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리키노브고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키노브고로드는 9세기 이전부터 슬라브인이 거주했던 도시로, 고대 노르드어로는 "홀름가르드"라고 불렸다. 862년에는 바이킹의 루스족이 노브고로드를 점령하여 러시아 최초의 국가를 건설했으며, 이후 상업과 공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240년 몽골의 침략을 면한 후 러시아의 중심 도시 역할을 했으며,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되었다. 1570년 이반 4세에 의해 대규모 학살이 발생했고,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이후에는 지방 도시가 되었다. 1998년 도시 이름을 벨리키노브고로드로 변경했으며, 현재는 노브고로드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화학비료와 목공품 생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과 연결되는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다양한 중세 시대 건축물과 명소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유적 - 보로네시
보로네시는 키예프 루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러시아 보로네시주의 행정 중심지로, 러시아 최초의 함대 탄생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경제, 산업, 문화, 과학의 중심지로서 1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거주하는 주요 도시이다. - 러시아의 유적 - 스타라야라도가
스타라야 라도가는 753년에 건설되어 동유럽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류리크 왕조의 초기 수도이자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주요 무역 거점이었던 러시아 볼호프 강변의 역사적인 마을이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 베체
베체는 슬라브족의 민회 또는 평의회를 의미하며, 동유럽 부족 회의에서 기원하여 키예프 루스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고, 전쟁과 평화 문제, 법률 채택, 통치자 선출 및 추방 등을 논의하는 기능을 수행한 최고 입법 및 사법 기관이었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 스타라야라도가
스타라야 라도가는 753년에 건설되어 동유럽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류리크 왕조의 초기 수도이자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주요 무역 거점이었던 러시아 볼호프 강변의 역사적인 마을이다. - 노브고로드주 - 추도보
추도보는 러시아 노브고로드주 추도브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이자 도시로, 철도 개통을 계기로 산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노브고로드주 - 데먄스크
데먄스크는 러시아 노브고로드주에 위치한 도시형 정착지로, 역사적으로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먄스크 포위전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목재 및 식품 산업이 주요하며 지역 역사 박물관이 있다.
| 벨리키노브고로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 |
| 로마자 표기 | Velikiy Novgorod |
| 별칭 | 큰 새 도시 |
| 위치 | 러시아 노브고로드주 |
| 행정 | |
| 연방 주체 | 노브고로드주 |
| 자치 도시 | 벨리키노브고로드 도시 окру그 |
| 행정 중심지 | 노브고로드주 |
| 도시 округ | 벨리키노브고로드 도시 окру그 |
| 시장 (수장) | 알렉산드르 로즈바움 |
| 대표 기관 | 두마 |
| 지리 | |
| 면적 | 90 제곱킬로미터 |
| 인구 | |
| 2021년 인구 조사 | 224,286명 |
| 인구 순위 | 85위 |
| 역사 | |
| 최초 언급 | 859년 |
| 이전 이름 | 노브고로드 |
| 기타 정보 | |
| 우편 번호 | 173000–173005, 173007–173009, 173011–173016, 173018, 173020–173025, 173700, 173899, 173920, 173955, 173990, 173999 |
| 지역 번호 | 8162 |
| 웹사이트 | 벨리키노브고로드 공식 웹사이트 |
| 유네스코 세계 유산 | |
| 공식 명칭 | 노브고로드와 주변 지역의 역사 기념물 |
| 기준 | (ii)(iv)(vi) |
| ID | 604 |
| 등재 연도 | 1992년 |
2. 역사



벨리키노브고로드는 859년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데, 발트해와 루스, 바랑기아인의 나라(와랴크), 노르드와 카스피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9]
12세기 이후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들어섰고, 몽골의 간섭 하에서도 조공을 바쳐 독립을 유지했다. 1478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병합되었고, 16세기 이후 아르한겔스크와 상트페테르부르크 항이 건설되면서 국제도시로서의 면모는 사라졌다.[54]
1570년 이반 4세는 노브고로드 학살을 일으켜 수천 명의 주민들을 학살했다.
1703년 표트르 1세가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을 시작하면서, 러시아 상업 중심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갔고 노브고로드는 지방 도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8월 15일 독일군에 점령되어 역사적 기념물들이 파괴되었다. 1944년 1월 19일 붉은 군대가 도시를 해방시켰을 때는 2,536개의 석조 건물 중 40개 미만만이 남아있었다. 전쟁 후 알렉세이 슈세프의 계획으로 도시 중심부가 점차 복원되었다.
1998년 공식적으로 도시 이름을 벨리키노브고로드로 바꾸었다.[40]
2. 1. 초기 역사
9세기 이전부터 슬라브족이 정착했고, 옛 이름은 "'''홀름가르드'''"(고대 노르드어: Holmgard, "강의 섬의 땅")라고 불렸다.[52]소피아 연대기는 859년에,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는 862년에 처음 언급하는데, 당시 이 도시는 이미 주요한 발트해에서 비잔틴 제국으로 이어지는 무역로인 바랑기아에서 그리스로 가는 길의 기착지였다고 한다.[9] 벨리키 노브고로드 헌장은 도시가 처음 언급된 해를 859년으로 인정한다.[10] 노브고로드는 전통적으로 러시아 국가의 요람으로 여겨진다.[11]
862년 스웨덴의 바이킹 (바랑기아인) 노르만인인 루스인(러시아의 어원)이 추장류리크(?~879년)에 이끌려 노브고로드를 점령하고, 슬라브족을 정복하여 러시아 최초의 국가를 건설했다.
2. 2. 키예프 루스 시대
882년, 류리크의 후계자인 노브고로드의 올레그는 키예프를 정복하고 키예프 루스를 건국했다.[9] 노브고로드는 규모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적 영향력 면에서도 키예프 루스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였다.[9] 관습에 따르면, 지배적인 키예프 군주의 장남이자 상속자는 미성년자라도 노브고로드를 통치하도록 보내졌다.[9] 지배 군주에게 그러한 아들이 없을 때는 포사드니크가 노브고로드를 통치했다.[9]야로슬라프 1세는 아버지 위대한 블라디미르가 키예프의 공작이었던 1010년부터 1019년까지 노브고로드의 공작이었다.[9] 야로슬라프는 동슬라브족 사이에서 최초의 성문법전(루스카야 프라우다)을 공포했으며, 그 도시에 여러 자유 또는 특권을 부여했다고 전해진다.[9] 그의 아들 노브고로드의 블라디미르는 성 소피아 대성당의 건설을 지원했다.[9]
노르드 사가에는 이 도시가 가르다리키의 수도로 언급되어 있다.[15][16][17] 올라프 1세, 올라프 2세, 마그누스 1세, 하랄 하르드라다 등 많은 바이킹 왕과 족장들이 망명이나 고용을 위해 노브고로드로 왔다.[18] 올라프 2세가 1030년에 사망하고 성인으로 추대된 지 몇십 년이 채 되지 않아, 도시 공동체는 그를 기리기 위해 노브고로드의 성 올라프 교회를 세웠다.[19]
고틀란드의 비스비는 한자 동맹 이전 발트해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1080년 노브고로드에서 비스비 상인들은 구타가르드(고텐호프라고도 알려짐)라는 무역 거점을 설립했다.[20] 이후, 13세기 전반기에 북부 독일 상인들도 노브고로드에 페테르호프라고 알려진 자체적인 무역소를 설립했다.[21]
2. 3. 노브고로드 공화국
1136년, 노브고로드인들은 자신들의 공작인 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를 추방했는데, 이 해는 전통적으로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시작으로 여겨진다.[23] 이후 2세기 동안 노브고로드는 여러 공작을 초빙하고 내쫓았지만, 공작의 지위는 폐지되지 않았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와 같은 강력한 공작은 노브고로드인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도시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23]노브고로드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인물 중 한 명은 베체(민회)에서 도시의 보야르(귀족) 중에서 선출된 포사드니크(시장)였다. 또한 도시 민병대의 수장이었던 티샤츠키|tysyatskysla ("천인장", 나중에 상업 및 사법 관리)도 베체에서 선출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지역 관리는 보야르와 권력을 공유한 노브고로드 대주교였다.[24] 대주교는 베체 또는 제비뽑기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선출된 후에는 서임을 위해 수도 대주교에게 보내졌다.[25]
노브고로드는 한자 동맹의 정식 회원은 아니었지만, 동맹의 가장 동쪽에 있는 콘토르(kontor) (집산지) 역할을 했으며, 담비, 흰담비, 여우, 마모트 등 엄청난 양의 사치품 및 다람쥐 펠트와 같은 비사치 모피의 원천이었다.[26]
중세 시대 노브고로드는 문화적으로 번성했다. 많은 수의 자작나무 껍질 문서가 발굴되었는데, 이는 광범위한 문맹률을 시사한다. 불가리아 북쪽에서 쓰여진 가장 오래된 슬라브어 책인 노브고로드 코덱스와 핀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자작나무 껍질 문서 292번)이 노브고로드에서 발굴되었다.
몽골의 루스 침략 동안 노브고로드는 몽골인에게 정복되지 않았다. 몽골 군대는 도시에서 약 200km 떨어진 곳에서 되돌아갔는데, 이는 도시의 힘 때문이 아니라 몽골 지휘관들이 도시 주변의 습지에 발이 묶이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들은 골든 호드의 칸을 위한 세금을 징수했다.
1259년, 몽골 세금 징수원과 인구 조사원이 도시에 도착하여 정치적 혼란을 일으켰고, 알렉산드르 네프스키는 몽골 지배자로서 자신을 거역한 많은 도시 관리들을 처벌했다(그는 그들의 코를 잘랐다).[27] 14세기에 노브고로드 해적 또는 우슈쿠이니키|ushkuinikisla는 카잔과 아스트라한까지 공포를 떨치며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전쟁에서 노브고로드를 지원했다.
동서 분열 이후 노브고로드는 13세기 초부터 스웨덴, 덴마크, 독일 십자군에 맞서 싸웠다.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동안 스웨덴은 노브고로드에 조공을 바치던 지역을 침략했다. 노브고로드는 스웨덴과 26번,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11번 전쟁을 벌였다. 독일 기사들은 덴마크 및 스웨덴 봉건 영주들과 함께 1240년과 1242년 사이에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다. 노브고로드 자료는 스웨덴군이 1240년 네바 전투에서 패배했다고 언급한다. 발트 독일의 원정은 1242년 얼음 전투 이후 실패로 끝났다. 1323년 8월 12일, 스웨덴과 노브고로드는 처음으로 국경을 규정하는 노테보르크 조약을 체결했다.
15세기에 노브고로드는 기근과 심각한 투쟁을 겪었으며, 이는 15세기 중반 10년 동안 지속되었다.[28]
2. 4. 모스크바 대공국과 러시아 차르국
1478년 이반 3세가 노브고로드를 모스크바 대공국에 강제 병합했다. 베체(민회)는 해산되었고, 노브고로드의 귀족, 상인, 소규모 토지 소유자 가족들은 중앙 러시아로 추방되었다.[30] 1494년에는 한자 동맹 콘토르가 폐쇄되었고 그곳에 저장된 상품은 모스크바 군대에 의해 압수되었다.[31]합병 당시 노브고로드는 모스크바 대공국과 그 이후의 러시아 차르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1550년대 기준 5,300채의 가옥과 2만 5천~3만 명의 인구).[32] 1570년 이반 4세(뇌제)의 노브고로드 학살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이반 4세는 도시를 약탈하고 수천 명의 주민을 학살했으며, 도시의 상인과 귀족들을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등으로 추방했다.[33]
혼란기 동안 노브고로드인들은 1611년 여름 야코프 데 라 가르디가 이끄는 스웨덴 군대에 항복했다. 6년 후 스톨보보 조약에 의해 도시는 모스크바에 반환되었다.[35] 노브고로드는 17세기 말에야 겨우 예전의 번영을 되찾았는데, 이때 성모 수태 대성당과 뱌지쉬 수도원과 같은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 중 가장 유명한 니콘 총대주교는 1648년에서 1652년 사이에 노브고로드에서 활동했다.[33]
2. 5. 러시아 제국
1727년, 러시아 제국 노브고로드 현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에서 분리되었다.[33] 1862년, 류리크 즉위 100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1000년 기념비가 시내 중심부에 건립되었다. 노브고로드는 러시아 건국의 땅이자 최초의 수도로 여겨진다.2. 6. 현대
1941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점령되었다.[39] 도시의 역사적 기념물들은 체계적으로 파괴되었다. 붉은 군대는 1944년 1월 19일 도시를 해방시켰다.[39] 2,536개의 석조 건물 중 40개 미만이 남아있었다. 전쟁 후, 알렉세이 슈세프가 세운 계획 덕분에 도시의 중심부가 점차 복원되었다. 1992년, 도시와 주변 지역의 주요 기념물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노브고로드와 주변 지역의 역사 기념물로 등재되었다.[39] 1999년, 공식적으로 벨리키 노브고로드(Veliky Novgorod, 문자 그대로 '위대한 노브고로드')로 개명되어[40] 중세 시대의 칭호인 "위대한 노브고로드 경"으로 부분적으로 회귀했다.3. 행정 및 자치
노브고로드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노브고로드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행정 구역 내에서는 노브고로드스키 구에 속하지 않지만, 행정 중심지 역할은 수행한다.[41] 행정 구역으로서, 별도로 주 직할시 벨리키노브고로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 행정 단위이다.[41] 지방 자치체로서, 주 직할시 벨리키노브고로드는 벨리키노브고로드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42]
4. 기후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보인다. 이 도시는 기온이 30°C를 넘는 따뜻한 여름과 잦은 강설량을 보이는 비교적 추운 겨울을 보인다. 역대 최저 기온은 -45°C로 기록되었다.[8] 가장 따뜻한 달은 평균 기온이 18.7°C인 7월이며, 가장 추운 달은 평균 기온이 -6°C인 2월이다.[8]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평균 73mm의 강수량을 보이는 6월이며, 가장 건조한 달은 30mm의 강수량을 보이는 3월이다. 연간 강수량은 603mm이다.[8]
5. 산업
화학 비료와 목공품을 생산하며, 관광 도시이기도 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역사적 건물 대부분이 재건되었다.[39]
6. 교통
벨리키노브고로드의 현지 교통은 버스와 트롤리버스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 최초로 개통된 트롤리버스 시스템은 1995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현재 5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48]
6. 1. 도시 간 교통

노브고로드는 모스크바(531km)와 상트페테르부르크(189km)를 연방 고속도로 M10으로 연결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및 기타 목적지로 가는 시내 버스가 있다.
이 도시에는 모스크바(레닌그라드 기차역, 야간 열차),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 기차역 및 비테프스크 기차역, 통근 열차) 민스크(벨라루스)(민스크 파사지르스키 기차역, 야간 열차) 및 무르만스크와 직접 연결되는 여객 철도 노선이 있다.
이 도시의 이전 상업 공항인 유리에보는 2006년에 폐쇄되었고, 현재 이 지역은 주거 지역으로 재개발되었다. 여전히 존재하는 크레체비치 공항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정기 항공편을 운행하지 않지만, 크레체비치를 2025년까지 새로운 운영 공항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다.[48] 가장 가까운 국제 공항은 도시에서 북쪽으로 약 180km 떨어진 상트페테르부르크 풀코보이다.
6. 2. 지역 교통
현지 교통은 버스와 트롤리버스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1995년에 운행을 시작한 트롤리버스 네트워크는 현재 5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 개통된 최초의 트롤리 시스템이다.[1]7. 주요 명소
벨리키노브고로드는 중세 시대의 다양한 기념물로 유명하다. 노브고로드 성 소피아 대성당과 노브고로드 크렘린(데티네츠) 외에도 많은 역사적인 건축물이 도시 곳곳에 남아있다.
크렘린 성벽 밖에는 키예프의 므스티슬라프 1세 통치 기간에 지어진 세 개의 큰 교회가 있다. 야로슬라프 궁정에 있는 노브고로드 성 니콜라스 대성당(1113–1123)에는 므스티슬라프 가문의 프레스코화가 있다. 유리에프 수도원(1030)에는 1119년에 지어진 세 개의 돔이 있는 대성당이 있고, 안토니예프 수도원에도 비슷한 대성당(1117)이 있다.
도시와 주변 지역에는 약 50개의 중세 및 초기 근대 교회가 흩어져 있다.[46] 성 베드로와 바울 축일 (1185–1192), 수태고지 (1179), 성모 승천 (1180년대), 성 파라스케바-피아트니차 (1207) 교회 등이 대표적이다. 초기 노브고로드 건축의 걸작으로는 네레디차의 구세주 교회(1198)가 있다.
13세기에는 페린 수도원의 작은 예배당(1230년대)과 립냐 섬의 성 니콜라스 교회(1292)와 같이 세 개의 노 모양 디자인의 작은 교회가 유행했다. 14세기에는 일리나 거리의 변용 교회(1374, 테오판 그레크가 1378년에 그림)와 루츠의 성 테오도르 교회(1360–1361)와 같이 독창적인 디자인의 교회가 건축되었다. 코발레보의 변용 교회(134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지만, 프레스코화는 복원되지 않았다.
1478년 이반 3세의 노브고로드 정복 이후에는 모스크바 크렘린의 대성당을 본뜬 대규모 건축물들이 모스크바 장인들에 의해 지어졌다. 후틴 수도원의 구세주 대성당(1515), 성모 마리아 표지 대성당(1688), 비아쉬치지 수도원의 성 니콜라스 대성당(1685)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일부 교구 교회는 여전히 지역 전통을 유지했는데, 향유하는 여인들의 교회(1510)와 성 보리스와 글레브 교회(1586)가 대표적이다.
1964년에는 볼호프 강과 먀치노 호수를 따라 유리에프 수도원 근처에 비토슬라브리치 목조 건축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14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노브고로드 지역 전체에서 20개 이상의 목조 건물(교회, 주택, 제분소)이 이곳으로 옮겨졌다.
노브고로드의 전쟁 묘지에는 독일 제1 루프트바페 야전 사단의 11,400구와 스페인 청색 사단의 1,900명의 병사가 묻혀 있다.[47]
7. 1. 노브고로드 크렘린 (데티네츠)

"데티네츠"라고도 불리는 노브고로드 크렘린에는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궁전인 파세트 회랑(1433년)이 있다. 이곳은 대주교 에우피미우스 2세의 주요 회의실로 사용되었다.[45] 또한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종탑(15세기 중반)과 시계탑(1673년)도 이곳에 있다.[45] 원래 파세트 회랑, 종탑, 시계탑은 에우피미우스 2세의 명으로 지어졌으나, 시계탑은 17세기에 붕괴되어 재건되었고 에우피미우스 2세 궁전의 대부분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45] 이후 지어진 건물 중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왕궁(1771년)과 러시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묘사한 러시아 천년 기념비 청동상(1862년)이 있다.[45]
7. 2. 노브고로드 성 소피아 대성당

성 소피아 대성당은 야로슬라프 현자의 아들인 블라디미르 야로슬라비치의 후원으로 1045년에서 1050년 사이에 지어졌다.[43] 블라디미르와 그의 어머니 안나 포르피로게니타는 대성당에 묻혔다.[43] 이 성당은 11세기의 가장 잘 보존된 교회 중 하나이며, 러시아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일 가능성이 높다.[43] 또한 러시아 건축의 독창적인 특징(소박한 석조 벽, 다섯 개의 헬멧 모양 돔)을 처음으로 나타낸 건물이다.[43] 12세기 초에 비숍 니키타(1108년 사망)의 명령에 따라 프레스코화가 그려졌으며, 수 세기에 걸쳐 여러 번 개조되었다.[44]
대성당에는 유명한 청동문이 있는데, 현재 서쪽 입구에 걸려 있으며, 1156년 마그데부르크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45] 다른 자료에서는 폴란드의 플로츠크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45] 1187년 노브고로드인들이 스웨덴의 시그투나에서 빼앗아 왔다고 전해지지만, 더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문은 15세기 중반에 구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5]
7. 3. 기타
이 도시는 중세 시대의 다양한 기념물로 유명하다. 야로슬라프 현자의 아들인 블라디미르 야로슬라비치의 후원으로 1045년에서 1050년 사이에 지어진 노브고로드 성 소피아 대성당은 11세기의 가장 잘 보존된 교회 중 하나이며, 러시아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일 가능성이 높다. 노브고로드 크렘린에는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궁전(소위 파세트 회랑, 1433년),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종탑(15세기 중반)과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시계탑(1673년)이 있다.크렘린 성벽 밖에는 키예프의 므스티슬라프 1세의 통치 기간에 지어진 세 개의 큰 교회가 있다. 노브고로드 성 니콜라스 대성당(1113–1123)에는 므스티슬라프의 가족 프레스코화가 있으며, 야로슬라프 궁정을 장식한다. 유리에프 수도원(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 중 하나, 1030)에는 1119년의 키가 큰 세 개의 돔이 있는 대성당이 있다. 비슷한 세 개의 돔이 있는 대성당(1117)은 안토니예프 수도원에 있다.
현재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는 약 50개의 중세 및 초기 근대 교회가 흩어져 있다.[46] 가장 오래된 양식은 성 베드로와 바울 축일 (1185–1192), 수태고지 (1179), 성모 승천 (1180년대) 및 성 파라스케바-피아트니차 (1207)에 봉헌된 교회에 의해 대표된다. 초기 노브고로드 건축의 가장 위대한 걸작은 네레디차의 구세주 교회(1198)이다.
1964년 볼호프 강과 먀치노 호수를 따라 유리에프 수도원 근처의 비토슬라브리치에는 목조 건축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14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노브고로드 지역 전체에서 20개 이상의 목조 건물(교회, 주택 및 제분소)이 그곳으로 옮겨졌다.
독일 제1 루프트바페 야전 사단의 11,400구의 묘가 노브고로드의 전쟁 묘지에 있으며, 스페인 청색 사단의 1,900명의 병사가 그곳에 묻혀 있다.[47]
8. 자매 도시
벨리키노브고로드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50][51]
9. 저명한 인물
- '''안톤 스테파노비치 아렌스키''' (1861-1906): 러시아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19세기 말 러시아 음악 문화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교향곡, 실내악, 연극 음악을 작곡했다.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1873-1943): 러시아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피아노 협주곡 2번과 3번 등 그의 작품은 걸작으로 여겨지며 전 세계에서 연주된다.
- '''가브릴라 로마노비치 데르자빈''' (1743-1816): 러시아 시인, 정치가. 러시아 고전주의의 대표자로, 그의 시 작품은 웅장함과 깊은 애국적인 주제로 유명하다.
- '''브세볼로드 아니시모비치 코체토프''' (1912-1973): 소련 작가, 편집자, 언론인. "주르비니", "무엇을 원하십니까?"를 포함하여 소련의 삶에 대한 소설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 '''이고르 알렉산드로비치 카베로프''' (1917-1995): 제2차 세계 대전 에이스 파일럿, 소련 영웅. 그는 많은 성공적인 공중전과 승리를 거두었다.
- '''니콜라이 미클루호-마클라이''' (1846-1888): 러시아 여행가, 민족학자, 인류학자.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호주의 사람들의 삶과 생활 방식을 연구했으며, 민족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 '''비탈리 발렌티노비치 비안키''' (1894-1959): 러시아 작가. 자연에 관한 많은 작품의 저자였고, 어린이들을 위한 단편 소설과 동화로 유명했다. 그의 책들은 아이들이 주변 세계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참조
[1]
문서
Resolution #121
[2]
문서
Charter of Veliky Novgorod, Article 6
[3]
웹사이트
Geographic Location
http://www.adm.nov.r[...]
[4]
간행물
2010Census
ru-pop-ref
2011-06
[5]
서적
The black death, 1346 - 1353: the complete history
Boydell Press
2008
[6]
문서
"The Archaeology of Novgorod"
[7]
서적
The Formation of Muscovy 1300 - 1613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9-10
[8]
웹사이트
Climate norms
https://meteoinfo.ru[...]
2024-01-06
[9]
웹사이트
Древнерусские города
http://historic.ru/b[...]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Полит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2012-06-13
[10]
문서
Charter of Veliky Novgorod, Article 1
[11]
서적
Changing Russia? : history, culture and business
Finemor
2014
[12]
문서
"Proskhozhdeniye Novgoroda: (k postanovke problemy)"
1971
[13]
문서
Holmgard
[14]
웹사이트
Vnovgorod.info
http://www.vnovgorod[...]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2013-03-27
[15]
학술지
Garðaríki and Its Capital: Novgorod on the Mental Map of Medieval Scandinavians
https://www.research[...]
2022-06-24
[16]
서적
In Austrvegr: The Role of the Eastern Baltic in Viking Age Communication across the Baltic Sea
Brill
2018
[17]
서적
Fornaldar sögur Nordrlanda eptir gömlum handritum
https://books.google[...]
Popp
1830
[18]
서적
The Emergence of Russia 750-1200
Routledge
2014
[19]
서적
Saints and their Lives on the Periphery: Veneration of Saints in Scandinavia and Eastern Europe (c.1000-1200)
Brepols
2010
[20]
웹사이트
The Cronicle of the Hanseatic League
http://www.european-[...]
european-heritage.org
2015-09-10
[21]
문서
Traders, ties and tensions: the interactions of Lübeckers, Overijsslers and Hollanders in Late Medieval Bergen
Uitgeverij Verloren
[22]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Privileges Granted to German Merchants at Novgorod, 1229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09-07-20
[23]
학술지
"The Iaroslavichi and the Novgorodian Veche 1230–1270: A Case Study on Princely Relations with the Veche"
2004
[24]
학술지
"Secular Power and the Archbishops of Novgorod Before the Muscovite Conquest"
2007
[25]
학술지
"Episcopal Election in Novgorod, Russia 1156–1478"
2003
[26]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Les Uškujniki de Novgorod: Marchands ou Pirates.”
1975
[28]
학술지
Climate and society in European history
https://wires.online[...]
2020-11-19
[29]
간행물
German Merchants in Novgorod: Hospitality and Hostility, Twelfth–Fifteenth Centuri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
[30]
서적
The Russian Empire 1450-1801
Oxford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Еще раз о закрытии Ганзейского двора в Новгороде в 1494 г.
1984
[32]
문서
Откуда есть пошла... российская цивилизация
http://www.ecsocman.[...]
1994
[33]
서적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Взгляд из Европы XV-XIX centuries
Европейский Дом
[34]
서적
В составе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конца XV-начала XVIII в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35]
서적
Russia's Foreign Trade and Economic Expans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Windows on the World
Brill
[36]
서적
В составе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конца XV-начала XVIII в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37]
서적
В составе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конца XV-начала XVIII в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38]
서적
В составе Моск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Великого Новгорода конца XV-начала XVIII в
Русско-Балтийски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центр БЛИЦ
[39]
학술지
Medieval Churches in Novgorod: Aspects of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nd museum presentation
http://intarch.ac.uk[...]
2020-02-28
[40]
웹사이트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11.06.1999 г. № 111-ФЗ
http://kremlin.ru/ac[...]
[41]
문서
Law #559-OZ
[42]
문서
Oblast Law #284-OZ
[43]
서적
St. Sophia's Cathedral in Novgorod
Severnyi Palomnik
[44]
문서
[45]
서적
The Message of Faith and Symbol in European Medieval Bronze Church Doors
Rutledge Books
[46]
학술지
Medieval Churches in Novgorod: Aspects of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nd museum presentation
https://intarch.ac.u[...]
2020
[47]
웹사이트
de:Kriegsgräberstätte Nowgorod
https://kriegsgraebe[...]
[48]
웹사이트
Аэропорт Кречевицы начнёт работать в 2025 году
https://gpvn.ru/news[...]
2019-09-04
[49]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50]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ые культурные связи
https://www.adm.nov.[...]
Veliky Novgorod
2020-02-05
[51]
웹사이트
Ystävyyskaupungit
https://www.seinajok[...]
Seinäjoki
2020-02-05
[52]
문서
ルーシ・カガン国
[53]
서적
ペテルブルクからモスクワへの旅
東洋経済新報社
[54]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4〜15 ロシア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55]
백과사전
노브고로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