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정현은 대한민국의 가톨릭 사제이다. 1975년 인혁당 사건 관련자들의 장례 미사를 치르려다 경찰에 저지당하며 다리를 다쳐 5급 장애를 얻었고, 유신독재에 반대하며 투옥되기도 했다. 1987년부터는 익산에서 노동운동에 투신했으며, 통일운동, 주한미군지위협정 개정운동,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 운동, 용산참사 규명운동 등 사회운동에 참여했다. 1992년 범민족대회 추진 상임공동본부장을 맡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반미 운동과 평화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한진중공업 사태, 제주 해군기지 건설 반대 등 다양한 사회 현안에 참여했다. 2000년 한겨레21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고, 2012년 광주인권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 - 앤지 젤터
앤지 젤터는 영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로서, 스노우볼 캠페인 창설, 핵무기 반대 운동, 팔레스타인인 권리 옹호, 제주 해군 기지 건설 반대 시위 참여 등 다양한 사회 운동을 펼쳤으며, 2014년 흐란트 딩크 상을 수상하고 자신의 활동을 기록한 책을 출판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지정환
지정환은 벨기에 출신의 천주교 신부로, 임실 치즈 생산과 농촌 발전에 기여했으며, 유신헌법 반대 운동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장애인 복지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특별 귀화를 통해 임실 지씨의 시조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함세웅
함세웅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겪고 사제의 길을 걸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 함세웅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974년 결성되어 박정희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함세웅 - 김동한 (1919년)
김동한은 천주교 순교자 집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초대 군종 신부이자 김수환 추기경의 형이며, 사제 서품 후 사목 활동과 해군 군종 신부로 복무하며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설립하여 초대 회장으로 활동했다.
문정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문정현 신부 |
이름 | 문정현 (발도로메오) |
출생일 | 1940년 8월 20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사제 |
학력 | |
학력 |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
학력 | 메리놀신학교 대학원 |
사목 활동 | |
소속 | 천주교 |
사제 서품 | 1966년 |
관련 단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 |
활동 | |
주요 활동 | 민주화 운동 반미 군사 기지 시위 |
수상 | 광주인권상 (2012년) |
수상 | 한겨레통일문화상 (2000년) |
2. 생애
문정현은 36세 때인 1975년 인혁당 사건 관련자 사형 집행 후 함세웅 신부 등 가톨릭 사제들과 장례 미사를 치르려다 경찰의 시신 탈취에 맞서 싸우던 중 차에 다리가 깔려 5급 장애를 얻었다.[9] 1976년에는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민주화, 노동, 통일, 반미, 평화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80년대에는 반미 운동 지도자로 활동했고, 1999년에는 SOFA 개정 반대 운동을 이끌었다.[7] 2002년에는 여중생 사망 사건 이후 미군 주둔 반대 집회에서 연설했고,[3] 캠프 험프리스 확장 반대 운동에도 참여했다.[4] 2011년부터는 강정마을 해군기지 설치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2]
2012년 5월 18일, 광주인권상을 수상했다. 수상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톨릭 사제 문정현은 평생 동안 평화와 정의를 위해 헌신해 왔다. 그의 관심은 1970년대 독재 정권의 초법적 살인에 맞서 싸우는 것에서부터 1980년대 군사 정권, 그리고 오늘날까지 제주 강정 해군기지 건설 반대 투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가톨릭 성직자는 불의와 국가 권력의 남용에 저항하는 동시에 사회적 약자를 격려하고 환경 및 평화 운동을 펼쳐왔다.[7]
2. 1. 민주화 운동
유신 시절인 1975년, 인혁당 사건 관련자의 사형이 집행된 후 함세웅 신부 등 가톨릭 사제들과 장례 미사를 치르고자 했다. 이 때 크레인을 동원한 경찰의 시신 탈취에 맞서다 차에 다리를 깔려 5급 장애를 얻었다.[9] 1976년에는 유신독재를 비판하는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으로 투옥되었고, 1987년부터는 익산의 창인동 성당 주임신부로 있으면서 노동운동에 투신, 노동자의 아버지로 불리며 1999년까지 노동현장에서 활동했다.이후 통일운동과 불평등한 SOFA 개정운동,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 운동, 용산참사 규명운동 등에 투신해 왔다. 1986년부터 2008년 1월까지 전북 익산에서 정신지체아동 보호시설인 작은 자매의 집을 운영하였다.[9]
1992년 범민족대회 추진 상임공동본부장을 맡으면서 1996년 6월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인 이승환 등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북한 조평통 서기국장 한시해, 범민련 북측본부 사무총장 정응렬 등을 만나 1996년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남북이 공동으로 평화통일민족대회를 개최하고 주한미군 철수 및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하는 공동 합의문을 작성하여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었다. 2003년 1월 27일 대법원 2부(주심 강신욱 대법관)는 1996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북한 조평통 인사들과 남북공동 평화통일민족대회 개최를 위한 회합을 가진 혐의(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기소된 문정현 신부(64)에 대해 "지난 74년 남북공동선언과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공동선언 발표 등으로 남북간 화해와 평화적 공존 구도가 정착됐음은 별론으로 하고 현실적으로는 북한의 적화통일정책 포기와 민주적 변화가 보이지 않는 이상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한 국가보안법이 규범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없다"며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국가보안법상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는 이유로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2011년에는 한진중공업 사태의 희망버스, 제주도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설치 반대 폭동 등의 현장에서 활동하기도 했다.[9]
문정현은 주로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전두환 대통령에 반대하는 민중 봉기인 5.18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0년대에 문정현은 시위에 참여하고, 민주화 시위자들을 정부가 살해한 것에 대응하여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을 창립했다. 1976년, 그는 미래 대통령인 김대중과 함께 투옥되었다.[2] 1986년, 그는 민주 헌법 제정을 지지하는 집회와 단식 투쟁에 참여했다.[7]
2. 2. 노동 운동
1987년부터 익산의 창인동 성당 주임신부로 있으면서 노동운동에 투신, '노동자의 아버지'로 불리며 1999년까지 노동 현장에서 활동했다.[9] 이후 통일운동과 불평등한 SOFA 개정 운동,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 운동, 용산참사 규명 운동 등에 투신했다.[9] 2011년에는 한진중공업 사태의 희망버스, 제주도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설치 반대 폭동 등의 현장에서 활동하기도 했다.2. 3. 통일 운동
1992년 범민족대회 추진 상임공동본부장을 맡았던 문정현은 1996년 6월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 이승환 등과 함께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북한 조평통 서기국장 한시해, 범민련 북측본부 사무총장 정응렬 등을 만나 1996년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남북 공동으로 평화통일민족대회를 개최하고 주한미군 철수 및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하는 공동 합의문을 작성하여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었다.[9] 2003년 1월 27일, 대법원 2부(주심 강신욱 대법관)는 문정현(64)에게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판결문에서 "지난 74년 남북공동선언과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공동선언 발표 등으로 남북간 화해와 평화적 공존 구도가 정착됐음은 별론으로 하고 현실적으로는 북한의 적화통일정책 포기와 민주적 변화가 보이지 않는 이상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한 국가보안법이 규범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없다"며 "북한을 반국가단체로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국가보안법상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고 밝혔다.[9]이후 문정현은 통일운동과 불평등한 SOFA 개정운동,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반대 운동, 용산참사 규명운동 등에 투신해 왔다.[9]
2. 4. 반미 운동과 평화 운동
1975년 인혁당 사건 관련자 사형 집행 후, 문정현은 함세웅 신부 등 가톨릭 사제들과 함께 장례 미사를 치르려 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의 시신 탈취에 맞서다 차에 다리가 깔려 5급 장애를 얻었다.[9] 1980년대에 문정현은 한국에서 반미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으며, 미군 주둔을 "점령군"으로 묘사했다. 처음에는 한국의 보수성과 반미주의와 공산주의의 연관성 때문에 미미했지만, 수십 년에 걸쳐 주류 운동으로 성장했다.[7]1999년 한국과 미국 간의 주둔군 지위 협정(SOFA) 재협상에 반대하는 대중 행동을 이끌었다.[7] 2002년 12월에는 양주 여중생 사망 사건 이후, 미군 주둔에 반대하는 집회에서 연설했다.[3]
문정현은 캠프 험프리스 확장 반대 운동인 대추리 사태의 지도자로 수년간 활동했다.[4] 기지 확장은 규모를 세 배로 늘렸고, 많은 주민들이 고향 마을에서 쫓겨나게 했다.[6] 2005년 대규모 시위로 시위대와 진압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한 후, 그의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다.[5] 2년 후, 문정현은 확충 부지를 더 이상 막을 수 없게 되었음을 인정했지만, 활동가들의 대의가 "정당"하며 언젠가는 미군이 한국을 떠나야 할 것이라는 자신의 믿음을 굽히지 않았다.[6]
2011년 문정현은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설치 반대 폭동 현장에서 활동했다.[2] 2012년 4월에는 시위 중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에서 떨어져 여러 척추뼈가 골절되었다.[7]
1992년 범민족대회 추진 상임공동본부장을 맡으면서 1996년 6월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인 이승환 등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북한 조평통 서기국장 한시해, 범민련 북측본부 사무총장 정응렬 등을 만나 1996년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남북 공동으로 평화통일민족대회를 개최하고 주한미군 철수 및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하는 공동 합의문을 작성하여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되었다. 2003년 1월 27일 대법원은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3. 수상
2000년 문규현 신부와 함께 한겨레21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으며, 한겨레통일문화상을 받았다.
2012년 광주인권상을 받았다.[7]
4. 저서 및 관련 서적
불어라 평화 바람한국어 (문정현 공저, 2008년 검둥소 출판)
신부님 평화가 뭐예요-길 위의 신부 문정현한국어 (김평 저, 2006년 우리교육 출판)
4. 1. 저서
- 《불어라 평화 바람》 (평화바람, 문정현 공저, 2008년 검둥소 출판)
4. 2. 관련 서적
5. 공연
2010년 11월 4일부터 11월 6일까지 화암홀에서 문정현 신부 헌정 콘서트 〈가을의 신부, 길 위의 신부〉가 열렸다.[10]
참조
[1]
웹사이트
Rev. Bartholomew Mun Jeong Hyeon
https://directory.cb[...]
[2]
웹사이트
Human Rights Prize Winner Mun Jeong-hyeon
http://www.gwangjune[...]
2012-06-04
[3]
웹사이트
Anti-US protests grow in Seoul
http://news.bbc.co.u[...]
BBC News
2002-12-08
[4]
웹사이트
Turmoil, barbed wire surround rice fields
http://www.stripes.c[...]
2006-05-13
[5]
웹사이트
Ten injured in protest near U.S. military base
http://koreajoongang[...]
2005-08-08
[6]
웹사이트
Ceremonies honor residents driven from lands slated for Humphreys expansion
http://www.stripes.c[...]
2007-04-09
[7]
웹사이트
2012 Gwangju Prize for Human Rights Award Ceremony
http://eng.518.org/e[...]
518.org
2012-05-09
[8]
웹사이트
문정현 바르톨로메오 신부
https://web.archive.[...]
[9]
웹인용
이 어른을 소개합니다 - 문정현 신부
http://old.ddanzi.co[...]
딴지일보
2011-07-27
[10]
웹인용
문정현 신부 헌정공연 열린다
http://www.nahnews.n[...]
가톨릭뉴스
2011-07-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벼랑 끝 KT ‘반격의 1승’…허훈 “0%의 기적 만들 것”
허훈·문정현 앞세운 케이티, 에스케이 꺾고 2패 뒤 1승
프로농구 KT, 벼랑 끝에서 반격…SK에 13점 차 승리
‘챔프전 진출’ 100% 확률 잡았다…프로농구 SK, 4강 PO 2차전도 승리
허훈 결승포…4강 PO 막차 탄 KT
허훈 ‘2.8초 결승골’…KT, 현대모비스와 함께 4강 PO 진출
‘35점’ 오늘은 허훈의 날…KT, 한국가스공사 꺾고 4강 PO까지 ‘1승’
허훈 18득점 활약…프로농구 6강 PO KT, 한국가스공사 꺾고 1승1패
새만금 지키려 다시 길 위에 선 문정현 신부
‘길 위의 신부’ 문정현, 다시 길에 섰다
'하윤기 18점' 프로농구 kt, 삼성 꺾고 2연승…2위와 1경기 차
프로농구 kt, 2위 LG 잡고 공동 3위로…'4강 PO 보인다!'
“사법살인 등 단죄 못한 국가폭력이 민주주의 위기 불렀죠”
프로농구 2위 노리는 kt, 소노 물리치고 파죽의 5연승
프로농구 KT, 가스공사 1점 차로 잡고 4연승
불타는 망루 “여기 사람이 있다”…용산 참사의 진실 찾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