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알래스카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알래스카 육군은 1867년 알래스카 매입 이후 창설되어 알래스카의 방위와 발전에 기여했다. 초기에는 알래스카 원주민과의 갈등 중재, 자원 보호 임무를 수행했으며, 골드 러시 시대에는 통신망 구축과 도로 건설 등에도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알류샨 열도 방어전을 수행했고, 냉전 시기에는 소련의 핵 공격에 대비하여 미사일 기지를 운영했다. 1990년대 이후 USARAK로 재편성되었으며, 2022년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되어 북극 지역 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현재는 제25보병사단 예하 부대와 알래스카 육군 방위군, 예비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867년 Alaska Military District|알래스카 군관구영어가 창설된 이후, 1940년 Alaska Defense Force|알래스카 방위대영어가 창설되었다. 1941년에는 알래스카 방위사령부 본부 및 군사경찰중대(Headquarter and Military Police Company, Alaskan Defense Command|영어)와 본부(Headquarters, Alaska Defense Command|영어)가 창설되었다.
2. 역사
1943년 알래스카 방위사령부 본부중대(Headquarter Company, Alaskan Defense Command|영어)와 알래스카 지부 본부(Headquarters, Alaskan Department|영어)가 창설되었고, 같은 해 알래스카 지부(Alaska Department영어)로 개편되었다.
1947년 1월 1일, 미국 알래스카 육군(United States Army Alaska (USARAL)|영어)이 창설되었고, 11월 15일에는 본부(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Alaska|영어)가 설치되었다. 1994년 7월 6일에는 미국 알래스카 육군 본부 및 본부분견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United States Army Alaska (HHD, USARAK)|영어)로 개편되었다.
2. 1. 알래스카 개척 및 초기 미 육군 주둔 (1867년 ~ 1877년)
1867년 10월 18일, 미국 정부는 국고가 바닥난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알래스카를 매입했다. 제9보병연대 F중대와 제2포병연대 H포대가 알래스카의 첫 방위군으로서 배치되어 시트카에서 성조기를 게양했다.[4]
미 육군은 새로운 영토에서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아 봉기를 진압하고 랭글, 세인트폴 운하, 코디액 섬, 케나이 반도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러시아 통치 기간 동안 개체 수가 심각하게 감소한 물개 사냥에 관한 규정을 시행했다.[4]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병력이 수백 명에 불과했지만, 기강 해이와 원주민에게 불법적으로 총과 술을 공급하는 문제를 막지 못했다. 일부 병사들은 이러한 불법 거래를 돕기까지 했다. 1868년부터 1869년까지 알래스카 육군 주둔 병력의 20% 이상이 군사 재판을 받았으며, 1870년에는 예산이 대폭 삭감되어 시트카를 제외한 모든 군사 기지가 폐쇄되었다.[4]
2. 2. 19세기 말 ~ 20세기 초: 골드 러시와 군사적 확장 (1877년 ~ 1939년)
1877년, 미 육군은 시트카를 폐쇄하고 알래스카 통제권을 미국 재무부에 넘겼다. 그러나 통신대는 기상 관측소를 운영했고, 여러 장교들이 지리 탐사를 진행하며 알래스카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했다.[4] 클론다이크 골드 러시와 알래스카 골드 러시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알래스카로 유입되면서, 미 육군은 1900년까지 12개 이상의 주둔지를 건설하며 알래스카로 복귀했다.[4]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알래스카와 북서부 캐나다로 유입되면서, 미국 본토와의 더 나은 통신 연결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아돌푸스 W. 그릴리 준장의 지휘 하에 워싱턴-알래스카 군사 케이블 및 전신 시스템(WAMCATS)이 구축되어 알래스카 영토 내 모든 요새를 시애틀과 연결했다. 1903년까지 이 통신선은 시애틀에서 알래스카 남동부, 발데즈, 내륙, 그리고 놈까지 연결되었다. 훗날 군사적 명성을 얻게 되는 윌리엄 "빌리" 미첼 중위 또한 이 4년간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와일드스 P. 리처드슨은 알래스카 도로 위원회를 이끌며 알래스카 남부와 중부에 주둔지와 길을 건설했다.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잠시 증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1908년부터 1939년까지 활동이 감소했다. 이 기간 동안 도로와 교량을 건설하고, 길을 개선하는 작업이 지속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하여 ''Alaska Defense Force|알래스카 방위군영어''이 창설되었다. 당시 알래스카에서는 랜드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군용기를 라드 육군비행장과 빅델타 육군비행장에 모아 추축국에 대항하는 영국과 소련 등에 군수품을 보냈다. 래드 야전(Ladd Field)은 혹한기 테스트 기지로, 와일즈 P. 리처드슨의 이름을 딴 포트 리처드슨(Fort Richardson)은 앵커리지 근처에 건설되었다. 사이먼 볼리바 부크너 주니어(Simon Bolivar Buckner Jr.) 대령은 1940년 알래스카 방위군 사령관을 맡아, 그 후 3년 동안 알래스카 부서로 발전하는 동안 소장으로 진급했다.
무기 대여법(Lend-Lease)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은 약 8,000대의 항공기를 소련에 래드 야전으로 이전했는데, 이곳은 나중에 포트 웨인라이트(Fort Wainwright)가 되었다. 이 항공기는 미국인 조종사들이 몬태나주 그레이트 폴스에서 래드 야전까지 비행했다. 이후 러시아 조종사들이 이 비행기를 시베리아로, 그리고 러시아 전선으로 비행했다. 그레이트 폴스를 출발한 조종사들은 노스웨스트 스테이징 루트(Northwest Staging Route)로 알려진 일련의 작은 비행장을 따라갔다. 그 비행장 중 하나인 빅 델타 비행장(Big Delta Airfield)은 나중에 포트 그릴리(Fort Greely)가 되었다.
1941년 일본 제국 해군이 진주만 공격을 하자, 미국 정부는 알류샨 제도로 공격해올 가능성을 열어두고 맞설 준비를 하였다. 미국 육군 공병대는 알래스카 고속도로를 건설하였다. 이 고속도로는 이듬해 민간 계약자들에 의해 모든 날씨에 대응하도록 보강되었다.
알래스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상전이 벌어진 유일한 미국 영토였다. 알류샨 열도 전역(Aleutian Islands Campaign)은 1942년 6월 더치 하버 전투(Battle of Dutch Harbor, 더치 하버 폭격)와 아투 점령(Japanese occupation of Attu) 및 키스카 점령(Japanese occupation of Kiska) 이후 시작되었다. 1943년 5월 미국이 아투 전투(Battle of Attu)에서 아투를 탈환하였다. 일본군은 1943년 7월 말, 미국과 캐나다군이 1943년 8월 중순에 코티지 작전(Operation Cottage)으로 섬을 점령하기 몇 주 전에 키스카에서 비밀리에 철수했다.
2. 4. 냉전 시대 (1945년 ~ 1991년)
1947년 1월, 국방부 산하 최초의 통합 사령부인 알래스카 사령부(ALCOM)가 창설되어 알래스카의 모든 군사력을 통제했다.[5] 같은 해, 알래스카 부서가 미국 알래스카 육군(USARAL)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알래스카 주둔 육군 병력 전체를 지휘하게 되었다.[5] USARAL은 알래스카 지상 및 항공 방어, 혹한 및 산악전 교리 개발, 포트 그리리의 혹한 및 산악 학교 운영, 공군 및 해군 부대에 대한 물류 지원, 방위군 및 예비군 훈련, 예비 장교 훈련단(ROTC) 활동 감독, 핵 공격으로부터의 복구를 포함한 내부 보안 제공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5]
1950년대에는 앵커리지와 페어뱅크스 지역에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 대대가 배치되어 소련의 핵 공격에 대비했다. 이 미사일 부대는 1979년까지 운용되었다.[5] 1950년대에 래드 공군 기지에는 유콘 사령부가 설치되어 알래스카 산맥 북쪽 군사 시설 방어를 담당했으며, 보병 및 대공 부대가 주둔했다. 제4 연대 전투단과 제9 "만추" 보병 연대의 제1전투단 등이 래드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5] 1959년에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나이키 허큘리스 지대공 미사일(SAM)을 갖춘 나이키 대대가 내부 방어 임무를 맡았다.[5]
알래스카에는 제43 방공 포병 연대 제1대대(이전 제4대대)와 제562 방공 포병 연대 제2대대, 총 두 개의 나이키 미사일 대대가 주둔했다.[5] 이들은 USARAL 포병 그룹의 지휘를 받았으며, USARAL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했다.[5] 1964년, USARAL 방공 포병 그룹이 활성화되었고, 1968년 1월 제87 포병 그룹(방공)으로 개명되었다.[6] 제4/43 ADA는 앵커리지를, 2-562 ADA는 페어뱅크스 지역을 방어했다. 1971년, 제1대대, 제43 방공 포병으로 재지정되었고, 2/562 ADA는 해체되었다.[6]
1963년 7월, 미 육군은 알래스카 육군의 전투 부대를 재편성하여 포트 리처드슨에 제172보병여단을, 포트 웨인라이트에 제171보병여단을 창설했다. 이 두 여단은 1969년에 경보병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 5. 1990년대 이후: USARAK 시대와 제11공수사단 재편 (1993년 ~ 현재)
1994년 7월, 알래스카 육군 부대는 포트 리처드슨에 사령부를 둔 미국 육군 알래스카(USARAK)의 지휘 하에 재편성되었으며, 제172보병여단은 포트 리처드슨과 포트 웨인라이트에 분산 주둔하는 주요 전투 부대로 남게 되었다.[7]
미국 육군 알래스카(USARAK)는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와 포트 웨인라이트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USARPAC)의 주요 예하 부대로 배치되었다. USARAK는 전 세계 통합 육상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훈련되고 준비된 병력을 제공하고, 안정적이고 안전한 작전 환경에 기여하기 위해 태평양/북극에서의 극장 교전과 알래스카 합동 작전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지원했다. 제25보병사단 제1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은 페어뱅스 인근 포트 웨인라이트에, 제4 여단 전투단 (공중강습)은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 본부를 두었다. 북부전 훈련소(NWTC)와 미 육군 알래스카 주둔지, 크리스토퍼 R. 브레바드 하사관 학교 및 제17전투지원지속대대의 일부 부대도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 주둔했다.[7]
제3기동강화여단을 대체하여 2011년 9월 30일에 창설되었던 제2공병여단은 2015년 5월 15일에 해산하였다.[15][16]
2022년 6월 6일, USARAK는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11 공수사단으로 재지정된 이후, 모든 현역 예하 부대는 새로운 사단으로 흡수되었다.
3. 부대
미국 알래스카 육군 내 현역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8]3. 1. 현재 (2022년 제11공수사단 재편 이후)
2022년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된 이후, 미국 알래스카 육군(USARAK)의 현역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8]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와 포트 웨인라이트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USARPAC)의 주요 예하 부대로 배치되어 있다.
미국 알래스카 육군은 전 세계 통합 육상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훈련된 병력을 제공하고, 태평양 및 북극 지역의 극장 교전과 알래스카 합동 작전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지원하여 안정적이고 안전한 작전 환경에 기여한다.[7]
(하위 섹션과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주요 부대 구성에 대한 언급은 생략)
3. 1. 1. 포트 웨인라이트
제25보병사단 제1여단전투단 "북극 늑대"(Arctic Wolves영어)[9]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명칭 |
---|---|
제5기병대대, 제1기병연대 | "블랙 호크" |
제1대대, 제5보병연대 | "밥캣" |
제1대대, 제24보병연대 | "군단" |
제3대대, 제21보병연대 | "김렛" |
제2대대, 제8야전포병연대 | "오토매틱" |
제70여단 공병대대 | "코디액" |
제65병기중대(폭발물 처리)[10] | |
제25여단 지원대대 | "오파히" |
북극 지원 사령부 (임시) 예하, 포트 웨인라이트의 제17CSSB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비고 |
---|---|
제539수송중대(혼성)[11] | JBER의 제17CSSB에 예속 |
제574병참중대[12] (혼성 보급) | JBER의 제17CSSB에 예속 |
제626병참중대(야전 급식) | JBER의 제17CSSB에 예속 |
제28헌병파견대(법 집행) | JBER의 제17CSSB에 예속 |
제549헌병파견대(군견) |
이외에 포트 웨인라이트에 주둔하는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북부 전장 훈련소
- 제1대대, 제52항공연대(일반 지원) (JBLM의 제16CAB에 예속)
- 제1대대, 제25항공연대(공격 정찰) (휠러 AAF의 CAB, 제25사단에 예속)
- D중대, 제25항공연대(그레이 이글) (휠러 AAF의 CAB, 제25사단에 예속)
- 알래스카 MEDDAC
3. 1. 2.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JBER)
- 미국 알래스카 육군 본부
- 제4보병여단 전투단 (공수), 제25보병사단, "스파르탄"[8]
- * 제1기병대대, 제40기병연대, "데날리"
- * 제1대대, 제501보병연대, "1 제로니모"
- * 제3대대, 제509보병연대, "3 제로니모"
- * 제2대대, 제377야전포병연대, "스파르탄 스틸"
- * 제6여단 공병대대, "북극 사퍼"
- ** 제716병기중대 (폭발물 처리)
- * 제725여단 지원대대, "센츄리온"
- ** 제241병참중대(여단 공중 투하)
- JBER의 북극 지원 사령부 예하 부대:[8]
- * 제17전투 지원 지속 대대(포트 웨인라이트의 북극 지원 사령부에 예속)
- ** 제4병참중대(극지 공중 투하)
- ** 제109수송중대
- ** 제205병기 파견대 (모듈형)
- ** 제98정비중대 (지원)
- ** 제486이동 통제팀
- ** 제95화학중대
- ** 제545헌병파견대(법 집행)
- ** 제9육군 군악대
- * SFC 브레바드 NCO 아카데미
- 육군 야전 지원 대대 - 알래스카 (제402육군 야전 지원 여단에 예속)
- 제59통신대대/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센터 (제516신호여단의 예속 부대)
- * 본부 및 본부 파견대
- * 제507신호중대[13] (포트 그릴리)
- * C중대, 제307신호대대 (원정군)[14]
3. 1. 3. 알래스카 육군 방위군
- 알래스카 육군 방위군:
- * 합동 전력 본부
- ** 제207다기능 훈련 연대
- ** 모집 및 유지 대대
- ** 의무 파견대
- * 제38군단
- ** 제1대대, 제207항공연대(일반 지원)
- ** 제1대대, 제297보병연대
- ** 제49미사일 방어대대
- * 제297지역 지원 그룹
- ** 제297군사 경찰 중대
- ** 제208건설 관리팀
- ** 제207공병 파견대 (유틸리티)
- ** 제134공보 파견대
- ** 제49인사 파견대
3. 1. 4. 미국 육군 예비군
알래스카 육군 방위군과 미국 육군 예비군은 주 전역에 위치한다.[8]- '''알래스카 육군 방위군'''
- * 합동 전력 본부
- ** 207th Multi-Functional Training Regiment|제207다기능 훈련 연대영어
- ** 모집 및 유지 대대
- ** 의무 파견대
- * 38th Troop Command|제38군단영어
- ** 제207항공연대 1대대 (일반 지원)
- ** 제297보병연대 1대대
- ** 제49미사일 방어대대
- * 297th Regional Support Group|제297지역 지원 그룹영어
- ** 297th Military Police Company|제297군사 경찰 중대영어
- ** 208th Construction Management Team|제208건설 관리팀영어
- ** 207th Engineer Detachment|제207공병 파견대영어 (유틸리티)
- ** 134th Public Affairs Detachment|제134공보 파견대영어
- ** 49th Personnel Detachment|제49인사 파견대영어
- '''미국 육군 예비군'''
- * 제196보병여단 2대대
- * B Company, 411th Engineer Battalion|B중대, 제411공병대대영어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웹사이트
U.S. Army in Alaska Homepage
https://www.home.arm[...]
2021-07-22
[3]
웹사이트
Army Creating Second Paratrooper Division as Service Forges New Identity for Arctic Troops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5-05
[4]
서적
Stepping stones to nowhere: the Aleutian Islands, Alaska, and American military strategy, 1867-1945
Naval Institute Press
2003
[5]
문서
U.S. Army Alaska, 'Nike Operations in Alaska,' Chapter 4
[6]
웹사이트
Woodman, Duty Station Northwest, Vol. 111, p. 154, cited at http://nikealaska.org/87th/87th.html
http://nikealaska.or[...]
[7]
웹사이트
History :: United States Army in Alaska
https://home.army.mi[...]
2021-09-24
[8]
웹사이트
Joint Base Elmendorf-Richardson > Units > Army
https://www.jber.jb.[...]
2019-07-23
[9]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1st BRIGADE COMBAT TEAM, 25th INFANTRY DIVISION
https://history.army[...]
[10]
웹사이트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https://history.army[...]
[11]
웹사이트
539th Transportation Company
https://history.army[...]
[12]
웹사이트
574th QUARTERMASTER COMPANY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3]
웹사이트
507th Signal Company
https://history.army[...]
[14]
웹사이트
319th Signal Battalion
https://history.army[...]
[15]
뉴스
The 2nd Engineer Brigade stands up at JBER
http://www.jber.jb.m[...]
2nd Engineer Brigade Public Affairs
2016-04-16
[16]
뉴스
2d Engineer Brigade bids FAREWELL
http://www.jber.jb.m[...]
U.S. Army Alaska Public Affairs
2016-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