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성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성공주는 당나라와 토번 간의 화친을 위해 토번의 왕 송첸캄포에게 시집간 당나라 공주이다. 당나라의 선진 문물을 토번에 전파하여 토번 사회 발전에 기여했으며, 불교를 장려하고 농업 기술, 직조 기술 등을 도입했다. 641년 송첸캄포와 혼인했으나, 남편의 사망 후에도 토번에 남아 680년 사망할 때까지 토번인들의 존경을 받았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지며, 한족과 티베트족의 우호 관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2. 생애

634년, 송첸캄포당나라에 공주를 맞이하고 싶다고 요청했지만, 토욕혼의 방해로 638년 토욕혼을 공격하고 당나라에 강제로 시집보낼 것을 요구했다. 640년 당나라는 문성공주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문성공주는 송첸캄포의 아들 궁송궁찬(재위: 641년 - 643년)과 혼인하여 642년 만송만찬 왕자를 낳았으나, 이듬해 궁송궁찬은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문성공주는 라싸에 라모체 사원을 짓고 남편의 명복을 빌었다.

3년 후, 문성공주는 송첸캄포와 재혼했다. 하지만 649년 송첸캄포가 사망하면서 3년간의 짧은 결혼 생활은 끝이 났고, 만송만찬(재위: 650년 - 676년)이 즉위했다. 문성공주는 680년경 사망했다.

현대에는 문성공주를 관세음보살의 눈물에서 태어난 다라보살의 화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2. 1. 결혼 과정

634년, 송첸캄포당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혼인을 요청했으나, 당나라돌궐토욕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거절했다.[14] 송첸캄포는 토욕혼을 공격하고 당나라에 군사적 압박을 가하며 공주를 요구했다.[14][4] 638년 토번군은 송주(지금의 쓰촨성 쑹판현)를 공격하여 두 개의 현을 정복했지만, 당나라의 반격 후 철수했다. 이 사건으로 당 태종과 송첸캄포는 서로의 국력을 무시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15]

640년, 송첸캄포는 황금 오천 냥과 수백 가지의 진귀한 보물과 함께 가르통첸을 장안에 보내 화친을 다시 요청했고, 당 태종은 결국 문성공주를 보내 화친을 맺었다.[16][4]

2. 2. 토번의 왕비

당 태종의 눈에 띄어 문성공주로 책봉된 문성공주는 641년 이도종의 호위 하에 토번으로 향했다.[18][23] 송첸캄포는 라싸 근방까지 마중나와 영접을 하였으며, 백해(지금의 칭하이성 찰릉호)에서 혼례를 치렀다.[22][23]

송첸캄포는 문성공주를 위해 포탈라궁을 지었으며, 불교 신자인 공주의 영향으로 대소사를 건립했다.[25][26] 문성공주는 토번 사람들에게 농업 기술을 전수하고,[28] 길쌈을 가르쳤으며,[29] 당나라의 천문역법인 육십갑자를 소개했다.[30] 또한, 악사들을 통해 당나라 음악을 알리고, 문사(文士)들은 토번의 대신과 귀족 자제들을 가르쳤다.[29]

649년 송첸캄포가 사망한 후에도 문성공주는 토번에 남았으며, 680년 세상을 떠난 후 송첸캄포의 묘에 합장되었다.[32] 문성공주는 한족과 티베트족의 우의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평가받고 있으며,[26] 그녀와 관련된 민가, 회곡 등이 남아 있다. 현대에는 문성공주를 타라의 화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33] 현재 포탈라궁 내부의 법왕동(法王洞)에는 송첸캄포, 가르통첸과 함께 문성공주의 채색 조각상이 남아 있으며,[33] 대소사에는 공주가 가져온 석가모니 불상 외에도 송첸캄포와 문성공주의 조각상이 있다.[27]

문성공주는 티베트에 들어가기 전, 티베트의 영토가 악귀가 누운 모양과 같다는 것을 알아채고 악귀를 억누르기 위해 사찰을 세웠다. 문성공주는 라모체 사원(Ramoche Temple) 건설을 감독하였으며, 네팔 출신의 송첸캄포의 아내와 함께 국정을 처리하고 티베트의 불교 발전에 기여하였다.[8]

2. 3. 송첸감포 사후

649년 송첸감포가 사망하면서 3년간의 짧은 결혼 생활은 끝이 났고, 만송만찬(재위: 650년 - 676년)이 왕위를 이었다. 만송만찬이 사망한 후, 문성공주는 680년경에 사망했다.[8]

송첸감포 사후에도 문성공주는 토번에 남아 양국 간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문성공주가 사망하자 토번은 성대한 장례를 치르고 그녀를 송첸감포의 묘에 합장했다.

문성공주는 티베트에서 관세음보살의 화신인 타라 보살로 추앙받으며,[8] 그녀의 삶은 『마니까훔』(Maṇi bka' 'bum)과 『왕조의 밝은 빛』(Rgyal rabs Gsal ba'i Me long)과 같은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고 있다.[6]

3. 평가 및 영향

문성공주는 단순한 정략결혼의 희생자가 아니라, 당나라토번 사이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토번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문성공주는 토번에 불교를 전파하고, 농업, 직조, 수력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도입하여 토번 사회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8] 티베트 역사에 따르면, 문성공주는 티베트에 들어가기 전에 지리적 관찰을 하여 티베트의 영토가 브락스린모(Brag-srin-mo, 티베트 토착 악귀)가 등을 대고 누운 모양과 같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래서 악귀를 억누르기 위해 사찰을 세웠다고 한다. 문성공주는 라모체 사원(Ramoche Temple) 건설을 감독하였다.[8]

문성공주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중국 고전 문헌: 문성공주는 중요하지 않은 인물로 다루어지며, '화친 결혼' 의식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 고대 티베트 문헌: 문성공주는 티베트 불교의 여신인 '흰 타라'의 화신으로 묘사되며, 신적인 능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7]
  • 중화민국 국민당 담론 (1928년경부터): 문성공주는 '기술 전파자'로 재해석되었다.[8]


현대에는 문성공주를 관세음보살의 눈물에서 태어난 다라보살의 화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녀의 삶은 『마니까훔』(Maṇi bka' 'bum)과 『왕조의 밝은 빛』(Rgyal rabs Gsal ba'i Me long)과 같은 자료들에 묘사되어 있다.[6] 네동 현(Nêdong County)의 차드룩 사원(Tradruk Temple)은 문성공주를 기념하며, 공주가 수놓은 탕카(thangka)가 사원의 한 채플에 보관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성공주를 통해 문화 교류와 상호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녀의 업적을 기린다.

3. 1. 현대 문화

문성공주의 이야기는 연극, 소설 등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문성공주를 소재로 한 대규모 공연이 자주 열리며, 이를 통해 티베트와의 역사적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연은 때때로 티베트의 역사와 문화를 왜곡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2]

2000년대 이후, 중국은 라싸에서 문성공주를 소재로 한 선전 공연을 펼치고 있는데, 이 공연은 극장이나 광장에서 연간 180회 이상 공연된다. 많은 관찰자들에 따르면, 이 선전 공연은 티베트 불교, 티베트 제국 시대, 그리고 중국과의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티베트의 관계를 잘못 묘사하고 있다고 한다.[12] 이 공연은 중국 작사가 장밍허(張明河)가 쓴 것으로, 문성공주가 티베트에 처음 들어온 시점부터 티베트 사람들의 삶, 그리고 티베트 사람들에게 칭송받고 노래되는 모습까지를 다루고 있다.[13]

모리 시즈코(毛利志生子)의 『바람의 왕국(風の王国)』 시리즈는 집영사(集英社) 코발트 문고(コバルト文庫)에서 출판되었다.

4. 일화

문성공주가 시집갈 때 태종은 고향이 그리워지면 보라고 일월보경(日月寶鏡)을 주었다. 토번으로 가던 중 츠링산(赤嶺山) 근방에서 고향 생각이 난 공주는 일월보경을 꺼냈지만, 대의를 생각하여 보경을 보지 않고 산 아래에 던져 깨뜨렸다. 후세 사람들은 공주를 기리기 위해 산의 이름을 르웨산(日月山)이라고 바꾸었다.[34]

전설에 따르면, 리산(Rishan)과 웨이산(Yueshan)은 문성공주의 보물 거울에 의해 변형되었다고 한다. 문성공주는 당나라와 토번의 경계선까지 걸어가 부모님이 준 해와 달 거울을 뒤로 던져 친정 식구들에 대한 끝없는 그리움을 끊었다고 한다.[10]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문성공주 일행은 라싸로 가는 길에 아름다운 렌다(Renda)에 잠시 머물렀다. 공주는 이곳에서 편안함과 행복을 느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단마 절벽(Danma Cliff)에 대일여래를 포함한 9개의 불상을 나타냈다. 또한 이곳에 사찰을 세울 계획을 세웠으나, 나무가 없었다. 공주는 손오공처럼 자신의 머리카락 몇 가닥을 뽑아 산에 불어넣는 마법을 사용했고, 절벽 바위에 기적적으로 숲이 자라났다. 현지 사람들은 나무를 베어 렌다 전당(Renda Hall)을 지었다. 이와 함께 공주는 현지인들에게 황무지 개간, 농지 조성, 관개, 물레방아 사용법 등을 가르쳤다. 이후 현지인들은 렌다의 불상을 문성공주의 신비로운 창조물로 여기고 성지로 여겼으며, 렌다 전당에 와서 불상에 절하고 향을 피우며 세상의 평화와 좋은 날씨, 백성의 행복을 기원했다.[11]

참조

[1] 서적 吐蕃金石录 [Tu fan jin shi lu] 文物出版社 [Wen wu chu ban she]
[2] 웹사이트 Old Tibetan Annals, P.T. 1288 https://web.archive.[...]
[3] 문서 Ramoche
[4] 서적 Son of Heaven and Heavenly Qaghan: Sui-Tang China and Its Neighbors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5] 웹사이트 The Marriage of Wencheng http://www.womeninwo[...]
[6] 웹사이트 The Treasury of Live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Tibet, Inner Asia and the Himalayan Region https://treasuryofli[...]
[7] 간행물 Taming the Khampas: The Republican Construction of Eastern Tibet 2013-05-00
[8] 논문 Princess Wencheng in historical writing: The difficulty in narrating ethnic history in multi-ethnic China 2020-00-00
[9] 논문 拉萨的中心——大昭寺 http://www.cqvip.com[...] 2003-00-00
[10] 논문 日月山的传说 http://www.cqvip.com[...] 2005-00-00
[11] 논문 文成公主与仁达造像 http://www.cqvip.com[...] 1998-00-00
[12] 뉴스 A romantic opera in Tibet just happens to bolster China's historical position there https://www.washingt[...] 2016-10-12
[13] 논문 歌曲《文成公主》 http://www.cqvip.com[...] 2016-00-00
[14] 서적 여인들의 중국사 김영사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중국을 말한다 9 신원문화사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한 권으로 읽는 불교 산책자
[21] 서적 중국 여성 시그마북스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중국역사이야기 2 일송북
[25] 서적
[26] 서적 중국역사박물관 5 범우사
[27] 서적 중국문명대시야 2 김영사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