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85년은 원나라, 일본, 쩐 왕조 등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일연의 《삼국유사》가 완성되었고, 몽골 제국의 일 칸국이 맘루크 왕조에 패배했으며, 원나라가 고려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한 것 등이 있다. 또한,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정변인 시모츠키 소동이 발생했고, 유럽에서는 아라곤 십자군, 프랑스 국왕 필리프 3세의 사망 등의 사건이 있었다. 이 해에는 오컴의 윌리엄, 고니조 천황 등이 탄생했고, 샤를 당주, 마르티노 4세 교황, 페드로 3세 아라곤 국왕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285년 |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하였다.
- 고려에서 귀화부곡으로 강등되었던 밀양이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교황 마르티노 4세가 사망하고, 교황 호노리오 4세가 뒤를 이었다.
- 마자르족이 세르비아를 침략하였다.
- 몽골 제국의 일 칸국이 아나톨리아에서 맘루크 왕조에 패배하였다.
- 중국에서, 원나라가 고려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였다.
- 아라곤 왕국의 페드로 3세가 발렌시아에서 프랑스와 나폴리 연합군을 격파하였다.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스코틀랜드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 일본에서, 가마쿠라 막부가 고다이인을 실각시키고 고후카쿠사 천황을 즉위시켰다.
- 최초로 기록된 생명 연금은 뤼베크 시가 발행하였다. 이는 독일 왕국에서 공공 부채 발행의 최초 사례이며, 북서부 유럽에서 지방 공공 부채 통합 추세를 보여준다.[8]
- 샹파뉴 백국은 중세 프랑스 왕국에 통합되었고, 이 지역은 외국 상인들에게 안전한 곳으로서의 특성을 잃었으며, 트루아 박람회는 빠르게 경제적 중요성을 잃어갔다.[9]
- 1월 6일 – 야쿠프 시비엥카 대주교가 웽치차에서 시노드를 조직하였다. 이 회의에서 그는 자신의 주교 관할 구역에 속한 모든 사제들에게 독일어가 아닌 폴란드어로 설교할 것을 명령하였다. 이는 폴란드의 가톨릭 교회를 더욱 통합하고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 3월 25일 – 교황 마르티노 4세가 페루자에서 4년간의 교황 재위를 마치고 사망하였다. 그는 호노리오 4세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가톨릭 교회의 190대 교황이 되었다.
- 블라케르나이 공의회: 동방 정교회는 리옹 제2차 공의회에서 선언된 가톨릭 교회와의 연합을 부인하였다.
- 12월 14일 (홍안 8년 음력 11월 17일) - 시모츠키 소동, 가마쿠라 막부의 정변으로 유력 고케닌인 아다치 씨 일족이 궤멸하였다.
- 이와토 전투에서 쇼니 카게스케와 아다치 씨 일족의 아다치 모리무네가 죽임을 당하였다.
- 원나라는 정동 총토벌사 타타르타이와 울루타이에게 명하여 골괴 (아이누족)를 공격하게 했다.
- 장양 전투에서 쩐 왕조 군이 소게두가 이끄는 원나라 침공군을 격퇴하였다.
- 모르 바르 사우마 수도원은 시리아 정교회의 가장 중요한 수도원 중 하나였으나 파괴되었다. 수도 공동체는 여전히 남아있지만, 안티오키아 및 동방 전역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의 총대주교좌는 시스로 옮겨졌다.
4. 1. 아시아
-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하다.
- 고려에서 귀화부곡으로 강등되었던 밀양이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중국 원나라가 고려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다.
- 6월 24일 – 쯔엉즈엉 전투: 참파와 대월 연합군이 홍강에서 몽골군이 이끄는 원나라 함대를 격파했다. 전투 중 원나라 군함 대부분이 불탔고, 몽골군은 6월 말에 중국으로 후퇴했다. 베트남 왕실은 6개월간의 분쟁 이후 수도 탕롱으로 돌아왔다.[7]
- 일본 가마쿠라 막부가 고다이인을 실각시키고 고후카쿠사 천황을 즉위시키다.
- 12월 14일 (홍안 8년 음력 11월 17일) - 시모츠키 소동, 가마쿠라 막부의 정변으로 유력 고케닌인 아다치 씨 일족이 궤멸하다.
- 이와토 전투에서 쇼니 카게스케와 아다치 씨 일족의 아다치 모리무네가 죽임을 당하다.
- 원나라가 정동 총토벌사 타타르타이와 울루타이에게 명하여 골괴 (아이누족)를 공격하게 했다.
- 장양 전투에서 쩐 왕조 군이 소게두가 이끄는 원나라 침공군을 격파했다.
4. 2. 유럽 및 중동
- 아라곤 십자군: 프랑스 국왕 필리프 3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지로나에 참호를 구축하고 도시를 포위했지만,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결국 9월 7일 도시를 함락시켰으나, 이질이 유행하여 퇴각해야 했다.[1]
- 4월 - 마린 왕조의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 술탄은 알카세르 세기르에서 타리파로 해협을 건너 헤레스 데 라 프론테라를 포위했다. 이들은 메디나-시도니아에서 카르모나, 베헤르 데 라 프론테라, 에시하, 세비야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많은 주민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다.[2]
- 5월 -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산초 4세는 세비야에서 군대를 소집하고, 베네데토 I 자카리아 제독이 이끄는 카스티야 함대(약 100척)를 과달키비르강 어귀 봉쇄에 투입했다. 한편, 마린 왕조의 부대는 세비야를 공격하여 카스티야 군을 격파하고, 카르모나와 알칼라 데 과다이라 교외를 불태우고 과수원을 파괴했다.
- 5월 22일 -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는 아들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에게 군사를 주어 6월 1일 세비야와 그 주변 지역을 습격하게 했다. 6월과 7월 초, 마린 왕조는 매일 헤레스를 공격하고, 카르모나, 니에블라, 에시하, 세비야,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의 시골을 약탈했다.[3]
- 8월 - 산초 4세가 이끄는 카스티야 군대가 헤레스 데 라 프론테라에서 마린 왕조를 공격했다.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는 식량 부족으로 8월 2일 5개월 만에 포위를 풀고 알헤시라스로 후퇴, 산초와 협상했다. 한편 카스티야 함대가 엘 푸에르토 데 산타 마리아에 도착했다.[4]
- 9월 4일 - 레 포르미게스 해전: 로제 드 라우리아 제독이 이끄는 아라곤-시칠리아 함대가 포르미게스 제도 근처에서 프랑스 및 제노바 선박을 격파했다. 프랑스 음유 시인 요한 에스테베 데 베제르에 따르면, 포로들은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눈이 찔렸으며, 남은 한 명은 다른 사람들을 인도하기 위해 한쪽 눈만 남겨졌다. 로제는 약 15~20척의 프랑스 갤리선을 포획했고, 나머지는 침몰하거나 불탔다.
- 10월 1일 - 콜 드 파니사르 전투: 아라곤 왕국의 국왕 페드로 3세가 피레네 산맥을 넘어 퇴각하는 프랑스 원정군을 매복 공격하여 격파했다. 프랑스군은 파니사르 고개에서 학살당했지만 왕족은 살려두었다. 필리프 3세는 페르피냥에 도착했지만 10월 5일 이질로 사망했다.
- 11월 2일 - 페드로 3세가 빌라프란카 델 페네데스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알폰소 3세가 아라곤 왕국의 국왕이 되었고, 다른 아들 하우메 2세는 시칠리아 왕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셋째 아들 페데리코 3세는 시칠리아의 공동 통치자이자 섭정이 되었다.[5]
- 겨울 - 노가이 칸과 탈라부가가 이끄는 몽골 제국의 황금 군단이 두 번째로 헝가리 왕국 (1000–1301)을 공격하여 슬로바키아를 정복하고 카르파티아 산맥 북쪽 지역을 약탈했다.
- 4월 17일 – 술탄 칼라운이 이끄는 맘루크 왕조 군대가 십자군 요새 마르가트를 포위했다. 한 달 동안 맘루크는 요새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칼라운은 구호기사단 대표단을 초청하여 요새에 가한 피해를 보여주었고, 5월 25일 구호기사단은 항복했다. 구호기사단은 소유물을 가지고 무장한 채 퇴각하도록 허용되었고, 나머지 수비대는 토르토사로의 안전 통행이 약속되었다. 칼라운은 맘루크 수비대를 설치하여 십자군 국가에 대한 추가 원정의 기반으로 삼았다.
- 모르 바르 사우마 수도원이 파괴되었다. 수도 공동체는 남아있었지만, 안티오키아 및 동방 전역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의 총대주교좌는 시스로 옮겨졌다.
5. 탄생
- 오컴의 윌리엄, 영국의 철학자이자 신학자 (1347년 사망)
- 3월 9일 - 고니조, 일본의 천황 (1308년 사망)
- 3월 23일 - 알 무스타크피 1세, 이집트 맘루크 왕조의 통치자 (칼리프) (1340년 사망)
- 3월 24일 - 안 나시르 무함마드, 이집트 맘루크 왕조의 통치자 (1341년 사망)
- 4월 9일 - 부얀투 칸, 몽골 제국의 황제 (1320년 사망)
- 5월 1일 - 에드먼드 피츠앨런, 아룬델 백작 , 잉글랜드의 귀족 (1326년 사망)
- 12월 6일 - 페르난도 4세, 카스티야 왕국 및 레온 왕국의 국왕 (1312년 사망)
- 알렉산더 드 브루스, 스코틀랜드 귀족 (1307년 사망)
- 포메라니아의 유페미아, 덴마크의 왕비 (1330년 사망)
- 프란체스코 1세 벤티밀리아, 이탈리아 귀족 (1338년 사망)
- 제라르두스 오도니스, 프랑스 추기경이자 신학자 (1349년 사망)
- 장 드 장됭, 프랑스 철학자이자 신학자 (1328년 사망)
- 후안 알론소 페레스 데 구잔, 스페인 귀족 (1351년 사망)
- 마르그리트 다르투아, 프랑스 귀족이자 섭정 (1311년 사망)
- 패트릭 5세 드 던바, 스코틀랜드 귀족 (1369년 사망)
- 리체자 마그누스도터, 스웨덴 공주이자 수녀원장 (1348년 사망)
- 지야우딘 바라니, 인도 역사학자이자 철학자 (1358년 사망)
- 안도 엔케,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1343년 사망)
- 사사키 사다무네,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교고쿠 씨의 당주 (1304년 사망)
- 발두인 폰 룩셈부르크, 트리어 대주교 (1354년 사망)
- 마리노 팔리에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제55대 원수 (1355년 사망)
- 베네딕토 12세, 제197대 교황 (1342년 사망)
- 호조 코레사다,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가인 (1327년 사망)
6. 사망
- 1월 5일 - 친킴, 몽골 제국의 왕족 (* 1243년)
- 1월 7일 - 카를로 1세, 시칠리아 왕국의 왕, 나폴리 왕국의 왕 (* 1227년)
- 2월 8일 - 디트리히, 란츠베르크 변경백, 라우지츠 변경 영주 (* 1242년)
- 3월 28일 - 마르티노 4세, 가톨릭 교회의 교황 (추정 날짜)
- 5월 2일 (홍안 8년 3월 26일) - 기쿠치 다케후사,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기쿠치 씨의 제10대 당주 (* 1245년)
- 5월 13일 - 로버트 드 로스,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 1235년)
- 5월 20일 - 요한 1세, 키프로스 국왕 (루지냥 가문) (* 1268년)
- 6월 3일 - 빌럼 1세 판 브레데로데, 네덜란드 귀족이자 기사
- 6월 19일 - 예쿠노 암라크, 에티오피아 통치자 (솔로몬 왕조)
- 7월 3일 - 플랑드르의 마르그리트, 프랑스 귀족 (* 1251년)
- 7월 7일 - 틸레 콜루프, 프리드리히 2세라고 주장한 독일 사칭자
- 7월 13일 (홍안 8년 6월 10일) - 아다치 도키모리,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1241년)
- 7월 28일 - 케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여왕 (* 1260년)
- 7월 30일 - 요한 1세, 독일 귀족 (아스카니아 가문) (* 1249년)
- 8월 16일 - 필리포 1세, 프랑스 귀족 (사보이아 가문) (* 1207년)
- 8월 18일 - 윌리엄 리드, 잉글랜드 주교이자 신학자 (* 1183년)
- 8월 22일 - 필립 베니지, 이탈리아 수도사이자 종교 지도자 (* 1233년)
- 8월 27일 - 윌리엄 드 위크웨인, 잉글랜드 성직자이자 대주교
- 9월 9일 - 쿤후타 우헤르스카, 보헤미아 왕국의 왕 오타카르 2세의 두 번째 왕비 (* 1246년)
- 9월 26일 - 더볼트 버틀러, 노르만 최고 통치자 (* 1242년)
- 10월 5일 - 필리프 3세,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의 제10대 국왕 (* 1245년)
- 11월 2일 - 페드로 3세, 아라곤 왕국의 왕, 발렌시아 왕국의 왕, 바르셀로나 백작, 시칠리아 왕 (* 1239년)
- 11월 21일 - 풀케 러벨, 잉글랜드 부제이자 주교
- 12월 14일 (홍안 8년 11월 17일) - 아다치 나가카게, 아다치 무네카게, 아다치 야스모리, 키라 미쓰우지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미상)
- 12월 21일 - 오르도뇨 알바레스, 브라가 대주교 (* 1198년)
- 아다치 모리무네,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생년 미상)
- 아부 알-바카 알-룬디, 안달루시아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 (* 1204년)
- 크리스티안 3세, 독일 귀족이자 기사 (올덴부르크 가문)
- 뵈세히브덴의 헤르만, 독일 성직자이자 주교 (* 1230년)
- 이즈 알-딘 이븐 샤다드, 시리아 학자이자 역사가 (* 1217년)
- 조앙 드 로베이라, 포르투갈 음유 시인이자 작가 (* 1233년)
- 니콜라스 로르뉴, 프랑스 귀족, 기사이자 대수장
- 오토 3세 (또는 '''4세'''), 독일 귀족 (아스카니아 가문) (* 1244년)
- 파올로 말라테스타 ('''미남'''), 이탈리아 귀족이자 기사
-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라벤나 영주 귀도 다 폴렌타의 딸 (* 1255년)
- 세니의 파울, 이탈리아 귀족, 수사, 주교 및 교황 특사
- 필리프 드 카르테레, 노르만 귀족이자 기사 (* 1205년)
- 시하브 알-딘 알-카라피, 이집트 학자이자 법학자 (* 1228년)
참조
[1]
서적
Capetian France: 987–1328
Longman
[2]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3]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4]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5]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7]
서적
Genghis Khan: A Biography
Vij Books India Pvt Ltd
[8]
서적
Medieval Capital Markets. Markets for renten, state formation and private investment in Holland (1300-1550)
Brill
[9]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Notizen zur Späten Geschichte des Barsaumo-Klosters
https://hugoye.bethm[...]
2024-02-23
[11]
웹사이트
Ferdinand IV king of Castile and Leon
https://www.britanni[...]
2020-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