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쓰비시 LE-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쓰비시 LE-7은 일본의 H-II 로켓 1단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액체 수소/액체 산소 추진 방식의 로켓 엔진이다. 2단 연소 사이클 방식을 채택하여 높은 연소 효율을 목표로 하였으나, 터보 펌프 진동, 엔진 폭발 사고, H-II 로켓 8호기 발사 실패 등 개발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난관을 겪었다. 1999년 H-II 로켓 8호기 발사 실패의 원인이 LE-7 엔진의 결함으로 밝혀지면서, 개량형인 LE-7A가 개발되었다. LE-7A는 H-IIA 로켓 1단, H-IIB 로켓 1단에 사용되며, 신뢰성 향상을 위해 용접 부위 감소, 인듀서 재설계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계식 연소 사이클 로켓 엔진 - RD-180
    RD-180은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가 개발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미국의 아틀라스 로켓에 사용되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었다.
  • 단계식 연소 사이클 로켓 엔진 - SCE-200
    SCE-200은 인도가 우크라이나의 RD-810 엔진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 중인 2MN급 추력의 액체 로켓 엔진으로,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2단 연소 사이클 방식을 채택하여 LVM3 로켓 업그레이드에 사용될 예정이다.
  • 로켓 엔진 - 터보펌프
    터보펌프는 로켓 엔진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고압 공급하는 펌프로, 작동 방식에 따라 원심식과 축류식으로 나뉘며 효율적인 설계가 중요하다.
  • 로켓 엔진 - 추력기
    추력기는 추진력을 발생시켜 물체를 움직이는 장치로, 우주선의 자세 제어 및 궤도 조정에 사용되는 로켓 엔진 형태의 스러스터와 선박 추진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러스터를 포함하며, 우주선용은 장기간 안정적인 작동이 중요하고 선박용은 기동성 향상에 기여하며, 별을 이동시키는 가상적인 메가스케일 추진 장치도 존재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정보통신연구기구
    정보통신연구기구는 일본의 정보 통신 분야를 연구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전자기파,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주파수 표준 설정, 일본표준시 발표 등의 국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우주작전군
    일본 항공자위대가 우주 영역 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자 2022년 3월 창설한 우주작전군은 인공위성 감시와 우주 쓰레기 탐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 상황 감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미쓰비시 LE-7
개요
엔진 이름LE-7
국가일본
설계JAXA
제작미쓰비시 중공업
용도부스터
상태LE-7A 업그레이드로 대체됨
기술 정보
사이클단계식 연소
종류액체
연료LH₂
산화제LOX
연소실1
혼합비5.9:1
노즐 팽창비52:1
성능
추력 (해면고도)843.5 kN
추력 (진공)1078 kN
비추력 (진공)446 isp
비추력 (해면고도)349 isp
연소실 압력12.7 MPa
추력대중량비64.13
물리적 특성
길이3.4 m
건조 중량1714 kg
사용
사용 로켓H-II 1단
LE-7 로켓 엔진
LE-7, 나고야 시 과학관, 2006

2. 개발

LE-7 엔진은 미국우주왕복선 주 엔진(SSME)과 같은 2단 연소 사이클 방식을 채택했다. 이 방식에서는 프리버너(예연소실)에 기화된 연료인 액체 수소와 산화제액체 산소의 일부를 도입하여(대부분의 액체 산소는 주 연소실로 직접 보내진다) 연소시켜 수소 함량이 높은 고압의 불완전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그 연소 가스로 액체 수소용 및 액체 산소용 터보 펌프를 모두 구동하여 두 추진제를 가속·가압한 후, 주 연소실에서 다시 연소 가스와 액체 산소를 연소시켜 추진력을 생성한다.

이 방식은 연소 효율은 좋지만, 엔진 배관 등에 고온·고압 부분이 많아 기술적으로 어렵다. LE-7 개발에서도 문제가 잇따라 개발 기간이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개발 초기에는 터보 펌프의 진동이 과도하여 정해진 회전수를 얻을 수 없었다. 이는 터보 펌프 임펠러의 무게 중심이 중심축에서 약간 벗어났기 때문이며, 장인의 수작업으로 임펠러를 연마하여 무게 중심을 조정함으로써 해결했다. 이후 연소 시험이 시작되었지만, 엔진 시동 직후 폭발이나 손상을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예비 연소실에 액체 산소가 먼저 모이고 그 후에 액체 수소가 들어오면서 과도한 반응을 일으켰기 때문이며, 압력계를 부착하여 예비 연소실에 두 추진제가 들어오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해결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만 약 2년이 소요되었다.

1992년에는 엔진 시동 직후 폭발이 일어나, H-II의 첫 발사가 1년 연기되기도 했다. 이는 엔진 각 부품을 용접하여 접합했을 때 생긴 미묘한 요철 부분에 열이나 힘이 집중되어 손상되었기 때문이며, 장인의 수작업으로 거울을 사용하여 부품 내부 용접 부분까지 철저하게 연마하여 평활하게 함으로써 해결했다. 이 공정은 손이 많이 가고 신뢰성 및 비용과 관련되어, 후속 기종인 LE-7A에서는 용접 부위가 1/4 이하로 줄어들었다.

개발 및 제조에서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연소기·밸브·전체 장비를, 이시카와지마-하리마 중공업(현 IHI)이 액체 수소용 터보 펌프와 액체 산소용 터보 펌프를 담당했다.

개발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83년"개발 연구" 시작
1986년"개발" 시작
1988년 12월 15일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의 LE-7 연소 시험 설비 준공
1990년 9월연속 200초 연소 시험에 성공. 그 후의 시험에서 연소 시험 시동 후 16초에 대규모 외부 연소가 발생하여 엔진 파괴
1991년 5월 16일가쿠다 로켓 개발 센터(현 가쿠다 우주 센터)에서 액체 수소 터보 펌프 개발 시험 중 사고
1991년 8월 8일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 유도 추진 시스템 제작소(고마키 키타 공장)에서의 시험 중, 기술자 1명 사망
1992년 6월 10일연소 시험 중 외부 연소가 발생, 엔진 전손 및 설비 일부 소실. 시험기 초호기 발사 1년 연기
1993년 2월연속 4회 350초 연소 시험 성공
1993년 5월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의 H-II 로켓 발사대에서 스테이지 연소 시험(CFT) 성공
1994년 2월 4일H-II 로켓 시험기 1호기 발사 성공
1994년 3월모든 성능 시험 완료, 개발 완료[5]
1999년 11월 15일H-II 로켓 8호기 발사. 발사 3분 59초 후 LE-7 엔진 이상 정지, 명령 파괴. LE-7 이상이 발사 실패에 직결된 최초이자 마지막 사고


3. H-II 8호기 사고 원인

1999년 11월 15일, H-II 로켓 8호기가 발사되었으나, 발사 3분 59초 후 LE-7 엔진이 갑자기 정지하면서 발사에 실패했다. 이 사고는 LE-7 엔진의 이상이 발사 실패로 이어진 처음이자 마지막 사고였다.[5]

사고 직후 텔레미터 데이터 분석 결과, LE-7 엔진의 고압 배관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추진제 공급이 급격히 중단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1999년 12월 24일, 해양과학기술센터(현 JAMSTEC)의 도움으로 해저에 가라앉은 LE-7 엔진 잔해를 발견하였고, 2000년 1월 23일 해저 3,000m 지점에서 엔진을 인양했다.

잔해 조사 결과, 액체 수소 터보 펌프의 인듀서(Inducer)가 파손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파단면 조사 결과 피로 파괴가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인듀서 단독 시험을 반복한 결과, 선회 캐비테이션 현상과 그로 인한 부품 공진이 발생하여 인듀서에 과도한 부하를 가해 피로 파괴를 일으킨 것이 사고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인듀서는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주 터보펌프 앞에 설치되어 추진제의 입구 압력을 높이는 축류 펌프와 같은 프로펠러이다.

이러한 사고 원인 분석 결과는 이후 LE-7A 엔진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4. LE-7A

미쓰비시와 IHI, NASDA는 LE-7 엔진을 개량하여 신뢰성을 높인 '''LE-7A'''를 개발하였다. 1994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에 완성된 LE-7A는 H-IIA 로켓 1단에는 1개, H-IIB 로켓 1단에는 2개가 사용된다. 미국의 기술 원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LE-7A는 기존 LE-7 엔진의 기본 설계를 유지하면서도 비용 절감, 신뢰성 향상, 성능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H-IIA 발사체와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강력하며 유연하고 경제적인 발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4. 1. 개선 사항

LE-7 엔진의 개선은 신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쓰비시와 IHI, NASDA는 1994년부터 LE-7A 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에 완료하였다.[1]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1]

  • 용접 부위를 줄이고, 가공 및 주조 부품 사용을 확대했다.
  • 연료 및 산화제 인듀서를 재설계했다. 특히 연료 인듀서는 기존 LE-7 엔진에서 발생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화제 인듀서는 낮은 입구 압력에서의 성능 개선을 위해 재설계되었다.
  • 연료 터보 펌프의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 연소실/분사기 조립체를 개선하여 분사기 요소 수를 줄임으로써 가공 복잡성과 비용을 절감하고 신뢰성을 높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최대 비추력은 440isp로 감소했지만, 비용 절감과 신뢰성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1]

4. 2. 새로운 노즐 설계 (측면 하중 문제)

미쓰비시와 IHI, NASDA는 LE-7을 개량하여 신뢰성을 높인 '''LE-7A'''를 개발했다. (1994년 개발 시작, 2000년 완성) H-IIA는 1단 엔진으로 LE-7A를 1개 사용하며, H-IIB는 2개를 사용한다. 미국의 기술 원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새로운 엔진 모델에는 추가적인 성능이 필요할 때 새로운 표준 "단축형" 노즐 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는 노즐 연장부가 설계되었다. 그러나 엔진에 노즐 연장부를 장착했을 때, LE-7A는 전례 없는 측면 하중과 시동 시 짐벌 액추에이터 및 재생 냉각 튜브를 손상시킬 정도로 심한 불규칙한 가열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겪었다. 세심한 전산 유체 역학 (CFD) 작업을 통해 위험한 과도 하중을 충분히 재현하고 추적할 수 있었으며,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별도의 필름 냉각 연장부가 있는 기존의 단축형 노즐과 달리 완전 재생 냉각 기능을 갖춘 새로운 일체형 "장축형" 노즐이 설계되었다. 이 새로운 노즐이 준비되기 전에 일부 H-IIA가 단축형 노즐만 사용하여 발사되었다. LE-7A는 더 이상 어떤 구성에서도 별도의 노즐 연장부를 사용하지 않는다.[1]

4. 3. H-IIB 로켓 적용

새로운 H-IIB 발사체는 1단에 2기의 LE-7A 엔진을 사용한다.[2]

4. 4. LE-7A 제원

{| class="wikitable"

|-

! 항목 !! 내용

|-

| 작동 사이클 || 2단 연소 사이클

|-

| 연료 || 액체 수소

|-

| 산화제 || 액체 산소

|-

| 혼합비(산화제 대 연료) || 5.90

|-

| 건조 질량 || 1800kg

|-

| 길이

|

구분
짧은 노즐3.2m
긴 노즐3.7m



|-

| 스로틀 가능 범위 || 72–100%

|-

| 추력 대 중량비 || 65.9

|-

| 노즐 면적비 || 51.9:1

|-

| 연소실 압력 ||

|-

| 액체 수소 터보 펌프 회전수 || 41900rpm

|-

| 액체 산소 터보 펌프 회전수 || 18300rpm

|}

5. 일본의 국산 액체연료 로켓 엔진 시리즈

일본의 액체연료 로켓 엔진 명칭에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Liquid Engine"을 의미하는 "LE"가 붙는다. LE-1 이전에 LS-A 로켓과 LS-B 로켓의 2단에 질산/등유를 추진제로 사용하는 액체연료 로켓 엔진이 개발되었으나, 이 엔진에는 이름이 없다. LE-3부터 우주발사체에 실제로 사용되었다. LE-1과 LE-2는 시험 로켓용 엔진이며, LE-3은 국산이지만 미국으로부터 기술지도를 받았으므로, 액체연료 로켓 엔진에 한해서 말하면 일본이 실용적인 우주발사체 엔진을 완전히 국산화한 것은 LE-5가 최초다.

엔진로켓진공추력비추력산화제/연료연소 방법
LE-1LS-C 1단질산/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
LE-2LS-C 1단질산/A-50
LE-3LS-C 1단, ETV 2단, N-I 2단5.4 tf290 초사산화 이질소/A-50가압식 사이클
LE-5H-I 2단10.5 tf450 초액체산소/액체수소가스발생기 사이클
LE-5AH-II 2단12.4 tf452 초액체산소/액체수소팽창식 블리드 사이클
LE-5BH-II 2단, H-IIA 2단, H-IIB 2단14.0 tf447 초액체산소/액체수소팽창식 블리드 사이클
LE-7H-II 1단110.0 tf446 초액체산소/액체수소단계식 연소 사이클
LE-7AH-IIA 1단, H-IIB 1단112.0 tf440 초액체산소/액체수소단계식 연소 사이클
LE-8GX 로켓 2단10.9 tf316 초액체산소/LNG가스발생기 사이클
LE-9H3 1단150.0 tf425 초액체산소/액체수소팽창식 블리드 사이클


참조

[1] 논문 LE-7A Engine Separation Phenomenon Differences of the Two Nozzle Configurations https://doi.org/10.2[...] 2003-07
[2]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H-IIB Launch Vehicle https://www.jaxa.jp/[...] JAXA 2023-05-13
[3] 웹사이트 宇宙開発に関するプロジェクトの評価指針 5.評価実施のための原則−文部科学省 / 005.htm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0-08-21
[4] 웹사이트 設計品質確保の思想 航空宇宙エレクトロニクスに学ぶ「信頼性設計」 http://www.kumikomi.[...] Tech Village 2006-03-28
[5] 웹사이트 LE-7ターボポンプの開発 http://airex.tksc.ja[...] 航空宇宙研究開発機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