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마추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마추신은 러시아의 화가, 음악가, 예술 이론가였다. 그는 바이올린을 배우고 모스크바 음악원을 졸업한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궁정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했다. 엘레나 구로를 만나 큐보-미래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1913년 오페라 《태양을 이긴 자》의 음악을 작곡했다. 마추신은 시각 연구에 몰두하여 인간의 지각 범위를 확장하는 데 관심을 가졌고, 예술 문화 연구소에서 색채와 지각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조르베드'라는 연구 그룹을 결성하여 후방 평면의 개념을 연구했다. 마추신과 구로의 집은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아방가르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인물 - 카지미르 말레비치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의 선구자이자 절대주의 미술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하학적 추상을 통해 순수한 예술적 표현을 추구했으며, 대표작 〈검은 사각형〉과 〈흰색 위의 흰색〉은 추상 미술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인물 -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는 조지아 출신의 러시아 시인, 극작가, 예술가로, 러시아 미래주의 운동을 이끌며 혁명 이후 소련에서 혁명을 찬양하는 작품을 발표했으며 1930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니즈니노브고로드 출신 -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키는 '쓰다'라는 뜻의 필명을 사용한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밑바닥 인생을 묘사한 작품과 《어머니》, 《밑바닥에서》 등의 대표작을 남겨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 니즈니노브고로드 출신 -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는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 사상가이자 문학 평론가로서, 문학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을 전개하며 러시아 사회 변혁 운동과 한국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화가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러시아의 화가 - 카지미르 말레비치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의 선구자이자 절대주의 미술 운동의 창시자로서, 기하학적 추상을 통해 순수한 예술적 표현을 추구했으며, 대표작 〈검은 사각형〉과 〈흰색 위의 흰색〉은 추상 미술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미하일 마추신
기본 정보
미하일 마추신의 초상
미하일 마추신
출생1861년
사망1934년 10월 14일
국적러시아
직업화가
활동 기간1908–1934
장르러시아 아방가르드
배우자엘레나 구로
서명
미하일 마추신의 서명
미하일 마추신의 서명

2. 생애

2. 1. 초기 생애 (1861-1900)

미하일 마추신은 지주와 농노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다. 그는 어릴 때부터 독학으로 읽고 쓰기, 바이올린 연주를 배웠다. 8세에 니즈니노브고로드 음악학교에서 음악 수업을 받았고, 1875년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했다. 마추신은 회화에도 재능이 있었지만, 당시에는 정규 교육을 받을 여유가 없었다. 1881년 모스크바 음악원을 졸업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 궁정 오케스트라에 입단하여 1913년까지 전문적으로 활동했다. 1890년대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립 학교에서 그래픽 아트를 공부했다.

2. 2. 큐비즘-미래주의 (1900-1913)

1903년부터 1905년까지 이안 총글린스키 미술학교에서 훗날 두 번째 부인이 되는 작가이자 화가인 엘레나 구로를 만났다.[2] 구로는 마추신보다 16살 어렸으며, 마추신의 예술과 사회에 대한 관점을 극적으로 바꾸었고, 둘은 이탈리아 미래주의와 병행하여 발전하는 러시아 큐보-미래주의 운동의 씨앗이 되었다.[2] 마추신은 미래주의자들 중 가장 나이가 많았고, 알렉산드르 블로크는 마추신에 대해 "미래주의적으로 젊어 보이려고 노력한다"라고 비꼬아 썼다.[3] 1910년 마추신과 구로는 러시아 미래주의자들의 첫 번째 알마나크인 ''재판관을 위한 함정''(''Садок судей'')을 후원하고 공동 집필했다.[2] 부부는 자녀가 없었지만, 1912년 백혈병을 앓고 있던[2] 구로는 "잊을 수 없는 아들"을 만들어냈고,[4] 이는 그녀의 사후에도 지속된 문학적 기만이었으며, 1921년 마추신에 의해 음악으로 설정된 그녀의 책 ''가을 꿈''(''Осенний сон'', 1912)의 주제가 되었다.[4] 그녀는 1913년 4월에 사망했다.[5]

엘레나 구로가 1910년에 그린 초상화

2. 3. 태양에 대한 승리 (1913)

1913년,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경이로운 해''에[6] 청년 연합은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의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비극''과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알렉세이 크루체니흐(대본), 미하일 마추신(음악), 카지미르 말레비치(무대 디자인)의 오페라 ''태양을 이긴 자''라는 두 편의 실험적인 연극을 제작했다.

마추신은 이 오페라에서 "저렴한 모습의 태양"[7]은 더 이상 무결하지 않은 일상적인 현실 감각에 다름 아니며, 언젠가 인간이 태양을 물리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점을 통해 갈릴레오천문학 기본조차 바뀔 수 있다고 주장했다.[7] 이 오페라는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이 최초로 등장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7] 마추신은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의 시에 곡을 붙여 이 오페라의 음악을 담당했다.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이 오페라의 무대 미술을 담당하면서 쉬프레마티슴을 떠올린 것으로 보인다.

2. 4. 예술 이론 연구 (1913-1934)

1918년,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옛 제국 예술 아카데미를 인수하여 ''자유 작업장''(SVOMAS)으로 개명하고, 미하일 마추신은 이곳에서 자신의 미술 수업인 '색채'를 이끌었다.[9] 1921년, 국가가 아카데미를 재개편하면서 마추신, 말레비치, 블라디미르 타틀린은 교수직을 잃었다.[9] 마추신과 말레비치는 예술 문화 연구소(INHUK)에서 색채와 지각에 대한 실험을 계속했다.[10]

마추신은 말레비치, 파벨 필로노프와 함께 '지각적 밀레니엄주의'자였으며,[11] 개인의 인간 지각의 경계는 아직 탐구되지 않았으며 거의 신비주의적인 방식으로 크게 확장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11]

마추신이 다룬 또 다른 문제는 인간이 360도를 모두 볼 수 없다는 것이었다.[14] 1923년, 마추신은 해결책은 예술가가 "이전의 지각 방법을 생리적으로 변화"시키는 지점까지 개인적으로 발전하는 데 있으며,[14] 이전에 "경험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인간의 영역 밖에" 있었던 후방 정보의 층인 후방 평면의 개념을 도입했다.[14] 마추신은 새로운 연구 그룹인 ''조르베드''(Зорвед, 문자 그대로 ''보고 안다'')를 결성하고, 사람 ''뒤''에 위치한 사건과 객체를 지각한다는 증거를 발견했으며, 인간이 이 후방 "시각"을 해결할 수 있는 시각 센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4]

1921년부터 1923년까지 예능문화박물관에서 근무하여, 그 실행위원회에 소속되었다. 1923년 초두부터는 이 박물관의 예술연구부문에 참가했다. INHUK는 1925년 12월에 폐쇄되어 국립 조형 예술 연구소(GIII)에 병합되었다.

3. 유산

마추신과 구로의 집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마추신과 구로의 나무 집은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역사 박물관의 부서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아방가르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5] 이 집은 1840년대 또는 1850년대에 지어졌으며, 1904년에는 문학 재단의 소유가 되어 예술가들의 호텔로 운영되었다.[15] 마추신과 구로는 1912년에 이 곳으로 이사했으며, 말레비치, 필로노프, 마야코프스키 등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다른 유명 예술가들에게도 피난처를 제공했다.[15]

마추신의 세 번째 부인 올가 콘스탄티노브나는 1975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살았으며, 레닌그라드 포위전 동안 그녀의 방은 세볼로트 비쉬네프스키에게 제공되었고, 특별 명령으로 건물을 땔감으로 해체하는 것을 막았다.[15] 1979년 마지막 거주자들이 이사하거나 사망한 후, 마추신의 집은 대중 박물관이 되었다.[15] 현재 건물은 현대식 복제품으로, 원래 집은 1987년에 해체되어 새로운 목재로 재건되었고, 1990년 화재와 여러 차례의 난관을 겪은 후 다시 재건되어 2006년에 재개관했다.[15]

4. 작품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그린 ''미하일 마추신 초상''(c. 1913)이 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ikhail Matyushin http://monoskop.org/[...] 2014-06-05
[2] 서적 Grodberg
[3] 서적 Volkov
[4] 서적 Grodberg
[5] 서적 Grodberg
[6] 서적 Clark
[7] 서적 Clark
[8] 서적 Clark
[9] 서적 Clark
[10] 서적 Clark
[11] 서적 Clark
[12] 서적 Constructivists asserted that new consciousness can be attained not through individual breakthroughs, but through rebuilding of living environment
[13] 서적 Clark
[14] 서적 Clark
[15] 웹사이트 Museum of Avant-Garde in Saint Petersburg (official site in Russian) http://www.spbmuseum[...] State Museum of History of Saint Petersbu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