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박목(Halymeniales)은 홍조류에 속하는 목(order)으로, 다축 엽상체, 비전배자성 암컷 생식 발달, 외부로 향하는 자성기 가지와 간충 보조 세포를 특징으로 한다. 1996년 Saunders와 Kraft에 의해 rRNA 계통 분석을 기반으로 명명되었으며, 지누아리과, 첸기아과, 고대조과, 그라텔루피과, 할리메니아과, 젱이과 등을 포함한다. 도박목은 태즈메이니아, 브라질, 지중해, 마다가스카르, 필리핀, 베트남, 한국 및 일본 등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일부 종은 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정홍조강 -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는 피코빌리단백질 색소를 가진 연골질 해조류로, 동아시아에서 식량으로 이용되며 우무, 샐러드, 푸딩, 잼 등으로 섭취하거나 한천의 원료, 바이오 연료로도 연구되는 수배우체, 암배우체, 포자체의 세 몸체를 가진 해조류이다. - 진정홍조강 - 분홍국수말과
분홍국수말과는 불규칙적이고 원추형 형태를 가지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홍조류의 한 과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박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alymeniales |
명명자 | G.W. Saunders & G.T. Kraft, 1996 |
이명 | Cryptonemiales G.Murray, Introd. Stud. Seaweeds: 206, 238. 1895 (“Cryptonemiaceae”) Cryptonemiineae Farlow Rept. US Fish. Comm. 7: 140. 1881 (“Cryptonemieae”), pro subord. |
모식속 | Halymenia |
모식속 명명자 | C.Agardh, 1817 |
하위 분류 | |
과 | 세우미역과 (Sebdeniaceae) 할로필룸과 (Halophyliaceae) 도박과 (Halymeniaceae) 크리소심피리스과 (Chrysymeniaceae) 미끌도박과 (Grateloupiaceae) 프실로클라디아과 (Psilocladiaceae) 테르메네아과 (Tsengiaceae) 탁실리아과 (Txaxguiriaceae) |
2. 역사
1996년, Saunders와 Kraft는 이전에 ''Cryptonemiales''[5]로 알려졌던 홍조류 목의 일부를 rRNA 계통 분석에 기반하여 새로운 목인 Halymeniales로 명명했다. 개정된 Halymeniales는 원래 ''Halymeniaceae'' 과와 ''Sebdeniaceae'' 과를 포함했으며, 다축 엽상체, 비전배자성 암컷 생식 발달, 외부로 향하는 자성기 가지와 간충 보조 세포를 가지는 분류군으로 특징지어졌다. 이후 2002년 Saunders와 Kraft는 새로운 단일 속 과인 ''Tsengiaceae''를 설립하여 Nemastomatales 목에서 ''Tsengia'' 속을 Halymeniales 목으로 옮겼다. Gavio 등(2005)의 제안에 따라, ''Sebdeniaceae'' 과는 나중에 Halymeniales 목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목인 Sebdeniales(2006년 Withall과 Saunders에 의해)로 승격되었다.[6]
도박목의 하위 분류는 AlgaeBase와 WoRMS 등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다르게 제시된다.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 진정홍조강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20][21][22][23] 이 분류에 따르면, 도박목은 분홍치아강에 속하며, 미끌부채목, 분홍치목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광범위한 분포를 보인다.[11] 태즈메이니아(호주)[12], 브라질,[13] 지중해,[14] 마다가스카르 섬 인근(인도양)[15], 필리핀,[16] 베트남,[17] 한국 해안(동해와 남해) 및 일본 인근에서 발견된다.[18]
''Polyopes affinis''는 김파래목에 속하는 붉은 해조류이다. 이 종은 대한민국 남해안(동해 및 남해)과 일본에서 풍부하게 발견된다.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건강에 좋은 점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품으로 널리 이용된다(Ha et al. 2022).[18]
[1]
논문
Small-subunit rRNA gene sequences from representatives of selected families of the Gigartinales and Rhodymeniales (Rhodophyta). II. Recognition of the Halymeniales ord. nov
1996
한편, Papenfuss(1955)는 ''Grateloupiaceae''를 ''Cryptonemiaceae''와 동의어로 처리했으나, Guiry(1978)는 명명 우선권 원칙에 따라 ''Halymeniaceae''를 복원했다. 그 결과, 한동안 ''Grateloupiaceae''와 ''Cryptonemiaceae''는 ''Halymeniaceae''의 동의어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풍부한 분류군의 rbcL 유전자 염기서열 데이터 분석을 통해, ''Grateloupiaceae'' 과는 2021년에 다시 독립된 과로서 ''Halymeniales'' 목으로 복원되었다.[7]
''Archaeolithophyllaceae'' 과는 1987년 Chuvashov에 의해 생성되어 처음에는 산호말목(Corallinales)에 속했으나,[8] 이후 Halymeniales 목으로 재배치되었다.
3. 하위 분류
AlgaeBase에서는 다음 4개 과를 인정한다.[9]과 종 수 고대조과 4종 그라텔루피과 116종 할리메니아과
(또는 지누아리과, 도박과)227종 젱이과 12종
반면, 세계 해양 생물종 등록소(WoRMS)는 위의 과 중에서 할리메니아과와 젱이과 2개 과만을 인정한다.[10]
이 외에 첸기아과가 있으며, 이 과는 첸기아속(''Tsengia'')을 포함하여 1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4. 계통 분류
1996년, Saunders와 Kraft는 이전에 ''Cryptonemiales''[5]로 알려졌던 홍조류 목에 대해 rRNA 계통 분석을 기반으로 새로운 이름인 도박목(Halymeniales)을 제안했다. 개정된 도박목은 원래 ''Halymeniaceae'' 과와 ''Sebdeniaceae'' 과를 포함했으며, 다축 엽상체, 비전배자성 암컷 생식 발달, 외부로 향하는 자성기 가지와 간충 보조 세포를 가진 분류군으로 특징지어졌다(Saunders와 Kraft, 1996).
이후 2002년 Saunders와 Kraft는 새로운 단일 속 과인 ''Tsengiaceae''를 설립하여 Nemastomatales 목에 속했던 ''Tsengia'' 속을 도박목으로 옮겼다. Gavio 등(2005)의 제안에 따라, ''Sebdeniaceae'' 과는 나중에 도박목에서 분리되어 2006년 Withall과 Saunders에 의해 새로운 목인 Sebdeniales 목으로 승격되었다.[6]
한편, ''Grateloupiaceae'' 과는 Papenfuss(1955)에 의해 ''Cryptonemiaceae''와 동의어로 처리되었으나, Guiry(1978)는 명명 우선 순위 원칙에 따라 ''Halymeniaceae''를 복원했다. 결과적으로, ''Grateloupiaceae''와 ''Cryptonemiaceae''는 이제 ''Halymeniaceae''의 동의어로 간주된다. 그러나 풍부한 분류군의 rbcL 유전자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 ''Grateloupiaceae'' 과는 2021년에 다시 도박목으로 복원되었다.[7]
''Archaeolithophyllaceae'' 과는 1987년 Chuvashov에 의해 생성되어 산호말목(Corallinales) 안에 배치되었지만,[8] 이후 도박목 내로 재배치되었다.
5. 분포
6. 이용
참조
[2]
간행물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2017
[3]
서적
Sixteenth 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 Proceedings of the Sixteenth ... (2012)
[4]
웹사이트
Phylum Rhodophyta {{!}} SeaNet
https://seanet.stanf[...]
2022-12-16
[5]
서적
Progress in Botany: Genetics Cell Biology and Physiology Systematics and ... (2012)
[6]
서적
Origins of Algae and their Plastids (2012)
[7]
논문
Resurrection of the Family Grateloupiaceae Emend. (Halymeniales, Rhodophyta) Based on a Multigene Phylogeny and Comparative Reproductive Morphology
2021-12-08
[8]
웹사이트
IRMNG - Archaeolithophyllaceae Chuvashov, 1987 †
https://www.irmng.or[...]
2022-12-17
[9]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 AlgaeBase
https://www.algaebas[...]
2022-12-15
[10]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Halymeniales
https://www.marinesp[...]
2022-12-15
[11]
웹사이트
Halymeniales
https://www.gbif.org[...]
2022-12-15
[12]
논문
Collections of the invasive species Grateloupia turuturu (Halymeniales, Rhodophyta) from Tasmania, Australia
2006-01-23
[13]
논문
Diversity of branched Halymenia (Halymeniales, Rhodophyta) species on the Brazilian coast: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reveal three new species
2016-05
[14]
논문
The Mediterranean Endemic New genus Felicinia (Halymeniales, Rhodophyta) Recognized by a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Integrative Approach,"
2014-08-01
[15]
논문
Highly sulphated galactan from Halymenia durvillei (Halymeniales, Rhodophyta), a red seaweed of Madagascar marine coasts
2009-08-01
[16]
논문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the genus Halymenia C.Agardh (Halymeniales, Rhodophyta) in the Philippines
2001-11
[17]
서적
Taxonomy of Economic Seaweeds: With Reference to Some Pacific and Caribbean Species, Volume 7 (1985)
[18]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rine red alga Polyopes affinis (Rhodophyta: Halymeniales)
2022
[19]
웹인용
Order: Halymeniales
https://www.algaebas[...]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20-07-27
[20]
뉴스
Divergence time estimates and the evolution of major lineages in the florideophyte red algae - Nature
https://www.nature.c[...]
[21]
논문
Nuclear small-subunit rDNA sequences from Ballia spp. (Rhodophyta): proposal of the Balliales ord. nov., Balliaceae fam. nov., Ballia nana sp. nov. and Inkyuleea gen. nov. (Ceramiales)
https://www.tandfonl[...]
2000
[22]
논문
Multigene analyses resolve early diverging lineages in the Rhodymeniophycidae (Florideophyceae, Rhodphyta)
2016
[23]
논문
A contaminant DNA barcode sequence reveals a new red algal order, Corynodactylales (Nemaliophycidae, Florideophyceae)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