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부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부로시는 막부 말기 교토에서 활동한 무사 조직으로, 초기에는 세리자와 카모와 곤도 이사미를 중심으로 두 파벌로 구성되었다. 세리자와 파는 세리자와 카모의 사망과 니이미 니시키의 할복 등으로 와해되었고, 곤도 파는 곤도 이사미, 히지카타 토시조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케다야 사건, 아부라노코지 사건 등 주요 사건에 연루되었다.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며 곤도 파는 붕괴되었고, 이후 많은 구성원들이 사망하거나 탈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센구미 - 이케다야 사건
    1864년 교토의 이케다야 여관에서 신센구미가 존왕양이파 낭사들을 급습한 이케다야 사건은 존왕양이파에 큰 타격을 입히고 신센구미의 명성을 드높였으나, 공과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 신센구미 - 신선조
    신선조는 에도 막부 말기에 쇼군 경호와 교토 치안 유지를 위해 조직되었으나,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에 속해 신정부군에 맞서 싸우다 해산된 무장 조직이다.
  • 나카교구의 역사 - 이케다야 사건
    1864년 교토의 이케다야 여관에서 신센구미가 존왕양이파 낭사들을 급습한 이케다야 사건은 존왕양이파에 큰 타격을 입히고 신센구미의 명성을 드높였으나, 공과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 나카교구의 역사 - 니조성
    니조성은 일본 교토에 있는 성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 거처로 건설하여 1626년에 완공되었으며, 니노마루 궁전에서 대정봉환이 선언되는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고, 현재는 국보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 막말 교토 - 교토 미마와리구미
    교토 미마와리구미는 1864년 교토 치안 유지를 위해 결성된 도쿠가와 막부 직속 무사 조직으로, 사카모토 료마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보신 전쟁 패배 후 해체되었다.
  • 막말 교토 - 참예회의
    참예회의는 1860년대 막말 일본에서 막부 권위 실추와 존왕양이 운동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유력 다이묘들의 조정 참여 기구였으나, 쇼군의 독선과 다이묘 간 대립으로 성과 없이 와해되어 막부 타도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미부로시
기본 정보
조직
창설1863년
해체1865년
전신세이추로시구미 (정충낭사조)
후신신센구미
별칭壬生浪士 (미부로시)
壬生の狼 (미부노 오오카미, 미부의 이리)
활동 지역일본 교토
병과낭인
규모약 240명
지휘관
초대세리자와 카모
2대곤도 이사미

2. 초기 조직 구성원

세리자와 카모를 국장으로 하는 니이미 니시키, 타나카 이오리, 히라야마 고로, 히라마 쥬스케, 노구치 켄지, 사에키 마사사부로와, 곤도 이사미를 국장으로 하는 히지카타 토시조, 오키타 소지, 야마나미 케이스케, 나가쿠라 신파치, 하라다 사노스케, 이노우에 겐자부로, 토도 헤이스케, 사이토 하지메 외, 토노우치 요시오, 이에리 지로, 네기시 유잔, 엔도 죠안, 시미즈 고이치, 스즈키 쵸조, 진다이 니노스케, 카스야 신고로, 아비루 에이자부로를 포함한 24명이다.


  • '''세리자와 일파'''
  • * 세리자와 카모 (국장): 분큐 3년 (1863년) 9월 16일 또는 18일, 잦은 난폭한 행동과 주정으로 인해 히지카타 등에게 기습을 받아 참살당함.
  • * 니이미 니시키 (국장): 분큐 3년 (1863년) 9월 13일, 품행 불량으로 인해 할복 (9월 15일에 조슈에서 할복했다는 설도 있음).
  • * 타나카 이오리: 분큐 3년 (1863년) 9월 13일, 암살당함 (니이미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있음).
  • * 히라야마 고로: 세리자와와 함께 참살당함.
  • * 히라마 쥬스케: 세리자와 암살 때 운 좋게 죽음을 면하고 도망. 그 후 소식 불명. 메이지 시대에 고향 미토로 돌아갔다는 소문이 있음.
  • * 노구치 켄지: 분큐 3년 (1863년) 12월 27일, (세리자와 암살 때는 우연히 그 자리에 없었기에 화를 면함) 할복. 이유는 불명.
  • * 사에키 마사사부로: 분큐 3년 (1863년) 8월 10일, 사사키 아이지로의 연인 아구리에게 세리자와가 손을 대려고 하자, 세리자와에게 잘 보이기 위해 사사키를 살해했지만, 사사키를 죽인 후 아구리를 강간했기에 세리자와에게 살해당했다는 설도, 조슈 번사에 의해 살해당했다는 설도 있음. (여러 설이 있음).

  • '''시에이칸 일파 (곤도 일파)'''
  • * 곤도 이사미 (국장): 게이오 4년 (1868년) 4월 25일, 관군에 의해 이타바시슈쿠에서 참수.
  • * 히지카타 토시조 (부장): 메이지 2년 (1869년) 5월 11일, 하코다테 전쟁 중에 유탄에 맞아 사망.
  • * 오키타 소지: 게이오 4년 (1868년) 5월 30일, 폐결핵으로 인해 센다가야의 정원사 히라 고로 저택에서 병사.
  • * 야마나미 케이스케: 겐지 2년 (1865년) 2월 23일, 탈주로 인해 톤쇼에서 할복. (탈주 이유는 여러 설이 있음.)
  • * 나가쿠라 신파치: 다이쇼 4년 (1915년) 1월 5일, 충치를 뽑은 것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병사.
  • * 하라다 사노스케: 게이오 4년 (1868년) 5월 17일, 우에노 전쟁 때 중상을 입고 사망. 그 후 만주에서 마적이 되었다, 러일 전쟁의 전장에 있었다, 고향 마츠야마에 갑자기 나타났다는 등의 이야기가 전해짐.
  • * 이노우에 겐자부로: 게이오 4년 (1868년) 1월 4일, 요도 센료마츠 전투에서 전사.
  • * 토도 헤이스케: 게이오 3년 (1867년) 11월 18일, 아부라노코지에서 습격을 받아 사망.
  • * 사이토 하지메: 다이쇼 4년 (1915년) 9월 28일, 위궤양으로 사망. 시에이칸 파의 멤버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 '''토노우치・이에리・네기시 일파'''
  • * 토노우치 요시오: 분큐 3년 (1863년) 3월 25일에 시조오하시에서 곤도 등에 의해 암살됨.
  • * 이에리 지로: 분큐 3년 (1863년) 4월 24일에 장군 경호 여행지인 오사카에서, 세리자와, 곤도 일파 등에 의해 할복을 강요받아 할복.
  • * 네기시 유잔: 분큐 3년 (1863년) 4월 하순, 이세 참배를 핑계로 탈주. 메이지 23년 (1890년) 12월 3일, 병사.
  • * 엔도 죠안: 네기시와 함께 탈주. 그 후 소식 불명.
  • * 시미즈 고이치: 네기시와 함께 탈주. 메이지 5년 (1872년) 5월 27일, 사망.
  • * 스즈키 쵸조: 네기시와 함께 탈주. 그 후 소식 불명.
  • * 진다이 니노스케: 분큐 3년 (1863년) 4월 하순에 탈주. 그 후 소식 불명.
  • * 카스야 신고로: 분큐 3년 (1863년)에 탈대. 후에 텐구당의 난에 참가하여 겐지 원년 (1864년) 6월 6일에 자결.

  • '''무소속'''
  • * 아비루 에이자부로: 분큐 3년 (1863년) 4월 6일, 원래부터 병약했고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사.

2. 1. 세리자와파

세리자와 가모를 중심으로 한 파벌이다. 니미 니시키, 히라야마 고로, 히라마 주스케, 노구치 겐지 등이 세리자와 파에 속한다.

분큐 3년 (1863년) 9월 16일 또는 18일, 잦은 난폭한 행동과 주정으로 인해 세리자와 가모는 히지카타 등에게 기습을 받아 참살당했다. 니미 니시키는 같은 해 9월 13일 품행 불량으로 인해 할복했다. (9월 15일에 조슈에서 할복했다는 설도 있다). 히라야마 고로는 세리자와와 함께 참살당했고, 히라마 주스케는 세리자와 암살 때 운 좋게 죽음을 면하고 도망쳤으나, 그 후 소식은 불명이다. 메이지 시대에 고향 미토로 돌아갔다는 소문이 있다. 노구치 겐지는 같은 해 12월 27일 할복했는데, 이유는 불명이다.

2. 2. 곤도파 (시위관파)

곤도 이사미(곤도 이사미/近藤勇일본어)를 중심으로 결성된 파벌이다. 히지카타 도시조(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일본어), 오키타 소지(오키타 소지/沖田総司일본어), 야마나미 케이스케(야마나미 케이스케/山南敬助일본어), 나가쿠라 신파치(나가쿠라 신파치/永倉新八일본어), 하라다 사노스케(하라다 사노스케/原田左之助일본어), 이노우에 겐자부로(이노우에 겐자부로/井上源三郎일본어), 도도 헤이스케(도도 헤이스케/藤堂平助일본어), 사이토 하지메(사이토 하지메/斎藤一일본어), 아비루 에이사부로(아비루 에이사부로/阿比類鋭三郎일본어) 등이 창설 멤버이다.

  • 곤도 이사미 (국장): 게이오 4년 (1868년) 4월 25일, 관군에 의해 이타바시슈쿠에서 참수되었다.
  • 히지카타 토시조 (부장): 메이지 2년 (1869년) 5월 11일, 하코다테 전쟁 중에 유탄에 맞아 사망하였다.
  • 오키타 소지: 게이오 4년 (1868년) 5월 30일, 폐결핵으로 인해 센다가야의 정원사 히라 고로 저택에서 병사하였다.
  • 야마나미 케이스케: 겐지 2년 (1865년) 2월 23일, 탈주로 인해 톤쇼에서 할복하였다. (탈주 이유는 여러 설이 있음.)
  • 나가쿠라 신파치: 다이쇼 4년 (1915년) 1월 5일, 충치를 뽑은 것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병사하였다.
  • 하라다 사노스케: 게이오 4년 (1868년) 5월 17일, 우에노 전쟁 때 중상을 입고 사망하였다. 그 후 만주에서 마적이 되었다, 러일 전쟁의 전장에 있었다, 고향 마츠야마에 갑자기 나타났다는 등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 이노우에 겐자부로: 게이오 4년 (1868년) 1월 4일, 요도 센료마츠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토도 헤이스케: 게이오 3년 (1867년) 11월 18일, 아부라노코지에서 습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 사이토 하지메: 다이쇼 4년 (1915년) 9월 28일, 위궤양으로 사망하였다. 시에이칸 파의 멤버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 아비루 에이자부로: 분큐 3년 (1863년) 4월 6일, 원래부터 병약했고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사하였다.

2. 3. 도노우치·이에사토파

도노우치 요시오(殿内義雄일본어), 이에사토 쓰구오(家里次郎일본어) 등을 중심으로 한 파벌이다. 네기시 유잔(根岸友山일본어), 엔도 조안(遠藤丈庵일본어), 시미즈 고이치(清水吾一일본어), 스즈키 조조(鈴木長蔵일본어), 가미시로 진노스케(神代仁之助일본어)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분큐 3년(1863년) 3월 25일, 도노우치 요시오는 시조오하시에서 곤도 등에 의해 암살되었다. 같은 해 4월 24일에는 이에사토 쓰구오가 오사카에서 세리자와, 곤도 일파 등에 의해 할복을 강요받아 할복했다. 네기시 유잔은 같은 해 4월 하순, 이세 신궁 참배를 핑계로 탈주하여 1890년 12월 3일에 병사했다. 엔도 조안, 시미즈 고이치, 스즈키 조조, 가미시로 진노스케는 네기시 유잔과 함께 탈주했다. 시미즈 고이치는 1872년 5월 27일에 사망했고, 엔도 조안, 스즈키 조조, 가미시로 진노스케는 탈주 후 소식이 불명확하다.

3. 이후 참여 인원

초기 성립 이후부터 신센구미로 개명하기까지 참여한 인원은 다음과 같다.

; 분큐 3년(1863년) 5월경까지


  • 사사키 아이지로:분큐 3년(1863년) 8월 2일,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살해당함.(사에키 설이 있음.)
  • 가와시마 가쓰지:게이오 2년(1866년), 제대 후 신선조라고 칭하며 금전을 갈취한 것이 발각되어 할복.
  • 미우라 겐타로: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사사키 구라노스케:게이오 원년(1865년) 7월까지 이탈.
  • 가메이 주조노스케: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이에키 쇼칸: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야마다 하루타카: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오마쓰 게이사: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호소카와 나이쇼: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스기야마 고지: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


; 분큐 3년(1863년) 5월 25일 이후

  • 오가타 슌타로:게이오 4년(1868년)의 아이즈 전쟁 당시 행방불명. 이후 고향 구마모토로 돌아가 다이쇼 2년(1913년)에 병사.
  • 야마자키 스스무게이오 4년(1868년) 1월 13일, 도바-후시미 전투의 상처로, 에도로 향하는 배 안에서 사망.(도바 후시미에서 전사했다는 설도 있음)
  • 타니 산주로:게이오 2년(1866년) 4월 1일, 급사. 병사설과 숙청설이 있지만 진상은 불명
  • 오자키 야헤이:게이오 원년(1865년) 11월 17일, 병사.
  • 가와이 기사부로:게이오 2년(1866년) 2월 12일, 대내의 금전을 잃어버리고 할복.
  • 사카이 효고:겐지 원년(1864년)의 이케다야 사건 이후, 게이오 원년(1865년) 7월경에 탈주하여 참살.


; 1863년 8월 18일까지

  • 마쓰나가 가즈에:분큐 3년(1863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탈주.
  • 오쿠사와 에이스케:겐지 원년(1864년) 6월 5일, 이케다야 사건 당시 전사. 즉사.
  • 구스노키 고주로:겐지 원년(1864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하라다에게 살해당함.
  • 히지카타 쓰시마: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아베 신조:게이오 3년(1867년)에 고료 에지로서 탈퇴. 메이지 40년(1907년) 1월 6일, 사망.
  • 모리 로쿠로: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야마노 하치하치:하코다테 전쟁 전에 이탈. 메이지 43년(1910년), 사망.
  • 아리토 가고:메이지 2년(1869년) 5월 11일, 하코다테 전쟁 당시, 전사.
  • 슈쿠인 료조:게이오 4년(1868년) 1월 6일, 하시모토 전투에서 전사.
  • 오제키 마사지로:메이지 25년(1892년) 2월 28일, 고향 나라 다카토리에서 사망.
  • 마고시 사부로:이케다야 사건 이전에, 다케다 간류사이의 남색에 곤란하여, 히지카타에게 호소하여, 탈퇴. 퇴직금을 밑천으로 유리상을 하여 성공했다. 메이지 시대가 되어 미부(壬生)를 방문한다.
  • 마쓰자키 세이마:8·18 정변에 참가. 이후, 불명.
  • 시노즈카 미네조:이케다야 사건에 참가. 에도로의 대원 모집 당시, 유수를 맡는다.
  • 후지모토 히코노스케: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미쿠라 이세타케:분큐 3년(1863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사이토에게 살해당함.
  • 이토 요하치로: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야나기다 산지로:게이오 원년(1865년) 7월까지 재대. 이후, 탈주?
  • 우에다 킨고: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와다 하야토: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에치고 사부로:분큐 3년(1863년),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탈주.
  • 나카무라 큐마: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간노 로쿠로: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
  • 아라키다 사마노스케:분큐 3년(1863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나가쿠라에게 살해당함.

3. 1. 1863년 5월경까지

사사키 아이지로(佐々木愛次郎일본어)는 분큐 3년(1863년) 8월 2일,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살해당했다.(사에키 설이 있음.) 가와시마 가쓰지(신선조)는 게이오 2년(1866년), 제대 후 신선조라고 칭하며 금전을 갈취한 것이 발각되어 할복했다. 미우라 겐타로는 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했다. 사사키 구라노스케는 게이오 원년(1865년) 7월까지 이탈했다. 가메이 주조노스케, 이에키 쇼칸, 야마다 하루타카, 오마쓰 게이사, 호소카와 나이쇼, 스기야마 고지는 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했다.

3. 2. 1863년 5월 25일 이후

오가타 슌타로(尾形俊太郎일본어)는 아이즈 전쟁 당시 행방불명되었으나, 이후 고향 구마모토로 돌아가 1913년에 병사했다. 야마자키 스스무(山崎烝일본어)는 1868년 1월 13일,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에도로 향하던 배 안에서 사망했다.(도바 후시미에서 전사했다는 설도 있다) 타니 산주로(谷三十郎일본어)는 1866년 4월 1일 급사했는데, 병사설과 숙청설이 있지만 진상은 불명이다. 오자키 야헤이(尾崎弥兵衛일본어)는 1865년 11월 17일 병사했다. 가와이 기사부로(河合耆三郎일본어)는 1866년 2월 12일, 대내 금전을 분실한 책임을 지고 할복했다. 사카이 효고(酒井兵庫일본어)는 이케다야 사건 이후 1865년 7월경 탈주하여 참살당했다.

3. 3. 1863년 8월 18일까지

분큐 3년(1863년) 5월경까지 사사키 아이지로가 정체불명의 인물에게 살해당했고, 가와시마 가쓰지는 게이오 2년(1866년)에 제대 후 신선조라고 칭하며 금전을 갈취한 것이 발각되어 할복했다. 미우라 겐타로는 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했고, 사사키 구라노스케는 게이오 원년(1865년) 7월까지 이탈했다. 안도 사타로는 겐지 원년(1864년) 7월 22일, 이케다야 사건에서 입은 부상으로 병사했다. 마쓰바라 다다시는 게이오 원년(1865년) 9월 1일, 히지카타에게 자신이 벤 조슈 번사의 아내를 돌보고 있다는 것을 지적받고 할복하려 했으나 목숨을 건졌지만 히지카타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그 여자와 동반 자살했다. 가메이 주조노스케는 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했고, 아리도 시치고신은 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했다. 마즈메 류타로와 마즈메 신주로는 겐지 원년(1864년) 6월 5일 탈주했다. 하마구치 히이치는 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다도코로 히로토는 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했다. 하야시 신타로는 메이지 원년(1868년) 10월 27일, 보신 전쟁 당시, 구루메 번 병사에게 토벌되었다.

시마다 가이는 메이지 33년(1900년) 3월 20일 지병인 천식으로 병사했고, 이에키 쇼칸, 야마다 하루타카, 오마쓰 게이사, 호소카와 나이쇼, 스기야마 고지는 분큐 3년(1863년) 7월까지 이탈했다. 나카무라 킨고는 게이오 3년(1867년) 6월까지 이탈했다.

분큐 3년(1863년) 5월 25일 이후, 오가타 슌타로는 게이오 4년(1868년)의 아이즈 전쟁 당시 행방불명되었고, 이후 고향 구마모토로 돌아가 다이쇼 2년(1913년)에 병사했다. 야마자키 스스무게이오 4년(1868년) 1월 13일, 도바-후시미 전투의 상처로, 에도로 향하는 배 안에서 사망했다.(도바 후시미에서 전사했다는 설도 있음) 타니 산주로는 게이오 2년(1866년) 4월 1일, 급사했다.(병사설과 숙청설이 있지만 진상은 불명) 오자키 야헤이는 게이오 원년(1865년) 11월 17일 병사했고, 가와이 기사부로는 게이오 2년(1866년) 2월 12일, 대내의 금전을 잃어버리고 할복했다. 사카이 효고는 겐지 원년(1864년)의 이케다야 사건 이후, 게이오 원년(1865년) 7월경에 탈주하여 참살되었다.

1863년 8월 18일까지, 마쓰나가 가즈에는 분큐 3년(1863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탈주했고, 오쿠사와 에이스케는 겐지 원년(1864년) 6월 5일, 이케다야 사건 당시 전사했다. 구스노키 고주로는 겐지 원년(1864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하라다에게 살해당했고, 히지카타 쓰시마와 모리 로쿠로는 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했다. 아베 신조는 게이오 3년(1867년)에 고료 에지로서 탈퇴했고, 메이지 40년(1907년) 1월 6일 사망했다. 야마노 하치하치는 하코다테 전쟁 전에 이탈하여, 메이지 43년(1910년) 사망했고, 아리토 가고는 메이지 2년(1869년) 5월 11일, 하코다테 전쟁 당시 전사했다. 슈쿠인 료조는 게이오 4년(1868년) 1월 6일, 하시모토 전투에서 전사했고, 오제키 마사지로는 메이지 25년(1892년) 2월 28일 고향 나라 다카토리에서 사망했다.

마고시 사부로는 이케다야 사건 이전에, 다케다 간류사이의 남색에 곤란하여 히지카타에게 호소하여 탈퇴했고, 퇴직금을 밑천으로 유리상을 하여 성공했다. 메이지 시대가 되어 미부(壬生)를 방문했고, 마쓰자키 세이마는 8·18 정변에 참가한 이후 불명이다. 시노즈카 미네조는 이케다야 사건에 참가했고, 에도로의 대원 모집 당시 유수를 맡았다. 후지모토 히코노스케와 이토 요하치로, 우에다 킨고, 와다 하야토, 나카무라 큐마, 간노 로쿠로는 겐지 원년(1864년) 6월까지 탈주했다. 미쿠라 이세타케와 에치고 사부로, 아라키다 사마노스케는 분큐 3년(1863년) 9월 26일 조슈의 간자였음이 발각되어 각각 사이토와 나가쿠라에게 살해당했다. 야나기다 산지로는 게이오 원년(1865년) 7월까지 재대한 이후 탈주했다.

4. 신센구미의 활동과 주요 사건

4. 1. 이케다야 사건 (1864)

4. 2. 아부라노코지 사건 (1867)

4. 3. 보신 전쟁 (1868-1869)

5. 관련 단체 및 시설

5. 1. 관련 단체

5. 2. 관련 시설

6. 평가 및 비판

7. 대중문화 속 신센구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