석으로 지정했다.[50]

메타세쿼이아는 화석 식물로 보고된 것과 거의 같은 식물이 살아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며 주목받았다.[64][67][77][69] 빠른 성장 속도와 아름다운 수형 덕분에 관상용으로 전 세계에 심어지고 있다.[64][65][67][69] 목재를 이용하기 위해 조림되기도 하지만, 목재는 부서지기 쉬워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여겨진다.[65][68][64][69] 실생 또는 삽목으로 번식하며,[59] 병충해가 적고, 굵은 가지가 끊어져도 수년 안에 상처를 회복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1948년 미국 식물학자 래프 워렌 체이니(Ralph W. Chaney)는 발견 직후 메타세쿼이아 종자를 가져와 재배하고,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보냈다. 1950년에는 미키 시게루(三木茂)가 결성한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가 보내져 일본 국내 연구기관과 지자체 식물원에 배포되었다.[60][70][85][64] 현재 일본 각지의 공원, 가로수, 학교 운동장 등에서 메타세쿼이아를 볼 수 있다.[68][62]

시가현 고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은[78] 일본 단풍 명소 100선, 신·일본 가로수 100경에 선정되었다. 도쿄도 가츠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의 단풍으로 유명하다.[79]

메타세쿼이아의 꽃말은 "평화"이다.[62]

6. 2. 목재 및 기타

메타세쿼이아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워 펄프용으로 많이 쓰인다.[65] 조림수로도 쓰이며, 목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부서지기 쉽고 유용하지 않다고 여겨진다.[65][68][64][69]

메타세쿼이아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며 주목을 받았고, 빠른 성장 속도와 아름다운 수형 덕분에 전 세계에서 관상용으로 널리 심어지고 있다.[64][65][67][69] 묘목은 공원, 유원지, 관광지, 학교, 공장 지대의 녹화, 풍치 개발, 기념수, 교육용으로 식재되거나 가로수로 쓰인다.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메타세쿼이아 종자가 보내졌고, 1950년에는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가 보내져 일본 각지의 연구기관과 식물원에 배포되었다.[60][70][85][64] 현재 일본 각지의 공원, 가로수, 학교 운동장 등에서 메타세쿼이아를 볼 수 있다.[68][62] 시가현 고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78]은 일본 단풍 명소 100선, 신·일본 가로수 100경에 선정되었으며, 도쿄도 가츠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의 단풍으로 유명하다.[79]

메타세쿼이아는 실생 또는 삽목으로 번식하며,[59] 병충해가 적고, 굵은 가지가 끊어져도 수년 안에 상처를 막는 회복력을 가지고 있다.[62] 메타세쿼이아의 꽃말은 "평화"이다.[62]

7. 문화

메타세쿼이아는 성장이 빠르고 수형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전 세계에 널리 심고 있다.[64][65][67][69] 목재를 얻기 위해 심기도 하지만, 목재는 부서지기 쉬워 크게 유용하지는 않다.[65][68][64][69] 번식은 씨앗이나 꺾꽂이로 한다.[59] 병충해가 적고, 굵은 가지가 부러져도 수년 안에 회복하는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62]

1948년 미국의 식물학자 래프 워렌 체이니(Ralph W. Chaney)는 메타세쿼이아 종자를 가져가 재배하여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보냈고, 1950년에는 오사카 시립대학 교수 미키 시게루(三木茂)가 결성한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를 보내 일본 각지에 심었다.[60][70][85][64]

7. 1. 살아있는 화석

메타세쿼이아는 북반구 전역의 화석 기록에서 흔히 발견되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1941년 교토대학교의 미키 시게루 박사는 측백나무과 화석 표본을 연구하던 중 ''Metasequoia''라는 새로운 속을 발견했다.[5]

같은 해, 국립 중앙대학교 교수였던 칸 두오는 중국 쓰촨성후베이성에서 거대한 살아있는 메타세쿼이아 표본을 관찰했다. 그는 이 나무의 독특한 특징을 알아차렸지만, 발견을 확인하거나 발표하지는 않았다.[6] 이 나무는 마을 사람들이 水杉|수이샨중국어(물삼나무)이라고 부르는 지역 사당의 일부였다.[7][8]

1943년, 왕전은 후베이성 리촨의 谋道镇|머우다오전중국어(이전에는 모타오치, 마오다오치 또는 모다오시)[10][11] 마을에서 미확인 나무의 표본을 채취했다. 이 표본은 칸이 발견한 나무와 같은 나무로 여겨지며,[1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추가 연구가 연기되었다.

1946년, 정완준 교수와 후시앤수 교수는 미키의 화석 속과 살아있는 표본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냈고,[13] "''glyptostroboides''"라는 종소명을 제시했다.[14]

1947년, 하버드 대학교 아놀드 수목원의 지원으로 화징찬이 메타세쿼이아 종자를 채집했다.[15][16] 이 종자는 전 세계 식물원에 배포되었다.[17]

화석 식물로 보고된 것과 거의 같은 식물이 살아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메타세쿼이아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64][67][77][69]

1948년 미국 식물학자 래프 워렌 체이니는 메타세쿼이아 종자를 가져가 파종하여 재배하고,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보냈으며, 1950년에는 미키 시게루가 결성한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가 보내져 일본 각지에 심어졌다.[60][70][85][64]

시가현 다카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78]은 일본 단풍 명소 100선 등에 선정되었고,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으로 유명하다.[79]

메타세쿼이아의 꽃말은 "평화"이다.[62]

7. 2. 한국의 메타세쿼이아길

1948년 미국 식물학자 래프 워렌 체이니(Ralph W. Chaney)가 발견 직후 메타세쿼이아의 종자를 가져가 파종하여 재배하고,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보냈으며, 1950년에는 화석 식물로서 메타세쿼이아속을 제창한 오사카 시립대학 교수 미키 시게루(三木茂)가 결성한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가 보내져 보존회에서 일본 국내의 연구기관과 지자체 식물원에 배포되었다.[60][70][85][64] 현재는 일본 각지의 공원, 가로수, 학교 운동장 등에 심어져 있다.[68][62]

시가현 고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78]은 일본 단풍 명소 100선, 신·일본 가로수 100경에 선정되어 있다.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의 단풍으로 유명하다.[79]

7. 3. 상징

메타세쿼이아는 화석 식물로 보고된 것과 거의 같은 식물이 살아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주목받게 되었고,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64][67][77][69] 또한 성장이 빠르고 수형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전 세계에 심고 있다.[64][65][67][69]

1948년 미국 식물학자 래프 워렌 체이니(Ralph W. Chaney)가 발견 직후 메타세쿼이아의 씨앗을 가져가 파종하여 재배하고, 1949년 쇼와 천황에게 보냈으며, 1950년에는 화석 식물로서 메타세쿼이아속을 제창한 오사카 시립대학 교수 미키 시게루(三木茂)가 결성한 메타세쿼이아 보존회에 묘목 100그루를 보냈다. 보존회는 이 묘목을 일본 국내 연구기관과 지자체 식물원에 배포하였다.[60][70][85][64] 현재는 일본 각지의 공원, 가로수, 학교 운동장 등에 심어져 있다.[68][62]

시가현 고시마시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78]은 일본 단풍 명소 100선, 신·일본 가로수 100경에 선정되어 있다. 또한 도쿄도 가쓰시카구의 미즈모토 공원도 "메타세쿼이아 숲"의 단풍으로 유명하다.[79]

메타세쿼이아의 꽃말은 "평화"이다.[62]

8. 갤러리

줄기의 판근(板根) 기부

참조

[1] IUCN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021-11-19
[2] 논문 Population structure of relict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d its habitat fragmentation and degradation in south-central China
[3]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Stipes Publishing L. L. C.
[4] 서적 The evolution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Metasequoia
[5] 논문 On the change of flora in Eastern Asia since Tertiary Period (I). The clay or lignite beds flora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inus trifolia beds in Central Hondo https://archive.org/[...] 1941-00-00
[6]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axodiaceae): A Review (1943–2003) 2003-06-00
[7] 논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Its present status in central China 1983-01-00
[8] 서적 Japanese Kanji and Kana: A Complete Guide to the Japanese Writing System Tuttle
[9] 웹사이트 【秋意 遊記】南投杉林溪-楓紅、水杉如調色盤渲染大地 https://orange.udn.c[...] 2024-12-08
[10]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axodiaceae): A Review (1943–2003) 2003-06-00
[11] 서적 Urban forests: a natural history of trees and people in the American cityscape Viking
[12] 논문 Rediscovery of the 'first collection'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13]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axodiaceae): A review (1943–2003) http://flora.huh.har[...] 2014-03-22
[14] 웹사이트 Crescent Ridge-History http://www.dawnredwo[...]
[15] 웹사이트 1947 Contract Collections of Metasequoia (dawn redwood) https://web.archive.[...] Harvard University 2018-09-25
[16]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axodiaceae): A Review (1943-2003) 2003-06-00
[17]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iving Fossil"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axodiaceae): A Review (1943–2003) 2003-06-00
[18]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s://www.conifers[...] 2019-00-00
[19] 논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Its Status in Central China in 1980 http://arnoldia.arbo[...] 1998-00-00
[20] 웹사이트 The thickest, tallest, and oldest dawn redwoods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s://www.monument[...]
[21] 논문 Metasequoia: An Overview of Its Phylogeny,Reproductive Biology, and Ecotypic Variation http://arnoldia.arbo[...] 1998-00-00
[22] 논문 Relationships within Cupressaceae sensu lato: A combin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 2000-00-00
[23] 간행물 Revisiting the Dawn Redwoods https://www.savether[...] 1999-09-00
[24] 서적 The geobiology and ecology of Metasequo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5] IUCN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2021-11-19
[26]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Stipes Publishing Company
[27] 논문 Conserving the Dawn Redwood: The Ex Situ Collection at the Dawes Arboretum https://web.archive.[...] 2018-03-11
[28] 간행물 The Creation of the Longest Avenue in The World http://weddles.co.uk[...]
[29] 간행물 The Longest Avenue http://weddles.co.uk[...]
[30]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Lushan Botanical Garden https://www.bgci.org[...] 2007-05-09
[31] 웹사이트 Dawn Redwood https://www.botanic.[...] 2019-00-00
[32] 웹사이트 Sir Harold Hillier Gardens https://www.hants.go[...]
[33] 뉴스 New gates and a rare tree 1953-06-00
[34] 서적 Champion Trees of Britain & Ireland Kew Publishing
[35]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Golden Oji' https://www.rhs.org.[...] 2019-00-00
[36]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4-04
[37] 논문 Private Pleasures – Derived from Tradition
[38] 웹사이트 The Dawn Redwood http://www.baileyarb[...] 2019-10-08
[39] 웹사이트 DDOT Urban Forestry https://ddot.dc.gov/[...] 2019-10-08
[40] 뉴스 The saddest little tree in downtown Washington bears a surprise https://www.washingt[...] 2015-04-21
[41] 학술지 Tree from the Dawn of Time 1980-03-01
[42] 학술지 Temple Echoes 1951-05-01
[43] 웹사이트 English: w:Dawn Redwood on the campus of w:San Jose State University. https://commons.wiki[...] 2024-06-07
[44] 웹사이트 Mildred E. Mathias Botanical Garden https://www.botgard.[...]
[45] 웹사이트 www.dawnredwood.org http://www.dawnredwo[...] 2005
[46]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dawn redwood https://www.portland[...] 2021-03-23
[47] 웹사이트 Dawn Redwood – Oregon Travel Information Council https://oregontic.co[...] 2021-03-23
[48]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s://www.portland[...] 2021-03-23
[49] 웹사이트 Dawn Redwood https://arboretum.si[...] 2024-07-30
[50] 웹사이트 Metasequoia https://landscapepla[...] 2024-02-09
[51] IUCN 2023-03-18
[52] 웹사이트 Cupressales http://www.mobot.org[...] 2023-02-20
[53] 서적 維管束植物分類表 北隆館
[54] 서적 植物分類表 アボック社
[55] 학술지 On the new family Metasequoiaceae and on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 living species of the genus ''Metasequoia'' found in Szechuan and Hupeh 1948-05-15
[56] 웹사이트 ''Metasequoia''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023-03-18
[57] YList 2016-02-03
[58]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2023-03-18
[59] 서적 世界の針葉樹 井上書店
[60] 학술지 メタセコイアの発見と普及 ―三木 茂博士の発見から75年―
[61]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H.Hu & W.C.Cheng https://www.gbif.org[...] 2023-03-18
[62] 서적 知っておきたい100の木:日本の暮らしを支える樹木たち 主婦の友社
[63]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23-03-18
[64]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65] 웹사이트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ttps://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23-03-18
[66] 서적 樹皮と冬芽:四季を通じて樹木を観察する 431種 誠文堂新光社
[67] 서적 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 11
[68] 서적 樹木ガイドブック 永岡書店
[69] 서적 樹に咲く花 合弁花・単子葉・裸子植物 山と渓谷社
[70]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1 平凡社
[71] 서적 紅葉ハンドブック 文一総合出版 2008-09-27
[72] 서적 陸上植物の形態と進化 裳華房 2020
[73] 서적 図説 植物用語事典 八坂書房 2001
[74] 서적 維管束植物の形態と進化 原著第3版 文一総合出版 2002-04-10
[75] 웹사이트 Metasequoi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10-00-00
[76] 서적 ビジュアルで学ぶ木を知る図鑑 グラフィック社 2024-05-25
[77] 학술지 メタセコイア属の古生態と古生物地理 (生きている化石) 1994
[78] 웹사이트 メタセコイア並木 http://www.takashima[...] びわ湖高島観光協会
[79] 웹사이트 水元公園の紅葉(東京都) https://koyo.walkerp[...]
[80] 학술지 On the change of flora in Eastern Asia since Tertiary Period (I). The clay or lignite beds flora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inus trifolia'' beds in Central Hondo https://archive.org/[...] 1941-09-18
[81] 웹사이트 Metasequoia occidentalis https://trekgeo.net/[...]
[82] 웹사이트 メタセコイア: 京都薬用植物園 http://www.takeda.co[...]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83] 서적 化石から生命の謎を解く : 恐竜から分子まで 朝日新聞出版 2011
[84] 웹사이트 生きた化石 メタセコイア(アケボノスギ) http://www.city.hime[...] 姫路科学館 2007-05-15
[85] 학술지 メタセコイアの「100 本の苗」 2005
[86] 뉴스 福島の地層で国内最古のメタセコイア化石 県立博物館の学芸員が発見 https://kahoku.news/[...] 河北新報 2023-03-24
[87] 학술지 愛媛県伊予市の更新統郡中層から産出した扶桑木の樹種 2021
[88] 웹사이트 森の海岸・しおさい公園 https://www.city.iyo[...] 伊予市
[89] 학술지 東京都八王子市北浅川における更新統の古環境 ―特にメタセコイア化石林における古土壌構成― https://www.shinshu-[...] 2022
[90] 서적 調査資料 第10号 八王子北浅川河床で発見したメタセコイア化石林の研究 日本私学教育研究所 1971
[91] 서적 調査資料 第29号 八王子市・北浅川河床の基盤岩から産出したメタセコイア化石樹幹の年輪研究 第1報 日本私学教育研究所 1974
[92] 웹사이트 生きている植物化石 メタセコイア https://www.city.hac[...] 八王子市
[93] 기타
[94] 기타
[95] 웹인용 메타세콰이아 (메타세쿼이아) https://www.treeinfo[...] 트리인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