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데미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데미풀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대한민국 특산 식물이다. 지리산 운봉면의 모데미 마을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 붙여졌으나, 현재 해당 마을의 위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고산 지대의 습한 계곡에서 자생하며, 5월에 흰색 꽃이 피고, 꽃자루 밑에 큰 총포가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으나 재배가 까다로우며, 전문가의 증식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이 지사부로가 명명한 분류군 -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는 옷감을 노랗게 물들이는 데 사용된 황회의 매염제에서 유래되었으며, 타원형 잎과 흰색 꽃, 남색 열매를 맺고 잼으로 만들거나 껍질을 약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 오이 지사부로가 명명한 분류군 - 애기똥풀
애기똥풀은 잎과 줄기에서 나오는 노란 즙액 때문에 이름 붙여진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유라시아 원산이며 약재로 쓰이나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만리화
만리화는 현재 주제가 특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정보 제공이나 요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미나리아재비과 - 매발톱꽃
매발톱꽃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식물로, 자갈색 꽃받침과 노란색 꽃잎, 그리고 뒤쪽으로 뻗은 자갈색의 거(距)가 있는 아래를 향한 꽃을 피우며, 애기앉은부채와 큰산매발톱꽃 등의 하위 분류군이 있다. - 미나리아재비과 - 아네모네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생 구근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이스라엘의 국화이자 팔레스타인을 상징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모데미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모데미풀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미나리아재비목 |
과 | 미나리아재비과 |
아과 | 미나리아재비아과 |
속 | 모데미풀속 |
종 | 모데미풀 |
학명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
학명 명명자 | Ohwi (1935) |
참고자료 |
2. 이름
일본 학자 오이 지사부로가 지리산 운봉면 모데미라는 마을에서 처음 발견해 모데미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현재 모데미라는 마을이 확인되지 않아 의문이 있다. 운봉금매화, 금매화아재비라고도 부른다.[3]
고산성 식물로 제주도 한라산에서 강원도 점봉산까지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다만 각 생육지는 해발 800미터 이상의 계곡 부분에 수분이 많고 비옥한 곳이라 개체 수가 많지 않다.[3]
모데미풀은 잎, 꽃, 열매로 형태를 나눌 수 있다. 잎은 근생엽이며 긴 잎자루를 가진다.[5]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다.[5] 열매는 골돌이며 암술대가 있고 털이 없다.[5]
속명 메가레란티스(''Megaleranthis'')는 ‘크다’는 뜻의 ‘megas’와 모습이 너도바람꽃속을 닮았다 하여 그 속명 에란티스(''Eranthis'')가 합쳐진 말이다.[4]
3. 분포
4. 형태
4. 1. 잎
잎은 뿌리에서 바로 나오는 근생엽이며, 긴 잎자루 끝에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각 조각은 잎자루가 짧고 다시 2~3개로 깊게 갈라진 다음 톱니가 생기거나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없고 톱니 끝이 뾰족하다.[5]
4. 2. 꽃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2cm 정도로 백색이고 꽃턱잎은 잎과 같으며 크기도 비슷하다. 식물 중앙부에서 1개의 꽃줄기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꽃턱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며, 자방과 수술은 많고 떨어진다.[5] 꽃이 달리는 자루 밑에 결각이 많은 1개의 큰 총포(비늘 조각처럼 생긴 꽃턱잎으로 여러 장이 모여 꽃차례를 받친다)가 달릴 뿐 다른 잎이 없다는 것이 모데미풀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4]
4. 3. 열매
열매는 골돌로 길이 12mm이며, 길이 3mm 정도의 암술대가 있고 털이 없으며 방사상으로 배열된다.[5] 열매가 익어 솔기가 벌어지면 작고 검은 씨앗들이 드러난다.[6]
5. 생태
모데미풀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고산성 식물로 제주도 한라산에서 강원도 점봉산까지 비교적 넓게 분포하지만, 해발 800미터 이상의 계곡 부분에 수분이 많고 비옥한 곳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개체 수가 많지 않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잎은 5~7개이고, 꽃받침은 5개이다. 열매는 골돌과로 7월에 익는다.
5. 1. 생육 환경
고산성 식물로 제주도 한라산에서 강원도 점봉산까지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다만 각 생육지는 해발 800미터 이상의 계곡 부분에 수분이 많고 비옥한 곳이라 개체 수가 많지 않다.[3]5. 2. 번식
모데미풀은 자생지에서 점점 그 수가 줄어드는 야생화이므로, 전문가들이 증식에 힘써 일반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름 더위에 약하고 수분 조건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바람이 잘 통하고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에 심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7]6. 쓰임새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다.[3] 그렇지만 재배 방법이 까다로워 키우려다 죽는 경우가 많다. 고산 지대의 녹화용 지피식물로 적합하다.[4]
7. 재배 및 관리
모데미풀은 자생지에서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야생화이므로, 전문가들이 증식에 힘써 일반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름 더위에 약하고 수분 조건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이 잘 통하고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에 심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7]
참조
[1]
웹인용
산에산나물
http://www.sannamul.[...]
2019-03-18
[2]
뉴스
홈 뉴스 사회 경북·대구·울산 경북 영주 소백산국립공원 깃대종 참갈겨니서 여우로 변경
http://www.kyongbuk.[...]
2015-07-13
[3]
웹인용
2010.04<이 달의 생물> 모데미풀
http://www.nature.go[...]
산림청
2015-12-06
[4]
서적
한국의 야생화
다른세상
2003-01-22
[5]
서적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0-01-05
[6]
서적
모둠모둠 산꽃도감
자연과 생태
2015-12-07
[7]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