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절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절총독은 청나라 시기에 복건성과 절강성을 관할했던 총독이다. 1645년 복건총독으로 처음 설치되어 절강성을 관할했으며, 1648년 절민총독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복건과 절강에 각각 총독부가 설치되었다가, 1687년 복건총독이 복건절강총독으로 개칭되면서 민절총독 체제가 확립되었다. 1738년 이후 복건성과 절강성을 모두 관할했으며, 1885년 복건순무가 폐지되면서 민절총독이 겸임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마지막 민절총독 송수가 피살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총독 - 양광총독
    양광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광동과 광서를 관할하던 총독으로, 173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광동 무역 체제를 통해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관리했다.
  • 청나라의 총독 -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며 황하 관리, 치수, 통상, 외국 교섭 등을 담당했고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던 최고위 지방관직이었다.
  • 푸젠성의 역사 - 민 (십국)
    민은 오대 십국 시대에 복건 지역에서 왕심지 형제가 세력을 확장하여 건국한 국가로, 내분과 폭정으로 인해 945년 남당에 멸망했다.
  • 푸젠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저장성의 역사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저장성의 역사 - 동진
    동진은 317년 사마예가 건국하여 약 100년간 이어진 남조 왕조로, 내란과 외침, 강남 호족과의 갈등 속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강남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유에 의해 멸망했다.
민절총독
기본 정보
관할 지역푸젠성, 저장성
설치 시기청나라옹정제 5년 (1727년)
폐지 시기신해혁명 이후 (1912년)
다른 이름민절총독(閩浙總督)
역대 총독
초대 총독각이납포
마지막 총독송수

2. 연혁


  • 1645년(순치 2년), '''복건총독'''이 설치되어 총독부를 복주에 두고, 저장성도 관할했다.
  • 1648년(순치 5년), '''절민총독'''으로 개칭되어 총독부는 구주로 이전되었다.
  • 1658년(순치 15년), 복건성과 저장성에 각각 총독부가 설치되어 복건총독부는 장주에, 저장총독부는 온주에 설치되었다.
  • 1672년(강희 11년), 복건총독부는 복주로 다시 이전되었다. 이듬해 저장총독은 폐지되었다.
  • 1687년(강희 26년), 복건총독이 '''복건절강총독'''으로 개칭되었다.
  • 1727년(옹정 5년), 특별히 이위가 저장총독에 임명되었다. 복건절강총독 고기탁은 복건총독으로서 복건성을 전담했다.
  • 1734년(옹정 12년) 다시 저장총독이 폐지되고, 복건성과 저장성은 절민총독의 관할이 되었다.
  • 1736년(건륭 원년) 이위의 예를 본받아 혜증균이 저장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절민총독 학옥린은 복건성을 전담했다.
  • 1738년(건륭 3년) 혜증균이 중앙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다시 학옥린이 두 성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복건, 저장 총독으로 민절총독이 총괄하게 되었다.
  • 1885년(광서 11년), 복건순무가 폐지되고 민절총독이 겸임하게 되었다.
  • 1911년, 신해혁명으로 마지막 민절총독 송수가 피살되었다.

3. 역대 민절총독

1645년(순치 2년) 복건총독이 설치되어 복주에 총독부를 두고 절강성도 관할하였다. 1648년(순치 5년) 절민총독으로 개칭되어 총독부가 구주로 이전되었다. 1658년(순치 15년) 복건성과 절강성에 각각 총독부가 설치되어 복건총독부는 장주에, 절강총독부는 온주에 설치되었다. 1672년(강희 11년) 복건총독부는 복주로 다시 이전되었고, 이듬해 절강총독은 폐지되었다. 1687년(강희 26년) 복건총독은 복건절강총독(민절총독)으로 개칭되었다.

1727년(옹정 5년) 이위가 절강총독에 특별 임명되면서 민절총독은 복건성만 관할하게 되었다. 그러나 1734년(옹정 12년) 절강총독이 다시 폐지되면서 복건성과 절강성은 다시 민절총독의 관할이 되었다. 1736년(건륭 원년) 혜증균이 절강총독으로 임명되면서 다시 민절총독은 복건성만 관할하게 되었으나, 1738년(건륭 3년) 혜증균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민절총독이 다시 복건성과 절강성을 모두 관할하게 되었다.

1885년(광서 11년) 복건순무가 폐지되면서 민절총독이 이를 겸임하게 되었다. 1911년 마지막 민절총독 송수신해혁명 당시 반란군에 의해 축출되어 살해되었다.

청나라 시대 민절총독 지도

3. 1. 1645년 ~ 1658년 (복건총독, 절민총독 시기)

1645년(순치 2년) 11월, 장존인이 복건총독에 임명되어 총독부가 복주에 설치되었고 절강성도 관할하였다. 1648년(순치 5년)에는 절민총독으로 개칭되어 총독부가 구주로 이전되었다.

이후 1658년(순치 15년)까지 복건성과 절강성을 통합하여 관할하는 절민총독 시기가 이어졌다.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
장존인1645년1647년
진금1647년1652년
유청태1652년1654년
둔태1654년1656년
이솔태
1656년1658년


3. 2. 1658년 ~ 1687년 (복건총독, 저장총독 분리 시기)

1645년(순치 2년), 복주(福州)에 복건총독부를 설치하고 절강성을 관할했다. 1648년(순치 5년), 절민총독으로 개칭하고 총독부를 구주(衢州)로 이전했다. 1658년(순치 15년), 복건성과 절강성에 각각 총독부를 설치하여 복건총독부는 장주(漳州)에, 절강총독부는 온주(溫州)에 두었다.

1672년(강희 11년), 복건총독부를 복주로 이전하고, 이듬해 절강총독을 폐지했다. 1687년(강희 26년), 복건총독을 복건절강총독(민절총독)으로 개칭했다.

3. 2. 1. 복건총독

李率泰중국어는 1658년부터 1664년까지 복건총독을 역임했다. 이후 주창좌(朱昌祚)가 1664년부터 1665년까지, 장조린(張朝璘)이 1666년부터 1667년까지 복건총독을 맡았다. 조택보(祖澤溥)는 1667년부터 1669년까지, 유두(劉斗)는 1670년부터 1672년까지 복건총독으로 재직했다.

1672년, 범승모(范承謨)가 복건총독에 임명되었으나, 1674년 경정충에게 붙잡혀 사실상 사임했다. 같은 해 랑정좌(郎廷佐)가 복건총독이 되어 1676년까지 재직했고, 1676년부터 1678년까지는 랑정상(郎廷相)이 복건총독을 맡았다.

요계성(姚啟聖)은 1678년부터 1683년까지 복건총독으로 재직했다. 1683년 시유한(施維翰)이 복건총독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이후 1684년부터 1687년까지는 왕국안(王國安)이 복건총독을 역임했다.

복건총독
이름부임 시기사임 시기
이율태(李率泰)1658年(顺治十五年)중국어1666年(康熙五年)중국어
장조린(張朝璘)1666年(康熙五年)중국어1667年(康熙六年)중국어
유두(劉斗)1670年(康熙九年四月)중국어1672年(康熙十一年)중국어
범승모(范承謨)1672年(康熙十一年十月壬子)중국어1674年(康熙十三年三月庚辰)중국어 (경정충에게 붙잡혀 사실상 사임)
랑정좌(郎廷佐)1674年(康熙十三年七月辛未)중국어1676年(康熙十五年)중국어
랑정상(郎廷相)1676年(康熙十五年七月庚子)중국어1678年(康熙十七年五月戊申)중국어
요계성(姚啟聖)1678年(康熙十七年五月戊申)중국어1683年(康熙二十二年)중국어
시유한(施維翰)1683年(康熙二十二年冬)중국어1684年(康熙二十三年春)중국어 (부임하지 못한 채 사망)


3. 2. 2. 저장총독

1658년(순치 15년)부터 1684년(강희 23년)까지 존속했던 청나라의 저장 지역 총독 직책과 역대 총독은 다음과 같다.

저장총독
이름부임 시기사임 시기
조국조1658년(순치 15년)1661년(순치 18년)
조정신1661년(순치 18년)1669년(강희 8년)
유조기1669년(강희 8년)1673년(강희 12년)
이지방1673년(강희 12년)1682년(강희 21년)
시유한1682년(강희 21년)1683년(강희 22년)
왕국안1684년(강희 23년)1684년(강희 23년)



1658년(순치 15년), 복건성과 절강성에 각각 총독부가 설치되었는데, 저장총독부는 온주에 설치되었다. 1673년(강희 12년)에는 저장총독이 폐지되었다.

1727년(옹정 5년), 이위가 저장총독으로 특별 임명되었으나, 1734년(옹정 12년)에 다시 저장총독이 폐지되었다. 1736년(건륭 원년), 혜증균이 저장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1738년(건륭 3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3. 3. 1687년 ~ 1911년 (민절총독 시기)

1687년 (강희 26년), 복건총독이 '''복건절강총독'''으로 개칭되었다.

이름부임 시기사임 시기
왕신명1687년 (강희 26년)1688년 (강희 27년)
왕지1688년 (강희 27년)1689년 (강희 28년)
흥영조1689년 (강희 28년)1692년 (강희 31년)
주굉좌1692년 (강희 31년)1695년 (강희 34년)
곽세륭1695년 (강희 34년)1702년 (강희 41년)
김세영1702년 (강희 41년)1706년 (강희 45년)
양내1706년 (강희 45년)1710년 (강희 49년)
범시숭1710년 (강희 49년)1715년 (강희 54년)
고로-만보1715년 (강희 54년)1725년 (옹정 3년)
고기탁1725년 (옹정 3년)1729년 (옹정 7년)
사이직1729년 (옹정 7년)1730년 (옹정 8년)
고기탁1730년 (옹정 8년)1730년 (옹정 8년)
유세명1730년 (옹정 8년)1732년 (옹정 10년)
호옥린1732년 (옹정 10년)1739년 (건륭 4년)
덕패1739년 (건륭 4년)1742년 (건륭 7년)
나소도1742년 (건륭 7년)1744년 (건륭 9년)
마이태1744년 (건륭 9년)1746년 (건륭 11년)
가이얼지선1746년 (건륭 11년)1757년 (건륭 22년)
양응거1757년 (건륭 22년)1759년 (건륭 24년)
양정장1759년 (건륭 24년)1764년 (건륭 29년)
소창1764년 (건륭 29년)1768년 (건륭 33년)
최응계1768년 (건륭 33년)1770년 (건륭 35년)
종음1770년 (건륭 35년)1778년 (건륭 43년)
양경소1778년 (건륭 43년)1779년 (건륭 44년)
삼보1779년 (건륭 44년)1780년 (건륭 45년)
부명안1780년 (건륭 45년)1781년 (건륭 46년)
진휘조1781년 (건륭 46년)1782년 (건륭 47년)
부륵혼1782년 (건륭 47년)1785년 (건륭 50년)
아덕1785년 (건륭 50년)1786년 (건륭 51년)
부강1786년 (건륭 51년)1786년 (건륭 51년)
창청1786년 (건륭 51년)1787년 (건륭 52년)
이시요1787년 (건륭 52년)1788년 (건륭 53년)
복강안1788년 (건륭 53년)1789년 (건륭 54년)
오랍나1789년 (건륭 54년)1795년 (건륭 60년)
복강안1795년 (건륭 60년)1796년 (가경 원년)
괴륜1796년 (가경 원년)1799년 (가경 4년)
서린1799년 (가경 4년)1799년 (가경 4년)
고로-장린1799년 (가경 4년)1800년 (가경 5년)
옥덕1800년 (가경 5년)1806년 (가경 11년)
아림보1806년 (가경 11년)1809년 (가경 14년)
방유전1809년 (가경 14년)1810년 (가경 15년)
왕지이1810년 (가경 15년)1817년 (가경 22년)
동교증1817년 (가경 22년)1820년 (가경 25년)
경보1820년 (가경 25년)1822년 (도광 2년)
조신진1822년 (도광 2년)1825년 (도광 5년)
손이준1825년 (도광 5년)1832년 (도광 12년)
정조락1832년 (도광 12년)1836년 (도광 16년)
종상1836년 (도광 16년)1839년 (도광 19년)
주천각1839년 (도광 19년)1839년 (도광 19년)
계량1839년 (도광 19년)1839년 (도광 19년)
등정진1839년 (도광 19년)1840년 (도광 20년)
안백도1840년 (도광 20년)1841년 (도광 21년)
양국정1841년 (도광 21년)1842년 (도광 22년)
이량1842년 (도광 22년)1843년 (도광 23년)
유운가1843년 (도광 23년)1850년 (도광 30년)
유태1850년 (도광 30년)1851년 (함풍 원년)
계지창1851년 (함풍 원년)1852년 (함풍 2년)
오문용1852년 (함풍 2년)1853년 (함풍 3년)
혜성1853년 (함풍 3년)1853년 (함풍 3년)
왕의덕1854년 (함풍 4년)1859년 (함풍 9년)
경단1859년 (함풍 9년)1862년 (동치 원년)
기령1862년 (동치 원년)1863년 (동치 2년)
좌종당1863년 (동치 2년)1866년 (동치 5년)
오당1866년 (동치 5년)1867년 (동치 6년)
마신이1867년 (동치 6년)1868년 (동치 7년)
영계1868년 (동치 7년)1871년 (동치 10년)
장지만1871년 (동치 10년)1871년 (동치 10년)
이학년1871년 (동치 10년)1876년 (광서 2년)
문욱1876년 (광서 2년)1876년 (광서 2년)
하경1876년 (광서 2년)1884년 (광서 10년)
양창준1884년 (광서 10년)1888년 (광서 14년)
변보제1888년 (광서 14년)1892년 (광서 18년)
담종린1892년 (광서 18년)1894년 (광서 20년)
변보천1894년 (광서 20년)1898년 (광서 24년)
허응규1898년 (광서 24년)1903년 (광서 29년)
석량1903년 (광서 29년)1903년 (광서 29년)
이흥예1903년 (광서 29년)1904년 (광서 30년)
위광도1904년 (광서 30년)1905년 (광서 31년)
승윤1905년 (광서 31년)1905년 (광서 31년)
숭번1905년 (광서 31년)1905년 (광서 31년)
단방1905년 (광서 31년)1906년 (광서 32년)
주부1906년 (광서 32년)1906년 (광서 32년)
정진탁1906년 (광서 32년)1907년 (광서 33년)
송수1907년 (광서 33년)1911년 (선통 3년)


  • 1727년 (옹정 5년), 특례로 이위가 저장총독에 임명되었다. 복건절강총독이었던 고기탁은 복건총독으로서 복건성을 전임했다.
  • 1734년 (옹정 12년), 다시 저장총독이 폐지되었고, 복건성 및 저장성은 절민총독의 관할이 되었다.
  • 1736년 (건륭 원년), 이위의 사례에 따라 혜증균이 저장총독에 임명되었다. 절민총독이었던 호옥린은 복건성을 전임했다.
  • 1738년 (건륭 3년), 혜증균이 중앙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다시 호옥린이 양성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복건·저장의 총독으로서 '''민절총독'''이 통괄하게 되었다.
  • 1885년 (광서 11년), 복건순무가 폐지되었고, 민절총독이 겸임하게 되었다.

4. 민절총독과 조선

조선은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청나라는 회사(回賜) 형태로 물품을 하사하는 조공 무역 관계를 맺었다. 민절총독은 이러한 조공 무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복건성, 절강성 등 민절총독 관할 지역은 조선 사신들이 해로를 통해 이동하는 주요 경로였기 때문이다.

조선과 청나라 상인들은 민절총독 관할 지역의 항구를 통해 활발한 해상 무역을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민절총독은 해상 무역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과 청나라 어민들은 황해에서 어업 활동을 하면서 잦은 충돌을 빚었다. 특히, 민절총독 관할 지역과 가까운 해역에서 어업권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조선 어민들이 풍랑을 만나 민절총독 관할 지역으로 표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이 경우, 민절총독은 표류민들을 구조하고 조선으로 송환하는 절차를 담당했다.

5. 평가 및 의의

민절총독은 청나라 지방 통치 체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해상 방어와 대외 교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조선과의 관계에서 조공 무역, 해상 교류, 어업권 분쟁, 표류민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민절총독의 존재는 당시 동아시아 지역의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민절총독은 푸젠성저장성을 관할하며, 이 지역의 해상 방어와 대외 교류를 책임졌다. 특히 대만푸젠성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대만 통치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보면, 민절총독은 과거의 유산으로서, 현재의 한중 관계에 있어서도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