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은 1956년 브라질 해군이 영국 해군으로부터 구매한 HMS 벤전스 (R71)를 개조하여 도입한 항공모함이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네덜란드에서 대대적인 개조를 거쳐 경사 비행 갑판, 증기 캐터펄트, 어레스팅 기어 등을 갖추고 제트 항공기 운용 능력을 확보했다. 브라질 해군과 공군 간 함재기 운용을 둘러싼 논쟁 끝에 공군이 함재기 운용 부대를 파견했으나, 1998년 고정익기 운용은 해군으로 이관되었다. 2001년 퇴역 후, 해체되어 고철로 처리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과 유사한 제원을 가지고 있어, 독도함 건조 시 참고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항공모함 - 상파울루 항공모함
    상파울루 항공모함은 브라질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프랑스 해군에서 운용되다 2000년 브라질 해군에 인수되었으나 화재 사고, 노후화, 과다한 정비 비용 등의 문제로 2018년 퇴역 후 2023년 해상 매립되었다.
  • 1944년 선박 - USS 푸에블로 (AGER-2)
    USS 푸에블로(AGER-2)는 미국 육군의 경수송함으로 건조되었다가 해군 정보 수집함으로 개조되어 1968년 동해에서 북한에 나포된 후 현재까지 북한에 억류 및 전시 중이며, 이 사건은 미국과 북한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 1944년 선박 - HMS 질러스 (R39)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 해군의 Z급 구축함 HMS 질러스 (R39)는 전후 이스라엘에 매각되어 에일라트 (INS Eilat)로 개명되었으나, 1967년 이집트 해군의 미사일에 격침되어 해군 무기 개발과 전략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이스라엘 해군은 새로 건조한 초계함을 INS 에일라트로 명명하여 기리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나스 제라이스
함명미나스 제라이스
명명 유래미나스제라이스주
기공1942년 11월 16일 (HMS 벤전스 R71)
진수1944년 2월 23일
완공1945년 1월 15일
획득1956년 12월 14일
재건조 조선소페롤메 도크, 로테르담
원래 비용미화 27,000,000 달러
취역1960년 12월 6일
퇴역2001년 10월 16일
운명2004년 인도에서 해체
함의 휘장[[파일:Seal of NAeL Minas Gerais (A11) 1960.svg|80px]]
제원 (브라질 복무 시)
함급수정된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배수량기준: 15,890톤
정상: 17,500톤
만재: 19,890톤
길이수선간: 630 피트 (192 미터)
전체: 695 피트 (212 미터)
80 피트 (24 미터)
흘수24.5 피트 (7.5 미터)
추진(정보 없음)
속력25 노트 (120 RPM)
항속 거리12,000 해리, 14 노트
6,200 해리, 23 노트
내구(정보 없음)
탑재정(정보 없음)
승조원1,000명 + 항공 그룹 300명
센서대공 탐색: 록히드 AN/SPS-40B; E/F 밴드
수상 탐색: 플레시 AWS 4; E/F 밴드
항해: 시그널 ZW06; I 밴드
사격 통제: 2 × AN/SPG-34; I/J 밴드
CCA: 스캔터 밀-파; I 밴드
전자전(정보 없음)
무장10 × 보포스 40mm 대공포 (4연장 2문, 2연장 1문)
2 × 47 mm 예포
탑재 항공기21대
항공기 시설(정보 없음)
관련 함선
이전 함명HMS 벤전스 R71
동급 함선콜로서스급 항공모함
후속 함선상파울루 A12

2. 역사

1956년 영국 해군의 콜로서스급 항공모함인 HMS 벤전스 (R71)를 중고로 수입했다. 만재배수량은 2만 톤으로 한국의 독도함과 동일하다.

1995년 아르헨티나 해군의 베인티신코 데 마요 항공모함에서 캐터펄트를 중고로 수입하여 약 9071.84kg의 고정익기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글러스 A-4 스카이호크와 한국의 FA-50의 임무중량이 약 9071.84kg이다.

1997년 아르헨티나 해군으로부터 A-4Q 비행기 동체 1개를 임대하여 항공모함 개조에 사용했다.

1999년 쿠웨이트 공군에서 A-4KU 스카이호크 20대와 TA-4KU 훈련기 3대를 7000만달러 (800억 원)에 중고로 수입하여, 브라질 해군 역사상 최초로 항공모함에 고정익 함재기를 탑재하게 되었다. 2000년 10월, 23대의 비행기로 구성된 1개 비행대대를 항공모함에 배치했으며, 11톤 스카이호크 탑재를 위해 항공모함의 캐터펄트를 업그레이드했다.

2001년 2만 톤급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함재기 20대 탑재)을 퇴역시키고, 3만 톤급 상파울루 항공모함(함재기 30대 탑재)을 취역했다.

2. 1. 도입 배경

1956년 브라질은 영국 해군으로부터 HMS 벤전스 (R71)를 900만달러에 구매했다.[2] 주셀리누 쿠비체크 대통령은 취임 전 해군 제독들에게 항공모함 도입을 약속했으며, 이는 해군 반란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다.[8]

1957년부터 1960년까지 네덜란드에서 2700만달러를 들여 대대적인 개조 및 재건축을 받았다.[2]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8.5도의 경사 비행 갑판 설치[9]
  • 더 강력한 증기 캐터펄트 및 어레스팅 기어 장착[9]
  • 강화된 격납고 엘리베이터 설치[9]
  • 미러 착륙 보조 장치 장착[9]
  • 섬 구조물 교체 및 신형 화력 통제 시스템/레이더 지원 격자형 마스트 설치[2][9]
  • 보일러 용량 증가 및 내부 전기 AC 변환 (4개 터보 발전기, 1개 디젤 발전기)[2]


이러한 개조를 통해 최대 약 9071.84kg 무게의 제트 항공기 운용이 가능해졌다.[9][10]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은 1960년 12월 6일 브라질 해군에 취역했으며,[2] 1961년 1월 13일 로테르담을 출발하여 리우데자네이루로 향했다.[2]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처음 구매한 항공모함이었지만, 아르헨티나 해군의 ARA 인데펜덴시아가 1959년 7월에 먼저 취역하여 두 번째로 운용에 들어간 항공모함이 되었다.[11]

2. 2. 개조 및 성능 개선

1957년 중반부터 1960년 12월까지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은 네덜란드에서 대규모 개조 및 재건축을 받았다.[2] 이 작업은 베롤메 독에서 수행되었으며, 비용은 2700만달러였다.[2]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8. 5도의 경사 비행 갑판 설치.[9]
  • 더 강력한 증기 캐터펄트, 어레스팅 기어, 강화된 격납고 엘리베이터, 미러 착륙 보조 장치 장착.[9][10] 이를 통해 최대 약 9071.84kg 무게의 제트 항공기 운용 가능.[9]
  • 새로운 화력 통제 시스템과 레이더 설치.[2][9]
  • 보일러 용량 증가 및 내부 전기 AC 변환.[2]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추가 개장이 이루어져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설치하고, 레이더 장비를 업데이트하여 수명을 연장했다.[26]

1991년부터 1993년까지 현대화 개장을 통해 다음 사항들이 개선/추가되었다:

  • 보일러 및 엔진 정비
  • SICONTA 지휘 시스템 통합
  • 항해 레이더 및 착륙 레이더 설치
  • 미스트랄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발사기 설치 준비[1]


1995년, 1996년에는 아르헨티나 해군 베인티신코 데 마요 항공모함의 캐터펄트를 중고로 도입 및 설치하여 약 9071.84kg의 고정익기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9]

2. 3. 함재기 운용

1965년 움베르투 데 알렌카르 카스텔루 브랑쿠 대통령은 해군의 헬기 운용은 허가했지만, 고정익 항공기는 브라질 공군의 책임으로 남겨두었다.[13] 그 결과, ''미나스제라이스''는 두 개의 항공단을 탑재해야 했다. 해군은 헬기를 운용했고 공군은 S-2 트래커 항공기를 운용했다.[15]

1970년대 이후 미나스제라이스 항공모함의 함재기는 브라질 공군의 S-2 트래커 8대, 브라질 해군의 SH/ASH-3 시킹 4대, UH-12/13 에스키루 2대, 벨 206B 2대였다.[26] 1990년대 중반을 기준으로 항공단은 6대의 S-2E 트래커, 4~6대의 ASH-3D 시 킹, 2대의 AS-355 에퀴렐, 3대의 A-332 슈퍼 퓨마로 구성되었다.[1]

1999년, 브라질 해군은 쿠웨이트 공군으로부터 A-4KU 스카이호크 20대와 TA-4KU 훈련기 3대를 7000만달러에 구입했다.[14] 이는 브라질 해군 역사상 최초로 항공모함에 고정익 함재기를 탑재하게 된 것이다. 23대의 비행기로 1개의 비행대대를 창설해, 2000년 10월 항공모함에 배치되었다.[14]

2. 4. 퇴역 및 해체

2001년 10월 16일, 상파울루 항공모함이 취역하면서 ''미나스제라이스''는 퇴역했다.[21]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경항공모함 중 두 번째로 마지막 퇴역이었다.[3] 퇴역 당시 ''미나스제라이스''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현역 항공모함이었다.[21] 퇴역식에는 ''미나스제라이스''의 초대 사령관이었던 87세의 헬리오 레온시오 마르틴스 제독을 포함하여 다양한 시기에 ''미나스제라이스''에서 복무했던 승무원들이 참석했다.[21]

2002년 ''미나스제라이스''는 매각 대상으로 지정되었고, 영국 해군 협회에서 영국으로 반환하여 박물관선으로 보존하려 했으나, 필요한 자금을 모으지 못했다.[23][25] 2003년 크리스마스 직전에는 eBay에 매물로 등록되었으나, 군수품 판매 금지 규칙에 따라 경매가 삭제되기도 했다.[24] 2004년 2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경매에서도 판매에 실패했다.[25]

결국 ''미나스제라이스''는 2004년 2월에서 7월 사이에 해체를 위해 인도 알랑 선박 해체소로 예인되었다.[25]

3. 대한민국과의 관계

미나스제라이스는 독도함과 제원이 매우 비슷하다. 미나스제라이스는 배수량 19890ton, 길이 211.8m, 엔진 4만 마력, 함재기 21대를 탑재할 수 있다. 독도함은 배수량 18800ton, 길이 199m, 엔진 4만 마력, 헬기 15대를 탑재할 수 있다.[1] 독도함은 상륙정 2개를 탑재하기 때문에 함재기 최대 탑재량이 더 적다.[1]

3. 1. 독도함과의 유사성

독도함은 배수량 18800ton, 길이 199m, 엔진 4만 마력으로, 미나스제라이스(배수량 19890ton, 길이 211.8m, 엔진 4만 마력)와 제원이 매우 유사하다.[1] 독도함은 상륙정 2개를 탑재하기 때문에 함재기 최대 탑재량이 미나스제라이스보다 적다.[1]

구분미나스제라이스독도함
배수량19890ton18800ton
길이211.8m199m
엔진 출력4만 마력4만 마력
함재기 최대 탑재량21대15대


3. 2. 전술적 유사점

미나스제라이스는 독도함과 제원이 매우 비슷하지만, 독도함은 상륙정 2개를 탑재하기 때문에 함재기 최대탑재량이 적다.

구분미나스제라이스독도함
배수량19890ton18800ton
길이211.8m199m
엔진4만 마력4만 마력
함재기21대헬기 15대


참조

[1] 서적 Jane's Fighting Ships, 1996–1997
[2] 서적 Jane's Fighting Ships (1968–69)
[3] 서적 The Navy and the Nation
[4] 서적 The Capital Ships
[5] 서적 Holding the Bridge in Troubled Times
[6] 서적 From Empire Defence to the Long Haul
[7] 서적 Flying Stations
[8] 서적 Brazil's Second Chance
[9] 서적 Aircraft Carriers of the World
[10] 서적 Aircraft carriers
[11] 서적 Focus on Latin American Navies
[12] 웹사이트 Kuwaiti Air Force Sale http://www.chilecomp[...]
[13] 간행물 Carrier Aviation – Skyhawks set to land on Brazilian carrier Jane's Navy International
[14] 간행물 The Brazilian Navy blazes a trail in the South Atlantic
[15] 간행물 Latin American Navies still treading water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ossus class carrier Minas Gerais Fleet Air Arm Archive
[17] 간행물 Carrier aviation at the crossroads
[18] 간행물 Brazil – Skyhawks begin flights from carrier Jane's International Defence Review
[19] 서적 The Naval Arms Trade
[20] 서적 The Naval Arms Trade
[2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ossus class carrier Minas Gerais (Ex HMS Vengeance) http://www.fleetaira[...] 2016-06-14
[22] 뉴스 Campaign to save the Vengeance Navy News (Australia)
[23] 뉴스 Race to save historic ship from scrap heap
[24] 뉴스 For internet sale: aircraft carrier, only three owners
[25] 뉴스 Sad end to symbol of city's liberation
[26] 서적 週刊ワールド・ウェポン No.41 デアゴスティーニ 2003-07-08
[27] 웹사이트 Minas Gerais http://www.globals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