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슬포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슬포항은 "모래가 있는 항구"를 뜻하는 '모살개'에서 유래된 이름의 항구이다. 1980년 수리모형실험을 시작으로 시설 계획을 수립하고 완공했으며, 2011년 여객선 대합실을 완공했다. 북항과 남항으로 나뉘는 어항구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의 육역을 포함한다. 주변에는 용머리 해안, 송악산, 하멜기념비, 마라도 등 관광 시설이 있으며, 축제도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귀포시의 어항 - 신천항
    신천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에 있는 어항으로, 조선 시대부터 마을이 형성되어 방파제, 물양장 등의 어항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귀포시의 어항 - 위미항
    위미항은 1989년 기본 조사 및 계획 수립 후 1996년 정비 계획에 착수하여 조성된 어항으로, 어항구역은 동방파제 기부 시점에서 서측 돌출부 측으로 연결한 선상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400m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과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1757-12 외 5필지의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모슬포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모슬포항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유형국가어항
지정일1971년 12월 21일
관리청해양수산부 제주특별자치도
시설 관리자서귀포시장

2. 명칭 유래

모슬포항의 이름은 "모래가 있는 항구"를 의미하는 한국어 '모살개'에서 유래되었다.[1][2] 모슬포항이 위치한 대정읍은 옛날 당(堂)이 있어 무당은 물론 마을 사람들이 찾아와 빌었다는 데서 '당발'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당전동'이라 부른다.

3. 어항 연혁

일제 강점기인 1918년에는 일본 오사카와의 해상 교통로가 개설되기도 했다. 1971년 당시 어항 분류에 따라 1종 어항으로 지정되었다.[1] 이후 어항 개발이 진행되어 1980년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1987년 기본시설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1991년 기본시설을 완공하였다. 1998년에는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2011년 4월 25일 제주특별자치도마라도가파도를 찾는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모슬포항 남항에 지상 2층, 전체면적 668m2 규모의 현대식 여객선 대합실을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8]

현재 모슬포항은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1]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와의 해상 교통로를 유지하고 있다.[1][5]

4. 어항 구역

모슬포항의 어항구역은 수역[9]과 육역[10]으로 구분된다.

4. 1. 수역

모슬포항의 어항구역 중 수역은 다음과 같다.[9]

  • '''북항''': 동방파제 기부에서 정남 방향으로 300m 떨어진 해상 지점에서 시작하여, 이 지점에서 직각으로 우측은 육지와 연결하고 좌측은 600m 떨어진 해상 지점까지 이어진다. 이 좌측 끝 지점에서 정북으로 육지와 연결하는 선내의 공유수면이다.
  • '''남항''': 서방파제 기점에서 정북으로 해안을 따라 160m 지점에서 시작하여, 이 지점으로부터 정남으로 600m 떨어진 해상 지점까지 이어진다. 이 남쪽 끝 지점에서 직각으로 정동으로 460m 떨어진 해상 지점까지 연결하고, 이 동쪽 끝 지점에서 정북으로 육지와 만나는 점을 연결하는 선내의 공유수면이다.

4. 2. 육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1089-34 외 8필지이다.[10]

5. 주변 시설 및 관광

모슬포항 주변 해역은 예로부터 좋은 어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방어가 유명하다.[1][2] 이 때문에 항구 주변에는 해산물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3] 매년 11월 말에는 방어를 주제로 한 축제가 열려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2][4][3]

모슬포항은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로 가는 배편이 운항되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1][5]

항구 인근에는 하모해변[6], 모슬포중앙시장[7] 등 편의시설과 함께 용머리 해안, 송악산, 하멜 기념비, 마라도와 같은 유명 관광지가 자리하고 있다.

5. 1. 주요 시설

인근에는 하모해변이 있으며, 이 해변을 모슬포해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6] 또한 모슬포중앙시장도 근처에 있다.[7]

5. 2. 주변 관광지


  • 용머리 해안: 지역의 지형이 마치 용이 머리를 틀고 바다로 뛰어들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듯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사암층으로 이루어진 해안이다.
  • 송악산: 다른 화산들과는 달리 여러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모양새가 특징이다. 정상에 오르면 최남단의 마라도, 형제섬, 한라산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
  • 하멜기념비: 조선을 서양에 최초로 알린 헨드릭 하멜의 공적을 기리고 네덜란드한국 간의 우호 증진을 기념하기 위해 제주도 해변 언덕에 세워졌다.
  • 마라도: 대한민국 최남단에 있는 섬이다. 해안은 오랜 해풍의 영향으로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섬의 가장 높은 곳에는 등대가 있다.

6. 축제

모슬포항 주변 해역은 예로부터 좋은 어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방어가 유명하다.[1][2] 이를 바탕으로 매년 11월 말에는 방어를 주제로 한 축제가 열린다.[2][4][3]

참조

[1] 웹사이트 모슬포항 https://www.visitjej[...] 2023-12-11
[2] 웹사이트 방어의 계절이 돌아왔다…24∼26일 제주 모슬포서 방어축제 https://www.hani.co.[...] 2023-12-11
[3] 웹사이트 [WEEKEND GETAWAY] Take a winter break on scenic Jeju Island https://koreajoongan[...] 2023-12-11
[4] 웹사이트 ‘청정 제주 바다의 흥과 멋, 맛의 향연!’ 제23회 최남단 방어 축제 http://www.jejusori.[...] 2023-12-11
[5] 웹사이트 Gapado Island (가파도) https://english.visi[...] 2023-12-11
[6] 웹사이트 Hamo Beach (하모해변) https://english.visi[...] 2023-12-11
[7] 웹사이트 Moseulpo Jungang Market https://www.visitjej[...] 2023-12-11
[8] 뉴스 모슬포항 어촌어항복합공간으로 탈바꿈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1-05-14
[9]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10]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