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공수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이후 해체되었다가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창설되었다. 현재는 알래스카에 주둔하며 제1, 2여단전투단과 극지항공사령부, 극지지원사령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제11공수사단은 북극 작전에 특화된 부대로, 부대 조직과 임무는 육군 내 다른 부대와 차별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부대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 알래스카주의 부대 - 미국 알래스카 육군
미국 알래스카 육군은 1867년 알래스카 군관구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개편을 거쳐 현재는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성되어 알래스카와 태평양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육군 부대이다. - 미국 육군의 공수사단 - 제101공수사단
제101공수사단은 미국 육군의 공수사단으로, 뛰어난 전투력과 다양한 참전 경력을 바탕으로 미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는 유럽에 배치되어 NATO 동부 전선을 강화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미국 육군의 공수사단 - 제82공수사단
제82공수사단은 전 세계 신속 전개가 가능한 미국 육군의 공수부대로, "올 아메리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 투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 제11공수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별칭 | 북극의 천사들 ("Arctic Angels") |
| 특별 지정 | 천사 ("Angels") (과거) |
| 표어 | Americas Arctic Angels-Arctic Tough |
| 역사 | |
| 창설 | 1943년 2월 25일 |
| 해체 | 1958년 6월 30일 |
| 재창설 | 1963년 2월 1일 |
| 재해체 | 1965년 7월 3일 |
| 재활성화 | 2022년 6월 6일 - 현재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뉴기니 전역 필리핀 전역 (1944–1945) 레이테 전투 루손 전투 마닐라 전투 (1945) 로스 바뇨스 기습 일본 점령 한국 전쟁 |
| 규모 | |
| 사단 규모 | 사단 |
| 병과 | 공수 부대 |
| 종류 | 공중 강습 보병 |
| 특기 | 공중 강습 항공 수송 대전차전 포병 관측 폭탄 제거 CBRN 방어 근접 항공 지원 근접전투 한랭지전 합동 작전 화력 지원 HUMINT 간접 사격 ISTAR 기동전 군사 공병 낙하산 기습 정찰 SIGINT 도시전 |
| 지휘부 | |
| 현재 사령관 | 소장 조지프 힐버트 |
| 참모 상사 | CSM 번 B. 데일리 |
| 지원 담당 부사단장 | 준장 토머스 E. 버크 |
| 작전 담당 부사단장 | 준장 로버트 W. 맥브라이드 (캐나다 육군) |
| 편성 | |
| 상위 부대 | 제1군단 알래스카 사령부 |
| 예하 부대 (1942–45) | 제187글라이더보병연대 제188글라이더보병연대 제511낙하산보병연대 제541낙하산보병연대 (1945년 7월 배속, 187, 188, 511연대로 인원 흡수 후 해체) 사단 포병 사단 포병 본부 포대 제457낙하산야전포병대대 (75mm) 제472글라이더야전포병대대 (75mm) 제674글라이더야전포병대대 (75mm) (1945년 7월 낙하산야전포병대대로 전환) 제675글라이더야전포병대대 (105mm) 제152공수대공포대대 (M2 기관총 및 57mm 대전차포) 사단 직할대 제127공수공병대대 제408공수병참중대 제11낙하산정비중대 제711공수병기중대 제221공수의무중대 제511공수통신중대 |
| 기지 | |
| 주둔지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 기지, 앵커리지, 알래스카 |
| 휘장 | |
![]() | |
![]() | |
![]() | |
![]() |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11thairbornedivision.army.mil |
2. 역사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2월 25일에 편성되었다. 1개 공수보병 연대, 2개 글라이더 보병 연대, 지원 부대로 구성된 사단은 1943년 중에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 허스키 작전에서 큰 손실을 입어 연합군 내에서 대규모 공수 부대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놀우드 훈련에 참가하여 성공함으로써 이를 불식시켰다.
1944년 전반기에는 미국에서 예비역으로 주둔했지만, 6월에는 아시아 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하여 11월까지 전투 준비 훈련을 받았다. 이후 레이테 섬 전투에서 보병 부대로서 첫 전투에 참가했고, 1945년 1월에는 루손 섬 전투에도 참가했다. 타이가이타이 능선에서 첫 전투 강하를 실시했고, 마닐라 전투에서는 로스 바뇨스 강제 수용소 습격 작전에 참가하여 약 2,000명의 민간인을 해방했다. 제11공수사단의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전투는 루손 섬 북부 아파리 주변에서 저항하는 일본군을 제압하기 위한 미국군과 필리핀군 연합군의 작전이었다.
1945년 8월 30일, 제11공수사단은 일본 점령군의 일부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4년 후 미국으로 귀환하여 훈련 부대로 재편되었지만, 제187공수보병연대는 한국 전쟁에 참가했다. 1958년 6월 30일, 사단은 해산되었다.
1963년 2월 1일, 공중 강습 전술을 시험하기 위해 제11공중강습사단으로 일시 재편성되었으나, 1965년 7월 3일에 해산되었다. 사단의 인원과 장비는 제1기병사단으로 이관되었다.
2022년 5월 3일, 상원 군사위원회 공청회에서 크리스틴 워머스육군 장관은 2022년 여름에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을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제25보병사단의 제1여단 전투단과 제4여단 전투단은 제11공수사단의 제1여단 전투단과 제2여단 전투단으로 개칭된다.
제11공수사단의 역대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 기간 | 지휘관 |
|---|---|
| 1943년 2월 - 1948년 1월 | 조셉 M. 스윙 |
| 1948년 1월 - 1950년 1월 | 윌리엄 마일리 |
| 1950년 1월 - 1951년 11월 | 라이먼 레민처 |
| 1951년 11월 - 1952년 1월 | 웨인 C. 스미스 |
| 1952년 1월 - 1953년 4월 | 리글리 가이서 |
| 1953년 4월 - 1955년 5월 | 웨인 C. 스미스 |
| 1955년 5월 - 1956년 9월 | 데릴 맥다니엘 |
| 1956년 10월 - 1958년 4월 | 휴 P. 해리스 |
| 1958년 5월 - 1958년 6월 | 랄프 쿠퍼 |
| 1963년 2월 - 1965년 7월 | 해리 W. O. 키나드 |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2월 25일에 편성되었다. 1개 공수보병 연대, 2개 글라이더 보병 연대, 지원 부대로 구성된 사단은 1943년 중에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 모든 공수 부대는 엘리트 지위에 걸맞게 훈련 강도가 매우 높았는데, 장거리 행군, 약 10.36m 높이의 타워에서 모의 낙하 훈련, 수송기에서 실시하는 실전 강하 훈련 등이 포함되었으며, 항공기 출입구에서 망설이는 경우에는 즉시 불합격 처리되었다.[10] 탈락률이 높았지만 지원자는 항상 많았는데, 특히 미국 공수 부대는 일반 보병보다 급여가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10]
훈련 완료 전, 미 육군에서는 공수 부대의 최적 사용법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연합군 시칠리아 침공 작전인 허스키 작전에서 공수 부대 역할에 대한 검토 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대규모 편성은 실전에서 통제하기가 너무 어려워 실용적이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13] 레슬리 J. 맥네어 육군 지상군 사령관 또한 비슷한 우려를 표했다. 그러나 조지 마셜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포함한 다른 고위 장교들은 다른 견해를 가졌다.[14]
허스키 작전에서 큰 손실을 본 연합군 내에서는 대규모 공수 부대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나, 제11공수사단은 놀우드 훈련에 참가하여 성공함으로써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1944년 전반기에는 미국에서 예비역으로 주둔했지만, 6월에는 아시아 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하여 11월까지 전투 준비를 위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후 레이테 섬 전투에서 보병 부대로서 첫 전투에 참가했고, 1945년 1월에는 루손 섬 전투에도 참가했다. 마닐라 전투에서는 로스 바뇨스 수용소 기습 작전에 참가하여 약 2,000명의 민간인을 해방했다. 제11공수사단의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전투는 루손 섬 북부 아파리 주변에서 저항하는 일본군을 제압하기 위해 미국군과 필리핀군 연합군이 실시한 작전이었다.
1945년 8월 30일, 제11공수사단은 일본 점령군의 일부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2. 1. 1. 편성
1940년 프랑스 공방전과 1941년 크레타 침공에서 독일군이 대규모 공수 부대를 성공적으로 운용한 것에 영감을 받아,[5] 연합국은 자체 공수 부대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6] 그 결과, 미국에서 5개, 영국에서 2개로 구성된 7개의 공수 사단 중 하나인 제11공수사단은 1943년 2월 25일 노스캐롤라이나 주 캠프 맥칼에서 소장(Major General) 조셉 스윙의 지휘 아래 공식 창설되었다. 당시 사단은 제511공수보병연대, 제187활공보병연대, 제188활공보병연대로 구성되었으며, 병력은 8,321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반 미국 보병 사단의 절반 정도 규모였다.[9]2. 1. 2. 놀우드 훈련
미국 육군에서는 허스키 작전에서 제82공수사단이 큰 피해를 입은 것을 계기로, 대규모 공수부대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육군 지상군 사령관 레슬리 J. 맥네어 중장은 공수부대의 효과에 의문을 품고 있었다.[14] 그러나 미국 육군 참모총장 조지 마셜을 비롯한 다른 고위 장교들은 공수부대의 가능성을 믿고 있었다.[14]결국 1943년 12월로 예정된 대규모 기동 훈련의 결과를 보고 판단하기로 결정되었다.[14] 이 훈련 준비를 위해 미국 육군 항공대(USAAF), 낙하산, 글라이더 보병 및 포병 장교로 구성된 위원회인 '스윙 위원회'가 구성되었고,[12] 훈련에는 당시 미국에서 예비 부대로 있던 제11공수사단이 선정되었다.[16]
제11공수사단은 노스캐롤라이나주포트 브래그에 위치한 무어 카운티 공항(당시 노르우드 육군 보조 비행장)을 공격 부대로 점령하는 임무를 받았다. 이 비행장을 방어하는 부대는 제17공수사단과 제541 낙하산 보병 연대의 대대로 구성된 전투단이었다.[12]
1943년 12월 7일 밤, 제11공수사단은 200대의 C-47 스카이트레인 수송기와 234대의 웨이코 CG-4 글라이더를 이용하여 13곳에 강하했다. 4,800명의 병사 중 85%가 목표 지점에 정확히 강하하여 비행장을 점령하고, 날이 밝기 전에 상륙 지점을 확보했다.[12] 이후 제11공수사단은 증강된 보병 연대와 협력하여 지상 공격을 시작하는 동시에, 미국 육군 항공대 수송기와 연계하여 공중 보급 및 사상자 후송 임무를 실시했다.
이 훈련은 대성공으로 평가되었으며, 맥네어 중장도 만족했다.[12] 허스키 작전 이후 불과 몇 달 만에 이루어진 훈련의 성공은 공수 능력의 발전을 보여주었다. 놀우드 훈련의 결과, 사단 규모 공수 부대의 유용성이 입증되었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원수도 공수사단 편성을 유지하는 것을 허가했다.
2. 1. 3. 태평양 전선
1944년, 제11공수사단은 파푸아뉴기니를 거쳐 필리핀 레이테 섬에 투입되어 첫 전투를 치렀다.[62] 레이테 섬 전투에서는 보병부대로 참전하여 일본군과 교전했다. 11월 18일, 레이테 섬에 도착하여 4일 후 미 육군 제24군단의 지휘 하에 첫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공수 부대가 아닌 보병 부대로 활동했다.[62] 제11공수사단은 브라우엔-라-파스-부고 지역의 제7보병사단을 지원하여 일본군을 격퇴하고, 제24군단의 후방에서 보급 기지와 비행장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12월 6일, 일본군은 레이테 섬 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두 차례 소규모 공수 공격을 감행했다. 첫 번째 공격은 타클로반과 둘라그의 미군 비행장을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두 번째 공격은 전투기 호위를 받은 29~39대의 수송기를 동원한 대규모 공수 공격이었다.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제11공수사단 사령부가 있던 브라우엔 비행장 주변에 공수 부대를 투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격으로 5대의 L-5 센티넬 정찰기와 1대의 C-47 수송기가 파괴되었으나, 일본군은 스윙 소장이 지휘하는 임시 전투단에 의해 격퇴되었다.
1945년 1월, 루손 섬 전투에 참전한 제11공수사단은 1월 31일, 제188글라이더보병연대가 루손 남부 나수그부 근처에서 수륙양용 공격을 이끌었다. A-20 해보크 경폭격기 및 P-38 라이트닝 전투기의 지원을 받아 일본군의 저항을 뚫고 교두보를 확보했다.[38] 제188연대는 나수그부를 빠르게 확보하고 17번 고속도로를 따라 진격하여 일본군이 내륙 방어선을 구축할 시간을 차단했다.


2월 3일, 제511공수보병연대는 P-61 블랙 위도우 야간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타이가이타이 능선에 공중 투입되었다.[40] 48대의 C-47 수송기를 이용해 세 차례에 걸쳐 병력을 투입했다. 강하 과정에서 조종사 실수와 훈련 부족으로 일부 병력이 조기에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했지만, 연대는 집결 후 일본군 저항을 극복하고 제188, 187연대와 합류했다.[41][42]

이후, 마닐라를 향해 진격하며 실랑, 다스마리냐스, 이무스, 바코어를 통과했다. 2월 11일, 겐코 선의 중심부인 니콜스 비행장에 도달하여 2월 12일, 치열한 전투 끝에 비행장을 점령했다.[47]

로스 바뇨스 수용소 기습 작전에서 2,000여 명의 민간인을 구출했다.[62] 2월 23일, 제511공수연대 B 중대는 C-47 수송기 10대에 탑승하여 수용소 인근에 낙하했다. 이와 동시에 사단 정찰대와 게릴라 부대가 수용소 방어 시설을 공격하여 일본군을 제압하고, 상륙 장갑차(Amtracs)를 이용해 민간인들을 안전하게 대피시켰다.[59][60]
필리핀 북부 아파리 지역에서 일본군 잔당을 소탕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2. 1. 4. 일본 점령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는 제11공수사단을 다운폴 작전에 참여시킬 계획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제6군 작전 예비 부대로 대기시키고 필요에 따라 동원할 예정이었다.[76] 그러나 일본의 항복으로 아시아 태평양 전역에서의 전투가 종결되자, 일본 점령을 위한 미군 부대로 선정되었다.[77] 사단 참모는 1945년 8월 11일에 이 명령을 받고 8월 12일에 오키나와현에 도착했다.[78] 이 당시 사단은 99기의 B-24 폭격기, 350기의 C-46 수송기, 150기의 C-47 수송기, 11,100명의 병사, 120대의 차량, 약 116만 파운드(53만 kg)의 장비를 공수했다.[78] 수 주일 오키나와에 주둔하다가 8월 28일에는 요코하마시 교외에 있는 아쓰기 해군 비행장으로 상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8] 이후 비행장 주변 지역을 확보하고 반경 약 4.83km 이내의 모든 일본 민간인과 군인을 대피시키고 최종적으로 요코하마 자체를 점령하라는 명령이었다.[78]
2. 2. 한국 전쟁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제11공수사단 예하 제187공수보병연대와 제674공수야전포병대대는 사단에서 분리되어 제187연대전투단으로 재편되어 한반도에 투입되었다.[82]
1951년 3월 23일, 제187연대는 토마호크 작전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마지막 공수 작전을 수행했으며, 유엔의 1951년 5월~6월 반격에 참여했다. 1951년 6월 26일, 일본으로 재배치되어 전략 예비대가 되었지만, 1952년 5월 24일 거제 포로수용소에서 발생한 포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한국으로 복귀했다. 당시 포로들은 1952년 5월 7일부터 4일 동안 수용소장인 프랜시스 도드 준장을 강제로 붙잡아 인질로 삼았다.[82] 이 사건 이후 1952년 10월 18일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으며, 1953년 6월 22일 마지막으로 한국으로 복귀했다. 이 부대는 1955년 7월 미국으로 귀환했다.
제187연대 소속으로 한국 전쟁에서 공을 세워 명예 훈장을 수여받은 군인은 다음과 같다.
2. 3. 독일 주둔과 해체
제11공수사단은 작전 쟈이로스코프의 일환으로 1956년 초 독일로 파견되어 아우크스부르크와 뮌헨에 주둔해 있던 제5보병사단을 대체했다.[86] 사단 이동 중 제187연대 전투단(RCT)은 포트 캠벨로 이동하여 제11사단이 비워둔 캠프를 인수했다. 그해 7월 제187RCT는 제508 ARC와 함께 새로 재활성화된 제101공수사단으로 전출되었다.[84]미국 육군이 조직 구조를 펜토믹 개념으로 개편하면서 제187연대의 대대는 공수 전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57년 초 제187공수보병연대 A중대의 계보는 제187보병 제1공수 전투단의 HHC로 재지정되었고 (인원과 장비 제외) 아우크스부르크로 행정상 전출되어 이전의 모부대에 합류하여 제11공수사단의 기존 인원과 장비로 구성되었다.[83] 제187보병 제2공수 전투단의 HHC는 제187공수보병연대 B중대의 계보로 형성되었으며, 1964년까지 제101사단에 남았다.[84] 제3대대는 해체되었다.[85]
1958년 7월 1일, 제11사단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해체되었고, 제24보병사단으로 재편성 및 개편되었다. 제187보병 제1공수 전투단과 제503보병 제1공수 전투단은 제24사단 내에서 공수 지정 및 강하 상태를 유지했으며, 두 부대 모두 포트 브래그의 제82공수사단에 배속되기 위해 미국으로 복귀할 때까지 유지되었다.[86]
2. 4. 제11공중강습사단 (시험)


1960년, 고든 바이롬 로저스 중장은 육군 항공 요건 평가 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그는 미국 육군의 주요 공수 능력으로 UH-1 휴이와 CH-47 치누크 두 대의 헬리콥터를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위원회는 운용상의 구체적인 사용에 대한 연구 및 이를 위한 시험 부대 창설 가능성을 언급했다.[87]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초대 육군 항공국장 해밀턴 H. 하우즈 중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를 조직하여 검토를 진행시켰다. 맥나마라 장관은 위원회 멤버를 직접 선임했는데, 이는 육군 장관 엘비스 제이콥 스타 주니어의 체면을 구기는 결과였다.[88][89]
하우즈 위원회는 1962년 8월 20일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 육군의 전투 교리를 대폭 변경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이었다.[90]
1963년 2월 1일, 공중 강습 개념을 시험하기 위해 제11공수사단은 포트 베닝에서 현역 부대인 제11공중강습사단(시험)으로 재편성되었다.[91] 제10항공수송여단은 포트 베닝에 주둔하던 항공 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사단에 할당된 헬리콥터의 관리 및 운용을 담당했다.[92][93] 제227항공연대 제1대대, 제228항공연대 제1대대, 제229항공연대 제1대대로 구성된 제11항공군이 창설되었으며, 제11항공중대(전반 지원), 제17항공중대(경항공기동), 제478항공중대(중헬리콥터)도 포함되었다.[95] 제187보병연대, 제188보병연대, 제511보병연대는 제11공중강습사단에서 재편성되었다.[91][94]
시험 감독관 찰스 W. G. 리치 소장과 사단장 해리 키나드 준장의 지휘 하에, 사단 보병 대대와 지원 부대의 3분의 1을 1대의 헬리콥터로 수송할 수 있도록 부대 조직 편성과 계획을 수립했다.[96] 제11공수사단은 공중 강습과 그 작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요 장비를 개발하고 숙달했다. 제187 및 제188비행대대는 지휘 통제, 정찰, 기종 선정, 공중 보급 등 다양한 헬리콥터 훈련 및 시험을 통해 전투 헬리콥터로서의 능력을 평가했다.[97] 1963년 9월, 조지아주포트 스튜어트에서 에어 어설트 I 훈련을 실시하여 대대급 항공 수송 방식을 시험했다. 1964년 10월에는 훨씬 더 대규모 훈련인 에어 어설트 II 훈련을 두 개 주에서 실시했다. 제11공수사단은 훈련 기간 동안 완전한 사단으로 조직되지 않았음에도 제82공수사단을 압도했다.[101] 당시 편성은 3개 공중 강습 여단(1개 공중 강습 여단(공수 자격 보유), 1개 공중 기동 여단, 공중 로켓 포병 및 지상 포병 부대로 구성된 1개 지원 여단)이었다.
시험 종료 후 제11공수사단(시험), 제10항공수송여단, 제2보병사단 일부 부대가 통합되었다. 1965년 6월 29일, 제1기병사단이 대한민국에서 조지아주 포트 베닝으로 이동했다.[91] 1965년 7월 3일, 제11공수사단(시험)은 해산되고, 부대 등은 제1기병사단으로 이관되었다.[98] 해리 키나드 소장은 제1기병사단장으로 취임했다.[99] 대한민국에 잔류한 제1기병사단 일부 부대는 제2보병사단 지휘하에 들어갔다. 1965년 7월 29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제1기병사단을 베트남에 파견하도록 명령했다.[100][101][102][103]
제11공수사단 각 부대는 제1기병사단 편입 시 다음과 같이 개칭되었다.
| 제11공수사단 부대 (원래 지정) | 제1기병사단 부대 (재지정) |
|---|---|
| -- 사령부 및 본부 중대, 제11공수사단(시험) | |
| -- 제3분대, 제17기병 | 제1분대, 제9기병 |
| -- 제1여단 (공수), 제11공수사단 | |
| -- 제11공수사단 포병 사령부 | 제1기병사단 포병 |
| -- 제6대대, 제81포병 (105 mm) | |
| -- 제3대대, 제377포병 (공중 로켓) | 제2대대, 제20포병 (공중 로켓) |
| -- 제11공수사단 사령부 및 지원 중대 | 제1기병사단 사령부 및 지원 중대 |
| -- 제11의무대대 | 제15의무대대 |
| -- 제408보급 및 서비스 대대 | 제15보급 및 서비스대대 |
| -- 제165공중 장비 보급 분견대 | |
| -- 제11행정 중대 | 제15행정 중대 |
| -- 제711정비대대 | 제27정비대대 |
| -- 제127공병대대 | 제8공병대대 |
| -- 제511통신대대 | 제13통신대대 |
| -- 제611항공기 정비 및 보급 대대 | 제15수송대대 |
| -- 제11헌병 중대 | 제545헌병 중대 |
| -- 제11군사정보 분견대 | 제191군사정보 분견대 |
| -- C중대, 제313육군 보안국 대대 | 제371육군 보안국 중대 |

현재 미국 육군에서 사용되는 공수 강습 휘장의 원형은 약 18.29m에서 3회, 약 36.58m에서 3회 헬리콥터 활강 훈련을 수료하고 항공기 안전 절차, 수신호, 전투 강습 작전, 장비 설치 및 헬기 내부 기기 점검 능력을 갖춘 제11공중강습사단 병사에게 수여되었다. 이 배지는 1964년 초에 처음 수여되었으며, 이후 제11공중강습사단 병사들이 착용했다.[104]
2. 5. 재창설 (2022년)
2022년 6월 8일, 미국 알래스카 육군을 바탕으로 제11공수사단이 재창설되었다. 알래스카에 있던 제25보병사단의 제1여단전투단(스트라이커)과 제4보병여단전투단(공수)은 각각 제11공수사단의 제1, 2여단전투단으로 전환되었다.[115]2022년 5월, 상원 군사 위원회 청문회에서 크리스틴 웜스 육군 장관과 제임스 맥콘빌 장군은 미국 육군 알래스카가 제11공수사단으로 재지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재지정의 목표는 자살률 증가 시기에 알래스카에 주둔한 부대에게 더 나은 목적 의식과 정체성을 부여하고, 육군의 북극 전략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 댄 설리번 알래스카 출신 미국 상원 의원은 "이는 알래스카에 주둔한 우리 군에게 역사적인 발전이며, 제11공수사단 깃발 아래 미국 육군 알래스카를 재지정하는 것은 우리 나라에 이중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즉, 이 부대의 자랑스럽고 역사적인 유산과 연결함으로써 알래스카에 주둔한 병사들의 정신과 목적 의식을 새롭게 하고, 북극 국가로서 미국의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라고 말했다.[105]
제11공수사단 재활성화 이후 첫 사령관인 브라이언 S. 아이플러 소장은 언론에 이 사단의 기본 개요를 공유하면서 "이와 같은 모습과 동일한 임무를 가진 부대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106]


2022년 6월 6일, 제25보병사단의 제1기갑여단 전투단과 제4보병여단 전투단(공수)은 각각 제11공수사단의 제1보병여단 전투단과 제2보병여단 전투단(공수)으로 재지정되었다. 이전 미국 육군 알래스카의 모든 부대는 새로운 사단에 흡수되었다. 또한 제1보병여단이 스트라이커를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러한 변경 이후, 이 여단은 이전 스트라이커를 대체하기 위해 한랭지 전지형 차량(CATV)을 포함한 여러 신형 차량을 시험할 것이다. 사단의 제2여단은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될 것이다.[107]
제11공수사단의 재창설과 함께, 육군 G-1 인사부총장은 알래스카에서 근무하는 모든 장병들에게 SSI 위에 제한적으로 악틱(Arctic), 공수(Airborne)의 두개 탭을 달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116]
2024년 8월 14일, 제11공수사단 산하에 극지항공사령부가 포트 웨인라이트에서 창설되었다.[117]
3. 부대
| 부대 | 위치 | 비고 |
|---|---|---|
![]() | 사단 군악대 포함 | |
| -- 제1여단전투단 "북극 늑대"[106][108][109][110][111] | 포트 웨인라이트 | |
| -- 제2여단전투단 "Spartan"[106][108][109][110][111] | 포트 리처드슨 | |
| -- 극지항공사령부[106][108][109][110][111] | 포트 웨인라이트 | |
![]() |

4. 주요 출신자
- 로드 설링: TV 시리즈 ''환상특급''의 제작자이다.[75]
- 라우리 퇴르니(래리 손): 1965년 베트남에서 MACV-SOG 소속으로 전사하였다.[75]
- 찰스 네이피어 (배우): 1954년~1958년 제511보병연대에서 복무하였다.[75]
- 버논 베이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92보병사단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받았다.[75]
- 다윈 그로스: 신흥 종교 에크앙카르의 전 지도자였다.[75]
참조
[1]
뉴스
Army Resurrects WWII-Era Airborne Division in Alaska
https://www.voanews.[...]
2022-06-06
[2]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3]
Webarchive
Component Elements of Airborne Divisions in World War II
http://www.history.a[...]
2017-05-13
[4]
웹사이트
Army Creating Second Paratrooper Division as Service Forges New Identity for Arctic Troops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5-05
[5]
문서
Flanagan, p. 6.
[6]
문서
Harclerode, p. 197.
[7]
문서
Harclerode, p. 107.
[8]
문서
Flanagan, p. 31.
[9]
문서
Flanagan, p. 305.
[10]
문서
Flanagan, p. 15.
[11]
문서
Devlin, p. 204.
[12]
문서
Devlin, p. 246.
[13]
문서
Flanagan, p. 98.
[14]
문서
Flanagan, p. 99.
[15]
문서
Devlin, pp 212, 246.
[16]
문서
Huston, p. 98.
[17]
웹사이트
Moore County Airport History
http://flytopinehurs[...]
Moore County Airport
2008-07-27
[18]
문서
Flanagan, p. 100.
[19]
문서
Devlin, p. 247.
[20]
문서
Huston, p. 136.
[21]
문서
Huston, p. 137.
[22]
문서
Flanagan, p. 309.
[23]
문서
Harclerode, p. 603.
[24]
문서
Devlin, p. 557.
[25]
문서
Devlin, pp. 557–558.
[26]
문서
Flanagan, p. 310.
[27]
문서
Flanagan, pp. 311–312.
[28]
문서
Tugwell, p. 278.
[29]
문서
Tugwell, p. 279.
[30]
문서
Flanagan, p. 313. Tugwell states that there were 29 transport planes, while Flanagan writes that there were 39.
[31]
문서
Flanagan, p. 313.
[32]
문서
Devlin, p. 562.
[33]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World War II (A-F)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2007-07-16
[34]
문서
Devlin, pp. 563–564.
[35]
문서
Harclerode, pp. 613–614.
[36]
서적
Harclerode, pp. 614–615
[37]
서적
Harclerode, p. 615
[38]
서적
Flanagan, p. 314
[39]
서적
Harclerode, p. 617
[40]
서적
Flanagan, p. 315
[41]
웹사이트
Triumph in the Philippines
http://ibiblio.org/h[...]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7-07-16
[42]
서적
Flanagan, p. 316
[43]
서적
Devlin, p. 573
[44]
서적
Harclerode, p. 620
[45]
서적
Devlin, p. 574
[46]
웹사이트
Colonel Irvin R. Schimmelpfennig III
http://511pir.com/of[...]
2022-05-07
[47]
서적
Harclerode, p. 621
[48]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World War II (M-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2007-07-16
[49]
서적
Harclerode, pp. 623–624
[50]
서적
Harclerode, p. 623
[51]
웹사이트
Colonel Haugen, Orin D. "Hard Rock"
http://511pir.com/of[...]
2022-05-07
[52]
서적
Flanagan, p. 327
[53]
서적
Flanagan, p. 328
[54]
서적
Devlin, pp. 599–600
[55]
서적
Devlin, p. 600
[56]
서적
Flanagan, p. 330
[57]
서적
Harclerode, p. 631
[58]
서적
Harclerode, p. 632
[59]
서적
Flanagan, p. 332
[60]
서적
Flanagan, p. 333
[61]
서적
Devlin, pp. 609–610
[62]
서적
Devlin, p. 608
[63]
서적
Devlin, p. 640
[64]
서적
Harclerode, p. 612
[65]
서적
Devlin, pp. 640–641
[66]
서적
Flanagan, p. 335
[67]
웹사이트
Triumph in the Philippines
http://ibiblio.org/h[...]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7-07-16
[68]
서적
Flanagan, p. 336
[69]
서적
Devlin, p. 643
[70]
서적
Harclerode, p. 635
[71]
문서
Harclerode
[72]
문서
Flanagan
[73]
문서
Flanagan
[74]
간행물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Final Report
Statistics and Accounting Branch, Office of the Adjutant General
1953-06-01
[75]
웹사이트
11th Airborne Division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5-27
[76]
문서
Skate
[77]
Youtube
Video: Allied Forces Land In Japan (1945)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1
[78]
문서
Flanagan
[79]
문서
Huston
[80]
문서
Huston
[81]
문서
Devlin
[82]
문서
Flanagan
[83]
웹사이트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1st Battalion, 187th Infantry
http://www.history.a[...]
2009-11-20
[84]
웹사이트
US Army Centre of Military History.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2nd Battalion, 187th Infantry
http://www.history.a[...]
2009-11-20
[85]
웹사이트
US Army Centre of Military History.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3rd Battalion, 187th Infantry
http://www.history.a[...]
2009-11-20
[86]
문서
Flanagan
[87]
웹사이트
Conceptual Underpinnings of the Air Assault Concept, The Hogaboom, Rogers and Howze Boards
http://www.ausa.org/[...]
Institute of Land Warfare,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2011-02-17
[88]
서적
A History of Army Aviation: From Its Beginnings to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5-09
[89]
웹사이트
Combined Arms in Battle Since 1939
http://www-cgsc.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92-01-01
[90]
서적
Anatomy of a Division: 1st Cav in Vietnam
https://archive.org/[...]
Presidio
[91]
문서
Flanagan
[92]
웹사이트
1st Cavalry Division History - Ft. Benning, Airmobile 1965
https://www.first-te[...]
[93]
논문
Lessons Learned or Lost: Air Cavalry and Airmobility
1989-01
[94]
웹사이트
1st Cavalry Division History - Ft. Benning, Airmobile 1965
http://www.first-tea[...]
[95]
웹사이트
General Orders No. 40
https://armypubs.arm[...]
U.S. Army
2019-11-20
[96]
서적
The 1962 Howze Board and Army Combat Developments
RAND
[97]
문서
Flanagan
[98]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1st Caval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99]
웹사이트
1st Cavalry Division History - Ft. Benning, Airmobile 1965
http://www.first-tea[...]
2022-04-20
[100]
간행물
The Coming of Age: The Role of the Helicopter in the Vietnam War
https://www.jstor.or[...]
1994
[101]
웹사이트
11th Air Assault Division (Test)
http://www.armyaviat[...]
2022-05-05
[102]
문서
Flanagan
[103]
웹사이트
Reflagging the Division for Vietnam
http://www.first-tea[...]
[104]
웹사이트
ORIGINAL AIR ASSAULT BADGE
https://web.archive.[...]
2022-05-10
[105]
웹사이트
ARMY TO REESTABLISH 11TH AIRBORNE DIVISION, AMERICA'S THIRD, IN ALASKA
https://www.sullivan[...]
2022-05-06
[106]
뉴스
How — and why — the 11th Airborne Division is being resurrected in Alaska
https://www.armytime[...]
ArmyTimes
2022-05-25
[107]
웹사이트
Army activates Arctic-focused 11th Airborne Division in Alaska, cuts Strykers
https://www.stripes.[...]
2022-06-07
[108]
뉴스
New Army 11th Airborne Division Gets Stand Up Date, Force Outline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5-18
[109]
뉴스
Why 11th Airborne Division?
https://www.army.mil[...]
Army.mil
2022-05-16
[110]
웹사이트
Joint Base Elmendorf-Richardson > Units > Army
https://www.jber.jb.[...]
2022-05-29
[111]
웹사이트
11th Airborne Division, Units
https://11thairborne[...]
2022-09-11
[112]
문서
SUBJECT: United States Army Arctic Tab and SUBJECT: Guidance for Wear of the Arctic Tab with Shoulder Sleeve Insignia
https://www.rmda.arm[...]
The Institute of Heraldry, Department of the Army
2022-04-26
[113]
뉴스
11th Airborne Division Insignia
https://www.dvidshub[...]
Defense Visual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ice
2022-05-05
[114]
뉴스
First Look at the Army's New Patch for its Newest Airborne Division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5-06
[115]
뉴스
Army re-activates historic airborne unit, reaffirms commitment to Arctic Strategy
Army News Service
2022-06-08
[116]
뉴스
First Look at the Army's New Patch for its Newest Airborne Division
https://www.military[...]
2022-05-06
[117]
웹인용
Army stands up Arctic aviation command
https://www.armytime[...]
ArmyTimes
2024-08-14
[118]
웹인용
Joint Base Elmendorf-Richardson > Units >Army
https://www.jber.j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