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넴헤트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넴헤트 1세는 제12왕조를 연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로, 재위 기간은 기원전 1991년부터 기원전 1962년까지이다. 그는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멘투호테프 4세의 재상 출신으로, 쿠데타를 통해 왕위에 올랐다는 설이 제기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즉위 후 누비아와 반대 세력을 진압하고, 수도를 테베에서 이치타위로 옮겨 중앙 집권화를 추진했다. 그는 아들 세누세르트 1세와 공동 통치를 실시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을 꾀했지만, 재위 30년 만에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암살은 『아메넴헤트의 교훈』과 『시누헤 이야기』에 묘사되어 있으며, 이후 이집트 왕조에서는 공동 통치 전통이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2왕조 - 세누스레트 1세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리비아인과의 전투 중 암살당한 아버지를 대신해 파라오가 되었으며, 누비아 영토 확장, 건축 사업 시행, 아들 아메넴헤트 2세와 공동 통치를 거쳐 45년간 통치했다. -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 - 세누스레트 1세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리비아인과의 전투 중 암살당한 아버지를 대신해 파라오가 되었으며, 누비아 영토 확장, 건축 사업 시행, 아들 아메넴헤트 2세와 공동 통치를 거쳐 45년간 통치했다. -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 -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3세는 제12왕조의 파라오로, 다슈르와 하와라에 피라미드를 건설하고 파이윰 오아시스의 간척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번영을 이끌었으며 45년 이상 통치했다. - 기원전 20세기 파라오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0세기 파라오 - 멘투호테프 4세
멘투호테프 4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였으며, 혼란스러운 시기에 통치했고, 재상 아메넴하트가 홍해 원정을 지휘했으며, 아메넴하트 1세가 왕위를 찬탈하여 제12왕조를 시작했다는 추측이 존재한다.
아메넴헤트 1세 | |
---|---|
기본 정보 | |
![]() | |
통치 기간 | 기원전 20세기 (최소 30년, 토리노 왕 목록에 따르면 29년) |
이전 통치자 | 멘투호테프 4세 |
다음 통치자 | 세누스레트 1세 |
왕조 | 이집트 제12왕조 |
아버지 | 세누스레트 |
어머니 | 네페레트 |
배우자 | 네페리타트제넨 |
자녀 | 세누스레트 1세 네페루 3세 네페루셰리트 카예트 |
매장지 | 엘-리슈트 피라미드 |
호루스 이름 | |
첫 번째 호루스 이름 | 세헤텝-이부-타위 (두 땅의 마음을 만족시킨 자) |
첫 번째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두 번째 호루스 이름 | 웨헴-메수트 (출생을 반복한 자) |
두 번째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네브티 이름 | |
첫 번째 네브티 이름 | 세헤텝-이부-타위 (두 땅의 마음을 만족시킨 자) |
첫 번째 네브티 이름 (히에로글리프) | |
두 번째 네브티 이름 | 웨헴-메수트 (출생을 반복한 자) |
두 번째 네브티 이름 (히에로글리프) | |
황금 호루스 이름 | |
첫 번째 황금 호루스 이름 | 세마 (통합자) |
첫 번째 황금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두 번째 황금 호루스 이름 | 웨헴-메수트 (출생을 반복한 자) |
두 번째 황금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즉위명 | |
즉위명 (원어) | 세헤텝-이부-레 |
즉위명 (히에로글리프) | |
즉위명 (번역) | 레의 마음을 만족시킨 자 |
탄생명 | |
탄생명 (원어) | 이멘-엠-하트 |
탄생명 (히에로글리프) | |
탄생명 (번역) | 아문이 선두에 있다 |
2. 생애
멘투호테프 4세 치세 2년에 왕을 위한 석관 재료를 얻기 위해 파견된 원정대의 사령관 이름이 재상 아메넴헤트였기 때문에, 이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는 동일 인물이며,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16][17][18] 그러나 제11왕조의 재상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를 동일 인물로 단정할 만한 확증은 없으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학자도 있다.[19]
즉위 직후 아메넴헤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반대파 제후와 누비아인 저항 세력을 진압했으며, 고왕국 시대의 수도 멤피스 남쪽에 "두 땅의 정복자"라는 의미의 새로운 수도 이치타위를 건설하고, 전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테베에서 천도했다. 이는 이치타위가 상하 이집트의 중간에 위치하여 테베보다 통치에 전략적으로 유리했을 뿐만 아니라, 왕권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0] 이집트 제1중간기 동안 증대된 주지사들의 권력을 서서히 약화시키고 국토의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개혁에 착수했으며, 그 자세는 왕이 새롭게 추가한 웨헴 메스웃, 즉 "새로운 것을 반복하는 자"라는 칭호에 나타나 있다.
재위 20년째에는 개혁의 일환으로, 고대 이집트 역사상 처음으로 공동 통치 시스템을 도입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을 꾀했다. 공동 통치자가 된 아들 세누스레트 1세는 국경선 유지와 영토 확대를 주로 담당했다.
아메넴헤트 1세는 재위 30년째에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21] 당시 원정에 나가 수도를 비웠던 세누스레트 1세는 부왕의 암살 소식을 듣고 급히 귀환하여 혼란을 수습하고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이로써 공동 통치자의 존재가 왕위 찬탈 방지에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21] 이후 제12왕조에서는 부왕이 왕자를 공동 통치자로 세우는 전통이 계승되었다.
2. 1. 즉위 전
멘투호테프 4세 시대의 재상이자 남부 총독이었다. 멘투호테프 4세 때 1만 명의 병사를 이끌고 왕의 무덤에 쓸 석재를 구하러 와디 함마마트에 간 적이 있었다. 당시 새끼를 밴 영양이 아메넴헤트를 석재가 있는 곳으로 인도했으며, 아메넴헤트가 영양을 제물로 바치자 소나기가 내리면서 거대한 돌들이 떨어졌다.[16][17][18]피터 클레이턴은 멘투호테프 4세의 무덤과 석관이 발견되지 않은 점을 들어 아메넴헤트가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올랐을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문헌과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아메넴헤트는 왕족이 아닌 세누스레트와 네프레트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엘 리슈트에 있는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제물상에서 증명되었으며, '왕의 어머니'라는 칭호가 있었다. 아마도 그녀는 상 이집트의 타-세티 노메 출신 여성으로 식별되는 '네페르티의 예언'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아버지는 카르나크의 블록에서 증명되었으며 '신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아메넴헤트 1세와 멘투호테프 4세의 관계는 불분명하지만, 와디 함마마트의 비문에 언급된 멘투호테프 4세 치세의 재상 아메넴헤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이 비문에는 두 가지 예언적인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멘투호테프 4세의 석관 뚜껑이 된 돌 위에서 가젤 송아지가 태어났고, 갑작스러운 폭우로 물이 가득한 우물이 나타났다. 이집트학자 가이 캘린더는 재상과 왕이 동일인물이라고 가정할 때, 이러한 기적에 대한 보고는 '그가 기적이 행해진 사람임을 알리고', 그가 '신들의 총애를 받았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엘-리슈트에서 발견된 그릇에는 두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집트학자 윌리엄 머네인은 아메넴헤트 1세의 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공동 섭정 기간이 시행되었다고 제안했지만, 니콜라스 그리말은 가설상의 공동 섭정을 허구로 간주한다. 볼프람 그라예츠키는 이 그릇이 아메넴헤트 1세가 선임자에게 가졌던 존경심을 나타낸다고 믿는다. 아메넴헤트 1세의 통치로 이어지는 시기에 해당하는 데이르 엘-베르샤의 텍스트에서 불안의 징후가 확인되며, 이 시대에는 왕위를 놓고 경쟁한 이뇨테프와 세르게세니도 있었다.
제11왕조 마지막 왕 멘투호테프 4세 치세 2년에 왕을 위한 석관 재료를 얻기 위해 파견된 원정대의 사령관 이름이 재상 아메넴헤트였기 때문에, 이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는 동일 인물이며,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16][17][18] 그러나 제11왕조의 재상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를 동일 인물로 단정할 만한 확증은 없으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학자도 있다.[19]
2. 2. 즉위 후
아메넴헤트 1세는 파라오가 된 후 전국을 돌아다니며 자신에게 저항하는 세력들과 전쟁을 벌였다.[9] 그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중심에 위치한 이치타위(Itj-tawy, 현대의 리슈트)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였다.또한 공동 통치제를 도입하여, 파라오가 치세 말기에 자신의 왕세자와 함께 공동으로 통치하도록 하였다. 재위 20년이 되던 해, 아들 세누스레트 1세를 왕위에 올려 군사적인 일을 맡겼다.
재위 24년에는 북동 국경에 나타난 아시아인을 공격했으며,[11] 재위 30년, 세누스레트 1세가 리비아인과 전쟁을 벌이던 중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21]
즉위 직후 아메넴헤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반대파 제후와 누비아인 저항 세력을 진압했으며,[20] 고왕국 시대의 수도 멤피스 남쪽에 "두 땅의 정복자"라는 의미의 새로운 수도 이치타위를 건설하고, 전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테베에서 천도했다. 이는 이치타위가 상하 이집트의 중간에 위치하여 테베보다 통치에 전략적으로 유리했을 뿐만 아니라, 왕권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0] 그는 이집트 제1중간기 동안 증대된 주지사들의 권력을 서서히 약화시키고 국토의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개혁에 착수했다. 그 자세는 왕이 새롭게 추가한 웨헴 메스웃, 즉 "새로운 것을 반복하는 자"라는 칭호에 나타나 있다. 재위 20년째에는 개혁의 일환으로, 고대 이집트 역사상 처음으로 공동 통치 시스템을 도입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을 꾀했다. 공동 통치자가 된 아들 세누스레트 1세는 국경선 유지와 영토 확대를 주로 담당했다.
아메넴헤트 1세는 재위 30년째에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21] 당시 원정에 나가 수도를 비웠던 세누스레트 1세는 부왕의 암살 소식을 듣고 급히 귀환하여 혼란을 수습하고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이로써 공동 통치자의 존재가 왕위 찬탈 방지에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21] 이후 제12왕조에서는 부왕이 왕자를 공동 통치자로 세우는 전통이 계승되었다.
2. 3. 가족 관계
멘투호테프 4세 시대의 재상이자 남부 총독이었던 아메넴헤트 1세는 왕족이 아닌 아버지 세누스레트와 어머니 네프레트 사이에서 태어났다.[16][17][18] 그의 어머니는 엘 리슈트에 있는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제물상에서 '왕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받았고, 아마도 상 이집트의 타-세티 노메 출신으로 추정된다. 아버지 세누스레트는 카르나크의 블록에서 '신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받았다.아메넴헤트 1세와 멘투호테프 4세의 관계는 불분명하지만, 와디 함마마트 비문에 언급된 멘투호테프 4세 치세의 재상 아메넴헤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16][17][18] 이집트학자 가이 캘린더는 재상과 왕이 동일인물이라면, 비문에 기록된 기적(가젤 송아지 출산, 갑작스러운 폭우)은 아메넴헤트가 신들의 총애를 받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언급했다.[16] 엘-리슈트에서 발견된 그릇에는 두 왕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메넴헤트 1세의 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공동 섭정 기간이 있었음을 시사한다는 학설과[19] 단순한 존경심의 표현이라는 학설[18]이 있다.
데이르 엘-베르샤 텍스트에서는 아메넴헤트 1세의 통치 초기에 불안정한 징후가 확인되며,[17] 이뇨테프, 세르게세니 등 왕위 경쟁자들도 있었다.[20]
아메넴헤트 1세는 네페르타텐엔을 부인으로 두었고, 아들 세누스레트 1세를 낳았다.[17] 세 명의 딸로는 시누헤 이야기에 언급되었고 세누스레트 1세의 아내였던 네페루 3세, 그리고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 단지에서 발견된 유물에 이름이 언급된 네페르슈에리트와 카예트가 있었다.[17]
3. 통치와 업적
아메넴헤트 1세는 파라오가 된 후 전국을 돌아다니며 자신에게 저항하는 세력들과 전쟁을 벌였다.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중심에 위치한 이치타위라는 도시를 새로 건설하였다. 그는 파라오가 치세 말기에 왕세자와 함께 공동으로 통치하는 공동 통치제를 도입하였다. 재위 20년에 아들 세누스레트 1세를 왕위에 올리고 군사적인 일을 맡겼다.
재위 24년에는 북동 국경에 나타난 아시아인을 공격했으며, 재위 30년에 세누스레트 1세가 리비아인과 전쟁을 벌이던 중 암살당했다.[9] 초기 치세에 크눔호테프 1세가 참여하여 승리한 해상 전투가 있었고, 이후 크눔호테프는 베니 하산의 중요한 지역 총독으로 임명되어 지역 총독 왕조를 세웠다. 그의 손자는 크눔호테프 3세였다.[10] 크눔호테프의 비문에는 아시아인과 누비아인에 대한 군사 원정에 대한 언급도 있다.[11]
아메넴헤트 1세의 호루스 이름인 '웨헴메수'는 부흥 또는 환생을 의미하며, 고왕국 시대를 연상시킨다. 제12왕조 왕들은 피라미드 무덤 및 고왕국 예술 모티프와 같은 문화적 상징과 모델을 모방했다. 왕의 숭배 또한 이 시기에 장려되었으며, 이는 더욱 중앙 집권적인 정부로의 꾸준한 회귀를 보여준다.[12]
멘투호테프 4세 치세 2년에 왕을 위한 석관 재료를 얻기 위해 파견된 원정대의 사령관 이름이 재상 아메넴헤트였기 때문에, 이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는 동일 인물이며,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16][17][18] 그러나 제11왕조의 재상 아메넴헤트와 아메넴헤트 1세를 동일 인물로 단정할 만한 확증은 없다.[19]
즉위 직후 군대를 이끌고 반대파 제후와 누비아인 저항 세력을 진압했으며, 고왕국 시대의 수도 멤피스 남쪽에 "두 땅의 정복자"라는 의미의 새로운 수도 이치타위를 건설하고, 전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테베에서 천도했다. 이는 상하 이집트의 중간에 위치한 이치타위가 통치를 수행하는 데 있어 테베보다 전략적으로 우위에 있었기 때문이며, 스스로의 왕권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0] 또한, 이집트 제1중간기 동안 증대된 주지사들의 권력을 서서히 약화시키고 국토의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개혁에 착수했다. 그의 칭호인 웨헴 메스웃은 "새로운 것을 반복하는 자"라는 뜻이다. 재위 20년째에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처음으로 공동 통치 시스템을 도입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을 꾀했다. 공동 통치자가 된 아들 세누스레트 1세는 국경선 유지와 영토 확대를 주로 담당했다.
아메넴헤트 1세는 치세 30년째에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 당시 원정에 나가 수도를 비웠던 세누스레트 1세는 부왕 암살 소식을 듣고 급히 귀환하여 즉시 혼란을 수습하고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공동 통치자의 존재가 왕위 찬탈 방지에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21] 이후 제12왕조에서는 부왕이 왕자를 공동 통치자로 세우는 전통이 계승되었다.
3. 1. 관료
아메넴헤트 1세의 치세에는 알려진 관리가 거의 없다.[1] 아메넴헤트 1세 통치 중반에 재직한 것으로 추정되는 재상으로는 이피가 있다.[2] 그는 데이르 엘 바흐리에 있는 그의 무덤 TT 315 / MMA 516에서 알려져 있다.[3] 그는 평생 동안 하 이집트의 왕을 위한 재무관, 집사, 봉인 담당자를 포함한 여러 관직과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2] 이 통치 시기에 속하는 또 다른 재상은 인테피케르이다.[4]이 왕 아래에는 두 명의 재무관이 있었는데, 또 다른 이피와 레후어제르센이다. 메케트레와 소베크나크트는 고위 집사로 확인되었다.
4. 피라미드
아메넴헤트 1세는 엘 리슈트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고대 이집트어로는 '아메넴헤트의 외형을 숭배하는 장소'(Swt-ḫꜥu Ỉmn-m-hꜣt)라고 불렸다.[1]
이 피라미드의 중심부는 거칠게 다듬은 석회암 블록으로 구성되었으며, 틈새는 모래, 잔해, 진흙 벽돌로 채워졌다. 특히, 중심부에는 기자와 아부시르에 있는 황폐화된 고왕국 피라미드에서 가져온 부조 장식 블록도 포함되어 있었다.[2] 중심부는 그 후 고운 석회암 블록으로 덮였다.[3]
피라미드는 밑변 길이가 84m, 높이는 55m 또는 58m, 경사각은 약 54°27', 부피는 129360m3였다.[4][2] 부실한 건설 방식과 낮은 품질의 재료 사용, 그리고 무덤 도굴꾼들의 활동으로 인해 현재 피라미드는 높이가 20m에 불과한 폐허로 남아있다. 열등한 재료를 사용한 결정은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고려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는데, 특히 파이윰에는 풍부한 점토 매장량이 존재했다.[1]
피라미드 동쪽에는 피라미드와는 별도로 고유한 이름을 가진 장제전이 있었다. 고왕국 시대에는 장제 단지에 단일 이름을 부여했지만, 아메넴헤트 1세는 이러한 전통을 깨고 개별 구성 요소에 이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이 사원은 '높이 [솟아오르는] 아메넴헤트의 아름다움'이라는 이름을 받았다.[1][5] 이 사원은 피라미드보다 낮은 수준에 지어졌으며, 아마도 멘투호테프 2세의 계단식 장제전을 참고한 것으로 보이며, 고왕국 사원에 비해 규모가 작았다.[5][2] 사원의 유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재구성이 불가능하며, 안뜰만이 제대로 조사되었다.[5] 사원은 세누스레트 1세의 치세 동안 재건된 것으로 보이며, 그의 이름이 새겨진 비문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5][2] 숭배 피라미드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통로와 계곡 사원(조사되지 않았으며 현재 지역 묘지 아래에 묻혀 있다[5])은 확인되었다.[2]
피라미드 둘레 벽 안에는 가족 구성원과 관료들의 무덤이 있는데, 여기에는 그의 어머니 네프레트, 아내 네페르타트제넨, 딸 네페루[2]와 재상인 인테피케르가 포함된다.[5]
피라미드 아래에는 북쪽 예배당에서 들어가는 지하 구조물이 있다.[3] 북쪽 예배당에는 붉은 화강암 가짜 문이 있었고,[2] 그 뒤에는 하강 통로가 있었다.[3] 블록으로 막힌 분홍색 화강암으로 된 통로는 매장실로 이어지는 중앙에 샤프트가 있는 사각형 챔버로 이어진다.[6] 이 챔버는 지하수로 채워져 접근이 불가능하며, 내부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다.[6][2]
5. 암살 사건과 그 이후
The Tale of Sinuhe영어에 따르면, 아메넴헤트 1세는 재위 30년, 리비아 원정을 떠났던 아들 세누스레트 1세가 부재중일 때 근위병에게 암살당했다.[14] 세누스레트 1세는 부왕의 암살 소식을 듣고 급히 귀환하여 혼란을 수습하고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21]
''아메넴헤트의 교훈''은 죽은 아메넴헤트 1세가 아들 세누스레트 1세에게 남긴 훈계로, 근위병에 대한 경고와 암살 정황을 묘사하고 있다.
이 사건을 통해 공동 통치 제도의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며,[21] 이후 이집트 제12왕조에서는 부왕이 왕자를 공동 통치자로 세우는 전통이 계승되었다.
6. 현대의 각색
나기브 마흐푸즈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이집트 소설가로, 1941년에 단편 소설 "아와닷 시누히"를 출판했는데, 이 소설에 아메넴헤트 1세를 등장시킨다. 이 이야기는 2003년 레이먼드 스톡에 의해 "다른 세상의 목소리"라는 마흐푸즈 단편집에 "시누헤의 귀환"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되어 실렸다. 이 이야기는 "시누헤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아메넴헤트 1세와 시누헤를 포함한 삼각관계 로맨스의 세부 사항을 추가했는데, 이는 원본에는 없는 내용이다. 마흐푸즈는 또한 이집트 통치자들에 대한 그의 기록인 "왕좌를 마주하며"에도 이 파라오를 포함시켰다. 이 작품에서 마흐푸즈는 고대 이집트 신들이 파라오 메나에서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까지 이집트 통치자들을 심판하도록 설정했다.
참조
[1]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21
[2]
문서
History of Ancient Egypt
[3]
웹사이트
Amenemhat I Sehetibre !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2020-10-13
[4]
문서
Ancient Egyptian Literature
[5]
문서
Ancient Egyptian Literature
[6]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ume II -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ed. G Moktar)
UNESCO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Nub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4-10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
[9]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LLC
[11]
웹사이트
Pharaoh: Amenemhat I (Sehetepibre)
http://euler.slu.edu[...]
2016-08-30
[1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Egypt: Amenemhat I, 1st King of the 12th Dynasty
http://www.touregypt[...]
2018-04-10
[14]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o. 40.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6]
문서
フィネガン 1983
[17]
문서
クレイトン 1998
[18]
문서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19]
문서
スペンサー 2009
[20]
문서
クレイトン 1998
[21]
문서
クレイトン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