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우라 도시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우라 도시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63년 이와테현에서 태어났다. 선수 시절에는 고마자와 대학과 지역 클럽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 전향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고등학교 코치를 시작으로 독일 유학을 거쳐 J리그와 베트남 국가대표팀, 태국 U-20 대표팀 등 다양한 팀을 맡았다. 그는 오미야 아르디자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를 J1으로 승격시키고 베트남 대표팀을 AFF 챔피언십 준결승으로 이끄는 등 지도력을 발휘했으나, 여러 팀에서 성적 부진으로 해임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박항서
    박항서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으로, 선수 시절 K리그 우승 및 청소년 대표팀 주장을 역임했고, 은퇴 후에는 한국 프로팀 코치 및 감독,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활동하며 2002년 월드컵 4강 기여, 2018년 AFF 스즈키컵 우승 등의 공을 세워 '베트남의 히딩크'로 불리며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베트남에 거주한 일본인 - 다카사키 히로유키
    다카사키 히로유키는 J리그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다양한 대회에 출전했고, 특히 미토 홀리호크와 마츠모토 야마가 FC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인 일본의 축구 선수이다.
  • 베트남에 거주한 일본인 - 이토 단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인 이토 단은 '방랑하는 축구 선수'라는 별명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개 국가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클라크 기념 국제 고등학교 축구부 감독과 아시아 진출 지원 단체 "챌린저스 아시아"를 설립했다.
  • 베트남의 외국인 축구 감독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베트남의 외국인 축구 감독 - 에르베 르나르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 에르베 르나르는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동했으며, 잠비아와 코트디부아르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으로 이끈 최초의 감독이 되었고, 이후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남자 국가대표팀, 프랑스 여자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 후 사우디 아라비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재선임되었다.
미우라 도시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미우라 도시야
본명미우라 도시야 (三浦 俊也)
출생일1963년 7월 16일
출생지이와테현 가마이시시
유소년 클럽가마이시 미나미 고등학교 (1979–1981)
고마자와 대학 (1982–1985)
선수 경력
클럽모리오카 제브라
신닛테쓰 가마이시
지도자 경력
1997년브루멜 센다이
1998년미토 홀리호크
2000–2001년오미야 아르디자
2004–2006년오미야 아르디자
2007–2008년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2009–2010년비셀 고베
2011년방포레 고후
2014–2016년베트남 U23
2014–2016년베트남
2017–2018년호찌민 시티
2022년FC 기후
2023년태국 U20

2. 선수 경력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2. 1. 선수 시절

미우라 도시야는 1963년 7월 16일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서 태어났다.[5] 이와테현립 가마이시미나미고등학교 (현 이와테현립 가마이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2년 고마자와 대학에 입학하여 축구부에 소속되었으나, 주로 후보 선수였다.[5] 대학 졸업 후에는 지역 양호학교 교사로 근무하며 선수 생활을 병행했다.

그의 선수 경력은 다음과 같다.[5]

기간소속팀
1982년 ~ 1986년고마자와 대학 (후보 선수)
대학 졸업 후모리오카 제브라
대학 졸업 후신일철 가마이시
미상SpVgg 바이덴
미상BW 우어펠트
미상RSV 우르바흐



선수 생활 이후 지도자의 꿈을 이루기 위해 1991년 독일로 건너가 코치 유학을 시작했다.[5] 독일 스포츠 대학 쾰른에서 5년 반 동안 코치 이론을 공부하며 독일 A급(일본 A급과 동등) 코치 라이센스를 취득했고, 이 과정에서 독일어를 습득했다.[5]

3. 지도자 경력

미우라 도시야는 독일 유학 후 1997년 브룸멜 센다이 코치를 시작으로 J리그의 여러 클럽과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U-20 대표팀 등 다양한 팀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5]

기간국가소속팀/대표팀직책
1986년 - 1989년일본이와테현립 가마이시미나미고등학교 축구부코치
1990년일본미마에FC Jr. 유스코치
1991년독일SV 바이덴코치
1992년독일BW 우어펠트코치
1993년독일BW 우어펠트 유스코치
1994년독일BV 04 뒤셀도르프코치
1995년 - 1996년독일BV 04 뒤셀도르프 Jr. 유스감독
1997년 1월 - 10월일본브룸멜 센다이코치
1997년 10월 - 12월일본브룸멜 센다이감독
1998년일본미토 홀리호크감독
1999년일본오미야 아르디자코치
2000년 - 2001년일본오미야 아르디자감독
2004년 - 2006년일본오미야 아르디자감독
2007년 - 2008년일본콘사돌레 삿포로감독
2009년 8월 - 2010년 9월일본빗셀 고베감독
2011년 - 2011년 8월일본반포레 고후감독
2014년 5월 - 2016년 1월[6]베트남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베트남 U-23 축구 국가대표팀 겸임)
감독
2018년 1월 - 2018년 10월[7][8]베트남호치민 시티 FC감독
2021년 9월 - 12월일본FC 기후팀 총괄 본부장 겸 테크니컬 디렉터
2022년 - 2022년 5월[9][10]일본FC 기후감독
2023년 3월 - 2023년 10월[11][12]태국태국 U-20 대표팀감독


3. 1. 일본

이와테현립 가마이시미나미 고등학교 (현 이와테현립 가마이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2년 고마자와 대학에 입학하여 축구부에 소속되었으나 주로 후보 선수로 머물렀다. 대학 졸업 후에는 지역의 양호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도호쿠 사회인 축구 리그의 모리오카 제브라나 신일본제철 가마이시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지도자의 꿈을 이루기 위해 1991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 쾰른 체육 대학에서 5년 반 동안 코칭 이론을 공부하고 독일 A급(일본 A급과 동등) 라이센스를 취득했으며, 이 기간 동안 독일어도 습득했다. 1996년 일본으로 돌아와 통역을 겸하며 S급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1997년, 당시 재팬 풋볼 리그(구 JFL) 소속이던 브룸멜 센다이(현 베갈타 센다이)의 코치로 부임했고, 그해 천황배에서는 감독직을 수행했다. 1998년에는 미토 홀리호크와 계약하며 처음으로 시즌 전체를 감독으로 지휘했다.

1999년에는 오미야 아르디자의 코치로 합류하여 핌 파어베크 감독 아래에서 네덜란드 스타일의 점유율 축구를 익혔다. 2000년 오미야의 감독으로 승격되어 첫 시즌에는 리그 4위를 기록했으나, 상위 3팀을 상대로는 1승 11패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01년 시즌에는 전 파나마 국가대표 공격수 호르헤 델리 발데스, 훗날 J리그 최초 더블 해트트릭을 기록한 발레이, 전 일본 국가대표 안도 마사히로 등을 영입하며 "지도자 생활 중 최고의 진용"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시즌 전반기에는 2쿨 전승을 포함해 17승 2패 1무(연장승 4회 포함)의 뛰어난 성적을 거뒀지만, 3쿨 시작 직후 조르지뉴와 발데스가 시즌 아웃되는 큰 부상을 당하면서 팀이 흔들렸고, 결국 최종 5위에 머물러 J1 승격에 실패했다. 시즌 종료 후 미우라는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04년, 2년 만에 다시 오미야 감독으로 복귀했다. 시즌 초반에는 전력 파악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압도적 선두였던 가와사키 프론탈레를 제외한 다른 팀들의 부진 속에서 전반기를 자동 승격권인 2위로 마쳤다. 후반기에는 툿의 중간 영입과 로테이션 시스템 가동 등 전략이 성공을 거두며 승점을 쌓아, 제42라운드 미토전 승리로 J1 승격을 확정지었다. 2005년에는 J1 잔류에 성공했으나, 에이스 크리스티안의 이적과 부상자 속출로 후반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6년 시즌에도 잔류를 이끌었지만, 시즌 종료 후 감독직을 사임했다.

2007년에는 콘사돌레 삿포로 감독으로 부임했다. 전임 야나기시타 마사아키 감독의 공격 축구와 달리, 미우라는 수비 조직력을 강조하며 공격수에게도 수비 가담을 요구하는 '전원 수비' 전술을 도입했다. 이는 실점 감소로 이어져 개막 후 순항하며 선두를 질주했다. 시즌 중반 이후 체력 저하와 상대 팀의 전술 분석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최종전(12월 1일) 미토 홀리호크전에서 승리하며 J2 우승과 함께 팀의 J1 복귀를 이끌었다.

2008년 J1 시즌은 시작부터 험난했다. 중원의 핵심으로 기대했던 아르세우의 조기 퇴단, 브루노 콰드로스의 계약 해지, 그리고 지난 시즌 승격의 주역이었던 소다 유시 등 수비진의 부상 이탈이 겹쳤다. 에이스 공격수 다비의 분전으로 득점력은 유지했지만, 부상자 속출과 J1 팀들에게 공략당한 존 디펜스의 붕괴로 수비가 불안정했다. 또한, 수비 중심의 하드 워크 전술로 인해 퇴장자가 많이 발생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시즌 중 미노와 요시노부 영입으로 수비가 다소 안정되었으나, 7~8월에 선제골을 넣고도 역전패하는 경기가 반복되며 결국 잔여 5경기를 남기고 J2 강등이 확정되었다(당시 J리그 최단 기간 강등 타이기록). 구단은 연임을 제안했지만, 미우라는 강등의 책임을 지고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이후 빗셀 고베(2009-2010), 벤포레 고후(2011), FC 기후(2022) 등 여러 J리그 클럽의 감독을 역임했다.

3. 2. 베트남

2014년 5월 10일, 베트남 축구 연맹은 미우라를 베트남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하고 2년 계약을 맺었다. 그는 성인 대표팀과 함께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하는 U-23 대표팀 감독도 겸임했다. 그의 첫 공식 대회는 2014년 AFF 챔피언십이었으며, 베트남 대표팀을 준결승까지 이끌었으나 말레이시아에게 패배했다.[1]

2015년 3월 31일에는 베트남 U-23 대표팀을 이끌고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에서 조 3위를 차지하며 베트남의 해당 대회 사상 첫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이 대회는 2013년 AFC U-22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두 번째로 개최된 대회였다.)[2]

그러나 이러한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라이벌 태국에게 2경기 모두 패배하고,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서 호주 U-23, 요르단 U-23을 상대로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이는 등 점차 한계를 드러냈다. 그는 지나치게 수비적인 전술을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체격 조건이 좋은 팀을 상대로도 강한 압박 플레이를 요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전술이 체구가 작은 베트남 선수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가 있었다.[3] 일각에서는 미우라가 베트남 축구 연맹 부회장이 소유한 호앙 아인 잘라이-아스널-JMG 축구 아카데미 출신 유망주 기용을 거부했기 때문에 해임되었다는 소문도 있었으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다. 실제로는 성적 부진, 특히 월드컵 예선에서의 라이벌 태국전 연패가 계약 조기 종료의 주된 원인이었다. 결국 미우라는 2016년 1월 28일에 감독직에서 해임되었다.[6]

3. 3. 기타 국가

지도자가 되겠다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1991년 독일로 코치 유학을 떠났다. 쾰른 체육 대학에서 5년 반 동안 코칭 이론을 공부하며 독일 A급(일본 A급과 동일) 라이선스를 취득했고, 이 기간 동안 독일어도 익혔다.

2023년 3월, 태국 U-20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1] 이는 태국 1부 리그부리람 유나이티드와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진 초빙이었다. 태국 축구 협회는 '뉴 에라(New Era, 신시대) 계획'을 통해 3년 안에 U-20 대표팀을 아시아 8강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미우라는 2023년 10월 "개인적인 사정"을 이유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12] 후임으로는 슈타르프 유키 리히아르트가 임명되었다.[13]

4. 감독 스타일 및 평가

1999년 오미야 아르디자 코치 시절 감독 핌 파어베크 아래에서 네덜란드 스타일의 점유율 축구를 배웠다. 미우라 감독은 전반적으로 조직적인 수비를 중시하며, 특히 수비수뿐만 아니라 공격수를 포함한 팀 전체가 수비에 가담하는 '전원 수비'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콘사돌레 삿포로 감독으로 부임한 2007년에는 이러한 스타일을 적용하여 이전 감독 체제에서 약점으로 지적되던 수비 불안을 해소하고 실점을 크게 줄였다. 이를 바탕으로 J2리그 우승과 J1 승격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J1리그에서는 그의 수비 전술이 한계를 드러냈다. 2008년 시즌, 삿포로의 존 디펜스는 J1 팀들에게 효과적으로 공략당했고, 수비 중심의 강한 압박과 하드 워크 요구는 선수들의 체력 부담과 잦은 퇴장으로 이어져 팀이 최하위로 강등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후 맡았던 팀에서도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빗셀 고베 감독 시절(2009-2010년)에도 견고한 수비와 빠른 역습을 추구했으나, 2010년에는 삿포로 시절과 유사하게 수비 중심 전술 운영 과정에서 퇴장 선수가 속출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시즌 중 경질되었다. 반포레 고후 감독 시절(2011년)에는 수비 안정을 위해 존 디펜스를 도입하려 했지만, 기존 팀의 압박 수비 스타일과 충돌하며 선수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수비에 지나치게 치중한 나머지 팀의 장점이었던 공격력과 활동량마저 약화되었고, 존 디펜스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중거리 슈팅 허용 문제까지 노출하며 부진을 거듭했다. 결국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고후 구단 역사상 최초로 시즌 중 경질되는 감독이 되었다.

반면, 오미야 아르디자 감독 2기였던 2004년에는 장기 리그 운영을 고려한 로테이션 시스템(턴오버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시즌 중 적절한 선수 보강(툿)을 통해 팀의 J1 승격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2014-2016년)에는 초기에 2014년 AFF 챔피언십 준결승 진출,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 진출 등의 성과를 냈으나[1][2], 이후 지나치게 수비적인 전술 운영과 선수들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강한 플레이 요구[3] 등으로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라이벌 태국과의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연달아 패배하는 등 성적 부진이 결정적인 경질 사유가 되었다. 그의 축구 스타일이 상대적으로 체구가 작은 베트남 선수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3]

5. 일화


  • 아버지인 미우라 다츠오는 과거 강호였던 신일본제철 가마이시 럭비부(현 가마이시 시웨이브스) 소속 선수였음을 홋카이도 문화방송의 프로그램을 통해 밝혔다.
  • 반포레 고후 감독 시절이던 2011년 제19절, 전년도까지 지휘했던 빗셀 고베와의 경기에서 완패한 후 기자회견에서 "왜 뛰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에 "이해할 수 없다. 선수에게 물어보고 싶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미우라가 해임된 후, 고후의 스폰서이자 현지 언론인 야마나시 니치니치 신문은 2011년 8월 9일 조간 기사에서 "연습에서도 그저 멍하니 서서 패스만 하고 있었다"는 점과, 기자가 선수에게 해당 발언에 대해 묻자 "뛰지 않아도 되는 연습만 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답했다는 내용을 전하며 미우라의 훈련 방식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 사이타마현 시키시의 라멘 가게 '고이케 씨'의 점주가 가마이시미나미 고등학교 후배라는 인연으로 응원 메일을 보냈는데, 미우라가 갑자기 가게를 방문하여 "이 가게의 메뉴를 전부 먹어주겠다"고 말하며 단골이 되었다. 이후 이 가게는 선수나 서포터들도 자주 찾는 곳이 되어, 라멘 가게로서는 이례적으로 관람용 대형 TV와 각종 오미야 아르디자 관련 상품을 갖춘 팬들의 명소가 되었다. (사이타마 신문 2012년 2월)
  • 베트남에서 축구 보급에 기여한 지도자로 알려져, TV 아사히에서 2018년 6월 9일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 『육해공 지구 정복한다든지』의 '베트남에서 들은 일본인 인지도 랭킹' 조사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미우라 본인도 이 프로그램에 직접 출연했다.

6. 감독 통산 기록

[4]

팀과 재임 기간별 감독 기록
국적시작종료기록
경기승리무승부패배승률 (%)
오미야 아르디자일본2000년 2월2001년 12월884983155.7
오미야 아르디자일본2004년 2월2006년 12월13562215245.9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일본2007년 2월2008년 12월9032193935.6
빗셀 고베일본2009년 8월2010년 9월4514121931.1
반포레 고후일본2011년 1월2011년 8월22551222.7
베트남베트남2014년 5월 10일2016년 1월 28일1473450.0
베트남 U-23베트남2014년 5월 10일2016년 1월 28일1690756.3
호치민 시티 FC베트남2018년 1월 5일2018년 10월 10일26761326.9
FC 기후일본2022년 2월 1일2022년 5월 5일721428.6
태국 U20태국2023년 3월 19일2023년 10월 19일00000.0
전체 경력4431877518142.2



연도소속클럽리그전컵 대회
순위경기승점J리그컵천황배
1997구 JFLB센다이-------2회전 탈락
1998미토 홀리호크14위30238-22-3회전 탈락
2000J2오미야 아르디자4위4068231161회전 탈락3회전 탈락
20015위4478266121회전 탈락1회전 탈락
20042위44872699-5회전 탈락
2005J113위3441125178강4강
200612위344413516예선 리그 탈락5회전 탈락
2007J2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우승4891271011-3회전 탈락
2008J118위34184624예선 리그 탈락4회전 탈락
2009빗셀 고베14위1417455-4회전 탈락
201016위22215611예선 리그 탈락-
2011반포레 고후16위201745111회전 탈락-
2022J3FC 기후14위77214--
J1 통산-155-423384
J2 통산-176-1022648
J3 통산-7-214
JFL 통산-30-8-22
통산-368-15459158


  • 1997년은 천황배만 지휘
  • 2009년은 제21절부터 지휘, 순위는 시즌 최종 순위
  • 2010년은 제22절에 해임, 순위는 해임시 순위
  • 2011년은 제20절에 해임, 순위는 해임시 순위
  • 2022년은 제8절에 해임, 순위는 해임시 순위 (단, 제4절은 미소화)

7. 수상 내역

'''오미야 아르디자'''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베트남'''

참조

[1] 뉴스 Miura confident of road ahead http://vietnamnews.v[...] 2014-05-12
[2] 뉴스 Vietnam book place in Asian U-23 tourney finals after shattering Macau http://tuoitrenews.v[...] 2015-04-01
[3] 뉴스 Clock ticking on Miura http://tuoitrenews.v[...] 2016-01-20
[4]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5] 간행물 三浦俊也氏 監督就任のお知らせ (甲府) http://www.jsgoal.jp[...] J's GOAL 2010-12-13
[6] 웹사이트 三浦俊也氏がベトナム代表監督に就任 五輪代表も兼務の2年契約 https://www.soccer-k[...] Soccer King 2014-05-08
[7] 웹사이트 元ベトナム代表監督の三浦俊也、レ・コン・ビンが会長を務めるホーチミン・シティの監督に就任 https://www.soccer-k[...] "フロムワン|サッカーキング" 2018-01-05
[8] 웹사이트 ベトナム1部HCMC、三浦俊也監督の契約解除を発表 http://www.vietnam-f[...] 2019-11-13
[9] 웹사이트 三浦俊也氏、FC岐阜監督就任(チーム統括本部長兼テクニカルダイレクター退任)のお知らせ https://www.fc-gifu.[...] FC岐阜 2021-12-07
[10] 간행물 三浦俊也監督退任および横山雄次ヘッドコーチ 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fc-gifu.[...] FC岐阜 2022-05-06
[11] 웹사이트 タイの「ブルーロック計画」始動、U-20タイ代表に三浦俊也監督が就任 https://football-tri[...] 2023-03-20
[12] 웹사이트 日本代表戦、元日に国立開催決定の裏で…三浦俊也氏がタイ代表監督退任 https://football-tri[...] 2023-10-20
[13] 웹사이트 シュタルフ悠紀リヒャルト氏がU―20タイ代表監督就任へ 今季途中までJ3長野で監督 https://www.sponichi[...] 2023-11-27
[14] 웹사이트 ベトナム・2000人に選ばれた「イチバン有名な日本人」が意外すぎた https://sirabee.com/[...] しらべえ 2018-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