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아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아풀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히키오코시' 또는 '연명초'라고도 불리며, 9-10월에 연한 보라색의 입술 모양 꽃이 핀다.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며,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플렉트란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위장 허약, 위염 등에 사용된다. 근연종으로는 좀목이풀과 검은꽃히키오코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기재된 식물 - 메타세쿼이아
    메타세쿼이아는 중국 중부 원산의 낙엽침엽교목으로, 빠른 성장과 아름다운 수형, 가을 단풍으로 관상수로 널리 식재되지만, 멸종위기종으로 야생 개체 수가 적고 목재는 펄프 생산에 이용되며 세쿼이아속 식물과 가까운 측백나무과 세쿼이아아과에 속한다.
  • 아무르주의 식물상 - 복수초
    깊은 산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 복수초는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지만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예술 분야에서 이미지가 활용되기도 한다.
  • 아무르주의 식물상 - 붓꽃
    동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인 붓꽃은 5~7월에 푸른 보라색 꽃을 피우며, 붓을 닮은 꽃봉오리와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의미를 가진다.
방아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쿠시마현 아이즈 지방 2016년 9월 상순
후쿠시마현 아이즈 지방 2016년 9월 상순
학명Isodon japonicus
학명 명명자(Burm.f.) H.Hara (1949)
이전 학명Plectranthus japonicus (Burm.f.) Koidz. (1929)
Rabdosia japonica (Burm.f.) H.Hara (1972)
Plectranthus glaucocalyx Maxim. var. japonicus Maxim. (1859)
한국어 이름히키오코시 (引越し)
다른 뜻배초향, 방아풀, 경상도에서 ‘방아’라 부르는 식물
생물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목 (국화군)꿀풀목
꿀풀과
산박하속
방아풀
학명Isodon japonicus
학명 명명자(Burm.) Hara, 1948

2. 명칭

일본 이름인 히키오코시(引起し)는 옛날 홍법대사가 여러 나라를 순례하던 중 길가에서 병으로 고통스러워하며 쓰러져 있는 여행자를 만나, 근처에 자라던 이 풀을 씹거나 마시도록 하여 병을 낫게 하고 일으켜 세워 여행을 계속하게 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5]. 일본에서는 별명으로 엔메이소(延命草)라고도 불리며, 이 이름 역시 홍법대사의 전설에서 유래했다. 또한 잎을 입에 넣으면 매우 써서, 그 쓴맛이 사람을 죽음에서 살리는 기사회생의 힘이 있다고 여겨져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중국 식물명은 모엽향차채(毛葉香茶菜)라고 한다.

3. 분포와 생육 환경

한반도일본(홋카이도 남서부, 혼슈, 시코쿠, 규슈)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햇볕이 잘 드는 구릉이나 산야에서 자생한다[6][7]. 변종인 만슈방아풀(var. ''glaucocalyx'')은 중국 대륙우수리 지역에 분포한다[6][7].

4.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6]. 높이는 50cm에서 100cm 정도이며, 줄기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아래를 향해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은 마주나기하며, 잎몸은 넓은 달걀 모양(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5cm에서 10cm 정도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잎의 밑부분(기부)은 잎자루로 이어진다.

개화기는 가을(9월 ~ 10월)이다. 줄기 윗부분이나 잎겨드랑이에서 큰 원추꽃차례를 내어, 꽃이삭에 연한 자색의 많은 작은 입술 모양 꽃을 드문드문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윗입술은 4갈래로 갈라지며 보라색 점이 있고, 아랫입술은 배 모양으로 돌출한다. 수술은 4개 있으며, 그 중 2개는 길고 모두 꽃 밖으로 튀어나온다. 암술은 1개 달린다. 개체에 따라 긴 수술과 짧은 암술을 가진 형태와 짧은 수술과 긴 암술을 가진 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6]. 꽃받침통 밑부분에 4개의 분과(分果)를 맺는다.

꿀풀과 식물이지만, 차즈기와 같은 방향(향기)은 없으며, 잎을 씹으면 매우 쓰고 풀 냄새가 난다.

5. 이용

땅 위의 부분을 연명초(延命草)라고 부르며, 쓴맛을 내는 건위제로서 한방에서는 복통이나 설사에 사용한다.

주로 약초로 이용되는데, 9월에서 10월 사이 개화기에 땅 위의 줄기와 잎을 베어 2cm에서 3cm 길이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을 '''연명초'''라고 하여 생약으로 쓴다. 말렸을 때 선명한 녹색을 띠고 쓴맛이 강할수록 좋은 품질로 여겨진다. 강한 쓴맛은 플렉트란틴이라는 성분 때문인데, 이 성분은 물에 40만 배로 희석해도 쓴맛이 남을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중조와 섞으면 쓴맛이 완전히 사라져 건위제로서의 효과가 없어지는 특징이 있다. 약으로 사용할 때는 다른 약재와 섞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여 위액 분비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소화를 돕는다.

민간 요법에서는 위장이 약하거나 위하수, 위근 무력증, 위염, 식욕 부진 등이 있을 때 연명초를 사용한다. 하루에 5g에서 10g을 물 600ml에 넣고 양이 절반으로 줄 때까지 달인 후, 찌꺼기를 걸러내고 식후에 세 번 나누어 마시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가루로 만들어 복용할 경우, 하루에 2g을 물이나 뜨거운 물과 함께 먹는다.

다만, 연명초는 위장을 다소 차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평소 위장이 차가워지기 쉬운 사람은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임산부는 복용하지 않도록 금기시되고 있다.

6. 근연종


  • 좀목이풀 (''Isodon umbrosus'' var. ''leucanthus'' f. ''kameba'')[8]: 방아풀(히키오코시)과 마찬가지로 약초로 사용된다.
  • 검은꽃히키오코시 (''Isodon trichocarpus'')[9]: 홋카이도, 오우 지방, 호쿠리쿠 지방, 산인 지방의 다소 건조한 산지에 자생한다. 꽃은 짙은 자색이며 약용으로 사용된다.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2023-03-24
[2] 간행물 2023-03-24
[3] 간행물 2023-03-24
[4] 간행물 2023-03-24
[5] 문서 和漢三才図会
[6]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 5 シソ科
[7] 간행물 2024-12-31
[8] 간행물 2023-03-24
[9] 간행물 2023-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