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령형은 듣는 사람에게 명령이나 지시를 하는 문법 형태이다. 일본어의 명령형은 동사의 활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문어와 구어에서 차이를 보인다. 4단 동사, 라행 변격 활용 동사, 나행 변격 활용 동사에서는 에단 음이, 1단 및 2단 동사에서는 이단 음 또는 에단 음 + "よ(ろ)"가 사용된다. 형용사, 형용동사에서는 문어에서 다른 형태를 보이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명령형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명령형은 형태론적, 통시적 분석을 통해 그 기원을 추적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령형은 동사의 활용과 어미의 결합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명령형은 청자에게 명령이나 지시를 하는 뜻으로, 문장 끝에서 단언할 때 사용되는 어형이다. 토조 기몬의 《와고 설략도》(和語說略圖일본어) (1833년)에서는 희구언으로 여겨졌지만, 다나카 요시카도의 《소학교 일본 문전(小學日本文典일본어)》(1874년)에서 명령형으로 되었다.
2. 정의
4단동사, 나변동사, 라변동사에서는 이연형과 같고, 에단음으로 된다. 1단동사 · 2단동사에서는 이단음 혹은 エ단음+“よ(ろ)”가 된다.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かれ” “なれ”로 되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大きくなれ(커져라)” “靜かにしろ(조용히 해라)”와 같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명령형은 설정되지 않는다.
2. 1. 일본어의 명령형
명령형은 듣는 사람에게 명령이나 지시를 할 때 문장 끝에서 단정적으로 사용하는 어형이다. 도조 기몬의 《와고 설략도》(和語說略圖일본어) (1833년)에서는 희구언으로 여겨졌지만, 다나카 요시카도의 《소학교 일본 문전(小學日本文典일본어)》(1874년)에서 명령형으로 되었다.
4단동사, 나행 변동사, 라행 변동사에서는 이연형과 마찬가지로 에단음이 되며, 1단동사 · 2단동사에서는 이단음 또는 에단음+“よ(ろ)”가 된다. 한편,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かれ” “なれ”가 되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大きくなれ(커져라)” “靜かにしろ(조용히 해라)”와 같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므로 명령형은 설정되지 않는다.
| 문어 | 구어 | |||||||
|---|---|---|---|---|---|---|---|---|
| 품사 | 활용 종류 | 예어 | 어형 | 활용 종류 | 예어 | 어형 | ||
| 동사 | 4단활용 | 쓰다 | かけ | 5단활용 | 쓰다 | かけ | ||
| 라행 변격활용 | 있다 | あれ | ||||||
| 나행 변격활용 | 죽다 | しね | ||||||
| 하1단활용 | 차다 | けよ | 하1단활용 | 받다 | うけろ うけよ | |||
| 하2단활용 | 받다 | うけよ | ||||||
| 상1단활용 | 입다 | きよ | 상1단활용 | 일어나다 | おきろ おきよ | |||
| 상2단활용 | 일어나다 | おきよ | ||||||
| 카행 변격활용 | 오다 | こ (こよ) | 카행 변격활용 | 오다 | こい | |||
| 사행 변격활용 | 하다 | せよ | 사행 변격활용 | 하다 | しろ せよ | |||
| 형용사 | 쿠 활용 | 없다 | なかれ | |||||
| 시쿠 활용 | 아름답다 | うつくしかれ | ||||||
| 형용동사 | 나리 활용 | 조용하다 | しずかなれ | |||||
| 타리 활용 | 당당하다 | どうどうたれ | ||||||
명령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1단 활용, 2단 활용, カ행 변격 활용, サ행 변격 활용의 "요(ろ)"이며, 이를 조사로 분류하여 제외하면 이들은 미연형과 같은 어형이다.[1] 해결에는 기원을 살펴보는 방법이 있다.[1]
사단, 라변 및 나변형은 명령형 접사 "요"가 없이는 판별할 수 없는 이단형 등과 달리 에단만으로도 명령의 의미가 통한다. 원래 종지형이 생기기 이전에는 연용형이 "단언"의 형태였지만, 말미 /i/에 명령형 접사 /jo(乙|오토일본어)/가 붙으면서 연용형 말미 /i/가 조음의 유사성에 의해 반모음 /j/와 통합되고, 나아가 /io(乙|오토일본어)/ (오단 을류 음, 중설적인 오=중설 중앙 모음과 같은 소리)가 되어 모음 결합에 의해 /je/ (에단 갑류 음)를 형성하게 된 데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1]
3. 문제점
4. 언어학적 분석
그 외의 형(사변, 가변, 이단형 등, "よ"가 없이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은, 원래 그 연용형이 이단 을류 음 (/ui/와 같은 소리로 추정)이나 에단 을류 음 (/e/와 같은 소리로 추정) 등으로, 그것은 원래 모음 결합에 의해 생긴 것으로 생각되므로, /jo/가 아래에 붙어도 추가적인 모음 결합을 일으키지 않아 "よ"가 잔존한 것으로 여겨진다.[1]
사변, 가변에 대해서는 연용형과 명령형이 다르지만, 옛날에는 연용형 접속 조동사 "き"에 붙을 때, 사변에서는 "せし時", 가변에서는 "こし方"와 같이 미연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가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사변, 가변의 연용형은 각각 "せ", "こ|코일본어(乙|오토일본어)"로 생각된다. 또한, 가변 "こ|코일본어(乙|오토일본어)"의 명령형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사변 "せ"는 "よ"가 붙는다. 이는 /ko(乙|오토일본어)/에 /jo(乙|오토일본어)/ (=/o(乙|오토일본어)/)가 붙어도 모음이 변화하지 않은 채 명령형을 형성한 것이 되며, 사변은 하이단형과 같은 이유로 "よ"가 잔존했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모든 동사의 명령형은 "연용형+명령형 접사 'よ(乙|오토일본어)'"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4. 1. 형태론적 분석
형태론에서 단어가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하며, 여기에 부착되어 어형을 변화시키고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어미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일본어 동사는 자음 어간 동사와 모음 어간 동사로 나눌 수 있다. 자음 어간 동사는 4단 동사·라변 동사·나변 동사를 말하며, 로마자 분석을 하면 변화하지 않는 어간 부분은 자음으로 끝난다. 한편, 모음 어간 동사는 1단 동사·2단 동사이다. 문어에서는 어간 모음이 모음 교체를 일으켜 2가지 어형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모음 교체가 일어나지 않고 어간이 일정하다.
이처럼 보면, 명령형이란 자음 어간 동사 (4단 동사·라변 동사·나변 동사)에 있어서 모음 /e/로 만들어지는 어미 -e가 어간 자음에 붙음으로써 만들어진 어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모음 어간 동사에서는 -yo/-ro라는 다른 어미가 붙은 것이다. 이 "요/로"는 각각 거의 서/동일본의 방언 형이며, 동국의 "로"는 만엽집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형용사·형용 동사는 문어에서 카리 활용이나 나리 활용이라고 하는 활용을 가지지만, 이것은 어간과 어미 사이에 -ar- (あり|아리일본어)가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아리"는 단독으로는 존재를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어미로 사용되면 지정·착정의 문법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그 활용도 자음 어간 동사 "아리"에 따라 -e에 의해 명령형이 만들어진다.
4. 2. 통시적 분석
형태론에서 단어의 변화하지 않는 부분은 어간이라고 부르고, 거기에 함께함으로써 어형 변화를 가져오며 문법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어미라고 부른다. 일본어 동사는 자음어간동사와 모음어간동사로 나뉜다. 자음어간동사는 4단동사・라변동사・나변동사를 말하고, 로마자 분석과 변화하지 않는 어간 부분은 자음으로 끝나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는 1단동사・2단동사이다. 문어에서 어간모음은 모음변환을 일으키고 2가지 어형을 갖고 있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모음변환은 일어나지 않고 어간은 일정하다.
이러한 분석에 따르면, 명령형은 자음어간동사(4단동사・라변동사・나변동사)에서는 모음 /e/에서 만들어진 어미 '-e'가 어간자음에 붙어 만들어진 어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에서는 '-yo/-ro'라는 다른 어미가 두 가지 어형을 갖고 있지만, 붙여진 것이다. 또한 이 ‘よ/ろ’는 각각 서/동일본의 방언형이고, 동국의 ‘ろ’는 만요슈 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용사・형용동사에서 カリ활용이나 ナリ활용이라고 말해지는 활용을 가지지만, 이것은 어간과 어미와의 사이에서 '-ar-'(あり)가 들어간 것을 말한다. ‘あり’는 단독으로는 존재를 가리키는 단어지만, 어미로서 사용되면 지정・조정의 문법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그 활용도 자음어간동사 ‘あり’에 따라서 '-e'에 의해서 명령형이 만들어진다.
사단, 라변 및 나변형은 명령형 접사 "よ"가 없이는 판별할 수 없는 이단형 등과 달리 에단만으로도 명령의 의미가 통한다. 원래 종지형이 생기기 이전에는 연용형이 "단언"의 형태였지만, 말미 /i/에 명령형 접사 /jo(乙)/가 붙으면서 연용형 말미 /i/가 조음의 유사성에 의해 반모음 /j/와 통합되고, 나아가 /io(乙)/ (오단 을류 음, 중설적인 오=중설 중앙 모음과 같은 소리)가 되어 모음 결합에 의해 /je/ (에단 갑류 음)를 형성하게 된 데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그 외의 형(사변, 가변, 이단형 등, "よ"가 없이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은, 원래 그 연용형이 이단 을류 음 (/ui/와 같은 소리로 추정)이나 에단 을류 음 (/e/와 같은 소리로 추정) 등으로, 그것은 원래 모음 결합에 의해 생긴 것으로 생각되므로, /jo/가 하접해도 추가적인 모음 결합을 일으키지 않아 "よ"가 잔존한 것으로 여겨진다.
사변, 가변에 대해서는 연용형과 명령형이 다르지만, 옛날에는 연용형 접속 조동사 "き"에 붙을 때, 사변에서는 "せし時", 가변에서는 "こし方"와 같이 미연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가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사변, 가변의 연용형은 각각 "せ", "こ(乙)"로 생각된다. 또한, 가변 "こ(乙)"의 명령형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사변 "せ"는 "よ"가 붙는다. 이는 /ko(乙)/에 /jo(乙)/ (=/o(乙)/)가 붙어도 모음이 변화하지 않은 채 명령형을 형성한 것이 되며, 사변은 하이단형과 같은 이유로 "よ"가 잔존했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모든 동사의 명령형은 "연용형+명령형 접사 'よ(乙)'"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