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연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연형은 '아직 그렇지 않다'는 뜻으로, 일본어 문법에서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활용형 중 하나를 일컫는다. 에도 시대 국학에서는 '장연언'으로 불렸으며, 현대 일본어 문법에서는 의지, 부정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로 변화했다. 미연형은 문어와 구어에서 활용 형태가 다르며, 형태론적으로 자음 어간 동사, 모음 어간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다양한 활용을 포함한다. 자음 어간 동사에서는 어미 연결 시 모음 삽입이 일어나고, 모음 어간 동사에서는 모음 연속을 피하기 위해 r이나 s가 삽입된다.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미연형은 문어에서는 'ず'와 'ar'의 결합으로, 구어에서는 'ない'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문법 - 형용동사
    형용동사는 일본어 품사 중 하나로, 동사나 i형용사처럼 활용되면서 명사와도 관련 있으며, 일본어 문법과 교육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다.
  • 일본어 문법 - 일본어 대명사
    일본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성별, 나이,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형태와 용법이 달라지며, 고유한 뉘앙스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다양한 1, 2, 3인칭 대명사와 복수 접미사, 지시 및 의문 대명사가 존재한다.
미연형

2. 정의

미연형(未然形)은 "아직 그렇지 않음"을 뜻하며, 에도 시대의 국학에서는 '''장연언(將然言)'''이라고도 불렸다. 이는 "그렇게 하려고 한다", "그렇게 될 것이다"라는 뜻을 지닌다.[3]

2. 1. 문어와 구어에서의 미연형

미연은 ‘아직 그렇지 않다’는 뜻이며, 부정의 ‘ず’(ず|즈일본어)나 의지 · 추측을 나타내는 ‘む’(む|무일본어)가 붙을 때 변화되는 어형을 의식한 명칭이다[3]. 에도 시대의 국학에서는 '''장연언'''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그렇게 하려고 한다’ ‘그렇게 될 것이다’라는 뜻이다.

‘ず’나 ‘む’를 붙이면 4단동사의 어미는 ア단음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書く’(書く|가쿠일본어)는 ‘書かず’(書かず|가카즈일본어) ‘書かむ’(書かむ|가카무일본어)가 된다. 여기에 기초를 두어 ‘ず’나 ‘む’가 붙을 때의 4단 동사가 아닌 다른 동사 활용이나 형용사 · 형용동사 · 조동사의 어형을 총칭한 것이 미연형이다. 미연형이 정해지고 나서, 반대로 어미와 결합할 때 あ단으로 변화하는 활용의 분류에도 사용되게 되어, 미연형에 접속하는 동사 · 조동사로 ‘る · らる’(る · らる|루·라루일본어)나 ‘す · さす’(す · さす|스·사스일본어) ‘まし’(まし|마시일본어)…가 있는 것처럼 쓰이게 되었다.

또한 현대 일본어의 문법도 이것에 맞추어 만들어져 있지만, 의지의 ‘む’가 ‘う’(う|우일본어)가 된 것이나 (추측의 ‘む’는 형용동사의 ‘だろう’(だろう|다로일본어)와 합류하여 연체형으로 활용된다.) 부정의 ‘ず’가 ‘ない’(ない|나이일본어)가 된 것으로 활용형이 달라져서, 4단동사는 ‘書こう’(書こう|가코일본어)와 같이 ア단음+う→オ단 장음으로 변화하기에, 사단동사는 オ단음도 포함하게 되어 현대어에서 오단동사로 일컬어지게 되었고,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おいしかろう일본어’(おいしかろう|오이시카로일본어) ‘靜かだろう일본어’(靜かだろう|시즈카다로일본어)와 같이 ‘かろ’(かろ|카로일본어) ‘だろ’(だろ|다로일본어)가 되었다. 또 형용사 · 형용동사에 ‘ない’가 붙으면 ‘おいしくない일본어’(おいしくない|오이시쿠나이일본어) ‘靜かではない일본어’(靜かではない|시즈카데와나이일본어)가 되지만, ‘ない’를 보조형용사로 연용형의 ‘く’(く|쿠일본어)나 ‘で’(で|데일본어)가 되기에,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 부정형은 미연형에서 제외되게 되었다.

문어구어
품사활용의 종류예시어형활용의 종류예시어형
동사4단활용書く(書く|가쿠일본어)かか(かか|가카일본어)-a5단활용書く(書く|가쿠일본어)かか(かか|가카일본어)
かこ(かこ|가코일본어)
-a
-o
라행변격활용あり(あり|아리일본어)あら(あら|아라일본어)-a
나행변격활용死ぬ(死ぬ|시누일본어)しな(しな|시나일본어)-a
하1단활용蹴る(蹴る|게루일본어)け(け|게일본어)-e
하2단활용受く(受く|우쿠일본어)うけ(うけ|우케일본어)-e하1단활용受ける(受ける|우케루일본어)うけ(うけ|우케일본어)-e
상1단활용着る(着る|기루일본어)き(き|기일본어)-i상1단활용起きる(起きる|오키루일본어)おき(おき|오키일본어)-i
상2단활용起く(起く|오쿠일본어)おき(おき|오키일본어)-i
카행변격활용來(來|고일본어)こ(こ|고일본어)-o카행변격활용來る(來る|구루일본어)こ(こ|고일본어)-o
사행변격활용す(す|스일본어)せ(せ|세일본어)-i사행변격활용する(する|스루일본어)し(し|시일본어)
せ(せ|세일본어)
さ(さ|사일본어)
-i
-e
-a
형용사ク활용なし(なし|나시일본어)なから(なから|나가라일본어)から(から|가라일본어) ない(ない|나이일본어)なかろ(なかろ|나가로일본어)かろ(かろ|가로일본어)
シク활용美し(美し|우쓰쿠시일본어)うつくしから(うつくしから|우쓰쿠시카라일본어)しから(しから|시카라일본어)
형용동사ナリ활용靜かなり(靜かなり|시즈카나리일본어)しずかなら(しずかなら|시즈카나라일본어)なら(なら|나라일본어) 靜かだ(靜かだ|시즈카다일본어)しずかだろ(しずかだろ|시즈카다로일본어)だろ(だろ|다로일본어)
タリ활용堂々たり(堂々たり|도도타리일본어)どうどうたら(どうどうたら|도도타라일본어)たら(たら|타라일본어)


3. 언어학적 분석

형태론에서 보면, 일본어 동사는 자음 어간 동사와 모음 어간 동사로 나뉜다. 4단 동사를 로마자로 분석하면, kak|anai·kak|imasu·kak|u…와 같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은 k 등 자음 부분까지이다. 이 단어의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부르고, 변화하는 부분을 어미라고 부르는데, 4단 동사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므로 자음 어간 동사이다. 라행변격활용 · 나행변격활용 동사도 자음 어간 동사이며, 특정 어미가 붙을 때 불규칙한 어형을 가질 뿐이다. 한편, 1단 동사나 2단 동사는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모음 어간 동사이다.

미연형은 두 가지 방법으로 형성된다. 하나는 자음 어간 동사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붙일 경우 자음의 연속을 피하기 위해 모음을 삽입하는 것이다. "ない(않다)", "ず(않고)", "む(하려 한다)"와 같은 어미가 붙을 때는 연결에 /a/가 삽입되어 아단 음이 된다. 다른 하나는 모음 /a/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는 경우이며, 자음 어간 동사에는 직접 붙어 아단 음이 된다. 한편, 모음 어간 동사에 붙는 경우에는 모음이 연속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r/이나 /s/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수동 등을 나타내는 -(r)are-(れる, れる)나 사역 등을 나타내는 -(s)ase-(せる, せる)가 이에 해당한다.

3. 1. 자음 어간 동사

형태론에서 일본어 동사는 자음어간동사와 모음어간동사로 나눌 수 있다. 4단동사를 로마자로 분석하면, 'kak|anai', 'kak|imasu', 'kak|u'…와 같이 변화하지 않는 부분은 'k' 등의 자음 부분까지이다. 이처럼 단어에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부르며, 변화하는 부분을 어미라고 부른다. 4단동사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기 때문에 자음어간동사이다. 라행변격활용 및 나행변격활용 동사도 이 기준에 따르면 자음어간동사이며, 특정 어미가 붙을 때 불규칙한 어형을 가질 뿐이다.

자음 어간 동사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경우, 자음의 연속을 피하기 위해 모음을 삽입한다. 예를 들어, "ない(않다)", "ず(않고)", "む(…하려고 하다)"와 같은 어미가 붙을 때, 연결을 위해 /a/가 삽입되어 아단 음이 된다.

품사활용의 종류예어어형비고
동사사단 활용書く(쓰다)かか(쓰지)-a
라행 변격 활용あり(있다)あら(있지)-a
나행 변격 활용死ぬ(죽다)しな(죽지)-a


3. 2. 모음 어간 동사

형태론에서 일본어 동사는 자음 어간 동사와 모음 어간 동사로 나뉜다. 1단 동사와 2단 동사는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모음 어간 동사이다. 예를 들어 ‘起きる|おきる|일어나다일본어’는 oki|nai, oki|masu, oki|ru, oki|reba…, ‘食べる|たべる|먹다일본어’는 tabe|nai, tabe|masu, tabe|ru, tabe|reba와 같이 e나 i까지가 어간이다.

모음 어간 동사에 모음 /a/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는 경우에는 모음이 연속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r/이나 /s/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수동 등을 나타내는 -(r)are-(れる|れる일본어)나 사역 등을 나타내는 -(s)ase-(せる|せる일본어)가 이에 해당하며, "食べる(먹다)"에서는 tabe-rare(食べられる|たべられる|먹히다일본어)와 같이 r이 삽입된다.

3. 3.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미연형

문어에서는 카리 활용이나 나리 활용이라고 하여 "~からず(않다)" "~ならず(아니다)"와 같이 되는데, 이는 어간과 부정의 어미 "ず(않다)" 사이에 -ar-(あり, 있다)가 들어가기 때문이다.[1] "あり(있다)"는 단독으로는 존재를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어미로 사용되면 지정·조정의 문법 기능을 한다.[1] 이 때문에, 그 활용은 자음 어간 동사 "あり(있다)"에 준거하여 "から(않다)"가 된다.[1] 따라서 이 어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1]

  • うつくしからず - ((utukusik〈어간〉 + ar〈어미〉)〈파생 어간〉 + (a)z〈어미〉)〈파생 어간〉 + u(어미)


현대 구어에서는 "あらず(아니다)" 대신 "ない(않다)"가 사용되면서 "うつくしくない(아름답지 않다)"와 같이 되었는데,[1] 경어에서는 "ありません(않습니다)"와 같이 "ある(있다)"가 유지되고 있으며,[1] 형용사·형용 동사의 경어형에서도 "おいしくありません(맛있지 않습니다)", "静かではありません(조용하지 않습니다)"와 같이 "ある(있다)"가 사용되고 있다.[1]

참조

[1] 서적 中等教科明治文典 https://dl.ndl.go.jp[...] 1904
[2] 웹사이트 遠藤 佳那子 (Kanako ENDO) - 活用形のなまえ―未然形― - MISC - researchmap https://researchmap.[...] 2023-10-31
[3] 서적 中等敎科明治文典 1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