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는 1893년 조지아에서 태어난 러시아 시인, 극작가, 예술가이다. 그는 러시아 미래주의 운동의 핵심 인물로, 기존의 문학 형식을 파괴하고 새로운 시적 언어를 창조하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는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지지하며 혁명 이후 소련에서 활동하며 혁명을 찬양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 시 《바지 속의 구름》, 《1억 5천만》,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희곡 《미스테리-부프》, 《벼룩》, 《목욕탕》 등이 있으며, 1930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는 타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 마야콥스카야역 (모스크바 지하철)
    마야콥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자모스크보레츠카야 선의 역으로, 1930년대 소련 건축 기술을 대표하며 뉴욕 세계 박람회 그랑프리 수상, 공습 대피소 활용, 예술적인 디자인 요소, 그리고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를 기리는 명칭으로 특징지어진다.
  •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 마야콥스카야역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마야콥스카야역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1호선과 3호선에 위치한, 시인 마야콥스키의 이름을 딴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의 역으로, 붉은색과 분홍색 대리석, 모자이크 패널, 그리고 플로샤디 보스타니야 역으로의 환승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 조지아의 무신론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조지아의 무신론자 - 라브렌티 베리야
    라브렌티 베리야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비밀 경찰 수장으로, 스탈린의 심복으로서 대숙청을 주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생산을 감독했으나, 스탈린 사후 권력 투쟁에서 밀려 처형되어 공포 정치의 대명사로 남았다.
  • 1930년 자살 - 장인환
    장인환은 일제강점기 대한제국 외교고문 더럼 스티븐스를 저격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독립운동가이며, 숭실학교 졸업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대동보국회에서 활동하다가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 1930년 자살 - 줄스 파스킨
    줄스 파스킨은 불가리아 출신의 화가로, 풍자적인 드로잉, 여성 누드, 몽마르뜨의 밤 문화 등을 주로 그렸으며, 우울증과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자살했다.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0년의 마야콥스키
1920년의 마야콥스키
본명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마야콥스키
원어 이름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Маяковский
로마자 표기Vladimir Vladimirovich Mayakovsky
출생일1893년 7월 19일 (율리우스력 7월 7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쿠타이시 현 바그다티 (현재 조지아 바그다티)
사망일1930년 4월 14일
사망지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국적소비에트 연방
직업시인, 극작가, 배우, 화가
언어러시아어
교육
모교스트로가노프 모스크바 국립 예술 산업 아카데미, 모스크바 회화 조각 건축 학교
활동 정보
활동 기간1912년–1930년
장르
주제새로운 소비에트 인간
사조러시아 미래주의, 입체 미래주의
대표 작품『혁명 찬가』
음성 정보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서명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서명

2. 생애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는 러시아 제국에 속했던 조지아의 바그다티에서 산림관의 아들로 태어났다.[55] 바쿠 유전지대의 혁명적 분위기는 어린 시절의 마야콥스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아버지 사망 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볼셰비키 혁명 운동에 가담, 2년간 세 번이나 체포되었다.[4] 그 후 모스크바의 미술학교에 입학하여 미래파 시인 그룹에 속하면서 과거의 문학 유산 및 부르주아 문학의 전통에 반항했다. 노란색 자켓을 입고 화려한 시위를 벌여 유명해졌으며, 《바지를 입은 구름》(1915) 등의 거친 리리시즘으로 두각을 나타냈다.[19]

마야콥스키는 혁명을 '나의' 혁명으로 받아들여 인간 해방을 초래하고 개인의 역량을 개화시키는 혁명의 승리를 노래했다. 그는 모든 재능을 혁명의 대의명분에 바쳤고,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제와 나날의 생활 속에서 시의 소재를 찾았다. 그의 시는 토막토막 잘린 짧은 시구문과, 의미 및 음조를 강조하기 위해 단어를 행으로 나누어 나열하는 혁명적인 시법을 사용했다. 또한 일상어를 교묘하게 구사하고 거친 유머를 사용하는 것도 혁명적이었다. 그는 집회나 공장에서 자작시를 자주 낭독했는데, 그의 시는 낭송하기 용이하고 고정화된 시어의 파괴를 지향했으며, 억센 힘과 동적인 비유로 가득 차 있었다. 그의 서정적 재능과 기발한 발상, 유머 감각은 그의 작품이 단순한 프로퍼갠더로 전락하는 것을 막았다.

10월 혁명 이후, 1918년 소련 극문학의 효시가 된 《미스테리-부프》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혁명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미래의 사회를 엮은 것으로 아리스토파네스를 연상케 하는 활력이 있다. 희곡 《빈대》(1928)와 《목욕탕》(1929)은 몽환희곡(夢幻戱曲) 혹은 기상천외의 풍자적 수법으로 시정인의 근성과 관료주의를 폭로했다. 자본주의 사회를 비난한 서사시 《150000000》(1920)도 공상의 비약과 거친 유머에 차 있다. 1920년대에는 미래파 동지들을 중심으로 한 잡지 《레프(예술좌익전선)》를 발간, 전위적 문학운동의 중핵이 되었고, 레닌의 죽음을 노래한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1924) 등을 발표했다.[14]

그러나 혁명의 정열을 노래하는 가운데 좌절감이 싹텄고, 시사적 문제에 관한 시를 쓰거나 낭독하는 일에도 싫증이 났다. 국가에 대한 봉사는 자발적인 의무였으나, 당시 문학계의 공적 권위자들은 그를 비난하기 시작했다. 1930년 4월 권총 자살을 했는데, 유고에는 "사랑하는 작은 배는 세속에 충돌했다"고 씌어 있었다.[31] 그의 자살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비난받았으나, 스탈린이 그를 소비에트의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평가했기 때문에 세르게이 예세닌처럼 냉대받지는 않았고, 오늘날까지 그의 명성은 높다.

마야콥스키가 태어난 조지아의 집

2. 1. 어린 시절과 혁명 운동 참여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는 1893년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조지아의 바그다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산림 감독관이었고, 코사크 가문 출신의 귀족이었다. 마야콥스키 가족은 러시아, 자포로지예 코사크, 우크라이나 혈통을 이어받았다.[5] 어린 시절 바쿠 유전지대의 혁명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으며, 1905년 혁명 당시 쿠타이시에서 사회주의 시위에 참여했다.[4]

1906년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가족과 함께 모스크바로 이주했다.[4][8] 모스크바에서 마르크스주의 문학에 심취했으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가입하여 볼셰비키 활동에 참여했다.[11][12] 이로 인해 여러 차례 체포되었고, 1909년에는 여성 정치 활동가들의 탈옥을 도운 혐의로 11개월간 투옥되기도 했다.[10] 부티르카 감옥 독방에서 처음으로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이때의 경험을 "혁명과 시는 내 머릿속에서 뒤얽혀 하나가 되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4]

1910년 석방된 후, 마야콥스키는 사회주의에 대한 열정은 유지했지만, 당 활동을 떠나 교육에 집중하기로 결심했다.[15] 1911년 모스크바 미술 학교에 입학하여 다비드 부를류크를 만나 러시아 미래주의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11][14]

2. 2. 미래주의 운동과 초기 작품

마야콥스키(가운데)와 동료 미래주의자 그룹 구성원들


1912년 11월 17일, 마야콥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예술적 지하실인 스트레이 독에서 처음으로 공개 공연을 했다.[11] 그해 12월, 그의 첫 번째 출판 시인 "밤"(Ночь|노치ru)과 "아침"(Утро|우트로ru)이 미래주의자들의 선언인 ''대중의 취향에 대한 뺨 때리기''[17]에 실렸는데, 마야콥스키뿐만 아니라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다비드 부르류크, 알렉세이 크루체니흐가 서명했으며, "푸시킨,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등을 포함하여 현대성의 증기선에서 떨어뜨릴 것"을 요구했다.[11][13]

1913년 10월, 마야콥스키는 핑크 램프 카페에서 공연을 열고 새로운 시 "받아라!"(Нате!|나테!ru)를 처음으로 낭송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루나-파크 콘서트에서는 시적 모노드라마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가 초연되었고, 작가가 주연을 맡았으며, 무대 장식은 파벨 필로노프와 이오시프 시콜니크가 디자인했다.[11][14] 1913년 마야콥스키의 첫 시집 ''나''(Я|야ru)가 나왔으며, 오리지널 초판은 300부로 석판 인쇄되었다. 바실리 체크리그린과 레오 셰크텔이 손으로 쓰고 삽화를 그린 이 4편의 시 연작은 나중에 1916년 합본 ''울음소리만큼 단순함''의 파트 1을 형성했다.[13]

1913년 12월, 마야콥스키는 동료 미래주의자 그룹 멤버들과 함께 러시아 투어에 나섰고, 심페로폴, 세바스토폴, 케르치, 오데사, 키시네프 등 17개 도시를 방문했다.[4] 이는 소란스러운 사건이었다. 청중들은 열광했고 종종 경찰이 낭독을 중단시켰다. 시인들은 기괴한 옷차림을 했고, 마야콥스키는 자신의 말처럼 "스캔들을 일으키는 사람"이었는데, 그는 자신의 초창기 무대 페르소나의 상징이 된 직접 만든 노란색 셔츠를 입고 무대에 등장하곤 했다.[10] 이 투어는 1914년 4월 13일 칼루가에서 끝났고,[11] 마야콥스키와 부르류크는 학교에서 퇴학당하면서 교육을 망쳤다. 그들의 공개 출연은 학교의 학문적 원칙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1][13] 그들은 폴타바에서 미래주의자들의 무대 공연을 금지하는 구실로 이 기회를 선택한 지역 경찰서장으로부터 이 사실을 알게 되었다.[5]

1914년경 사진 (캡션: "미래주의 시인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1914년 5월, 복권에서 65루블을 딴 마야콥스키는 페트로그라드 근처 쿠오칼라로 갔다. 여기서 그는 ''바지를 입은 구름''의 마무리를 짓고, 코르네이 추코프스키의 별장에 자주 드나들었으며, 일리아 레핀의 그림 세션에 참석하고 막심 고리키를 처음 만났다.[18]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마야콥스키는 자원했지만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부당했다. 그는 애국적인 루복 그림을 제작하는 루복 투데이 회사와 여러 반전 시("어머니와 독일군에게 살해된 저녁", "전쟁 선포", "나와 나폴레옹" 등)를 출판한 ''노브''(처녀지) 신문에서 일했다.[5]

2. 3.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시대

마야콥스키는 볼셰비키 러시아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다. 그는 자서전 "나 자신"에서 "받아들일지 말지, 그런 질문은 없었다…[그것은] 나의 혁명이었다."라고 썼다.[11] 1917년 11월, 그는 새로운 정치 체제에 충성을 맹세한 작가, 화가, 연극 연출가들의 공산당 중앙 위원회에서 승인한 모임에 참여했다.[11] 그해 12월 해군 극장에서 "좌익 행진곡"(Левый марш|레비 마르시ru)이 초연되었고, 관객은 해군 병사들이었다.[15]

1918년, 마야콥스키는 희곡 ''미스테리-부프''를 발표했다. 1918년 11월 7일 페트로그라드 음악 드라마 극장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보편적인 홍수와 그 이후 "불결한 자"(프롤레타리아)가 "깨끗한 자"(부르주아지)를 이기는 모습을 그린 풍자극이었다.[11] 1921년 개정판이 더 큰 호평을 받았다.[14][15]

1919년 3월, 마야콥스키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러시아 국가 전신국 (ROSTA)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문맹인 국민들에게 당시 사건을 알리는—그래픽과 텍스트— 풍자적인 선동 포스터를 제작했다.[11]

1922년부터 1928년까지 마야콥스키는 자신이 설립을 도왔던 좌익 예술 전선(LEF)의 주요 구성원이었으며, 한동안 자신의 작품을 공산주의 미래주의 (комфут|콤푸트ru)로 정의했다.[13] 그는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와 오시프 브릭과 함께 잡지 ''LEF''를 편집했다.[12] 이 잡지의 첫 번째 1923년 3월호에는 마야콥스키의 시 ''그것에 대하여'' (Про это|프로 에토ru)가 실렸다.[11]

1924년 10월, 마야콥스키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죽음에 대해 쓴 3,000줄짜리 서사시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을 여러 번 대중 앞에서 낭독했다. 이듬해 2월에는 책으로 출간되었다.[14]

2. 4. 해외여행과 창작 활동

1922년 5월, 포볼지예 기근 희생자들을 돕기 위한 자선 경매에서 공연한 후, 리가, 베를린, 파리를 방문했고, 페르낭 레제와 피카소의 스튜디오에 초대를 받았다.[8] 그 결과 ''서부''와 ''파리'' 연작(1922–1925) 등 여러 권의 책이 출판되었다.[11]

1925년 5월, 마야콥스키는 유럽 도시들을 거쳐 미국, 멕시코[23], 쿠바로 여행을 떠났다. 미국에서는 뉴욕, 클리블랜드, 디트로이트, 시카고, 피츠버그, 필라델피아를 방문했고, 보스턴 방문은 실현되지 못했다.[24] 그해 늦게 그의 에세이집 ''나의 아메리카 발견''이 출판되었다.[11][13]

1925년 여름, 마야콥스키는 뉴욕에서 러시아 망명자 엘리 존스(본명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지베르트)를 만났다. 그녀는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통역가였다. 그들은 사랑에 빠져 3개월 동안 떨어져 지낼 수 없었지만, 관계를 비밀로 하기로 결정했다. 시인이 소련으로 돌아온 직후, 엘리는 딸 패트리샤를 낳았다. 마야콥스키는 1928년 프랑스 니스에서 세 살 때 그 소녀를 딱 한 번 보았다.[10]

타티아나 야코블레바


1928년 파리에서 마야콥스키는 알렉상드르 자코블레프 화가의 조카이자 샤넬 패션 하우스에서 일하는 22세 모델 타티아나 야코블레바를 만났다.[11] 그는 그녀에게 "사랑의 본질에 관한 코스트로프 동지에게 보내는 편지"와 "타티아나 야코블레바에게 보내는 편지" 두 편의 시를 헌정했다.

마야콥스키는 타티아나에게 러시아로 돌아오라고 설득했지만, 그녀는 거절했다. 1929년 말, 그는 연인과 결혼하기 위해 파리로 여행을 시도했지만, 비자를 거부당했다.

2. 5. 말년과 죽음

1920년대 후반부터 마야콥스키는 스탈린주의의 경직된 관료주의와 예술에 대한 통제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1929년, 풍자극 《빈대》와 《목욕탕》을 발표하여 소련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했지만,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작가 협회(RAPP)로부터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67]

1930년 4월 12일, 마야콥스키는 제안된 저작권법에 관한 소브나르콤 회의에 참석하여 토론을 벌였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공개 석상이었다.[11] 이틀 뒤인 4월 14일, 그의 연인이자 배우였던 베로니카 폴론스카야는 그의 아파트에서 나왔다. 그녀가 문을 닫자마자 총성이 들렸고, 그녀는 급히 들어가 시인이 바닥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심장에 총을 쏜 것으로 보인다.[11][30] 자필 유서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 모두에게. 나는 죽지만, 누구도 탓하지 말고, 소문도 내지 마세요. 망자는 그런 것을 끔찍이 싫어했습니다. 어머니, 누이들, 동지들, 용서해 주세요. 이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다른 사람에게 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나에게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릴리 - 나를 사랑해 주세요. 동지 정부, 나의 가족은 릴리 브릭, 엄마, 누이들, 그리고 베로니카 비톨도브나 폴론스카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들에게 제대로 된 삶을 제공할 수 있다면, 감사합니다. 내가 시작한 시를 브릭에게 주세요. 그들이 정리할 겁니다.

그의 유서에 담긴 '미완성 시'는 다음과 같이 시작되었다.

> 그래서 그들은 말한다 - "사건은 해소되었다" / 사랑의 배는 산산이 부서졌다 / 칙칙한 일상에. / 나는 삶을 끝냈다 / 그리고 [우리는] 서로의 상처, 고통, 그리고 비장을 용서해야 한다.

1930년 4월 17일에 열린 마야콥스키의 장례식에는 약 15만 명이 참석했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레닌이오시프 스탈린의 장례식에 이어 소련 역사상 세 번째로 큰 규모의 대중적 애도 행사였다.[3][32] 그는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12]

마야콥스키의 죽음을 둘러싸고 여러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의 자살은 그와 짧지만 불안정한 관계를 가졌던 폴론스카야와의 다툼 후에 일어났다. 시인을 사랑했지만 남편을 떠나려 하지 않았던 폴론스카야는 마야콥스키를 마지막으로 살아있는 모습을 본 사람이었다. 하지만 릴리아 브릭은 회고록에서 "자살이라는 생각은 그의 내면의 만성적인 질병과 같았고, 모든 만성 질환처럼 그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에서 악화되었다…"라고 말했다.[10] 폴론스카야에 따르면 마야콥스키는 4월 13일 발렌틴 카타예프의 집에서 자살을 언급했지만, 그녀는 그가 그녀를 정서적으로 협박하려 한다고 생각했고 "그가 그런 짓을 할 수 있다고 잠시라도 믿기를 거부했다."라고 밝혔다.[30]

자살 유서가 그가 죽기 이틀 전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는 점, 시인이 죽은 직후 릴리아와 오십 브릭은 급하게 해외로 보내졌다는 점, 그의 몸에서 제거된 총알은 그의 권총 모델과 일치하지 않았고, 그의 이웃들은 나중에 두 발의 총성을 들었다고 말했다는 점[10] 등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열흘 뒤 시인의 자살을 조사하던 경찰관 자신이 살해당하여 마야콥스키의 죽음의 성격에 대한 의혹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의혹은 국가 기관에 의한 살인 혐의를 암시하기도 했으며, 특히 초기의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의 탈스탈린화, 이후의 글라스노스트, 그리고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 소련 정치인들이 스탈린의 평판(또는 브릭의, 그리고 관련하여 스탈린의)을 약화시키려고 했을 때, 그리고 당시 반대자들의 입지를 약화시키려고 했을 때 강화되었다.

1991년 말, 국립 마야콥스키 박물관은 그의 죽음에 대한 박물관에 보관된 증거물, 즉 사진, 총알 자국이 있는 셔츠, 마야콥스키가 쓰러진 카펫, 그리고 자살 유서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전문가 의학 및 범죄학 조사를 의뢰했다. 상세한 필적 분석 결과, 자살 유서는 의심할 여지 없이 마야콥스키가 쓴 것이었으며, 그 불규칙성은 "실행 순간에… '당황하게 만드는' 요인의 영향을 묘사하는 진단 복합체를 묘사하며, 그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격동과 관련된 정신 생리학적 상태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3]

마야콥스키의 죽음과 관련된 의혹과 논쟁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3. 주요 작품

마야콥스키는 시, 희곡,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남겼다.

1912년, 그의 첫 출판 시인 "밤"(Ночьru)과 "아침"(Утроru)이 미래주의자들의 선언 ''대중의 취향에 대한 뺨 때리기''[17]에 실렸다. 1913년에는 첫 시집 ''나''(Яru)가 300부 한정으로 석판 인쇄되어 출간되었다.[13] 1916년에는 시집 ''울음소리만큼 단순함''이 출판되었다.[4][11]

1919년부터 1921년까지 마야콥스키는 러시아 전신 통신사(ROSTA)에서 일하며 포스터와 만화를 그렸고,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과 슬로건을 제공했다.[8][14] 3년 동안 "ROSTA 창"이라고 불리는 1100여 점의 작품을 제작했다.[15]

해외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시집(''서방'', 1922–1924; ''파리'', 1924–1925: ''미국에 관한 시'', 1925–1926)과 풍자 에세이를 썼다.[5]

3. 1. 시

마야콥스키의 초기 시는 형식적인 실험을 선호하고 현대 기술이 약속하는 사회 변화를 환영하는 러시아 미래주의에서 가장 독창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그를 자리매김했다.[12] 1913년 그의 시는 초현실적이고, 겉으로는 무질서하고, 무의미하며, 강렬한 리듬과 과장된 이미지에 의존하며, 단어가 조각으로 쪼개져 페이지 전체에 걸쳐 엇갈리게 배치되었고, 거리의 언어로 양념되었는데, 당시 문학계에서는 시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12] 그의 동료 미래주의 그룹 회원들의 시의 대립적인 미학은 대부분 형식적인 실험에 국한되었지만, 마야콥스키는 새로운 "거리의 민주적인 언어"를 창조하고자 했다.[15]

1915년 9월, 마야콥스키의 첫 번째 장편시인 《바지를 입은 구름》이 출간되었으며,[19] 사랑, 혁명, 종교, 예술의 주제를 다루며, 버림받은 연인의 관점에서 쓰여졌다. 이 작품의 언어는 거리의 언어였으며, 마야콥스키는 시와 시인에 대한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개념을 깨뜨리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등뼈 피리》(1916)는 당시 비평가들을 격분시켰다. 저자는 "재능 없는 사기꾼"으로 묘사되었으며, "말라리아 환자의 텅 빈 말"을 거부했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즉시 입원해야 한다"고 권고하기까지 했다.[10] 회고적으로 볼 때, 이 작품은 사회적 분노와 개인적 좌절을 표현하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한 획기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15]

1917년부터 1921년까지는 마야콥스키에게 풍요로운 시기였으며, 그는 볼셰비키 혁명을 "혁명에 대한 송가"(1918)와 "좌익 행진"(1918)을 시작으로 여러 편의 시와 극 작품으로 맞이했다. 프롤레타리아의 위대함을 찬양하며 "혁명의 적"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15]

1921년, 마야콥스키의 시 《1억 5천만》이 출간되어 세계 혁명을 점화하는 러시아 인민의 사명을 찬양했지만, 레닌에게 감명을 주지 못했다. 레닌은 1922년 시 "재회 회의"(Прозаседавшиесяru)를 칭찬했는데, 이는 신생 소련 관료주의에 대한 통렬한 풍자였다.[5]

마야콥스키의 시는 정치로 가득했지만, 1920년대 초반에는 사랑의 주제도 두드러졌는데, 주로 《나는 사랑한다》(1922)와 《그것에 대해》(1923)에서 나타났으며, 두 작품 모두 릴리 브릭에게 헌정되었다.[14] 1924년 10월에는 소련 공산주의 지도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이 등장했다.[11][14]

1926년 마야콥스키는 신경제 정책의 결과인 새로운 소련의 속물주의를 비판하는 "시에 대한 세무사와의 대화"를 썼다.[16] 그의 1927년 서사시 《좋아요!》는 영웅적인 패토스와 서정성, 아이러니를 결합하고자 했다. 새로운 볼셰비키 러시아를 "인류의 봄"으로 칭송하며, 루나차르스키는 이를 "청동에 새겨진 10월 혁명"이라고 칭찬했다.[14][15]
주요 작품 목록

제목원제발표 연도비고
바지를 입은 구름Облако в штанахru1915
등뼈 피리Флейта-позвоночникru1915
전쟁과 세계Война и мирru1917
인간Человекru1918
1억 5천만150 000 000ru1921
그것에 대해Про этоru1923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Владимир Ильич Ленинru1924
좋아요!Хорошо!ru1927


3. 2. 희곡


  •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1913년 초연)는 작가 자신이 주연을 맡고 파벨 필로노프 등이 무대 장식을 맡은 실험적인 연극이었다.[11] 이 작품은 도시 생활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미래 사회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었다.[4][13]
  • ''미스테리 부프''(1918년, 1921년 개정)는 혁명의 과정을 우화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노동자 계급의 승리와 유토피아 건설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다.[12][15]
  • ''빈대''(1929년)는 소련 사회의 속물주의와 관료주의를 풍자한 희곡이다.[12]
  • ''목욕탕''(1930년)은 스탈린 시대의 관료주의와 형식주의를 비판한 작품으로, 세볼로트 메이어홀드는 이 작품을 몰리에르, 푸시킨, 고골의 최고 작품들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하며 "러시아 연극사에서 가장 위대한 현상"이라고 극찬했다.[41]
  • ''모스크바는 불탄다. 1905''(1930)

3. 3. 기타


  • Мое открытие Америкиru: 미국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쓴 에세이집이다.
  • Как делать стихиru: 자신의 시 창작 방법론을 설명한 에세이다.
  • 「밤」(Ночьru), 「아침」(Утроru): 1912년 출판된 초기 시이다. 미래주의자 선언인 ''대중의 취향에 대한 뺨 때리기''[17]에 수록되었다.
  • 「혁명 찬가」: 1918년 볼셰비키 혁명을 찬양하는 시이다.
  • 「좌익 행진곡」: 1918년 "혁명의 적"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하는 시이다.
  • 「사랑」: 1922년 릴리 브릭에게 헌정된 시이다.
  • 「척추의 플루트」(Флейта-позвоночникru): 1916년 작품으로, 사회적 분노와 개인적 좌절을 표현하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5]
  • 「할라쇼」(Хорошо!ru): 1927년 서사시로, 새로운 볼셰비키 러시아를 "인류의 봄"으로 칭송하며, 루나차르스키는 이를 "청동에 새겨진 10월 혁명"이라고 칭찬했다.[14][15]
  • 「동지 레닌과의 대화」: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이다.
  • 「목소리를 다하여」(미완): 1930년 4월 9일, 마지막으로 낭독된 시이다.[4][29]

4. 마야콥스키와 릴리 브릭

마야콥스키는 1915년 7월 모스크바 근교 말라호프카에 있는 오시프와 릴리야 브릭 부부의 별장에서 릴리야 브릭을 만났다.[33] 얼마 지나지 않아 릴리야의 여동생인 엘자 트리올레는 이전에 시인과 짧은 관계를 맺었고 그를 브릭 부부의 페트로그라드 아파트로 초대했다. 당시 부부는 문학에 아무런 관심이 없었고 성공적인 산호 무역업자였다.[33] 그날 저녁 마야콥스키는 아직 출판되지 않은 시 ''바지 속의 구름''을 낭송하며 릴리야에게 헌정한다고 발표했다. "그것은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날이었다"라고 그는 수년 후 자서전에서 그 에피소드를 언급했다.[4] 릴리야 브릭의 회고록에 따르면 그녀의 남편 또한 시인과 사랑에 빠졌다고 한다.[36] 반면에 릴리야는 "볼로디아는 단순히 나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나를 공격했다. 그것은 폭행이었다. 2년 반 동안 나는 평화로운 순간을 갖지 못했다... 나는 볼로디아가 천재라는 것을 즉시 이해했지만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 나는 마야콥스키라는 이름조차 참을 수 없었다... 싸구려 필명처럼 들렸다."라고 회상했다.[10] 마야콥스키의 끈질긴 애정과 거친 외모는 그녀를 짜증나게 했다. 소문에 따르면 그녀를 기쁘게 하기 위해 마야콥스키는 치과에 다니고, 나비 넥타이를 착용하고, 지팡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8]

1915년 9월 오시프 브릭이 ''바지 속의 구름''을 출판한 직후 마야콥스키는 그들이 살던 곳에서 멀지 않은 페트로그라드 푸시킨스카야 거리에 있는 팰리스 로열 호텔에 정착했다. 그는 퓨처리스트 친구들에게 부부를 소개했고 브릭 부부의 아파트는 빠르게 현대적인 문학 살롱으로 발전했다. 그때부터 마야콥스키는 릴리야에게 자신의 모든 장편 시(물론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제외)를 헌정했으며, 그녀의 불쾌감에도 불구하고 나중에는 그녀를 만나기 전에 썼던 텍스트에도 헌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0] 1918년 여름, 릴리야와 블라디미르가 영화 ''필름에 갇히다''에 출연한 직후(그중 단편만 남아 있음), 마야콥스키와 브릭 부부는 함께 이사했다. 1919년 3월 세 사람은 모두 모스크바로 갔고 1920년 타간카의 곤드리코프 레인에 있는 아파트에 정착했다.[35]

1923년 릴리야 브릭은 소련 프로뱅크의 수장인 알렉산드르 크라스노쇼코프와 사랑에 빠졌다. 이 사건으로 3개월간의 갈등이 생겼고, 이는 시 ''그것에 관하여'' (1923)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브릭과 마야콥스키의 관계는 1923년에 끝났지만 그들은 결코 헤어지지 않았다. "이제 나는 플래카드와 사랑으로부터 자유로워졌습니다"라고 그는 "주빌리에게" (1924)라는 시에서 고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6년 마야콥스키가 모스크바 겐드리코프 레인에 국영 아파트를 받자 세 사람이 모두 이사하여 1930년까지 그곳에서 살았고 그곳을 LEF 본부로 만들었다.[29]

마야콥스키는 가족 구성원으로 여겼던 릴리야에 대한 헌신을 계속 고백했다.

5. 평가와 유산

마야콥스키는 러시아 문학사에서 가장 혁신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초기에는 형식적 실험을 추구하고 현대 기술이 약속하는 사회 변화를 환영하는 러시아 미래주의의 독창적인 시인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1913년 시는 초현실적이고 겉으로는 무질서하며, 강렬한 리듬과 과장된 이미지를 사용하고 단어를 조각내어 배치하는 등, 당시 문학계에서는 시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던 거리의 언어를 사용했다. 동료들의 시가 형식 실험에 그쳤던 반면, 마야콥스키는 "거리의 민주적인 언어"를 창조하고자 했다.[15]

1914년 첫 대작인 아방가르드 비극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는 도시 생활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동시에 현대 산업 권력에 대한 찬가였으며, 미래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주인공을 묘사했다.[4][13] 1915년 첫 장편시 ''바지 속의 구름''은 사랑, 혁명, 종교, 예술을 주제로, 버림받은 연인의 관점에서 쓰였다. 이 작품의 언어는 거리의 언어였으며, 시와 시인에 대한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개념을 깨뜨리고자 했다.[19] ''등뼈 피리''(1916)는 사회적 분노와 개인적 좌절을 표현하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5]

1917년부터 1921년까지 마야콥스키는 볼셰비키 혁명을 찬양하는 여러 시와 극 작품을 발표했다. "혁명에 대한 송가"(1918), "좌익 행진"(1918) 등은 프롤레타리아의 위대함을 찬양하며 "혁명의 적"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15] 최초의 소련 연극 ''신비극''(1918; 개정판, 1921)은 "불결한" 자들(노동자와 농민)이 건설한 새로운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담고 있다.[12][15] 1919년부터 1921년까지 러시아 전신 통신사(ROSTA)에서 포스터와 만화를 그리며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과 슬로건을 제공했다.[8][14] 3년 동안 "ROSTA 창"이라고 불리는 1100여 점의 작품을 제작했다.[15]

1921년 시 ''1억 5천만''은 세계 혁명을 점화하는 러시아 인민의 사명을 찬양했지만, 레닌에게는 큰 인상을 주지 못했다. 레닌은 1922년 시 "재회 회의"(Прозаседавшиесяru)를 통해 신생 소련 관료주의를 풍자한 것을 칭찬했다.[5] 1920년대 초반 ''나는 사랑한다''(1922), ''그것에 대해''(1923) 등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14] 1924년 시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은 소련 공산주의 지도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1][14]

마야콥스키의 광범위한 해외 여행은 시집(''서방'', 1922–1924; ''파리'', 1924–1925: ''미국에 관한 시'', 1925–1926)과 일련의 분석적 풍자 에세이를 낳았다.[5] 1926년 "시에 대한 세무사와의 대화"를 시작으로 신경제 정책의 결과인 새로운 소련의 속물주의를 비판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16] 1927년 서사시 ''자, 좋습니다!''는 새로운 볼셰비키 러시아를 "인류의 봄"으로 칭송했다.[14][15]

마지막 3년 동안 ''침대 버그''(1929)와 ''목욕탕'' 두 편의 풍자극을 통해 관료주의적 멍청함과 기회주의를 풍자했다.[14] ''목욕탕''은 세볼로트 메이어홀드에게서 "러시아 연극사에서 가장 위대한 현상"이라는 극찬을 받았다.[41]

마야콥스키 사후, 소비에트 작가 협회는 그의 작품 출판을 취소하고 그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도록 조치했다. 그러나 릴리 브릭이 스탈린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마야콥스키는 "우리 소련 시대 최고의, 가장 재능있는 시인"으로 칭송받으며 소비에트 고전으로 격상되었다.[68] 그의 출생지인 조지아의 바그다티는 마야콥스키로 개명되었고, 1937년 모스크바에 마야콥스키 박물관(및 도서관)이 개관, 1938년 마야콥스카야 지하철역이 개통되었다.[68] 1974년에는 모스크바 중심부에 러시아 국립 마야콥스키 박물관이 개관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소련에서 마야콥스키의 인기는 다시 상승했고,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은 그를 예술적 자유와 대담한 실험의 공급자로 인식했다.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46][47], 예브게니 예브투셴코 등이 그에게 영향을 받았다. 소련 밖에서도 나짐 히크메트, 루이 아라공, 파블로 네루다 등이 그의 영향을 인정했다.

소련의 붕괴 이후, 마야콥스키에 대한 평가는 다시 변화했다. 그의 작품을 시대에 뒤떨어지고 중요하지 않게 보는 경향도 있었지만, 그의 최고 작품을 바탕으로 그의 명성은 되살아났으며,[14] 그의 삶과 유산에 대한 객관적인 그림을 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마야콥스키는 새로운 종류의 표현주의로 가득 찬 자신만의 언어 체계를 창조한 러시아 시 언어의 급진적인 개혁가로 인정받으며, "러시아 시의 광포한 황소", "운율의 마법사" 등으로 불린다.

6. 논란

마야콥스키의 죽음은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다. 공식적으로는 자살로 발표되었지만, 일각에서는 타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특히, 그의 주변에 릴리야 브릭, 오시프 브릭, 야코프 아그라노프 등 체카, OGPU, NKVD와 관련된 인물들이 많았다는 점이 의혹을 증폭시켰다.[10]

마야콥스키의 작별 편지


1930년 4월 14일, 그의 연인이자 배우인 베로니카 폴론스카야는 그의 아파트에서 나와 문을 닫자마자 총성을 들었다. 그녀는 급히 들어가 시인이 바닥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심장에 총을 쏜 것으로 보인다.[11][30] 자필 유서에는 "모두에게. 나는 죽지만, 누구도 탓하지 말고, 소문도 내지 마세요. 망자는 그런 것을 끔찍이 싫어했습니다."라고 적혀 있었다.[31]

마야콥스키의 자살은 베로니카 폴론스카야와의 다툼 후에 일어났다. 시인을 사랑했지만 남편을 떠나려 하지 않았던 폴론스카야는 마야콥스키를 마지막으로 살아있는 모습을 본 사람이었다. 하지만 릴리아 브릭은 회고록에서 "자살이라는 생각은 그의 내면의 만성적인 질병과 같았다."라고 말했다.[10]

시인이 죽은 직후 릴리야와 오시프 브릭은 급하게 해외로 보내졌다. 그의 몸에서 제거된 총알은 그의 권총 모델과 일치하지 않았고, 그의 이웃들은 나중에 두 발의 총성을 들었다고 한다.[10] 열흘 뒤, 시인의 자살을 조사하던 경찰관 자신이 살해당하여 마야콥스키의 죽음에 대한 추측을 부채질했다.

소련 말기 글라스노스트 시기에는 마야콥스키의 죽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KGB 자료가 공개되거나 사망 당시 유품에 대한 과학 감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3] 하지만, 자살설과 타살설 모두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마야콥스키의 죽음이 스탈린주의의 억압적인 정치 환경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Selected Works in Three Volumes Raduga Publishers
[2] 서적 The Bedbug and Selected Poetry Meridian Books
[3] 서적 Manufacturing Culture: The Soviet State and the Mayakovsky Legend 1930–1993 National Library of Canada: Acquisitions and Bibliographical Services
[4] 웹사이트 Vladimir Vladimirovich Mayakovsky http://az.lib.ru/m/m[...] Prosveshchenye 1990-01-13
[5] 웹사이트 Mayakovsky http://az.lib.ru/m/m[...] Lives of Distinguished People. Molodaya Gvardiya 1988-01-13
[6] 웹사이트 ФЭБ: Маяковский. Из беседы с сотрудником газеты «Прагер пресс». — 1961 http://feb-web.ru/fe[...] feb-web.ru
[7] 시 시 제목 없음
[8] 웹사이트 Vladimir Mayakovsky http://www.kirjasto.[...] Kuusankoski Public Library
[9] 서적 I, Myself
[10] 뉴스 The Raging Bull of Russian Poetry http://www.haaretz.c[...]
[11] 웹사이트 V.V. Mayakovsky biography. Timeline http://az.lib.ru/m/m[...] The Lives of the Distinguished People series. Issue No.700. Molodaya Gvardiya, Moscow 1988-01-13
[12] 웹사이트 Vladimir Mayakovsky http://www.poets.org[...] www.poets.org
[13] 웹사이트 Vladimir mayakovsky. Biography http://www.vmayakovs[...] The New Literary net
[14] 백과사전 Vladimir Vladimirovich Mayakovsky http://www.britannic[...]
[15] 웹사이트 Vladimir Vladimirovich Mayakovsky. Biography http://v-mayakovsky.[...] Mayakovsky site
[16] 웹사이트 Vladimir Mayakovsky biography. Timeline http://max.mmlc.nort[...] max.mmlc.northwestern.edu
[17] 서적 Russian Futurism Through Its Manifestoes, 1912 – 1928 Cornell University Press
[18] 서적 Commentaries to Autobiography (I, Myself)
[19] 웹사이트 A Cloud in Trousers (Part 1) by Vladimir Mayakovsky http://vmlinux.org/i[...] vmlinux.org
[20] 서적 Constructivism in Film: The Man With the Movie Camera:A Cinemat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Majakovskij and Futurism 1917-21 https://monoskop.org[...]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76
[22] 웹사이트 Commentaries to About That http://az.lib.ru/m/m[...] The Complete V.V.Mayakovsky in 13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1958. Vol. 4
[23] 서적 Mexico
[24] 웹사이트 Mayakovsky in Cleveland: A Fiery Futurist's Discovery of the Forest City https://clevelandhis[...]
[25]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h, The Russian Masters - from Akhmativa and Pasternak to Shostakovich and Eisenstein - Under Stalin New Press 2015
[26] 서적 The Life of Mayakovsky The Orion Press 1971
[27]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h, The Russian Masters - from Akhmativa and Pasternak to Shostakovich and Eisenstein - Under Stalin New Press 2015
[28] 서적 The Life of Mayakovsky The Orion Press 1971
[29] 웹사이트 Mayakovsky. The Chronology, 1893–1930 // Маяковский: Хроника жизни и деятельности. http://feb-web.ru/fe[...] Moscow. Sovetsky Pisatel Publishers 1985-05-01
[30] 웹사이트 Remembering V. Mayakovsky http://az.lib.ru/m/m[...] Izvestia (1990) 1938-01-13
[31] 웹사이트 B. Маяковский-Любовная лодка разбилась о быт... En http://www.stihi.ru/[...] Stihi.ru – national server of modern poetry
[32] 서적 Stalin: Volume I: Paradoxes of Power, 1878–1928 https://books.google[...] Penguin 2014-11-06
[33] 웹사이트 Vladimir Mayakovsky. Odd One Out. The First TV Channel premier http://www.1tv.ru/an[...]
[34] 웹사이트 Moscow Graves. Lavinsky, N.A http://moscow-tombs.[...]
[35] 웹사이트 Lilya Brik and Vladimir Mayakovsky http://www.biografii[...] Russian Biographies
[36] 웹사이트 The Briks. The Little 'Swede' Family / Брик Лиля и Брик Осип. Шведская семейка. Quotes http://artmisto.com/[...] ArtMisto 2015-01-13
[37] 서적 Notes on Akhmatova
[38] 웹사이트 Mayakovsky Remembered by Women Friends. Compiled, edited by Vasily Katanyan. http://az.lib.ru/m/m[...] Druzhba Narodov 2015-01-13
[39] 잡지 The Very Veronika Polonskaya Sovetsky Ekran (Soviet Screen) magazine
[40] 웹사이트 Life and Work Timeline, 1893–1930. Year 1925 http://feb-web.ru/fe[...] Moscow. Sovetsky Pisatel (5th edition)
[41] 웹사이트 Commentaries to Баня (The Bathhouse) http://az.lib.ru/m/m[...] The Complete V.V.Mayakovsky in 13 volumes. Khudozhestvennaya Literatura. Moscow, 1957. Vol. 11 2015-01-13
[42] 웹사이트 The Lyrical Shot http://www.taday.ru/[...] Tatyanin Den 2015-01-13
[43] 서적 Memoirs
[44] 웹사이트 Museum http://www.mayakovsk[...] mayakovsky.info
[45] 웹사이트 Mayakovsky's Second Death http://www.taday.ru/[...] Tatyanin Den 2015-01-13
[46] 웹사이트 Andrei Voznesensky. Mayakovsky in Paris http://www.ruthenia.[...] Ruthenia.ru 2012-07-13
[47] 웹사이트 Spark: How It was terrible! https://web.archive.[...] Ogoniok.com 2012-02-12
[48] 웹사이트 Yevgeny Yevtushenko: "As a poet, I would like to connect Mayakovsky and Esenin» http://www.aif.ru/cu[...] Aif.ru 2008-04-23
[49] 웹사이트 Taganka Theater: Vysotsky and other http://taganka.theat[...] Taganka.theatre.ru 2012-07-13
[50] 웹사이트 tekstai http://www.tekstai.l[...] Tekstai.lt 2012-07-13
[51] 웹사이트 Mayakovsky by Frank O'Hara : The Poetry Foundation http://www.poetryfou[...] 2015-05-08
[52] 서적 Backbone Flute: Selected Poetry of Vladimir Mayakovsky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53] 웹사이트 Brad Gooch: On "A True Account of Talking to the Sun at Fire Island" {{!}} Modern American Poetry http://www.modername[...] 2015-05-08
[54] 웹사이트 PEN Center USA Literary Awards Winners https://web.archive.[...] 2017-11-15
[55] 서적 ロシア・アヴァンギャルド5 ポエジア―言葉の復活 国書刊行会
[56] 서적 ロシア・アヴァンギャルド5 ポエジア―言葉の復活 国書刊行会
[57] 웹사이트 詩人マヤコフスキーの愛人、リーリャ・ブリークが自殺(今日は何の日) https://jp.rbth.com/[...] ロシア・ビヨンド 2012-08-04
[58] 서적
[59] 서적
[60]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 詩人マヤコフスキーの娘が語る父 https://jp.rbth.com/[...] ロシア・ビヨンド 2013-07-10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2010
[72] 서적 2010
[73] 서적 ロシア革命100年の謎 河出書房新社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