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탁가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탁가오리는 몸길이 최대 68cm, 몸무게 200~500g의 가오리류로, 서태평양 해역의 모래 해저에 서식한다. 작은 물고기, 갑각류를 먹으며 야행성을 띤다.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서 발견되며, 자망과 트롤 어업에 의해 혼획되기도 한다. 살은 식용으로 이용되나, 어업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에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가오리목 - 매가오리아목
매가오리아목은 전기 가오리로부터 분화되어 백악기에 다양한 과로 나뉘었으며, 배쪽 입, 경설골형 턱 지지 방식, 변형된 판비늘 이빨, 분수공 호흡 등의 특징을 갖고, 식용, 공예 재료, 수족관 전시 등으로 사용된다. - 매가오리목 - 리놉테라속
리놉테라속은 열대 및 온대 해역 대륙붕에 서식하며 튼튼한 턱과 이빨로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매가오리과의 유일한 속 분류군으로, 꼬리에 독침을 가지고 있으며 집단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고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 IUCN 적색 목록 취약종 - 이낵세시블뜸부기
이나크세시블뜸부기는 남대서양 이나크세시블섬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날지 못하는 새로, 잡식성이고 10월에서 1월 사이에 번식하며 제한된 서식지와 침입종에 취약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IUCN 적색 목록 취약종 - 쿼카
쿼카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라는 별명을 가진 캥거루과 동물로, 서호주 남서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웃는 모습의 사진들이 인기를 얻어 '쿼카 셀카'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목탁가오리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latyrhina sinensis |
이명 | Platyrhina limboonkengi Tang, 1933 Rhina sinensis Bloch & J. G. Schneider, 1801 |
몸길이 | 30–50 cm |
무게 | 200–500 g |
서식 깊이 | 100 m |
멸종 위기 정보 | |
IUCN Red List | EN - 멸종 위기 |
IUCN 참고 | Rigby, C.L., Chen, X., Ebert, D.A., Herman, K., Ho, H., Hsu, H. & Zhang, J. 2021. Platyrhina sinens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169236406A124511558. |
2. 형태
목탁가오리는 알려진 최대 길이가 68cm이지만,[5] 대부분 30cm~50cm 길이이며, 몸무게는 200g~500g이다. 몸은 평평한 편이며 부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콧구멍이 넓고 눈은 작으며 코가 짧다. 입은 가로로 갈라져 있다. 몸의 윗면은 갈색, 아랫면은 흰색이며, 몸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다. 몸 윗면에는 여러 개의 작은 이빨과 가시 모양의 비늘이 있다.
목탁가오리는 작은 물고기와 갑각류, 특히 새우와 곤쟁이를 먹는다.[6] 먹이를 잡기 위해 보통 해저에 머물다가 기회가 있을 때 먹이를 잡는다. 이 종은 야행성이다. 난생을 하며 4월 또는 5월에 짝짓기를 한다. 꼬리를 앞뒤로 움직여 이동하기 때문에 느리게 헤엄친다.
목탁가오리는 수심 100m까지의 서태평양 해역, 일반적으로 해저가 모래인 연안 지역(30m~40m)에서 서식한다. 특히 중국, 일본, 대만, 대한민국, 베트남 해안에서 발견되며, 인도네시아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이 종은 규슈 아리아케 만에서 가장 흔한 판새류 종이며,[4] 황해와 보하이해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목탁가오리는 자망과 트롤 어업에서 혼획으로 잡히며, 때로는 버려지기도 하지만 식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1] 정확한 개체수 또는 개체수 추세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동중국해의 개체수는 트롤 어업으로 인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얕은 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어업에 쉽게 잡히는 경향이 있다. 이 종은 서식 범위 북부의 여러 국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현재 이 종을 위한 보존 조치나 제한은 시행되지 않고 있다. 개체수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은 이 종을 멸종 위기 종으로 등재하고 있다.[1]
[1]
간행물
Platyrhina sinensis
2021
3. 생태
수컷의 수명은 5년이며, 2~4년 사이에 성숙하고, 암컷의 수명은 12년이며, 3~5년 사이에 성숙한다. 암수 모두 몸길이 35cm에서 40cm 사이일 때 성숙하며,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큰 크기에서 성숙한다.[1] 아리아케 만에서 2002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개체의 나이, 성장, 성적 성숙도를 조사한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느리게 성장하지만 성체로서 더 큰 몸길이에 도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다른 관련 종에 비해 목탁가오리는 빨리 성장하고 성숙하며 짧은 기간 동안 산다는 것을 확인했다.[3]
4. 서식지 및 분포
5. 보존 상태
참조
[2]
서적
FAO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
논문
Age, growth and age at sexual maturity of fan ray Platyrhina sinensis (Batoidea: Platyrhinidae) in Ariake Bay, Japan
2008-08
[4]
논문
A review of the genus Platyrhina (Chondrichthys: Platyrhinidae) from the northwestern Pacific,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https://www.research[...]
2011-01
[5]
서적
FAO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6]
간행물
Platyrhina sinensi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