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표고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표고과는 홍조류에 속하는 과로, 과거 기가르티나목에 속했던 바다표고속과 손데로펠타속이 분리되어 바다표고목으로 신설되었다. 이 과에 속하는 해조류는 붉은색을 띠며,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전 세계 해역에 분포하며 조간대와 같은 얕은 수심에서 서식한다. 일부 종은 항바이러스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정홍조강 내 분홍치아강에 속하며 분홍치목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정홍조강 -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는 피코빌리단백질 색소를 가진 연골질 해조류로, 동아시아에서 식량으로 이용되며 우무, 샐러드, 푸딩, 잼 등으로 섭취하거나 한천의 원료, 바이오 연료로도 연구되는 수배우체, 암배우체, 포자체의 세 몸체를 가진 해조류이다. - 진정홍조강 - 분홍국수말과
분홍국수말과는 불규칙적이고 원추형 형태를 가지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홍조류의 한 과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바다표고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 | |
상위 분류군 | 진정홍조강 |
학명 | Peyssonneliaceae |
명명자 | Denizot, 1968 |
상위 목 | 바다표고목 |
목 명명자 | D.M. Krayesky, J.N. Norris & S. Fredericq, 2009 |
과 명명자 | Denizot, M., 1968 |
이명 | Decaisne |
2. 역사
과거 기가르티나목(Gigartinales)에 속했던 바다표고속(Peyssonnelia)(''Peyssonnelia'')과 손데로펠타속(Sonderopelta)(''Sonderopelta'')은 비교 형태학, rbcL 및 핵 LSU rRNA 염기 서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리되었다.[4][11][1] 2009년, 이 두 속을 포함하는 바다표고목(Peyssonneliales)이 신설되었다.[11][1]
바다표고과(Peyssonneliaceae)의 해조류는 붉은색을 띠며, 각피형이다.[18] 몸체는 비석회화, 전체 석회화, 또는 부분 석회화될 수 있으며, 탄산 칼슘(CaCO3)은 아라고나이트(aragonite) 형태로 존재한다.[18] 몸체 하부 표면은 기질에 부분 또는 완전히 부착하며, 단세포 또는 다세포 근사체(rhizoids)를 통해 부착하기도 한다. 엽록체는 다수의 원반형 또는 리본형이다.[11]
AlgaeBase에 따르면, 현재 인정되는 속은 다음과 같다.[8]
이후 ''인센디아(Incendia)''(Incendia) 속 등이 추가되었으며,[5] 분자 계통 발생학적 연구를 통해 바다표고목은 단일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6]
3. 형태
광합성 색소(피코에리트린, 피코시아닌, 알로피코시아닌)와 엽록소의 조합에 따라 붉은색, 파란색, 갈색, 녹색 등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7]
4. 하위 속
과거 속: ''Gymnosorus'', ''Haematostagon'', ''Lithymenia'', ''Nardoa'', ''Sonderopelta''[2]
WoRMS에서는 ''Agissea'', ''Brasilophycus'', ''Olokunia'', ''Piriora'', ''Rhodowynnea'', ''Squamaria''를 인정하지 않는다.[9] ''Cruoriopsis'', ''Haematostagon'', ''Lithymenia''는 바다표고속( ''Peyssonnelia'')의 동의어로, ''Sonderopelta''는 ''Sonderophycus''의 동의어로 간주한다.[9]
5. 분포
바다표고과는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며,[10] 전 세계 해역에서 발견된다.[11] 브라질,[5][6] 서대서양,[12] 카리브해의 산안드레스 섬,[13] 자메이카,[14] 푸에르토리코,[12][15] 태평양의 캘리포니아 만,[11] 하와이,[16][17] 대서양의 아조레스 제도,[18] 프랑스 브르타뉴,[19] 호주 남부,[4] 뉴질랜드,[20] 인도네시아, 태국, 대한민국, 중국 등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21]
이들은 조간대와 같은 얕은 수심에서 서식하며,[11] 태평양(캘리포니아 인근)에서는 해수면 아래 288m 깊이에서도 발견된다.[11]
바다표고과 구성원은 단단한 기질(기반암)에서 자라거나,[11] 산호 위에서 자란다.[14]
6. 생태
바다표고과는 단단한 기질 위에 두껍고 짙은 붉은색 또는 갈색의 층을 형성하며 성장한다.[23] 일부 지역에서는 물고기가 섭취하지 않아 산호를 덮어버리는 등 산호초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23] 바다표고과는 산호 유충의 정착을 방해하여 산호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23]
7. 이용
8. 계통 분류
진정홍조강(Florideophyceae) 내에서 바다표고과는 분홍치아강(Rhodymeniophycidae)에 속하며, 분홍치목(Rhodymeniales)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7][28][29][30]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 진정홍조강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27][28][29][30]
참조
[1]
논문
A new order of red algae based on the Peyssonneliaceae, with an evaluation of the ordinal classification of the Florideophyceae (Rhodophyta)
2009-10-01
[2]
서적
Rhodophyta. In: Syllabus of Plant Families, 13th ed.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2017
[3]
서적
Les algues floridées encroutantes (à l'éxclusion des Corallinacées)
Laboratoire de Cryptogamie,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968
[4]
웹사이트
Peyssonneliaceae, State Herbarium of South Australia
http://www.flora.sa.[...]
2022-12-20
[5]
논문
Integrative approach reveals underestimated Peyssonneliales diversity in Brazil: registering the first occurrence of Ramicrusta and Incendia, with the description of three new species
2020-04-15
[6]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Peyssonneliales (Rhodophyta): Circumscribing the authentic Peyssonnelia clade and proposing four new genera and seven new species
2021-12
[7]
웹사이트
Phylum Rhodophyta {{!}} SeaNet
https://seanet.stanf[...]
2022-12-16
[8]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 AlgaeBase
https://www.algaebas[...]
2022-12-19
[9]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Peyssonneliaceae Denizot, 1968
https://www.marinesp[...]
2022-12-19
[10]
웹사이트
Peyssonneliales
https://www.gbif.org[...]
2022-12-15
[11]
논문
Peyssonneliales; Peyssonneliaceae, In: Norris, J.N., Marine Algae of the Northern Gulf of California, II: Rhodophyta
2014-11-14
[12]
서적
Mesophotic Coral Ecosystems (2019)
[13]
서적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ep-Sea Corals (2022)
[14]
논문
Ramicrusta textilis sp. nov. (Peyssonneliaceae, Rhodophyta), an anatomically complex Caribbean alga that overgrows corals.
2009
[15]
논문
A new encrusting deep-water coral reef alga, ''Peyssonnelia incomposita'' (Peyssonneliaceae, Rhodophyta), from Puerto Rico, Caribbean Sea
2011
[16]
논문
Biodiversity of Hawaiian Peyssonneliales (Peyssonneliaceae, Rhodophyta): new species in the genera Incendia and Seiria
2021-10-28
[17]
논문
Biodiversity of Hawaiian Peyssonneliales (Rhodophyta). 2. ''Sonderophycus copusii'', a new species from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2020
[18]
논문
The crustose red algal genus Peyssonnelia (Peyssonneliales, Rhodophyta) in the Azores: from five to one species
2015
[19]
서적
Biology of Polar Benthic Algae (2011)
[20]
논문
Agissea teruruhau sp. nov. (Peyssonneliales, Rhodophyta) and epiphyte Piriora waewaeiti gen. & sp. nov. (Gigartinales, Rhodophyta) from Manawatāwhi, New Zealand
2022-09-30
[21]
서적
Coral Reef Marine Plants of Hainan Island (2016)
[22]
서적
Marine Bioactive Compounds: Source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2011)
[23]
뉴스
Algal outbreaks around the world are crowding out corals
https://www.science.[...]
2023-11-06
[24]
웹인용
바다표고과 Peyssonneliaceae Denizot, 1968
https://www.nibr.go.[...]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2014-07-21
[25]
웹인용
Family: Peyssonnelia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4-07-21
[26]
문서
최근 별도의 에텔리아과 (Etheliaceae)로 분류한다.
https://www.algaebas[...]
[27]
문서
Divergence time estimates and the evolution of major lineages in the florideophyte red algae - Nature
https://www.nature.c[...]
[28]
논문
Nuclear small-subunit rDNA sequences from Ballia spp. (Rhodophyta): proposal of the Balliales ord. nov., Balliaceae fam. nov., Ballia nana sp. nov. and Inkyuleea gen. nov. (Ceramiales)
https://www.tandfonl[...]
2000
[29]
논문
Multigene analyses resolve early diverging lineages in the Rhodymeniophycidae (Florideophyceae, Rhodphyta)
2016
[30]
논문
A contaminant DNA barcode sequence reveals a new red algal order, Corynodactylales (Nemaliophycidae, Florideophyceae)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