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야로슬라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1285년부터 1318년까지 트베리 공작이었으며, 1304년에는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다. 그는 모스크바의 유리 3세와 오랫동안 대립했으며, 킵차크 칸국의 지배를 받았다. 1318년, 유리 3세의 간계에 빠져 사라이에서 살해당했지만,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고, 트베리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18년 사망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 1318년 사망 - 아부 함무 1세
    아부 함무 1세는 1308년부터 1318년까지 틀렘센 왕국을 통치한 자이안 왕조의 술탄으로, 혼란스러운 왕국을 안정시키고 왕조의 권력을 회복하는 데 주력했지만 사치스러운 생활로 백성의 어려움을 외면하다 아들에게 암살당했다.
  • 1271년 출생 - 가잔 칸
    가잔 칸은 1295년부터 1304년까지 일 칸국을 통치한 몽골 제국의 칸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재위 기간 동안 종교적 관용과 개혁을 추진하다가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271년 출생 -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2세는 1278년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폴란드 왕으로 즉위했으며, 헝가리 왕위 계승에도 관여했으나 1305년에 사망했다.
  • 살해된 14세기 군주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살해된 14세기 군주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미하일 야로슬라비치
기본 정보
미하일과 그의 어머니 크세니야가 그리스도 앞에 서 있는 모습, 14세기 초 미니어처
미하일과 그의 어머니 크세니야가 그리스도 앞에 서 있는 모습, 14세기 초 미니어처
칭호블라디미르 대공
트베리 공
출생일1271년
사망일1318년 11월 22일
사망 장소사라이
가문류리크
아버지야로슬라프 3세
어머니타루사의 크세니야
배우자카신의 안나
자녀드미트리
알렉산드르
콘스탄틴
바실리
이름
러시아어Михаил Ярославич
로마자 표기Mikhail Yaroslavich

2. 생애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야로슬라프 3세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1285년부터 1318년까지 트베리 공작을 역임했지만, 조카였던 모스크바유리 3세와 오랫동안 대립했다. 1288년대공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에게 굴복하지 않아 대공과 대립하기도 했다. 1293년 사라이에서 톡타에게 트베리 공국의 야르륵을 받았다. 1295년 노브고로드 공국과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의 공격에 대비한 공동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 1300년 드미트로프 제후 회의에서 화해를 중재하기도 했다.

1302년 네바강스웨덴 군이 건설한 란데스크론 요새를 파괴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었다. 1319년 9월 미하일의 유해가 트베리로 돌아왔고, 러시아 정교회는 그를 성인으로 추대하고 트베리의 수호 성인으로 삼았다.

2. 1. 초기 생애

야로슬라프 3세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노브고로드 대귀족의 딸 크세니야 유리예브나이다. 1285년 형 스뱌토슬라프가 죽은 후 트베리 공작이 되었고, 트베리에 석조 교회를 건축했다.[1] 1286년에는 군대를 이끌고 리투아니아 대공국 군대를 물리쳤다.[2]

2. 2. 블라디미르 대공 즉위와 모스크바와의 갈등

1304년 안드레이 3세가 사망하면서 토크타 칸으로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추대되었다.[2] 그는 사라이의 칸에게서 승인을 받아 왕좌를 굳건히 지키는 듯했지만, 대공으로서 일련의 좌절을 겪었고, 그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후손들까지도 대공직을 잃게 되었다. 1311년 니즈니노브고로드에 원정했다.[4] 1312년 노브고로드와 대립하여 대관을 철수시키고 곡물 수송을 중단하기까지 했다.[2]

1313년 킵차크 칸국우즈베크 칸에게 경의를 표하고 1315년까지 사라이에 머물렀다. 그러나 결국 모스크바유리 3세에게 영향력을 잃었다. 유리는 대공이 사라이에 있는 동안 노브고로드에서 영향력을 얻었다. 미하일은 몽골의 도움을 받아 1316년에 마침내 도시를 장악했지만, 이듬해 우즈베크 칸은 블라디미르 대공의 칙서(야르륵)를 유리에게 주었고, 유리는 우즈베크의 여동생과 결혼했다.[3]

칸은 유리에게 칙서를 수여한 후, 몽골 장군 카브가디이 휘하의 군대를 보내 미하일과의 싸움을 돕게 했다. 1317년 12월 22일, 미하일은 보르테네보(트베르에서 40km)라는 마을에서 유리를 격파했다. 미하일은 칸의 여동생인 유리의 아내를 포로로 잡았다. 그녀가 미하일의 감금 중에 사망했을 때, 미하일은 그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다. 그는 카브가디이를 석방했고, 카브가디이는 사라이로 돌아가 칸의 여동생 살해, 조공 미납, 몽골 지배자에 대한 전쟁 혐의로 미하일을 고발했다. 그 결과, 미하일은 칸에 의해 오르다로 소환되어 1318년 11월 22일에 처형되었다.[4]

2. 3. 몰락과 죽음

1318년 우즈베크 칸모스크바유리 3세에게 블라디미르 대공 칭호를 부여하고 블라디미르 원정에 나섰다. 유리 3세는 미하일에게 패하면서 노브고로드로 도주했지만 킵차크 칸국의 사라이에서 미하일의 죄상을 폭로했다.[3]

칸은 유리에게 칙서를 수여한 후, 몽골 장군 카브가디이 휘하의 군대를 보내 미하일 야로슬라비치와의 싸움을 도왔다. 1317년 12월 22일, 미하일은 보르테네보(트베르에서 40km)라는 마을에서 유리를 격파하고 칸의 여동생이자 유리의 아내인 콘차카를 포로로 잡았다. 콘차카가 미하일의 감금 중에 사망하자, 미하일은 그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다. 비록 작은 이득을 위해 정치적으로 자신에게 해가 될 그녀를 죽였을 것 같지는 않지만, 카브가디이는 사라이로 돌아가 칸의 여동생 살해, 조공 미납, 몽골 지배자에 대한 전쟁 혐의로 미하일을 고발했다.

결국 미하일은 칸에 의해 오르다로 소환되어 1318년 11월 22일 사라이에서 열린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4]

3. 러시아 정교회에서의 시성

Михаил Ярославич Тверской|미하일 야로슬라비치 트베르스코이ru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6] 칸에게 소환되었을 때 죽음을 각오하면서도 신앙심을 굳게 지켰으며, 그의 유해가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썩지 않은 채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6]

4. 가족 관계

1294년 미하일은 로스토프의 드미트리 보리소비치 공작의 딸인 카신의 안나와 결혼했다. 그들은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미하일 야로슬라비치와 카신의 안나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드미트리1299년1326년트베리 공작
알렉산드르1301년1339년트베리 공작
콘스탄틴1306년1346년트베리 공작
바실리?1368년 이후카신 공작
표도라??



미하일의 아들들과 후계자들은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5. 평가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는 트베리 공작이자 블라디미르 대공으로서 강력한 통치자였지만, 모스크바의 유리 3세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그는 킵차크 칸국우즈베크 칸에게 의존하여 권력을 유지하려 했으나, 이는 결국 그의 몰락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의 죽음은 트베리 공국의 몰락과 모스크바 공국의 부상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러시아 역사에서 외세 의존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동방 정교회는 미하일을 성인으로 추대하였다.

참조

[1]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 논문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after 1136? 2008-03-01
[3] 서적 Medieval Russia
[4] 서적 Medieval Russia
[5] 서적 Medieval Russia
[6] 웹사이트 Святой благоверный великий князь Михаил Ярославич, Тверской чудотворец + Православный Церковный календарь https://days.pravosl[...] Pravoslavie.Ru 2017-06-12
[7] 논문 Was the Prince of Novgorod a 'Third-rate Bureaucr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