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타부라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타부라사우루스는 약 8m 길이, 2.8톤 무게로 추정되는 중형 조각류 공룡으로, 1963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주 무타부라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 공룡은 1981년 발견자를 기려 종명 'langdoni'로 명명되었으며, 턱에는 잘게 자르는 데 적합한 이빨이 빽빽하게 채워져 있다. 무타부라사우루스는 처음에는 이구아노돈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캄토사우루스과, 드리오사우루스과 또는 힙실로포돈과와 같은 기저적인 유조각류로 분류되기도 하며, 랍도돈모르파 또는 엘라스마리아에 속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얕은 바다의 해성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남부는 남극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악기 전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룡 - 민미
민미는 호주에서 발견된 백악기 초식성 갑옷 공룡으로, 척추를 따라 뼈 판을 가지고 있었으며, 쿤바라사우루스로 분류되기도 하였고, 유리포다 또는 안킬로사우루스류로 분류되기도 한다. - 백악기 전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룡 - 라엘리나사우라
라엘리나사우라는 백악기에 살았던 멸종된 조반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골격 화석으로 알려져 있으며, 큰 눈과 시엽 크기는 어두운 환경 적응 가능성을 시사하고, 비-이구아노돈 조각류 또는 신조반류의 기초 형태로 분류되며, 발견지인 당시 남극의 온화한 기후와 숲이 우거진 환경을 보여주는 단서가 된다. - 198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파키케투스
파키케투스는 5천만 년 전 에오세 초 파키스탄에 살았던 늑대 크기의 육상 포유류 고래류로, 육지 생활에 적응했으나 고래류 특유의 내이 구조와 치아 배열을 가져 고래 진화의 중요한 중간 단계이며, 고래가 육상 우제류에서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 198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쿠텔로사우루스
스쿠텔로사우루스는 쥐라기 초기에 살았던 1.3m의 작은 장순아목 공룡으로, 몸 전체에 300개 이상의 골판이 덮여 있고 긴 꼬리가 특징이며,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무타부라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속 | 무타부라사우루스속 (Muttaburrasaurus) |
종 | langdoni |
생물학적 분류 |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Ornithischia) |
아목 | 조각아목 (Ornithopoda) |
과 | 랍도돈과 (Rhabdodontidae) |
화석 기록 | |
지질 시대 | 백악기 전기 (알비안절), 약 1억 1200만 년 전 - 1억 300만 년 전 |
명명 정보 | |
명명자 | Bartholomai & Molnar, 1981 |
타입 종 | M. langdoni Bartholomai & Molnar, 1981 |
기타 정보 | |
발견 지역 | 퀸즐랜드주 |
특징 | 퀸즐랜드주의 새로운 주 화석 상징 |
2. 발견 및 명명
무타부라사우루스는 1963년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주의 무타부라 근처 톰슨 강 옆 로즈베리 다운스 역에서 목축업자 더그 랭던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5] 이 유해는 고생물학자 앨런 바르톨로마이 박사와 곤충학자 에드워드 댐스가 수집했다. 1981년 바르톨로마이와 랄프 몰나르는 발견자인 랭던을 기려 종명을 'langdoni'로 명명했다.[5]
무타부라사우루스는 몸길이 약 8m, 무게 약 2.8톤으로 추정되는 중형 조각류 공룡이다.[7] 모식 표본의 넙다리뼈 길이는 1015mm이다.
무타부라사우루스는 처음 이구아노돈과로 분류되었다.[2][8] 이후 캄토사우루스과, 드리오사우루스과 또는 힙실로포돈과와 같은 더 기저적인 유조각류로 분류되기도 했다. 앤드루 맥도날드의 연구는 랍도돈과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2][8] 2022년 계통 발생학적 분석에서는 무타부라사우루스와 테논토사우루스를 기저 랍도돈모르파로 분류했으며, 랍도돈과와 자매 분류군일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되었다.[9]
''무타부라사우루스''는 강력한 턱과 절단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12] 더 진화된 조각류 종에서는 이빨이 교체될 때 이전 세대와 번갈아 가며 치열을 이루는 반면, ''무타부라사우루스''에서는 이빨이 바로 아래에서 자라나 단일 분출 세대만 존재했기 때문에 저작 운동은 불가능했다. 또 다른 기본 형질은 이빨 측면에 주요 능선이 없다는 것으로, 11개의 낮은 능선이 나타난다. 1981년 몰나르는 이러한 특징이 잡식성 식단을 나타낸다고 추측하며, ''무타부라사우루스''가 가끔 썩은 고기를 먹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 1995년에는 그의 의견을 바꿔 ''무타부라사우루스''의 치아 시스템이 절단 이빨을 가진 각룡류 시스템과 진화적으로 수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했다. 이는 소철과 같은 질긴 식물을 먹기 위한 적응이었을 것이다.[12]
모식 표본인 표본 QM F6140은 알비절-세노만절에 해당하는 매쿤다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두개골과 아래턱뼈를 포함한 부분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개골의 아래쪽, 하악골의 뒤쪽, 수많은 척추뼈, 골반의 일부, 앞다리와 뒷다리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다.[5]
일부 이빨은 휴겐덴 북쪽,[6] 뉴사우스웨일스 주 북서부의 라이트닝 리지 남쪽에서 발견되었다.[6] 라이트닝 리지에서는 오팔화된 이빨과 '무타부라사우루스'일 수 있는 어깨뼈가 발견되었다. 1987년 휴겐덴과 리치몬드 사이 던루스 역에서 존 스튜어트-무어와 로버트 워커가 "던루스 두개골"로 알려진 두개골 표본 QM F14921을 발견했다. 몰나르는 이를 별도의 미명명된 종, 즉 '무타부라사우루스' sp.로 간주했다.[6] 1989년 같은 지역에서 두 개의 단편적인 골격이 발견되었고, 휴겐덴 남동쪽의 아이오나 역에서도 고립된 이빨과 뼈가 발견되었다.
켈로그사가 후원한 '무타부라사우루스'의 재구성된 골격 모형은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특징
두개골은 위에서 볼 때 삼각형 단면으로 상당히 평평하며, 머리 뒤쪽은 넓지만 주둥이는 뾰족하다. 주둥이에는 크게 확대되고 속이 빈, 위로 불룩 솟은 코 주둥이(bulla nasalis)가 있는데, 이는 소리를 내거나 전시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화석화된 코 조직이 발견되지 않아 이는 추측으로 남아있다. 둔루스 두개골에서 볼 수 있듯이, 더 오래된 ''무타부라사우루스'' 종에서 더 짧았다. 모식 표본의 ''bulla'' 윗부분은 보존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두 번째 두개골은 둥근 윤곽을 가지고 있다.[6] 턱에는 이빨이 빽빽하게 채워져 있으며, 이빨은 갈아 으깨는 목적이 아니라 잘게 자르는 데 적응되어 있었다.
앞다리에는 이구아노돈과 같은 스파이크(엄지 가시)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화석 증거는 불완전하다.[6] 뒷다리는 길고 넓으며, 네 개의 발가락이 있었다.
4. 분류
2016년 디외도네 등의 연구에서는 무타부라사우루스를 랍도돈모르파에 포함시켰다.[10] 그러나 2024년 폰세카 등은 무타부라사우루스가 랍도돈모르파 밖에 있다고 간주하여, 포스토리아 딤방군말과 함께 곤드와나 계통의 엘라스마리아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다.[11]
일본 학계에서는 아틀라스코프코사우루스나 레엘리나사우라 등 호주 고유의 소형 조각류에서 진화하여 북반구의 종과 수렴 진화한 호주 특유의 그룹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룡류와 유사한 특징 때문에 각룡류나 후두류 등의 변두류와의 관련성도 제기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종은 ''M. 랑도니''(M. langdoni)뿐이다.
5. 고생물학
최초의 화석은 조개류나 암모나이트 등과 함께 얕은 바다의 해성층에서 발견되었다. 사후, 시체가 바다로 운반되어 퇴적된 것이지만, 원래는 하구 또는 해변에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5. 1. 식성
무타부라사우루스는 강력한 턱과 절단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12] 더 진화된 조각류 종에서는 이빨이 교체될 때 이전 세대와 번갈아 가며 치열을 이루는 반면, 무타부라사우루스에서는 이빨이 바로 아래에서 자라나 단일 분출 세대만 존재했기 때문에 저작 운동은 불가능했다.[12] 1981년 몰나르는 이러한 특징이 잡식성 식단을 나타낸다고 추측하며, 무타부라사우루스가 가끔 썩은 고기를 먹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12] 1995년에는 그의 의견을 바꿔 무타부라사우루스의 치아 시스템이 절단 이빨을 가진 각룡류 시스템과 진화적으로 수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했다.[12] 이는 소철과 같은 질긴 식물을 먹기 위한 적응이었을 것이다.[12] 이빨과 턱의 특징은 소철과 같은 식물을 먹는 것에 적합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구아노돈보다는 오히려 각룡류나 랩토돈, 후쿠이 사우루스의 것과 유사하다. 무타브라사우루스는 각룡류가 북아메리카나 아시아에서 차지했던 하층 식물 식자라는 생태적 지위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차지했을지도 모른다.
5. 2. 의사소통
무타부라사우루스의 코는 하드로사우루스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이를 통해 집단 생활을 하고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다만,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집단 화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2]
5. 3. 걸음걸이
무타부라사우루스가 네 발로 걸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초기에는 이구아노돈과로 분류되어 네 발 보행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랍도돈류에 가깝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네 발 보행이 불가능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6. 고생태
최초의 화석은 조개류나 암모나이트 등과 함께 얕은 바다의 해성층에서 발견되었다. 사후, 시체가 바다로 운반되어 퇴적된 것이지만, 원래는 하구 또는 해변에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무타부라사우루스가 서식했던 오스트레일리아 남부는 당시 남극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 일대는 극권에 위치했지만 매우 따뜻했으며, 전체 평균 기온은 0도에서 12도였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750~1150mm로 많았다. 건조했던 곳은 퀸즐랜드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되었다. 한때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얕은 내해가 펼쳐져 있었는데, 약 1억 1700만 년 전에 가장 넓어졌지만, 약 9900만 년 전에 내해는 사라졌다. 이러한 환경은, 가까운 시대/지역의 다이노소어 코브(공룡 만)와 다르다.
식생은 남양삼나무, 은행나무, 나한송, 이끼, 고사리, 소철이 지배적이었으며, 쥐라기의 식생과 유사했다. 공존하는 동물에는 대형 조각류인 쿰바라사우루스(구 명칭 밈미)와 중형 수각류인 메가랩터류가 존재했으며, 공룡 외에는 폐어의 네오케라토두스와 거북류 등이 확인되었다.
7. 대중문화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주에서 발견된 어떤 종류의 발자국 화석은 대형 수각류의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형 조각류(후보로 본종 무타부라사우루스가 거론되고 있다)의 것일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14]
참조
[1]
문서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2012
[2]
논문
New Basal Iguanodonts from the Cedar Mountain Formation of Utah and the Evolution of Thumb-Spiked Dinosaurs
[3]
웹사이트
Queensland's new State fossil emblem
https://www.qld.gov.[...]
The State of Queensland
2023-04-07
[4]
웹사이트
The dinosaur Queenslanders dig
https://statements.q[...]
The State of Queensland
2023-04-07
[5]
논문
"''Muttaburrasaurus'': a new Iguanodontid (Ornithischia:Ornithopoda)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Queensland"
https://www.biodiver[...]
[6]
논문
Observations on the Australian ornithopod dinosaur, ''Muttaburrasaurus''".
https://www.biodiver[...]
[7]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논문
Phylogeny of Basal Iguanodonts (Dinosauria: Ornithischia): An Update
[9]
논문
Phylogeny of iguanodontian dinosaurs and the evolution of quadrupedality
https://palaeo-elect[...]
2022-10-25
[10]
논문
An Unexpected Early Rhabdodontid from Europe (Lower Cretaceous of Salas de los Infantes, Burgos Province, Spain) and a Re-Examination of Basal Iguanodontian Relationships
2016-06-22
[11]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n early ornithischian evolution
[12]
간행물
Possible convergence in the jaw mechanisms of ceratopians and ''Muttaburrasaurus''
China Ocean Press
[13]
논문
"''Muttaburrasaurus'': a new Iguanodontid (Ornithischia:Ornithopoda)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Queensland"
[14]
문서
The evolution of group living
2016
[15]
문서
[16]
문서
EVOLUTION 生命の進化史 南極/オーストラリアの項
[17]
문서
[18]
문서
EVOLUTION 生命の進化史 南極/オーストラリアの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