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새류(Elasmobranchii)는 상어와 가오리를 포함하는 연골어류의 아강으로, 대부분 연골로 된 골격과 방패 비늘을 가지며, 5~7쌍의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부레가 없어 간에 지방을 저장하여 부력을 유지한다. 턱은 다양한 형태로 발달했으며, 수컷은 체내 수정을 위한 교미기를 갖는다. 판새류는 데본기 중기에 진화했으며, 석탄기에는 대형 상어류가 존재했다. 신판새류는 트라이아스기에 등장하여 쥐라기부터 다양화되었으며, 가오리는 상어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단계통 분류군이다. 판새류는 상어상목과 가오리상목으로 나뉘며, 일부 종은 식용, 간유, 가죽 등으로 이용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골어류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연골어류 - 전두어류
    전두류는 연골어류에 속하며 고생대 상어의 특징을 지니고 바닥 근처에 서식하는 어류 분류군으로, 1쌍의 아가미틈과 아가미덮개를 가지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현재는 은상어목만 현존한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시클리드
    시클리드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독특한 번식 전략과 종 분화 연구 모델로서 식용, 관상용, 낚시 대상 어종으로 가치가 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판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Elasmobranchii
명명자Bonaparte, 1838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연골어강
아강판새아강
로마자 표기Elasmobranchii
IPA (영어)/ɪˌlæzməˈbræŋki.aɪ/
어원 (그리스어)elasmo- (판), bránchia (아가미)
생물학적 특징
화석 범위지베트절-현세
부레 유무없음
부력 유지 방법간에 저장된 기름
하위 그룹
하위 분류군본문 참조
이미지 정보
"백상아리 (Carcharodon carcharias)"
"백상아리 Carcharodon carcharias"
"루리호시가오리 Taeniura lymma"
"돌묵상어"
어업 및 보존
주요 어획 대상심해 상어 (간유)
어획 대상 종곱상어
은상어
돌묵상어
IUCN 평가취약
상업적 어업 취약성생활사 특성상 과도한 어획에 매우 취약함.
참고 자료
참고상어 간유 제품
참고Elasmobranchii (elasmobranch)
참고What is an 'elasmobranch'? The impact of palaeontology in understanding elasmobranch phylogeny and evolution

2. 특징

판새류는 대부분 뼈대가 연골로 이루어진 연골어류이다. 피부는 방패 비늘(placoid scale)이라고 불리는 작은 유상린으로 덮여 있다. 부레가 없는 대신, 기름이 가득 찬 큰 간을 이용하여 부력을 유지하며,[10] 간에 저장된 기름은 먹이가 부족할 때 영양원으로도 사용된다.[11][12]

판새류는 5~7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전두어류는 1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진다. 수컷은 배지느러미 안쪽에 홈이 파인 교미기(clasper)를 가지고 있어 체내 수정을 한다.[9]

판새류의 턱은 양측형(amphistyly), 안와형(orbitostyly), 설골형(hyostyly), 진성설골형(euhyostyly) 등 다양한 형태로 발달했다.

턱의 형태설명
양측형(amphistyly)상악골(palatoquadrate)이 후안와(postorbital) 부위에서 연골두개(chondrocranium)와 관절을 이루며, 주로 인대에 의해 앞쪽으로 지지된다. 설골(hyoid)은 뒤쪽으로 하악궁(mandibular arch)과 관절을 이루지만, 위턱과 아래턱을 거의 지지하지 않는다.
안와형(orbitostyly)안와돌기(orbital process)가 안와벽(orbital wall)과 경첩으로 연결되고, 설골(hyoid)이 대부분의 지지 기능을 담당한다.
설골형(hyostyly)위턱과 두개골 사이에 사골(ethmoid) 관절이 있고, 설골(hyoid)이 앞쪽 인대에 비해 턱을 훨씬 더 많이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진성설골형(euhyostyly)하악 연골이 두개골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대신, 설골(hyomandibular) 연골이 턱을 지지하는 유일한 수단이며, 각하골(ceratohyal)과 설골저(basihyal) 요소는 아래턱과 관절을 이루지만, 설골의 나머지 부분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6][7][8]



눈에는 반사판(タペータム)이 있다. 이들은 열대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9]

3. 진화

가장 오래된 명확한 전반군 상어류인 포에보두스는 중기 데본기(후기 기베티안절) 약 3억 8300만 년 전에 처음 등장했다.[13] 크테나칸티목과 히보돈티목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전반군 상어류 그룹은 이미 데본기 후기(파메니안절)까지 등장했다.[14] 석탄기 동안 일부 크테나칸티들은 현대의 대백상어에 필적하는 크기로 자라, 몸길이가 약 7m에 달했다.[15] 석탄기와 페름기 동안 크세나칸티류는 담수와 해양 환경 모두에서 풍부했으며, 다양성이 감소한 채 트라이아스기까지 생존했다.[16] 히보돈티류는 페름기까지 높은 다양성을 달성했으며,[17] 트라이아스기와 초기 쥐라기 동안 상어류의 주요 그룹이 되었다. 히보돈티류는 해양과 담수 환경 모두에서 널리 분포했다.[18] 신상어류/상어류 ''sensu stricto''(현대 상어와 가오리 그룹)는 이미 트라이아스기에 등장했지만, 이 기간 동안 다양성이 낮았으며, 현대 상어와 가오리의 목이 나타나는 초기 쥐라기부터 본격적으로 다양화되기 시작했다.[19] 이는 히보돈티류의 쇠퇴와 일치하는데, 히보돈티류는 후기 쥐라기까지 해양 환경에서 중요하지 않은 구성 요소가 되었지만, 백악기까지 담수 환경에서는 흔하게 남아 있었다.[20] 가장 최근의 히보돈티류 화석은 백악기의 바로 끝 부분에서 발견된다.[21]

4. 분류

클라도셀라케목(Cladoselachiformes)과 제나칸투스목(Xenacanthiformes)은 멸종된 목이다. 현생 판새류는 크게 상어상목(Selachimorpha)과 가오리상목(Batoidea)으로 나뉜다.



최근 분자 연구에 따르면 가오리류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상어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다. 대신 가오리스케이트상어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판새류 내의 단계통 상목이다.[29][30]

4. 1. 판새아강 (Elasmobranchii)

판새아강(Elasmobranchii)은 상어가오리를 포함하는 가장 큰 연골어류 분류군이다. 이들은 대부분 5~7쌍의 아가미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판새류는 부레가 없어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름으로 가득 찬 큰 을 이용한다.[10] 저장된 기름은 먹이가 부족할 때 영양원으로도 기능한다.[11][12]

판새류는 1838년 샤를 루시앵 보나파르트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초기에는 연골어강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은상어가 제외되고 다양한 화석 연골어류가 포함되면서 혼란이 있었다. 최근에는 현생 상어와 가오리의 공통 조상만을 포함하는 좁은 의미(신판새류)로 사용되거나, 은상어를 제외한 모든 연골어류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5]

판새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판새아강(Elasmobranchii)



현생 판새류는 턱 지지 구조에 따라 양측형(amphistyly), 안와형(orbitostyly), 설골형(hyostyly), 진성설골형(euhyostyly)으로 구분된다.[6][7][8]


  • 양측형(amphistyly): 상악골이 후안와 부위에서 연골두개와 관절을 이루며, 주로 인대에 의해 앞쪽으로 지지된다. 설골은 하악궁과 관절을 이루지만, 위턱과 아래턱을 거의 지지하지 않는다.
  • 안와형(orbitostyly): 안와돌기가 안와벽과 경첩으로 연결되고, 설골이 대부분의 지지 기능을 담당한다.
  • 설골형(hyostyly): 위턱과 두개골 사이에 사골 관절이 있고, 설골이 앞쪽 인대에 비해 턱을 훨씬 더 많이 지지한다.
  • 진성설골형(euhyostyly): 하악 연골이 두개골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설골 연골이 턱을 지지하는 유일한 수단이며, 각하골과 설골저 요소는 아래턱과 관절을 이루지만, 설골의 나머지 부분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판새류는 열대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9], 눈에는 반사판이 있다. 수컷은 골반지느러미 안쪽에 홈이 파인 교미기를 가지고 있어 정자를 전달한다.

4. 1. 1. 상어상목 (Selachimorpha)

상어상목(Selachimorpha)은 유선형 몸을 가지고 있어 헤엄에 능숙하다. 턱과 이빨 형태는 먹이에 따라 다양하게 진화했다.

상어상목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상어상목(Selachimorpha)



최근 분자생물학 연구에 따르면, 가오리류는 상어류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판새아강 내에서 상어류와 공통 조상을 가지는 별개의 단계통군으로 밝혀졌다.[57][58]

4. 1. 2. 가오리상목 (Batoidea)

가오리상목(Batoidea)은 몸이 납작하고 가슴지느러미가 크게 발달한 연골어류이다. 주로 바닥에서 생활하며, 일부 종은 전기를 생산한다.[57][58] 가오리상목은 판새아강 내의 단계통 분류군이며, 상어류와 공통 조상을 가진다.

가오리상목에는 다음 목들이 포함된다.

4. 2. 전두아강 (Holocephali)

전두아강은 은상어목이 속하는 작은 분류군이다. 전두어류는 1쌍의 아가미를 가지며, 여러 쌍의 아가미를 가진 판새류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4. 2. 1. 목

5. 인간과의 관계

일부 종은 간유나 가죽 등을 얻기 위해 어획된다. 긴꼬리조개상어, 톱상어, 고래상어 등이 그 대상이다.[41] 심해 상어들도 어업의 대상이 되며, 멸종위기종 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평가되는 종도 있다. 연골어류의 생활사는 어업의 영향을 받기 쉬운데, 바다거북수염고래도 마찬가지이다.[39]

참조

[1] 간행물 Shark liver oil products http://www.fao.org/d[...] FAO 2002
[2] IUCN Cetorhinus maximus 2005
[3] IUCN Galeorhinus galeus 2021-11-11
[4] IUCN Centrophorus granulosus 2021-11-11
[5] 논문 What is an 'elasmobranch'? The impact of palaeontology in understanding elasmobranch phylogeny and evolution https://onlinelibrar[...] 2012-04
[6] 논문 Morphology and evolution of the jaw suspension in lamniform sharks 2005
[7] 논문 Evolution and ecology of feeding in elasmobranchs 2007
[8] 논문 Evolutionary divergence in the feeding mechanism of fishes https://geojournals.[...] 2017-05-24
[9] 서적 Fish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Sears Foundation for Marine Research, Yale University
[10] 간행물 A review of selecte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unique to elasmobranchs http://spo.nwr.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1990
[11] 간행물 Life-history patterns in the elasmobranchs: implications for fisheries management http://spo.nwr.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1990
[12] 논문 The density of elasmobranchs 2009
[13] 논문 The early elasmobranch Phoebodus :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morphology and a new time-scale for shark evolution 2019-10-09
[14] 서적 Devonian fish from Colorado’s Dyer Formation and the appearance of Carboniferous faunas in the Famennian Verlag Dr. Friedrich Pfeil 2021
[15] 논문 A Pennsylvanian 'supershark' from Texas https://www.tandfonl[...] 2017-05-04
[16] 논문 The first Western Gondwanan species of Triodus Jordan 1849: A new X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from the late Paleozoic of Southern Brazil https://linkinghub.e[...] 2017-12
[17] 논문 A new diverse shark fauna from the Wordian (Middle Permian) Khuff Formation in the interior Haushi-Huqf area, Sultanate of Oman https://onlinelibrar[...] 2013-03
[18] 논문 Hybodont sharks of the English Bathonian and Callovian (Middle Jurassic) 2008
[19] 논문 Diversification of the Neoselachii (Chondrichthyes) during the Jurassic and Cretaceous http://www.bioone.or[...] 2006-03
[20] 논문 Hybodont Sharks of the English Bathonian and Callovian (Middle Jurassic) 2008-01
[21] 논문 First record of a hybodont shark (Chondrichthyes: Hybodontiforme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olombia https://www.tandfonl[...] 2016-01-01
[22] 논문 The braincase of the Middle Triassic shark Acronemus tuberculatus (Bassani, 1886) https://onlinelibrar[...] 2011-03
[23] 논문 The neurocranium of the Lower Carboniferous shark Tristychius arcuatus (Agassiz, ) https://www.cambridg[...] 2017-03
[24] 논문 A Synoptic Review of th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olocephali, Elasmobranchii) from the Upper Jurassic Konservat-Lagerstätten of Southern Germany: Taxonomy, Diversity, and Faunal Relationships 2023-03-08
[25] 논문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the systematic reassessment of Xenacanthiformes and 'Ct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neurocrania from the Carboniferous–Permian Autun Basin (France) https://www.tandfonl[...] 2021-12-02
[26]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te gu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2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Echinorhiniformes https://www.marinesp[...] 2022-01-04
[28]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29] 논문 Phylogeny of elasmobranchs based on LSU and SSU ribosomal RNA genes 2004
[30]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refuting the hypothesis of Batoidea (rays and skates) as derived sharks 2003
[31] 웹사이트 Elasmobranchii (elasmobranch) https://paleobiodb.o[...] 2024-06-18
[32] 서적 小学館の図鑑Z 日本魚類館 2018
[33] 논문 What is an 'elasmobranch'? The impact of palaeontology in understanding elasmobranch phylogeny and evolution https://onlinelibrar[...] 2012-04
[34] 논문 Morphology and evolution of the jaw suspension in lamniform sharks 2005
[35] 논문 Evolution and ecology of feeding in elasmobranchs 2007
[36] 논문 Evolutionary divergence in the feeding mechanism of fishes https://geojournals.[...] 2017-05-24
[37] 서적 Fish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Sears Foundation for Marine Research, Yale University
[38] 간행물 A review of selecte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unique to elasmobranchs http://spo.nwr.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technical report NMFS 90
[39] 간행물 Life-history patterns in the elasmobranchs: implications for fisheries management http://spo.nwr.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technical report NMFS 90
[40] 논문 The density of elasmobranchs
[41] 간행물 Shark liver oil products http://www.fao.org/d[...] FAO, Rome
[42] 논문 The early elasmobranch Phoebodus :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morphology and a new time-scale for shark evolution 2019-10-09
[43] 서적 Devonian fish from Colorado’s Dyer Formation and the appearance of Carboniferous faunas in the Famennian Verlag Dr. Friedrich Pfeil
[44] 논문 A Pennsylvanian 'supershark' from Texas https://www.tandfonl[...] 2017-05-04
[45] 논문 The first Western Gondwanan species of Triodus Jordan 1849: A new X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from the late Paleozoic of Southern Brazil https://linkinghub.e[...] 2017-12
[46] 논문 A new diverse shark fauna from the Wordian (Middle Permian) Khuff Formation in the interior Haushi-Huqf area, Sultanate of Oman https://onlinelibrar[...] 2013-03
[47] 논문 Hybodont sharks of the English Bathonian and Callovian (Middle Jurassic)
[48] 논문 Diversification of the Neoselachii (Chondrichthyes) during the Jurassic and Cretaceous http://www.bioone.or[...] 2006-03
[49] 논문 Hybodont Sharks of the English Bathonian and Callovian (Middle Jurassic) 2008-01
[50] 논문 First record of a hybodont shark (Chondrichthyes: Hybodontiforme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olombia https://www.tandfonl[...] 2016-01-01
[51] 논문 The braincase of the Middle Triassic shark Acronemus tuberculatus (Bassani, 1886) https://onlinelibrar[...] 2011-03
[52] 논문 The neurocranium of the Lower Carboniferous shark Tristychius arcuatus (Agassiz, ) https://www.cambridg[...] 2017-03
[53] 논문 A Synoptic Review of th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olocephali, Elasmobranchii) from the Upper Jurassic Konservat-Lagerstätten of Southern Germany: Taxonomy, Diversity, and Faunal Relationships 2023-03-08
[54] 논문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the systematic reassessment of Xenacanthiformes and 'Ct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neurocrania from the Carboniferous–Permian Autun Basin (France) https://www.tandfonl[...] 2021-12-02
[55]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te gu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56]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Echinorhiniformes https://www.marinesp[...] 2022-01-04
[57] 논문 Phylogeny of elasmobranchs based on LSU and SSU ribosomal RNA genes
[58]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refuting the hypothesis of Batoidea (rays and skates) as derived shar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