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첸캄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첸캄포는 7세기 티베트 제국의 통일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라싸를 수도로 정하고 티베트 문자를 제정했으며, 불교를 장려하고 많은 사찰을 건립하여 문화적 발전을 이끌었다. 또한 당나라, 네팔 등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를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군사 제도를 정비하여 제국의 기틀을 다졌다. 송첸캄포는 당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문성공주를 왕비로 맞이했으며, 네팔의 브리쿠티 공주와도 혼인 관계를 맺었다. 그는 티베트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81년 출생 - 안사고
안사고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활동한 당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훈고학에 정통하여 《한서》 주석을 남겼으며, 《오경정의》 편찬에 참여하고 고구려 원정 중 사망했다. - 649년 사망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649년 사망 - 교황 테오도로 1세
교황 테오도로 1세는 642년부터 649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단의설과의 투쟁에 집중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갈등을 겪었고 에크테시스 철회를 촉구했으며, 에크테시스 규탄을 위한 라테란 공의회를 계획했으나 개최 전에 사망했다.
송첸캄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첸포 |
재위 | 618년경 – 650년 |
시대 | 6세기 & 7세기 |
휘 | 트리 송첸캄포 |
티베트어 표기 | [[File:Songtsän Gampo name.svg|alt=སྲོང་བཙན་སྒམ་པོ]] |
와일리 표기 | Srong-btsan sGam-po |
THL 표기 | Songtsen Gampo |
선대 군주 | 남리송첸 |
후대 군주 | 궁송궁첸 또는 망송망첸 |
왕조 | 야를룽 왕조 |
아버지 | 남리송첸 |
어머니 | 드리자 퇴카르 |
배우자 | 벨모자 트리췬(네팔) 갸모자 문창(당) 미냐크자 걀모춘(탕구트) 리틱멘(샹슝) 몽자 트리참 |
자녀 | 궁송궁첸 |
뢴첸 | 냥망포제 샹낭 가르망샴 숨낭 큥포풍세 수체 가르통첸 율숭 |
출생명 | 송첸 |
출생일 | 557년 ~ 569년경 |
출생지 | 마이조쿵가르, 티베트 (현재의 마이조쿵가르현, 티베트 자치구, 중국) |
사망일 | 649년 (향년 79세-92세) |
사망지 | 젤모강, 펜율, 티베트 (현재의 린주현, 티베트 자치구, 중국) |
매장일 | 651년 |
매장지 | 무리 무크포 영묘, 왕들의 계곡 |
종교 | 티베트 불교 |
일본어 정보 | |
왕호 (일본어) | ソンツェン・ガンポ |
작위 (일본어) | 티베트 제국의 첸포 |
재위 (일본어) | 629년-650년/649년 |
휘 (일본어) | 티 송첸 |
티베트어 표기 (일본어) | [[File:Songtsän Gampo name.svg|alt=སྲོང་བཙན་སྒམ་པོ]] |
와일리 표기 (일본어) | Srong-btsan sGam-po |
좡원 병음 (일본어) | Songzain Gambo |
THL 표기 (일본어) | Songtsen Gampo |
한자 표기 (일본어) | 松贊干布 |
아버지 (일본어) | Namri Songtsen |
선대 군주 (일본어) | Namri Songtsen |
후대 군주 (일본어) | 망송망첸 |
출생일 (일본어) | 617년 |
사망일 (일본어) | 650년/649년 |
사망지 (일본어) | 티베트 |
한국어 정보 | |
왕호 (한국어) | 송첸캄포 |
작위 (한국어) | 토번 첸포 |
대수 (한국어) | 33대 |
재위 (한국어) | 617년? – 649년 |
선대 군주 (한국어) | 남리송첸 |
후대 군주 (한국어) | 망송망첸 |
재상 (한국어) | 냥망포제 샹낭 가르망샴 숨낭 큥포풍세 수체 가르통첸 율숭 |
휘 (한국어) | 티 송첸감포 |
출생일 (한국어) | 581년 |
사망일 (한국어) | 649년 |
능묘 (한국어) | 총예 계곡 |
아버지 (한국어) | 남리뢴첸 |
어머니 (한국어) | 디자 퇴카르마 |
배우자 (한국어) | 포공몽자 티참 발모브자 티췬(네팔) 문성공주(당) 탕구트인 미냥자 쟐모춘 샹슝인 리틱만 |
자녀 (한국어) | 궁송궁첸 |
종교 (한국어) | 티베트 불교 |
2. 생애
송첸감포는 티베트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그의 생애는 티베트의 통일과 발전의 기틀을 다진 시기로 평가받는다.
송첸감포의 출생년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티베트에서는 그가 소띠 해에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는 557년, 569년, 581년, 593년, 605년 또는 617년 중 하나로 추정된다. 그의 재위 기간 또한 정확하지 않지만, 대체로 617년경에 아버지 남리송첸이 독살당한 후 왕위에 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송첸감포는 라싸 북동쪽 멜드로의 갸마에서 태어났으며,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그의 어머니는 티베트 통일에 중요한 역할을 한 체퐁 씨족 출신의 드리자 토카르였다. 송첸감포는 여섯 명의 왕비를 두었는데, 이 중 네 명은 티베트 출신이었고, 두 명은 각각 네팔과 당나라 출신의 브리쿠티와 문성공주였다.
송첸감포는 즉위 후, 가르통첸과 같은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외교에 힘써 티베트의 세력을 확장했다. 특히 네팔 리차비 왕조와 동맹을 맺고, 당나라와는 혼인 동맹을 통해 평화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송첸감포는 티베트 문자를 만들기 위해 인도로 특사를 파견하여 문자와 문학, 법률 기록을 발전시켰다.[17] 또한, 라싸를 수도로 정하고, 조캉 사원을 비롯한 여러 불교 사원을 건립하여 불교 문화를 장려했다.[22][23]
634년, 송첸감포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혼인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자, 638년 칭하이의 송주(松州)를 공격하기도 했다. 이후 당나라는 문성공주를 보내 혼인 동맹을 맺었고, 양국 간에는 평화가 유지되었다.
648년, 당 고종은 송첸감포에게 '빈왕'이라는 칭호를 내리고, 비단 3,000필을 하사했다. 또한 티베트의 요청에 따라 누에씨, 회반죽, 술 만드는 기계, 종이와 먹을 만드는 장인을 파견하기도 했다.[19][20]
송첸감포는 아들 궁송궁첸왕(재위 : 641년 ~ 643년)이 낙마 사고로 사망하자, 63세에 복위하여 아들의 미망인이었던 문성공주를 자신의 왕비로 맞이했다. 송첸감포 사후, 그의 손자인 망송 망첸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재상 가르통첸이 실권을 장악했다.[73]
송첸감포의 통치 기간 동안, 티베트는 중국, 인도, 네팔 등 주변 국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문화를 발전시켰다. 특히 문성공주와 브리쿠티를 통해 불교 문화가 크게 유입되었으며, 티베트 문자가 창제되어 기록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송첸캄포의 출생 연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티베트에서는 소띠 해에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는 557년, 569년, 581년, 593년, 605년, 또는 617년 중 하나로 추정된다. 송첸캄포의 탄생 연도에 대해서는 569년, 593년, 617년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10] 일반적으로 당 고조가 즉위하여 당나라를 건국하기 1년 전인 617년쯤에 왕위에 오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0]송첸캄포는 현대 라싸 북동쪽 멜드로의 갸마에서 야르룽 왕 남리 송첸의 아들로 태어났다.[10] 그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졌으며, 달라이 라마들 또한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그를 차크라바르틴이자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인식하는 것은 11세기 토착 불교 문헌 역사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송첸캄포의 어머니는 티베트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체퐁 씨족( 『티베트 연대기』)의 일원으로, 드리자 토카르("흰 해골 여인이라는 이름의 야크 아내", 『티베트 연대기』)로 알려져 있다.
송첸캄포는 6명의 왕비를 두었는데, 그중 4명은 티베트 출신이고 2명은 외국 출신이었다.
- 가장 높은 지위의 후궁: 포공 몽자 트리참( , "몽 씨족 아내", 궁송 궁첸의 어머니)
- 서하의 귀족 여성: "미냐크자"("서하 아내", )
- 짱주 출신의 귀족 여성
- 네팔 공주 브리쿠티("위대한 여인, 네팔 아내", )
- 중국 웬청 공주("중국 아내", )
송첸캄포의 뒤를 이을 궁송 궁첸은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아들 망송 망첸이 왕위를 계승했다.
티베트 제국 시대 문서에는 송첸캄포에게 사드마르카르(혹은 사타마카르)라는 누이와, 배신당해 641년경 화재로 사망한 첸송이라는 남동생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4][5]
궁송 궁첸 왕자는 13세(서양식으로 12세)가 되었을 때, 아버지 송첸캄포가 물러났고 왕자는 5년 동안 통치했다. 궁송 궁첸은 13세 때 '아자 망모르제'와 결혼하여 망송 망첸(재위 650~676년)을 낳았다고도 한다. 궁송 궁첸은 이 5년 동안만 통치하고 18세에 사망했고, 송첸캄포는 왕위에 복귀했다.[6]
티베트 전통에 따르면, 송첸캄포는 아버지 남리 송첸이 618년경 독살당한 후 야르룽 왕조의 33번째 왕으로 즉위했다.[10] 그는 13세(서양식으로 12세)에 왕위에 올랐다고 하는데, 이는 야르룽 왕들이 13세에 왕위에 올랐다는 전통과 일치한다.[11] 만약 이 전통이 사실이라면, 그는 605년 소의 해에 태어났을 것이다. 『구당서』는 그가 "왕위를 계승했을 때 아직 미성년자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0][12]
13세 때 아버지 남리 송첸에 의해 명목상의 왕으로 세워졌으나, 4년 후 정적에 의해 아버지는 독살당했다.[64] 남리 송첸 사후, 야르룽에 속해 있던 상슝족과 숨파족 등이 독립을 시도했다.[65]
2. 2. 티베트 통일과 제국 건설
송첸감포는 아버지 남리송첸이 독살당한 뒤 왕위에 올랐는데, 즉위년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617년쯤으로 추정된다.[29] 그는 티베트 문자를 만들기 위해 인도로 특사를 파견하여 문학과 번역, 법률 기록을 가능하게 했다.[29]송첸감포는 라싸를 수도로 정하고 영역을 넓혔으며, 가르통첸과 같은 인재를 등용하고 외교에 힘썼다. 네팔의 브리쿠티 공주와 당나라의 문성공주를 왕비로 맞이했다.[29]
초기 티베트 기록에 따르면, 티베트 왕과 장주웅 왕은 정치적 동맹을 위해 서로의 누이를 결혼시켰다. 그러나 장주웅 왕의 티베트 왕비는 왕의 정실부인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불평했고, 전쟁이 일어났다. 티베트 공주의 배신으로 장주웅의 리그미크야(Ligmikya) 왕은 숨바(암도성)로 가는 도중 송첸 감포의 군인들에게 매복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했다. 그 결과 장주웅 왕국은 중앙 티베트에 병합되었고, 이후 두 왕국의 통합으로 탄생한 새로운 왕국은 보드 르걀카브(Bod rGyal-khab)로 알려지게 되었다.[33][34][35]
구당서에는 634년 양통(장주웅)과 여러 강족들이 "모두 그에게 복종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그는 양통과 연합하여 토욕혼을 물리치고, 강족 두 부족을 더 정복한 후 20만 명이 넘는 군대를 이끌고 송주를 위협했다.[32] 그는 금과 비단을 선물로 중국 황제에게 보내 중국 공주와의 결혼을 요청했고, 거절당하자 송주를 공격했다. 탕서에 따르면, 그는 결국 물러서서 사과했고, 나중에 황제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였다.[30][31] 하지만 티베트측 기록에는 티베트 군대가 중국군을 패배시켰고 당나라 황제가 강압에 의해 신부를 보냈다고 전해진다.[32]
634년 당나라가 (결혼 요청을) 거부하자, 송첸 감포는 분노하여 25만 대군에게 당나라의 수도 공격을 명령했다.[70] 또한 보복으로 토욕혼을 공격하여 638년 당나라 칭하이의 송주(松州)까지 정복했다. 토번의 공격을 받은 당나라는 배상금을 지불했다.[70][71]
2. 3. 당나라와의 관계
송첸감포는 당나라 건국(618년) 1년 전인 617년경에 아버지 남리송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27]『구당서』에는 634년(정관 8년)에 송첸감포 시대에 티베트에서 최초로 사절단이 중국에 도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나라 역사서는 이를 조공 사절단으로 묘사하지만, 이 사절단은 예속 의례가 아닌 혼인 동맹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이 요구가 거절된 후, 티베트는 637년과 638년에 당나라의 속국들을 상대로 승리하는 군사 공격을 감행했다.[28]
635-636년 국경 지방인 송주에 대한 성공적인 원정 이후,[40] 중국 황제는 송첸 감포에게 중국 공주를 시집보내기로 합의했다. 당 태종의 조카딸인 문성공주는 640년 송첸 감포와 결혼하기 위해 중국을 떠나 이듬해 도착했다. 송첸 감포의 통치 기간 동안 중국과 티베트 사이에는 평화가 지속되었다.

『구당서』에는 송첸 감포가 중국 공주를 위해 도시를 짓고 그 안에 궁궐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국 자료에 따르면, "공주가 얼굴을 붉게 칠하는 그들의 관습을 싫어하자, 룽스탄(송첸 감포)은 백성들에게 그 관행을 중단하도록 명령했고, 더 이상 행해지지 않았다. 그는 또한 모피와 가죽을 버리고, 금실과 비단을 입었고, 점차 중국 문물을 받아들였다. 그는 또한 그의 수장들과 부유한 사람들의 아이들을 국립 학교에 보내 경전을 배우도록 하고, 중국에서 유학자들을 초청하여 황제에게 보내는 공식 보고서를 작성하게 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50] 그러나 티베트학자인 존 파워스(John Powers)에 따르면, 문성공주를 통해 티베트가 중국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이러한 기록은 티베트 역사에는 확인되지 않는다.[51]
648년 인도에서 건너온 군대를 중국의 도움으로 격파한 후,[27] 649년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당 고종이 ‘빈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비단 3,000필을 하사했으며, 티베트 왕의 요청을 받아들여 누에씨와 회반죽, 술을 만드는 기계, 종이와 먹을 만드는 장인을 파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27] 649년, 당 고종은 당나라 황제로서 서해군 왕을 송첸 감포에게 봉했다.
송첸감포는 당을 공격하여 정복 활동을 벌였다. 당을 압박하여 당 왕실로부터 공주(황족의 여성)를 공녀로 보내도록 강요했다.[69] 634년 당이 거부하자, 송첸감포는 분노하여 25만 대군에게 당의 수도 공격을 명령했다.[70] 또한 보복으로 송첸감포는 토곡혼을 공격하여 638년 당의 칭하이의 송주까지 정복했다. 토번의 공격을 받은 당은 배상금을 지불했다.[70][71]
2. 4. 네팔과의 관계
송첸감포는 네팔의 리차비 왕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구당서(舊唐書)』에 따르면, 네팔의 왕 날링 데바(Naling Deva)가 사망한 후 비슈누굽타(Vishnagupta)가 왕위를 찬탈하자, 송첸감포는 그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641년에 왕위에 복귀시켜 주었다.[44][12][45][46] 이로 인해 네팔은 티베트의 속국이 되었다.얼마 후, 티베트 사절단이 인도에서 공격받자, 리차비 왕이 그들을 도왔다.[47][48] 송첸감포는 리차비 왕의 딸인 브리쿠티(Bhrikuti) 공주와 결혼했다. 브리쿠티 공주는 타라의 화신으로 여겨지는 인물로, 불교 전파에 큰 영향을 끼쳤다.[49]
620년 이전에 송첸감포는 네팔 리차비 왕조와 동맹을 맺어 평화를 유지했고,[68] 네팔의 왕녀 브리크티 데비(타크리 왕국의 창시자 안슈 바르만 왕의 딸)를 왕비로 맞이했다.
2. 5. 문화적 업적
송첸 감포는 티베트 문자를 만들기 위해 인도로 특사를 파견하여 티베트의 문학, 번역, 법률 기록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는 또한 많은 새로운 문명과 기술의 발전을 이룩하였다.[17]
송첸 감포는 티베트인들에게 불교를 처음으로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티베트의 수도인 라싸에 있는 조캉 사원을 비롯한 많은 불교 사찰을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23] 네둥 현에 있는 트라드룩 사원도 그중 하나이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산스크리트어에서 티베트어로의 불교 경전 번역이 시작되었다.[24] 송첸 감포는 티베트에 불교를 확립한 3대 법왕(chos rgyal) 중 첫 번째로 여겨진다.
그의 신하인 톤미 삼보타는 인도에서 돌아온 후 라싸의 쿠카마루 궁전에서 수행하며 티베트 문자를 창제하였다. 그 후 궁정에 문자를 제시하고 왕에게 가르쳤다. 송첸 감포는 4년 동안 은퇴하여 문자를 배우고 난 후, 아발로키테슈바라에 관한 21편의 밀교 경전과 '마니 쿰붐(Mani Kumbum)'을 번역하였다.[17]
송첸 감포는 새롭게 통일된 왕국의 중심지를 얄룽 계곡에서 미래의 라싸가 될 키추 계곡으로 옮겼다. 그 지역은 원래 라사("염소의 장소")라는 목축지였지만, 왕이 조캉 사원을 세우면서 라사("신들의 장소")로 이름이 바뀌었다.[18]

당서에는 648년 인도에서 건너온 군대를 중국의 도움으로 격파한 후, 649년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당 고종이 ‘빈왕’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비단 3,000필을 하사했으며, 티베트 왕의 요청을 받아들여 누에씨와 회반죽, 술을 만드는 기계, 종이와 먹을 만드는 장인을 파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9][20]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송첸 감포 통치 기간 동안 공예품과 점성술 체계는 중국과 서하에서 수입되었고, 달마와 서예 기술은 인도에서, 물질적 부와 보물은 네팔과 몽골 땅에서, 그리고 모범적인 법률과 행정은 북쪽의 제2차 투르크 카간국의 위구르에서 수입되었다고 한다.[21]


송첸 감포는 당나라의 문성공주와 리차비 왕조 네팔의 브리쿠티를 왕비로 맞이하였다. 문성공주와 브리쿠티를 통해 티베트에 중국과 인도 양국의 문화가 유입되었다.[78][62] 투르난 사원(대조사)은 브리쿠티가, 라모체 사원(소조사)은 문성공주가 라싸에 건립하였고, 인도와 중국의 불교 문화가 전래되었다.[62][79] 왕의 의복은 모직물에서 비단으로 바뀌었고, 호족의 자제들은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에 유학하여 시문을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62][59] 또한, 중국에서는 의학, 점성술, 관개 지식이 전해졌다.[59]
송첸 감포가 자국의 문자를 만들기 위해 인재를 인도에 파견했다는 전승이 남아 있다.[80] 여정은 고난에 찬 것이었고, 티베트인에게 인도의 문자는 난해했지만, 지식을 습득하고 귀국한 대신 톤미 삼보타가 티베트 문자를 발명했다고 전해진다.[80] 하지만 이 전승의 사실성은 의심스럽다.[62] 그러나 송첸 감포가 종이와 먹의 기술자 파견을 당나라에 요청한 사실이나, 649년을 시작으로 하는 티베트의 연대기가 발견된 것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기록 자체는 그의 치세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62]
3. 내정과 군사 제도
620년경 송첸 감포는 관직 12계급 제도를 설치하였다. 종래에는 왕과 씨족 우두머리가 정기적으로 군신 관계를 갱신하였으나, 12계급 제도를 설치한 후에는 씨족장 일족에게 신분을 보장하는 대신 영속적인 군신 관계를 구축하였다.[67] 이 때문에 왕은 씨족장 아래에 있는 토지와 백성을 일괄적으로 관할할 수 있게 되어 국가 통일이 강화되었다.[74] 송첸 감포가 도입한 관직 제도는 일본의 관위십이계 제도와 공통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75][76]
또한 토발혼으로부터는 후세의 몽골 제국과 유사한 군관구 제도도 도입하였다.[77]
4. 평가와 유산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송첸캄포' 문서의 '평가와 유산'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등장 작품
- 1987년 중국 영화 황제 (자사이퉁추 주연)
- 모리 시생자의 소설 바람의 왕국 (집영사 코발트 문고)
참조
[1]
서적
The Buddha party: how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orks to define and control Tibeta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Glimpse of Tibetan History
Tibetan Museum
[3]
웹사이트
སྲོང་བཙན་སྒམ་པོ།
http://tb.zyw.xizang[...]
2022-04-09
[4]
서적
Ancient Tibet: Research materials from the Yeshe De Project
Dharma Publishing
[5]
서적
The White Annals
Library of Tibetan Works & Archives
[6]
서적
Tibet: A Politic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Ancient Tibet: Research materials from the Yeshe De Project
Dharma Publishing
[8]
서적
Tibetan Civilization
Faber & Faber,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Clear Mirror: A Traditional Account of Tibet's Golden Age
Snow Lion Publications
[10]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1]
서적
Early Temples of Central Tibet
Serindia Publications
[12]
서적
Indo-Tibetan Buddhism: Indian Buddhists and Their Tibetan Successors
Shambhala
[13]
웹사이트
Buddhism and Empire III: the Dharma King
https://earlytibet.c[...]
2018-03-26
[14]
뉴스
Houseguest, Teenager and King of Tibet
https://www.nytimes.[...]
2018-03-26
[15]
웹사이트
His Majesty King Lhagyari Trichen Wangchuk of Tibet
https://web.archive.[...]
[16]
Youtube
CCM Legacy Project: The Exiled King of Tibet, Namgyal Wangchuk Trichen Lhagyari
https://ghostarchive[...]
2018-03-26
[17]
간행물
Tonmi Sambhota
2010-09
[18]
서적
[19]
서적
[20]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21]
서적
Clear Mirror on Royal Genealogy / The Clear Mirror: A Traditional Account of Tibet's Golden Age
Snow Lion Publications
[22]
서적
Lhasa, Legend and History
Brill
[23]
서적
The Lhasa atlas: traditional Tibetan architecture and townscape
Serindia Publications, Inc.
[24]
웹사이트
Buddhism - Kagyu Office
https://web.archive.[...]
2009-01-10
[25]
서적
A Corpus of Early Tibetan Inscriptions
Royal Asiatic Society
[26]
간행물
The Revolt of 755 in Tibet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History and Doctrines of Bon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The Necklace of Gzi, A Cultural History of Tibet
Information Office of His Holiness The Dalai Lama
[34]
서적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Search for Shangri-La: A Journey into Tibetan History
Abacus
[36]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37]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38]
서적
1987
[39]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40]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41]
간행물
How Old was Srong Brtsan Sgampo
1965
[42]
서적
OTA
[43]
서적
1961
[44]
서적
Early Temples of Central Tibet
Serindia Publications
1990
[45]
서적
Documents sur les Tou-kiue (Turcs) occidentaux
Librairie d’Amérique et d’Orient
1900
[46]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47]
서적
Tibetan Civilization
Faber & Fab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48]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49]
서적
Journey to Lhasa and Central Tibet
1902
[50]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51]
서적
2004
[52]
서적
Tibetan Civilization
Faber & Fab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53]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Tibet. From Chinese Sources
1880
[54]
서적
Documents de Touen-houang relatifs à l'Histoire du Tibet
Libraire orientaliste Paul Geunther
1940
[55]
서적
1981
[56]
서적
Tibet: A Politic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967
[57]
서적
Tibet: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13
[58]
서적
チベット
[59]
서적
チベット史
[60]
서적
裸形のチベット チベットの宗教・政治・外交の歴史
[61]
서적
チベット仏教世界の形成と展開
[62]
서적
ソンツェンガンポ
[63]
서적
チベット仏教世界の形成と展開
[64]
서적
チベット
[65]
서적
中央アジア史
[66]
서적
チベット
[67]
서적
チベット
[68]
서적
チベット史
[69]
서적
裸形のチベット チベットの宗教・政治・外交の歴史
[70]
서적
チベット
[71]
서적
裸形のチベット チベットの宗教・政治・外交の歴史
[72]
서적
中央アジア史
[73]
서적
チベット
[74]
서적
チベット
[75]
서적
チベット
[76]
서적
裸形のチベット チベットの宗教・政治・外交の歴史
[77]
서적
チベット
[78]
서적
アジア歴史事典
[79]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80]
서적
チベット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