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멘투호테프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멘투호테프 4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그의 치세는 혼란스러운 시기로 기록이 부족하다. 와디 엘 후디, 아인 수크나, 와디 함마마트 등지에서 그의 통치 시기의 비문이 발견되었으며, 대규모 원정대의 조직과 활동을 보여준다. 특히, 재상 아메넴하트가 홍해로의 원정을 지휘했으며, 아메넴하트 1세가 멘투호테프 4세 사후 왕위를 찬탈했다는 추측이 존재한다. 그의 존재는 후대의 기록에서 대부분 삭제되었으며, 제11왕조는 멘투호테프 4세를 마지막으로 멸망하고, 아메넴하트 1세에 의해 제12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0세기 사망 - 세누스레트 1세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리비아인과의 전투 중 암살당한 아버지를 대신해 파라오가 되었으며, 누비아 영토 확장, 건축 사업 시행, 아들 아메넴헤트 2세와 공동 통치를 거쳐 45년간 통치했다.
  • 기원전 20세기 파라오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0세기 파라오 - 아메넴헤트 1세
    아메넴헤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창건자이자 초대 파라오로, 왕위 찬탈 의혹 속에서 즉위 후 반대 세력 진압, 수도 건설, 중앙집권화 개혁을 추진했으며, 공동 통치 시스템 도입으로 왕위 계승 안정화를 꾀했으나 암살당했다.
  •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 -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2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내전 끝에 이집트를 통일하고 중앙 집권화 정책과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고, 데이르 엘 바흐리에 혁신적인 장례 사원을 건설하여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멘투호테프 4세
기본 정보
민에게 제물을 바치는 멘투호테프 4세 (오른쪽)
민에게 제물을 바치는 멘투호테프 4세 (오른쪽)
이름멘투호테프 4세
즉위명네브타위레 (Nebtawyre)
호루스명네브타위 (Nebtawy)
네브티명네브타위 (Nebtawy)
황금 호루스명네테루 네부 (Neteru Nebu)
노멘 (탄생명)멘투호테프 (Mentuhotep)
통치 기간
재위 기간기원전 1997년 – 기원전 1991년
왕조에집트 제11왕조
이전 통치자멘투호테프 3세
다음 통치자아메넴하트 1세
개인 정보
사망기원전 1991년
어머니이미 ("왕의 어머니")

2. 가족 관계

멘투호테프 4세의 가족 관계에 대한 기록은 매우 부족하다.

관계이름비고
어머니이미(Imi)와디 함마마트에서 발견된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5] 왕실 후궁의 첩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아버지불명멘투호테프 3세로 추정되나, 멘투호테프 2세의 아들일 가능성도 있다.[1]


2. 1. 어머니 이미(Imi)

와디 함마마트에서 발견된 멘투호테프 4세의 왕명이 새겨진 암석 비문(함마마트 M 191)에는 왕의 어머니 이미(Imi)도 언급되어 있다.[5] 이 비문은 왕의 어머니라는 칭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멘투호테프 4세의 어머니로 추정된다. 왕의 아내, 왕의 누이 또는 왕의 딸과 같은 다른 칭호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일부 학자들은 그녀가 왕실 후궁의 첩이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2. 2. 아버지

멘투호테프 4세의 아버지가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멘투호테프 3세의 아들이자 계승자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그가 멘투호테프 2세의 아들이었을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멘투호테프 3세의 형제 또는 이복형제였음을 의미한다.[1]

3. 업적 및 기록

멘투호테프 4세는 아비도스 왕 목록에는 그의 치세가 생략되었지만, 여러 지역의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이 비문들은 그의 치세 동안 대규모 원정대가 조직되었음을 보여준다.

멘투호테프 4세는 와디 엘 후디,[6] 아인 수크나홍해 항구,[7] 와디 함마마트의 여러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11] 특히 와디 함마마트 비문 중 하나는 그의 어머니 이름이 이미(Imi)임을 확인해 준다.[11]

3. 1. 와디 엘 후디 (Wadi el-Hudi)

멘투호테프 4세는 와디 엘 후디의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6]

비문 번호내용
와디 엘 후디 1재위 1년
와디 엘 후디 2재위 1년
와디 엘 후디 3재위 1년
와디 엘 후디 4재위 1년


3. 2. 아인 수크나 (Ain Sukhna)

아인 수크나홍해 항구에서는 시나이반도의 와디 마가레와 같은 지역으로 원정대가 파견되었다. 청록석과 구리와 같은 제품은 동부 사막의 모래 길을 따라 약 120km 떨어진 멤피스로 운송되었다. 또는 메르사 가와시스 항구로 남쪽 홍해 해안을 따라 운송되었을 수도 있다. 멘투호테프 4세 시대의 비문이 발견되었다.[7]

> 1년, 왕의 남성들의 도착; 작업 인원: 3000명, 청록석, 구리, 3 브론즈(?) 및 사막의 모든 훌륭한 제품을 가져오기 위해.[8]

3. 3. 와디 함마마트 (Wadi Hammamat)

멘투호테프 4세는 홍해 해안으로의 원정대와 왕실 기념물을 위한 석재 채석을 기록한 와디 함마마트의 여러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이 비문 중 하나는 그의 어머니 이름이 이미(Imi) 왕의 어머니임을 확인해 준다.[11] 멘투호테프 4세 치세 2년 동안 와디 함마마트로의 원정대 지휘관은 그의 재상 아메넴하트(Amenemhat)였는데, 그는 제12왕조의 첫 번째 왕이자 멘투호테프의 직계 후계자인 미래의 왕 아메넴하트 1세로 추정된다.[11][12]

와디 함마마트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들이 남아있다.

비문 번호
함마마트 G 52
함마마트 G 53
함마마트 G 54 (2년차)
함마마트 G 55
함마마트 G 56
함마마트 G 57 (2년차)
함마마트 G 58
함마마트 G 59
함마마트 G 60
함마마트 G 73
함마마트 G 140
함마마트 M 1
함마마트 M 40
함마마트 M 55
함마마트 M 105
함마마트 M 110 (재상 아메넴하트(Amenemhat)의 2년차)
함마마트 M 113 (재상 아메넴하트(Amenemhat)의 2년차)
함마마트 M 191
함마마트 M 192 (재상 아메넴하트(Amenemhat)의 2년차)
함마마트 M 205 (재상 아메넴하트(Amenemhat)에 의해)
함마마트 M 241


4. 멘투호테프 4세의 최후와 제12왕조로의 전환

아메넴헤트 1세가 멘투호테프 4세 사후 왕위를 찬탈했거나 권력을 잡았다는 추정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고고학적 또는 문서적 증거는 없으며, 멘투호테프 4세의 미라나 매장지도 발견되지 않았다.[11]

사카라아비도스의 왕명표에는 멘투호테프 3세가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기록되어 있으며, 다른 기록에는 멘투호테프 3세 이후 7년간의 공위 기간이 있었다고 한다.[11] 이처럼 멘투호테프 4세는 후세의 공적 기록에서 대부분 삭제되었다.

와디 함마마트 비문에 따르면 당시 재상 겸 상이집트 총독의 이름은 "아멘엠하트"였다. 이 인물은 멘투호테프 4세의 석관 재료를 구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원정을 떠났는데, 제12왕조의 초대 파라오 아메넴하트 1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재상 아멘엠하트는 군사력을 배경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멘투호테프 4세를 폐위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11][12]

제11왕조는 멘투호테프 4세를 마지막으로 30년이 채 안되는 기간동안 존속되고 종말을 맞이했으며, 테베의 왕권은 아메넴하트 1세의 이집트 제12왕조로 계승되었다.

4. 1. 제11왕조의 몰락과 아메넴하트 1세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아메넴하트 1세가 멘투호테프 4세가 후사 없이 죽은 후 왕위를 찬탈했거나 권력을 잡았다고 추정한다. 현재 멘투호테프 4세가 재상에 의해 폐위되었거나 아메넴하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것을 증명할 고고학적 또는 문서적 증거는 없다. 그의 미라도, 매장지도 발견되지 않았다.[11]

사카라아비도스에서 발견된 왕명표에서는 멘투호테프 3세가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다른 기록에서는 멘투호테프 3세 이후 7년간의 공위 기간이 있었다고 한다.[11] 이처럼, 후세의 공적 기록에서 멘투호테프 4세의 존재는 대부분 삭제되었다.

그의 존재를 보여주는 동시대 유물로는, 멘투호테프 4세의 이름이 새겨진 제12왕조의 아메넴하트 1세 시대의 용기 파편 등이 겨우 발견되었을 뿐이다.[11] 하지만 한편으로, 와디 함마마트에 남겨진 비문에서, 당시 재상 겸 상이집트 총독의 이름 또한 "아멘엠하트"였음이 밝혀졌다. 멘투호테프 4세의 석관에 사용할 석재를 구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이 땅으로 원정했다는 그와, 제12왕조의 초대 파라오 아메넴하트 1세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지며, 재상 아멘엠하트는 원정에 사용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멘투호테프 4세를 폐위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11][12]

어쨌든, 제11왕조는 멘투호테프 4세를 마지막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멘투호테프 2세에 의해 이집트가 통일된 이후 존속 기간은 불과 30년이 채 안 되었지만, 테베에 확립된 왕권은 아메넴하트 1세에 의해 이집트 제12왕조로 계승되었다.

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6
[2] 웹사이트 King List (chronological) http://www.virtualeg[...]
[3] 웹사이트 Mentuhotep IV's titulary on Eglyphica.de http://www.eglyphica[...]
[4]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2006
[5] 웹사이트 Hammamat M 191 | Persons and Names of the Middle Kingdom https://pnm.uni-main[...]
[6] 서적 The Inscriptions of the Amethyst Quarries at Wadi el Hudi https://books.google[...] 1952
[7] 서적 Les Inscriptions d'Ayn Southna https://books.google[...] 2002
[8] 간행물 The Pharaonic Site of Ayn Soukhna in the Gulf of Suez 2001-2009 Progress Report 2012
[9] 논문 "Amenemhat I and the Early Twelfth Dynasty at Thebes." https://www.academia[...] 1991
[10] 학술지 Montuhotep-Nebtawyre and Amenemhat I: Observations on the Early Twelfth Dynasty in Egypt https://www.metmuseu[...] 2010
[11] 서적 クレイトン 1999
[12] 서적 도드슨, 히ルトン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