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용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용총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안시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으로, 광개토왕릉비에서 남서쪽으로 약 3km 거리에 있다. 무덤 내부에는 다양한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특히 14명의 남녀가 춤추는 모습을 그린 무용도가 유명하며, 이 그림에서 무용총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외에도 수렵도, 우차도 등 고구려인의 생활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벽화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랑이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티푸의 호랑이
    티푸의 호랑이는 1795년 티푸 술탄을 위해 제작된 자동 장치로, 호랑이가 유럽인을 공격하는 모습을 나무로 조각하고 내부 오르간을 통해 소리를 내도록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사슴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은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1503년에서 1504년 사이에 제작한 3폭 제단화로, 에덴 동산, 쾌락을 추구하는 인물들, 지옥을 묘사하며 욕망에 대한 경고 등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 사슴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헤엄치는 순록
    헤엄치는 순록은 1866년 프랑스에서 발견된 후기 빙하기 예술 작품으로, 멸종된 순록의 상아로 암컷과 수컷이 헤엄치는 모습을 묘사하며,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마들렌 문화 시기의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는다.
  • 고구려의 회화 - 강서대묘
    강서대묘는 널방에 사신도 등 벽화가 그려진 원형 분구 형태의 고구려 고분으로, 화강암 널방과 모줄임천장 구조, 철선묘법의 사신도 벽화가 특징이며 7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 고구려의 회화 - 쌍영총
    쌍영총은 복잡한 구조와 서역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은 팔각 석주, 그리고 고구려 회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거마행렬도와 공양도 벽화가 있던 고구려 시대의 석실분이다.
무용총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종류고구려 벽화 무덤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남포특별시 강서구역
시대고구려
제작 시기5세기 말 ~ 6세기 초
특징고구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
그림 소재생활 풍속
사신도
사신도사신도 (동, 서, 남, 북)
벽화 내용수렵도, 무용도, 씨름도, 행렬도,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
참고 자료한국미술사
고분벽화
관련 문화재강서삼묘
세계유산 등재 여부고구려 고분군의 일부

2. 위치

광개토왕릉비 남서쪽으로 약 3km 거리에 길림성 집안시가 있고, 북쪽 500m 거리에 집안 통화간 철도가 있다. 근처에는 각저총[3], 산연화총, 삼실총, 통구사신총, 오회분 등 우산하 고분군[4]을 비롯한 다른 고분들도 위치해 있다.

3. 벽화

무덤의 현실(玄室) 우측 벽 위에는 14명의 남녀가 춤을 추는 무용도가 그려져 있다. 좌우 벽면에는 수렵도, 우차도, 공양도(供養圖) 등이 그려져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특히 수렵 생활에 익숙했던 고구려인의 생활과 유목민족적인 감각을 엿볼 수 있다.[5][6]

3. 1. 주벽 벽화 접객도

무용총의 현실(玄室) 정면 주벽에는 무덤 주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장막을 걷어 올린 방에서 삭발한 승려 두 명과 마주하고 있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이 인물 옆에는 시동(侍童)이 한쪽 발을 구부리고 시중드는 모습이 훨씬 작은 비율로 그려져 있다.[7]

이 그림은 매우 활달한 필치로 사실적으로 그려졌으나, 식탁과 그 위에 놓인 음식물들이 수평으로 그려져 있고 서로 앞뒤로 겹치지 않은 채 공간에 흩어져 있어 화면의 깊이감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창방(昌枋) 위 네 곳에 그려진 우산 모양의 초화문(草花紋)은 육조시대 불상의 광배(光背)를 무늬화한 것이며, 천장의 연화문(蓮花紋)과 함께 짙은 불교적 색채를 띠어 현실의 분위기를 비현실적이고 어둡게 만든다.[7]

3. 2. 수렵도

무용총의 현실 서쪽 벽에 있는 벽화이다. 무용총에 있는 벽화 가운데서 가장 회화적인 효과가 뚜렷한 장면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고구려 무사들의 사냥 광경을 아무 기교없이 표현했다. 도안화한 산맥으로 윗부분의 사슴 사냥 장면과 아래 부분의 호랑이 사냥 장면을 분리시키는 계선(界線)의 효과를 냈고, 그 아래에 계속하여 우측으로 사슴 사냥 그림이 이어져 있다.[8]

무용총 수렵도


맨 윗부분에는 달아나는 두 마리 사슴을 반대 방향으로 달리며 돌아서서 활을 쏘는 모습이 묘사되어 화면의 단조로움을 깨고 있으며, 말과 함께 달리는 두 마리 개의 순간적인 동작이나 전체 동물의 움직임도 잘 파악되어 있다. 산개한 마상(馬上) 인물의 상위에 하늘을 표시하는 새 모양의 무늬가 상징적으로 그려져 있다. 유목민의 취향을 보이는 역동적인 벽화이면서 환상적인 면이 많이 강조된다.[8]

3. 3. 우차도

우차도(牛車圖)는 수렵도와 함께 무덤 현실 서쪽 벽에 있는 벽화의 일부이나, 수렵도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독자적인 그림이다. 수렵도와 우차도 사이에는 한대(漢代)의 화상석(畵像石)에서 볼 수 있는 연리수(連理樹)라는 환상적인 형태의 나무 모양이 그려져 있어 양쪽 면을 절단하는 효과를 갖는데, 화면의 여백을 메우기 위해 넣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9] 아래 위에 각 한 대씩의 포장마차가 그려져 있으며, 수레의 앞면은 붉은색으로 윤곽을 둘렀고, 온화한 풍모의 붉은 옷을 입은 마부가 소 옆에 채찍을 들고 서 있다. 수렵도의 동적인 화면과 대조적으로 정적이며 평온하고 한가한 분위기가 감도는 그림이다. 서 있는 소의 사지(四肢)는 복잡함을 피해 단순화했는데, 전체적으로 간결한 표현을 보인다. 서로 연관 지을 수 없는, 주제를 달리한 두 개의 그림을 같은 벽면에 그리는 것은 고구려 벽화 미술의 한 가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9]

3. 4. 무용도

무용총 현실(玄室) 우측 벽 위에는 14명의 남녀가 춤을 추는 무용도(舞踊圖)가 있다. 무용도와 함께 좌우 벽면에는 사냥, 우마차, 공양도(供養圖), 주실(主室), 주인(主人), 시녀(侍女), 기마(騎馬), 무인(武人), 종자(從者), 궁시(弓矢), 패도(佩刀), 안구(鞍具)[5], 식기, 식탁, 씨름 등이 그려져 있어 당시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유목민족적인 감각이 넘친다. 특히 수렵 생활에 익숙했던 고구려인의 한 측면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6]

무용총 현실의 동측 벽에 있는 이 벽화는 남녀 14명이 춤추는 장면이 그려져 있어 무용총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춤추는 인물의 동작은 매우 부자연스럽고 일반적인 고구려의 벽화와 마찬가지로 평면적인 표현이다. 이 그림은 당시의 복식(服飾)을 고증할 수 있는 풍속화이다.[10]

참조

[1] 뉴스 저 옛날 ‘흉노족’은 우리 민족의 한 갈래였다! http://breaknews.com[...] 브레이크 뉴스 2008-12-11
[2] 논문 고구려 무용총 편년의 재검토 2009-07
[3] 문서
[4] 논문 고구려 무용총 편년의 재검토 2009-07
[5] 문서
[6] 백과사전 무용총 글로벌 세계 대백과
[7] 글로벌세계대백과2 무용총 주벽 벽화 접객도 http://donation.enc.[...]
[8] 글로벌세계대백과2 무용총 수렵도 http://donation.enc.[...]
[9] 글로벌세계대백과2 무용총 주벽 벽화 접객도 http://donation.enc.[...]
[10] 글로벌세계대백과2 무용총 주벽 벽화 접객도 http://donation.e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