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38년은 청나라 건륭 3년, 일본 겐분 3년, 조선 영조 14년 등으로, 무오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종결, 가모 마부치의 에도 이주, 다니엘 베르누이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설 발표 등이 있었다. 유럽에서는 빈 조약 체결, 네덜란드 노예선 침몰, 헨델의 오페라 초연, 자동인형 시연, 젠킨스의 귀 사건, 스페인 왕립 역사 학회 설립, 교황령 발표, 극장 학교 설립, 감리교 운동 시작, 방적기 특허, 아연 추출 특허, 헤르쿨라네움 발굴 시작 등이 일어났다. 주요 인물로는 조지 3세, 윌리엄 허셜 등이 탄생했고, 프란츠 크사버 무르샤우저, 헤르만 보에르하아베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738년 | |
---|---|
지도 | |
연도 정보 | |
시대 | 18세기 |
세기 | 18세기 |
천년기 | 제2천년기 |
주요 사건 | |
정치 | 페르시아 제국의 나디르 샤가 델리를 점령하고 무굴 제국을 약탈하다. 조지아 왕국이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다. |
과학 | 다니엘 베르누이가 유체역학의 기초를 다진 《유체역학》을 출간하다. 카를 폰 린네가 식물 분류학의 기반을 닦다. |
문화 | 헤라클레스 신전 발굴 시작. |
탄생 | |
주요 인물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및 작곡가. 벤저민 웨스트, 미국 화가. 체사레 베카리아, 이탈리아 법학자 및 철학자. |
사망 | |
주요 인물 | 마리야 테레사], 스페인의 인판타 [[샤를 3세 데 알브레, 프랑스 원수 가브리엘 페렌하이, 독일 물리학자 |
문화 | |
문학 | 새뮤얼 존슨의 《런던》 출판. |
음악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세르세》 초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마태 수난곡》 초연. |
건축 | |
주요 건축물 | 산타마리아 델라 살루테 성당 완공. |
과학 | |
주요 발견 | 다니엘 베르누이, 《유체역학》 출간. |
국가별 사건 | |
오스트레일리아 | 1738년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리아 | 1738년 오스트리아 |
캐나다 | 1738년 캐나다 |
중국 | 1738년 중국 |
덴마크 | 1738년 덴마크 |
잉글랜드 | 1738년 잉글랜드 |
프랑스 | 1738년 프랑스 |
영국 | 1738년 영국 |
그리스 | 1738년 그리스 |
아일랜드 | 1738년 아일랜드 |
일본 | 1738년 일본 |
멕시코 | 1738년 멕시코 |
노르웨이 | 1738년 노르웨이 |
포르투갈 | 1738년 포르투갈 |
러시아 | 1738년 러시아 |
스코틀랜드 | 1738년 스코틀랜드 |
대한민국 | 1738년 대한민국 |
스페인 | 1738년 스페인 |
스웨덴 | 1738년 스웨덴 |
태국 | 1738년 태국 |
미국 | 1738년 미국 |
통치자 목록 | |
국가 지도자 | 1738년 국가 지도자 목록 |
식민지 총독 | 18세기 식민지 총독 목록 |
종교 지도자 | 18세기 종교 지도자 목록 |
탄생 및 사망 | |
탄생 | 분류:1738년 출생 |
사망 | 분류:1738년 사망 |
설립 및 해체 | |
설립 | 분류:1738년 설립 |
해체 | 분류:1738년 해체 |
작품 | |
작품 | 분류:1738년 작품 |
2. 연호
청 건륭 3년
류큐 쇼케이왕(쇼케이 왕/尚敬王일본어) 26년, 청 고종 건륭제(高宗 乾隆帝) 3년, 조선 영조 14년, 후 레 왕조 의종(懿宗) 4년이다. 간지는 무오이다. 일본은 겐분 3년이자, 황기 2398년이다. 단기 4071년, 불멸기원 2280년 - 2281년, 이슬람력 1150년 - 1151년, 유대력 5498년 - 5499년이다. 율리우스력으로는 1737년 12월 21일 - 1738년 12월 20일이다.
11월 18일 - 빈 예비 조약 조인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이 종결되었다. 이는 유럽의 세력 균형에 변화를 가져왔다.
일본(日本) 겐분(겐분/元文일본어) 3년
후 레 왕조(後黎朝) 빈흐우(永祐) 4년
조선 영조 14년
간지는 무오이다.
단기 4071년
일본 황기 2398년
불멸기원 2280년 - 2281년
이슬람력 1150년 - 1151년
유대력 5498년 - 5499년
율리우스력 1737년 12월 21일 - 1738년 12월 20일
3. 기년
4. 사건
가모 마부치가 스승 하다 하루미츠의 사망으로 인해 교토에서 에도로 이주하여 국학을 강의했다.
다니엘 베르누이가 학술지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아카데미 논문집』의 논문 "위험 측정에 관한 새로운 이론"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설을 발표했다.
4. 1. 국제 관계
11월 18일 - 빈 예비 조약 조인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이 종결되었다.[11] 이는 유럽의 세력 균형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조선의 외교 정책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청나라 정부가 광저우(广州)에서 모든 서양 상인들이 코홍(Cohong)을 통해 무역해야 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중심지였던 광저우에서의 무역 통제를 강화하려는 조치였으며, 조선과의 무역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1735년-1739년)에서 러시아군이 드니스터 강을 건너려는 시도를 시작했지만 3주 후 실패하고, 이후 흑사병으로 인해 많은 병사들이 사망했다.[13]
4. 2. 조선
1738년은 조선 영조의 재위 기간으로, 탕평책을 통해 정국 안정을 도모하고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다. 같은 시기, 일본에서는 가모 마부치가 스승 하다 하루미츠의 사망으로 교토에서 에도로 이주하여 국학을 강의했다. 한편, 다니엘 베르누이는 학술지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아카데미 논문집』에 "위험 측정에 관한 새로운 이론" 논문을 발표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설을 제시했다.
4. 3. 유럽/아메리카
1738년 유럽과 아메리카에서는 다양한 사건이 발생했다.
1월 1일에는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의 노예선 ''뢰이즈덴''(Leusden)호가 수리남에 도착하던 중 마로니 강에서 침몰하여 최소 664명의 아프리카 노예가 익사했다. 네덜란드 선원들은 탈출하여 노예들을 갑판 아래에 가둔 채 죽도록 내버려두었다.[1] 이는 당시 유럽 열강의 노예 무역의 참상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1월 3일에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파라몬도''(Faramondo)가 초연되었다.[2] 4월 15일에는 헨델의 또 다른 이탈리아 오페라 세르세(Serse)가 런던에서 초연되었다.
2월 11일에는 자크 드 보캉송이 파리 롱기유빌 호텔에서 초기 자동인형인 ''피리 부는 사람''(The Flute Player)을 처음으로 시연하고 3월 30일까지 전시했다.[4]
3월 28일, 선원 로버트 젠킨스는 1731년 카리브해에서 스페인 선장에게 잘렸다고 주장하는 절인 귀를 영국 의회에 제출했다. 의회는 257대 209로 스페인과의 전쟁에 투표하여 이듬해 젠킨스의 귀 전쟁으로 이어진다.[5]
4월 18일에는 스페인 국왕 필리프 5세의 칙령에 따라 스페인 왕립 역사 학회(''Real Academia de la Historia'')가 설립되었다.[6] 4월 28일에는 교황 클레멘스 12세가 교황령 ''In eminenti apostolatus''를 발표하여 로마 가톨릭 신자의 프리메이슨 단체 가입을 금지했다.[7]
5월 4일에는 현재 바가노바 아카데미로 알려진 제국 극장 학교가 여제 안나의 통치 아래 설립되었다.[8] 5월 24일에는 존 웨슬리가 런던 시의 알더스게이트에서 열린 모라비안 교회 모임에서 영적 재생을 경험하며, 본질적으로 감리교 운동을 시작했다.
6월 24일에는 영국의 발명가 루이스 폴이 롤러 방적기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9] 7월 1일에는 영국의 야금학자 윌리엄 챔피언이 용광로에서 다른 물질로부터 아연을 추출하는 그의 공정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11]
10월 22일에는 이탈리아 레지나 근처에서 스페인 국왕 샤를 3세의 명령에 따라 그의 기술자인 로케 호아킨 데 알쿠비에르가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매몰된 로마 도시 헤르쿨라네움의 발굴을 시작했다.[14]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는 『지구의 모양에 관하여(Sur la figure de la terre)』를 출판하여, 지구가 극지방이 약간 납작한 타원체임을 보여주는 아이작 뉴턴의 견해를 확인했다.
11월 18일에는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을 종식시키는 빈 조약이 비준되었다.
5. 탄생
## 조선
조선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 세계
- 3월 10일 - 호세 가브리엘 콩도르칸키(José Gabriel Condorcanqui), 투팍 아마루 2세라고도 함, 정치가·반란 지도자 (+ 1781년)
- 3월 15일 - 체사레 베카리아(Cesare Beccaria), 법학자·경제학자 (+ 1794년)
- 5월 28일 - 조제프 기요탱(Joseph-Ignace Guillotin), 내과 의사·정치가 (+ 1814년)
- 6월 4일 - 조지 3세(George III), 하노버 왕가 제3대 영국국왕 (+ 1820년)[17]
- 8월 6일 (원문 3년 6월 21일) - 임자평(林子平), 경세론가 (+ 1793년)
- 8월 1일 - 프랑스의 장군 자크 프랑수아 뒤고미에. (~1794년)
- 10월 10일 - 벤자민 웨스트(Benjamin West), 화가 (+ 1820년)
- 10월 11일 - 영국 해군의 군인이자 식민지 행정관 아서 필립. (~1814년)
- 11월 15일 -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1822년)

- 1월 21일 - 이선 에일런(Ethan Allen), 미국 애국자 (사망 1789년)
- 2월 6일 - 피에르 조제프 드소(Pierre-Joseph Desault), 프랑스 해부학자이자 외과의사 (사망 1795년)
- 4월 12일 - 프란시스코 가르세스(Padre Francisco Garcés), 스페인 선교사 (사망 1781년)
- 4월 14일 - 윌리엄 캐번디시-벤틴크(William Cavendish-Bentinck), 3대 포틀랜드 공작, 영국 총리 (사망 1809년)
- 5월 27일 - 내덜니얼 고럼(Nathaniel Gorham), 미국 정치인 (사망 1796년)
- 7월 3일 - 존 싱글턴 코플리(John Singleton Copley), 미국 화가 (사망 1815년)
- 7월 20일 - 다레잔 다디아니(Darejan Dadiani), 조지아 왕비 (사망 1807년)
- 7월 22일 - 안 드 이브(Anne d'Yves), 작가, 브라반트 혁명 참여자 (사망 1814년)
- 8월 28일 - 에테이야(Etteilla), 프랑스의 오컬트 카드 점술가 (사망 1791년)
- 9월 25일 - 니콜라스 반 다이크(Nicholas Van Dyke), 미국 변호사이자 델라웨어 주지사 (사망 1789년)
- 10월 18일 - 안드레이 볼로토프(Andrei Bolotov), 러시아 농업가이자 회고록 작가 (사망 1833년)
- 10월 29일 - 찰스 스팔딩(Charles Spalding), 스코틀랜드 발명가이자 수중 잠수부 (사망 1783년)
- 12월 31일 - 찰스 코르누올리스(Charles Cornwallis), 1대 코르누올리스 후작, 영국 장군 (사망 1805년)
5. 1. 조선
조선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5. 2. 세계
- 6월 4일 - 영국의 국왕 조지 3세. (~1820년)[17]
- 8월 1일 - 프랑스의 장군 자크 프랑수아 뒤고미에. (~1794년)
- 10월 11일 - 영국 해군의 군인이자 식민지 행정관 아서 필립. (~1814년)
- 11월 15일 - 독일 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1822년)
- 1월 21일 - 이선 에일런(Ethan Allen), 미국 애국자 (사망 1789년)
- 2월 6일 - 피에르 조제프 드소(Pierre-Joseph Desault), 프랑스 해부학자이자 외과의사 (사망 1795년)
- 4월 12일 - 프란시스코 가르세스(Padre Francisco Garcés), 스페인 선교사 (사망 1781년)
- 4월 14일 - 윌리엄 캐번디시-벤틴크(William Cavendish-Bentinck), 3대 포틀랜드 공작, 영국 총리 (사망 1809년)
- 5월 27일 - 내덜니얼 고럼(Nathaniel Gorham), 미국 정치인 (사망 1796년)
- 5월 28일 - 조제프 이냐스 기요탱(Joseph-Ignace Guillotin), 프랑스 의사 (사망 1814년)
- 7월 3일 - 존 싱글턴 코플리(John Singleton Copley), 미국 화가 (사망 1815년)
- 7월 20일 - 다레잔 다디아니(Darejan Dadiani), 조지아 왕비 (사망 1807년)
- 7월 22일 - 안 드 이브(Anne d'Yves), 작가, 브라반트 혁명 참여자 (사망 1814년)
- 8월 28일 - 에테이야(Etteilla), 프랑스의 오컬트 카드 점술가 (사망 1791년)
- 9월 25일 - 니콜라스 반 다이크(Nicholas Van Dyke), 미국 변호사이자 델라웨어 주지사 (사망 1789년)
- 10월 18일 - 안드레이 볼로토프(Andrei Bolotov), 러시아 농업가이자 회고록 작가 (사망 1833년)
- 10월 29일 - 찰스 스팔딩(Charles Spalding), 스코틀랜드 발명가이자 수중 잠수부 (사망 1783년)
- 12월 31일 - 찰스 코르누올리스(Charles Cornwallis), 1대 코르누올리스 후작, 영국 장군 (사망 1805년)
- 3월 10일 - 호세 가브리엘 콩도르칸키(José Gabriel Condorcanqui), 투팍 아마루 2세라고도 함, 정치가·반란 지도자 (+ 1781년)
- 3월 15일 - 체사레 베카리아(Cesare Beccaria), 법학자·경제학자 (+ 1794년)
- 8월 6일 (원문 3년 6월 21일) - 임자평(林子平), 경세론가 (+ 1793년)
- 10월 10일 - 벤자민 웨스트(Benjamin West), 화가 (+ 1820년)
6. 사망
- 1월 6일 - 프란츠 크사버 무르샤우저(Franz Xaver Murschhauser), 독일 작곡가이자 이론가 (1663년 출생)
- 1월 24일 - 새뮤얼 앤드류(Samuel Andrew), 미국 성결파 성직자이자 교육자 (1656년 출생)
- 1월 27일 - 마리 울프(Marie Wulf), 덴마크 경건주의 지도자 (1685년 출생)
- 1월 30일 - 베누아 드 메이예(Benoît de Maillet), 프랑스 외교관이자 자연사학자 (1656년 출생)
- 2월 9일 - 베아트리스 히에로님 드 로렌(Béatrice Hiéronyme de Lorraine), 르미몽 수녀원 수녀원장 (1662년 출생)
- 2월 15일 - 마티아스 브라운(Matthias Braun), 체코 조각가 (1684년 출생)
- 2월 27일 - 헨리 그로브(Henry Grove), 영국 비국교파 목사 (1684년 출생)
- 3월 16일 - 게오르크 베어(George Bähr), 독일 건축가 (1666년 출생)
- 3월 25일 - 터럴러 오카롤란(Turlough O'Carolan), 아일랜드 하프 연주자이자 작곡가 (1670년 출생)
- 4월 9일 - 찰스 블로이스 1세 남작(Sir Charles Blois, 1st Baronet), 영국 정치인 (1657년 출생)
- 5월 1일 - 찰스 하워드 3세 칼라일 백작(Charles Howard, 3rd Earl of Carlisle), 영국 정치가 (약 1669년 출생)
- 5월 15일 - 존 체시어 경(Sir John Chesshyre), 영국 변호사 (1662년 출생)
- 6월 5일 - 이삭 드 보소브르(Isaac de Beausobre), 프랑스 프로테스탄트 목사 (1659년 출생)
- 6월 21일 - 찰스 타운젠드 2세 타운젠드 자작(Charles Townshend, 2nd Viscount Townshend), 영국 정치인 (1674년 출생)
- 7월 8일 - 장-피에르 니세롱(Jean-Pierre Nicéron), 프랑스 백과전서 편찬자 (1685년 출생)
- 7월 28일 - 작센-메르제부르크 공작 하인리히(Heinrich, Duke of Saxe-Merseburg) (1661년 출생)
- 9월 15일(겐분 3년 8월 2일) - 카미지마 키칸(上島鬼貫), 하이쿠 시인 (* 1661년)
- 9월 23일 - 헤르만 보에르하아베(Herman Boerhaave), 네덜란드 인문주의자이자 의사 (1668년 출생)

- 12월 22일 - 콘스탄시아 존스(Constantia Jones), 영국 매춘부 (사형) (약 1708년 출생)
- 1월 29일(겐분 2년 12월 6일) - 아즈마 탄파쿠(安積澹泊), 유학자, 미토 쇼코칸(彰考館) 총재 (* 1656년)
6. 1. 조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6. 2. 세계
1738년에 세계적으로 일어난 일은 다음과 같다.- 1월 6일 - 프란츠 크사버 무르샤우저(Franz Xaver Murschhauser), 독일 작곡가이자 이론가 (1663년 출생)가 사망했다.
- 1월 24일 - 새뮤얼 앤드류(Samuel Andrew), 미국 성결파 성직자이자 교육자 (1656년 출생)가 사망했다.
- 1월 27일 - 마리 울프(Marie Wulf), 덴마크 경건주의 지도자 (1685년 출생)가 사망했다.
- 1월 30일 - 베누아 드 메이예(Benoît de Maillet), 프랑스 외교관이자 자연사학자 (1656년 출생)가 사망했다.
- 2월 9일 - 베아트리스 히에로님 드 로렌(Béatrice Hiéronyme de Lorraine), 르미몽 수녀원 수녀원장 (1662년 출생)이 사망했다.
- 2월 15일 - 마티아스 브라운(Matthias Braun), 체코 조각가 (1684년 출생)가 사망했다.
- 2월 27일 - 헨리 그로브(Henry Grove), 영국 비국교파 목사 (1684년 출생)가 사망했다.
- 3월 16일 - 게오르크 베어(George Bähr), 독일 건축가 (1666년 출생)가 사망했다.
- 3월 25일 - 터럴러 오카롤란(Turlough O'Carolan), 아일랜드 하프 연주자이자 작곡가 (1670년 출생)가 사망했다.
- 4월 9일 - 찰스 블로이스 1세 남작(Sir Charles Blois, 1st Baronet), 영국 정치인 (1657년 출생)이 사망했다.
- 5월 1일 - 찰스 하워드 3세 칼라일 백작(Charles Howard, 3rd Earl of Carlisle), 영국 정치가 (약 1669년 출생)가 사망했다.
- 5월 15일 - 존 체시어 경(Sir John Chesshyre), 영국 변호사 (1662년 출생)가 사망했다.
- 6월 5일 - 이삭 드 보소브르(Isaac de Beausobre), 프랑스 프로테스탄트 목사 (1659년 출생)가 사망했다.
- 6월 21일 - 찰스 타운젠드 2세 타운젠드 자작(Charles Townshend, 2nd Viscount Townshend), 영국 정치인 (1674년 출생)이 사망했다.
- 7월 8일 - 장-피에르 니세롱(Jean-Pierre Nicéron), 프랑스 백과전서 편찬자 (1685년 출생)가 사망했다.
- 7월 28일 - 작센-메르제부르크 공작 하인리히(Heinrich, Duke of Saxe-Merseburg) (1661년 출생)가 사망했다.
- 9월 23일 - 헤르만 보에르하아베(Herman Boerhaave), 네덜란드 인문주의자, 의사 (1668년 출생)가 사망했다.
- 12월 22일 - 콘스탄시아 존스(Constantia Jones), 영국 매춘부 (사형) (약 1708년 출생)가 사망했다.
- 1월 29일 - 아즈마 탄파쿠(安積澹泊), 유학자, 미토 쇼코칸(彰考館) 총재 (* 1656년)가 사망했다.
- 9월 15일 - 카미지마 키칸(上島鬼貫), 하이쿠 시인 (* 1661년)가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The Dutch in the Atlantic Slave Trade, 1600-18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Faramondo
https://handelhendri[...]
[3]
서적
Madhya Pradesh Through the Ages
Sarup & Sons
[4]
서적
Automata and Mimesis on the Stage of Theatre History
Springer
[5]
서적
The Life of William Pitt Earl of Chatham
Longmans, Green, and Co.
[6]
서적
Clio and the Crown: The Politics of History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Spai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Subscribing to the Building of a Masonic Temple
[8]
웹사이트
Vaganova Academy - History of the Vaganova Ballet Academy
https://vaganovaacad[...]
2024-02-07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History
[10]
서적
The Spanish Monarchy and the Creation of the Viceroyalty of New Granada (1717-1739)
Brill
[11]
서적
Titles of Patents of Invention, Chronologically Arranged, From March 2, 1617 (14 James I.) to October 1, 1852 (16 Victoriae). 1617-1823
The Queen's Printing Office
[12]
서적
The Adventures of Thomas Pellow, of Penryn, Mariner
T. Fisher Unwin
[13]
서적
Memoirs of Russia, Historical, Political and Military, from the Year 1727 to 1744
Beckett & DeHondt
[14]
서적
The World of Pompeii
Routledge
[15]
서적
The Palatine Wreck: The Legend of the New England Ghost Ship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6]
웹사이트
Rémy Martin
http://www.remymarti[...]
2016-03-24
[17]
웹사이트
History of William Cavendish-Bentinck Duke of Portland - GOV.UK
https://www.gov.uk/g[...]
2023-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