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형 초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I형 초신성은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겪는 핵 붕괴로 인해 발생한다. 별의 중심핵에서 핵융합이 멈추고 중력에 의해 수축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다음 단계의 핵융합을 시작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중심핵의 질량이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넘어서면 붕괴가 시작된다. 붕괴는 중성자 축퇴압과 강한핵력에 의해 저지되고, 충격파가 발생하여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II형 초신성은 스펙트럼에서 수소선을 보이며, 광도 곡선의 형태에 따라 II-L형, II-P형, IIn형, IIb형으로 분류된다. 극초신성은 II형 초신성보다 더 밝고 강렬하며, 블랙홀 형성이나 쌍불안정성 초신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I형 초신성 | |
|---|---|
| 현상 | |
| 유형 | 초신성 |
| 질량 | 태양 질량의 8 ~ 45배 |
| 과정 | 무거운 별의 중력 붕괴 |
| 잔해 | 초신성 잔해 |
| 상세 정보 | |
| 별 질량 범위 | 태양 질량의 8 ~ 45 배 |
| 최종 단계 | 별의 핵이 철로 변환된 후 중력 붕괴 |
| 잔해 유형 | 중성자별 블랙홀 (질량에 따라) |
| 스펙트럼 특징 | 수소선 존재 |
| 기타 명칭 | II형 초신성 |
| 추가 정보 | |
| 관련 주제 | Ia형 초신성 Ib형 초신성 Ic형 초신성 |
| 설명 | II형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폭발하는 현상으로, 스펙트럼에 수소선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별의 질량에 따라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남을 수 있다. |
2. 형성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별은 복잡한 진화 과정을 거친다. 별의 중심부에서 수소는 핵융합되어 헬륨으로 변환되며, 별의 중심부를 가열하고 붕괴에 대항하여 별의 층을 지지하는 바깥쪽으로의 압력을 제공하는 열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상황을 별 또는 유체 정역학적 평형이라고 한다. 중심부에서 생성된 헬륨은 그곳에 축적되는데, 이는 중심부의 온도가 아직 헬륨 핵융합을 일으킬 만큼 높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중심부의 수소가 고갈되면 핵융합이 느려지기 시작하고, 중력은 중심부를 수축시킨다. 이 수축은 온도를 헬륨 핵융합의 짧은 단계를 허용할 만큼 높여 탄소와 산소를 생성하며, 이는 별의 총 수명의 10% 미만을 차지한다. 8 태양질량 미만의 별에서는 헬륨 핵융합으로 생성된 탄소가 융합되지 않고 별은 점차 냉각되어 백색 왜성이 된다.[50][51] 백색 왜성이 근처에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면 Ia형 초신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질량이 큰 별에서는 핵에서 탄소가 더 융합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에 도달한다. 이러한 대질량 항성의 핵은 더 무거운 원소가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양파와 같은 층상 구조가 된다. 이러한 대질량 항성의 진화에서는 핵에서의 융합이 멈추고 안쪽으로 붕괴하여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여 융합을 다시 시작할 수 있을 때까지 다음 단계의 융합이 시작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다.[50][51]
이 과정을 제한하는 요소는 융합을 통해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이며, 이는 이러한 원자핵을 함께 묶는 결합 에너지에 달려 있다. 각 추가 단계는 점차 더 무거운 원자핵을 생성하며, 융합 시 점차 더 적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또한 탄소 연소 과정부터는 중성미자 생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커져서 그렇지 않으면 일어날 반응보다 더 높은 반응 속도를 보인다.[7] 이는 니켈-56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되며, 몇 달에 걸쳐 코발트-56과 철-56로 방사성 붕괴한다. 철과 니켈은 모든 원소 중에서 핵자당 가장 높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8] 핵융합으로는 핵에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으며, 니켈-철 핵이 커진다.[5][9]
2. 1. 항성 핵합성 단계 (25 태양질량 별 기준)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별은 좀 더 복잡한 방식으로 진화한다. 별의 중심핵에서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되면 열에너지가 방출되어 별의 중심핵을 가열하며 외향 압력을 가하여 별의 껍질을 붕괴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정유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게 만든다. 이때 중심핵에서 만들어진 헬륨은 중심핵의 온도가 헬륨을 융합할 수 있을 만큼 뜨겁지 않기 때문에 축적되기만 한다. 이후에 중심핵에서 수소가 고갈됨으로써 핵융합이 더뎌지고 중력에 의해 중심핵이 수축하게 된다. 이 수축으로 온도가 증가하여 헬륨 핵융합이 개시된다. 이 단계의 지속 시간은 별의 수명의 10% 미만으로 수소를 융합할 때보다 짧다.이러한 무거운 별의 중심핵은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더 무거운 원자핵들로 이루어지는 양파와 같은 층상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최외곽층에는 수소 기체로 채워져 있고, 최외곽층에 둘러싸인 층은 수소를 헬륨으로 융합하고 있으며 그 아래층에는 삼중알파과정을 통한 헬륨에서 탄소로의 융합, 그 아래에는 더 무거운 원소들이 차례차례 융합되는 구조이다. 무거운 별은 진화함으로써 중심핵에서의 핵융합이 멈춰서 중심핵이 수축하여 중심핵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높여 붕괴를 저지할 수 있도록 다음 단계의 핵융합을 개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4][5]
:
| 과정 | 주요 연료 | 주요 산물 | 별 | ||
|---|---|---|---|---|---|
| 온도 (켈빈) | 밀도 (g/cm3) | 기간 | |||
| 수소 연소 | 수소 | 헬륨 | style="text-align:center;"| | 10 | style="text-align:center;"| |
| 삼중알파과정 | 헬륨 | 탄소, 산소 | style="text-align:center;"| | 2000 | style="text-align:center;"| |
| 탄소 연소 | 탄소 | Ne, Na, Mg, Al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1000 년 |
| 네온 연소 | 네온 | O, Mg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3 년 |
| 산소 연소 | 산소 | Si, S, Ar, Ca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0.3 년 |
| 규소 연소 | 규소 | 니켈 (철로 붕괴)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5 일 |
II형 초신성은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중심핵 붕괴 현상으로 인해 일어난다. 무거운 별은 핵에서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점차 무거운 원소들이 만들어진다. 핵융합 반응은 니켈-56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되는데, 니켈-56은 코발트-56을 거쳐 최종적으로 철-56으로 붕괴한다. 철과 니켈은 모든 원소 중에서 핵자당 속박에너지가 가장 높기 때문에, 중심핵에서 이들의 핵융합을 통해 더 이상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니켈-철 중심핵은 계속 성장하게 된다.
3. 중심핵 붕괴
중심핵은 엄청난 중력에 의한 압력을 받고 있지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온도를 높일 수 없다. 이 때문에 중심핵은 오로지 전자의 축퇴압으로만 중력을 견디며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물질은 매우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되어, 더 압축되기 위해서는 전자들이 동일한 에너지 준위를 차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파울리의 배타 원리에 따라 페르미온 입자인 전자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과정 연료 생성물 25 온도
(K)밀도
(g/cm3)기간 수소 연소 과정 수소 헬륨 7×107 10 107 년 트리플 알파 반응 헬륨 탄소, 산소 2×108 2000 106 년 탄소 연소 과정 탄소 네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8×108 106 103 년 네온 연소 과정 네온 산소, 마그네슘 1.6×109 107 3 년 산소 연소 과정 산소 규소, 황, 아르곤, 칼슘 1.8×109 107 0.3 년 규소 연소 과정 규소 니켈 (철로 붕괴) 2.5×109 108 5 일
중심핵의 질량이 찬드라세카르 한계(약 1.4 )를 넘어서면, 전자 축퇴압이 더 이상 중력을 지탱하지 못하고 급격한 붕괴가 시작된다. 중심핵의 바깥 부분은 별의 중심으로 빠르게 붕괴하며, 그 속도는 최대 (광속의 약 23%)에 달한다.
붕괴하는 중심핵은 매우 뜨거워져 고에너지 감마선을 방출하고, 이 감마선은 광붕괴를 일으켜 철 원자핵을 헬륨과 자유 중성자로 분해한다. 또한, 별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역베타 붕괴가 일어나 전자와 양성자가 결합하여 중성자와 중성미자를 생성한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의 에너지를 가지고 외부로 빠져나가 붕괴를 더욱 가속화시킨다. 이 모든 과정은 밀리초 단위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난다. 중심핵이 별의 외피층과 분리되면서, 일부 중성미자가 별의 외피층에 흡수되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된다.
3. 1. 중심핵 붕괴 이후
니켈-56이 만들어진 후, 이 물질은 코발트-56을 거쳐 최종적으로 철-56이 된다. 철과 니켈은 모든 원소 중에서 핵자당 속박에너지가 가장 높아, 중심핵에서 이들의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니켈-철 중심핵은 계속 성장한다.
중심핵은 엄청난 중력 압력을 받고 있지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온도를 높일 수 없다. 따라서 중심핵은 오로지 전자의 축퇴압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물질의 밀도가 매우 높아 전자가 동일한 에너지 준위를 차지할 수 없는데, 이는 파울리의 배타 원리에 따른 것이다.
중심핵의 질량이 찬드라세카르 한계(약 1.4 )를 넘어서면, 축퇴압은 더 이상 중심핵을 지지하지 못하고 파국적인 붕괴가 시작된다. 중심핵의 바깥 부분은 별의 중심으로 빠르게 붕괴하며, 그 속도는 최대 70000km/s (광속의 23%)에 이른다.
급격하게 붕괴하는 중심핵은 가열되어 고에너지 감마선을 방출하고, 이 감마선은 광붕괴를 통해 철 원자핵을 헬륨과 자유 중성자로 분해한다. 밀도가 증가하면서 역베타 붕괴를 통해 전자와 양성자가 결합하여 중성자와 중성미자를 형성한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심핵에서 탈출하여 에너지를 외부로 운반하며 붕괴를 더욱 가속화시킨다. 이 과정은 밀리초 단위로 일어난다. 중심핵이 별의 외피층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일부 중성미자는 별의 외피층에 흡수되어 초신성 폭발을 시작하게 된다.
II형 초신성에서 붕괴는 결국 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강한 핵력과 중성자 축퇴압에 의해 멈추게 된다. 이때 밀도는 원자핵의 밀도와 거의 같다. 붕괴가 멈추면 낙하하던 물질들이 반발하여 충격파를 형성하고 외부로 전파한다. 이 충격파의 에너지는 중심핵의 중원소를 분리시키는데, 이는 충격파의 에너지를 감소시켜 중심핵 바깥쪽에서 폭발을 멎게 할 수도 있다.
중심핵 붕괴 단계는 매우 밀도가 높고 격렬하여 중성미자만이 탈출할 수 있다. 전자 포획으로 양성자와 전자가 결합하여 중성자가 형성될 때, 전자 중성미자도 생성된다. II형 초신성에서 새로 형성된 중성자 중심핵의 초기 온도는 약 1,000억 켈빈으로, 태양 중심핵 온도의 104 배에 달한다. 안정적인 중성자별을 형성하려면 이 엄청난 열에너지를 방출해야 하며, 이는 더 많은 중성미자의 방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열적" 중성미자들은 모든 종류의 맛깔의 중성미자-반중성미자 쌍을 형성하며, 전자 포획에 의해 생성된 중성미자 수보다 훨씬 많다. 붕괴로 인한 중력 위치 에너지는 약 1046 줄(100 포에)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10초간의 중성미자 폭발로 변환된다.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과정을 통해, 총 방출 에너지의 약 1% (1044 줄, 1 포에)가 멎었던 충격파에 다시 흡수되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초신성 1987A에서 관측된 중성미자는 천체물리학자들에게 중심핵 붕괴 이론이 근본적으로 옳다는 결론을 내리게 하였다. 물 기반의 가미오칸데 II 및 IMB 기구는 열적 기원을 갖는 반중성미자를, 갈륨-71 기반의 박산 기구는 열 또는 전자 포획 기원의 중성미자(렙톤 수 = 1)를 감지하였다.
원형별의 질량이 약 20 미만일 때, 폭발의 세기와 중심으로 낙하하는 물질의 양에 따라 축퇴된 중심핵의 잔해는 중성자별이 된다. 20 이상인 경우 잔해는 붕괴하여 블랙홀이 된다. 이 유형의 중심핵 붕괴 시나리오에 대한 이론적인 상한 질량은 약 40~50 이다. 초신성 붕괴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한 한계는 불확실하지만, 상한 질량을 초과하는 별은 초신성 폭발 없이 블랙홀로 곧바로 붕괴할 것으로 추정된다.
4. 이론 모형
II형 초신성의 이론 모형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과 유체역학을 기반으로 한다. 표준모형은 기본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초신성 내부의 고에너지, 고밀도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유체역학은 별의 붕괴와 폭발 과정을 설명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충격파 발생 이후 초신성의 진화와 광도 곡선, 원소 생성 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26][27][28]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별은 복잡한 진화 과정을 거친다. 태양핵에서는 수소가 헬륨으로 핵융합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열에너지는 핵을 따뜻하게 함과 동시에 바깥쪽으로의 압력을 생성하여 정역학 평형을 유지한다. 핵에서 생성된 헬륨은 핵의 온도가 아직 헬륨의 핵융합을 일으킬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헬륨은 거기에 축적된다. 최종적으로 핵의 수소가 고갈되면 융합이 느려지기 시작하고, 중력에 의해 핵은 축퇴한다. 축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고, 별의 일생의 10% 미만을 차지하는 짧은 헬륨 융합 기간이 시작된다. 8 태양질량 미만의 별에서는 헬륨의 융합으로 생성된 탄소가 더 이상 융합하지 않고, 별은 점차[50][51] 차가워져 백색 왜성이 된다. 백색 왜성이 근처에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면 Ia형 초신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질량이 큰 별에서는 핵에서 탄소가 더 융합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에 도달한다. 이러한 대질량 항성의 핵은 더 무거운 원소가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양파와 같은 층상 구조가 된다. 이러한 대질량 항성의 진화에서는 핵에서의 융합이 멈추고 안쪽으로 붕괴하여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여 융합을 다시 시작할 수 있을 때까지 다음 단계의 융합이 시작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다.[50][51]
:
| 과정 | 연료 | 생성물 | 25 M☉[52] | ||
|---|---|---|---|---|---|
| 온도 (K) | 밀도 (g/cm3) | 기간 | |||
| 수소 연소 과정 | 수소 | 헬륨 | 7×107 | 10 | 107 년 |
| 트리플 알파 반응 | 헬륨 | 탄소, 산소 | 2×108 | 2000 | 106 년 |
| 탄소 연소 과정 | 탄소 | 네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 8×108 | 106 | 103 년 |
| 네온 연소 과정 | 네온 | 산소, 마그네슘 | 1.6×109 | 107 | 3 년 |
| 산소 연소 과정 | 산소 | 규소, 황, 아르곤, 칼슘 | 1.8×109 | 107 | 0.3 년 |
| 규소 연소 과정 | 규소 | 니켈 (철로 붕괴) | 2.5×109 | 108 | 5 일 |
이 과정을 제한하는 요인은 원자핵을 유지하는 결합 에너지에 의존하는 융합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이다. 각각의 단계에서는 서서히 무거운 원자핵이 만들어지고, 융합 시의 에너지는 서서히 작아진다. 또한 탄소 연소 과정부터는 중성미자의 생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상당히 커져, 반응 속도는 그전보다 빨라진다.[53] 이 과정은 니켈-56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되며, 니켈-56은 수개월 내에 코발트-56, 이어서 철-56으로 방사성 붕괴한다. 철과 니켈은 모든 원소 중에서 원자핵당 결합 에너지가 가장 높기 때문에[54] 핵융합에 의해 원자핵에서 에너지가 생산되지 않고, 니켈-철 핵이 커진다.[51][55] 이 핵은 거대한 중력 압력에 노출되고, 온도를 상승시키는 융합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자 축퇴압만으로 지탱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물질의 밀도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이 이상의 압축에는 전자가 같은 에너지 준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파울리의 배타 원리에 의해 전자와 같은 페르미 입자에게는 금지되어 있다.
핵의 질량이 약 1.4 태양질량(
|''M''☉
|''M''☉
}})의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초과하면, 축퇴압만으로는 지탱할 수 없게 되어 격렬한 붕괴가 생긴다.[56] 핵의 바깥 부분은 광속의 23%로 중심을 향해 떨어진다.[57] 급속히 축소되는 핵은 가열되고, 고에너지의 감마선을 방출하여 광붕괴에 의해 철 원자핵을 헬륨 원자핵과 자유 중성자로 분해한다. 핵의 밀도가 상승하면, 역베타 붕괴에 의해 전자와 양성자가 융합하여 중성자와 중성미자가 생기기 쉬운 에너지 환경이 된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는 거의 상호 작용하지 않으므로, 에너지를 가지고 핵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수 밀리초 사이에 붕괴는 더욱 가속된다. 핵은 항성의 외층에서 벗어나고, 중성미자의 일부는 항성의 외층에 흡수되어 초신성 폭발이 시작된다.[58]
II형 초신성에서는 원자핵 정도의 밀도에 도달한 곳에서 중성자 축퇴압 및 근거리에서 반발하는 중성자-중성자 상호 작용에 의해 붕괴가 멈춘다. 붕괴가 멈추면, 떨어지던 물질이 바운드되어, 바깥쪽으로의 충격파를 형성한다. 이 충격파의 에너지에 의해, 무거운 원소는 핵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충격파의 에너지는 감소하고, 외핵에서의 폭발은 실속한다.[59]
핵 붕괴 단계는 밀도와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중성미자만이 도망갈 수 있다. 양자와 전자가 전자 포획에 의해 중성자를 형성하면, 전자 중성미자가 생성된다. 전형적인 II형 초신성에서는 새로 형성된 중성자 핵의 초기 온도는 약 1000억 K로, 태양 핵의 1만 배나 높다. 이 열에너지의 대부분은, 더 많은 중성미자를 방출함으로써 안정한 중성자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60] 이러한 열 중성자는 모든 맛깔의 중성미자-반중성미자 쌍으로 생겨, 합계에서는 전자 포획 중성미자의 수의 몇 배나 많다.[61] 두 중성미자 생성 기구는 붕괴에 의한 중력 위치 에너지를 10초간의 중성미자 버스트로 변환하여 약 1046J (100 포에)의 에너지를 방출한다.[62]
상세한 과정은 불분명하지만, 약 1044J (1 포에)의 에너지가 실속한 충격파에 재흡수되어 폭발이 일어난다.[59] 초신성에 의해 생성된 중성미자는 SN 1987A에서 실제로 관측되어, 핵 붕괴 모델이 기본적으로 옳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가미오칸데와 IMB는 열 기원의 반중성미자를 검출했고,[60] 벅산 중성미자 관측소의 갈륨-71 검출기는 열 및 전자 포획 기원의 중성미자를 검출했다.
기원이 되는 항성의 질량이 약 20 태양질량 이하의 경우, 폭발의 강도와 방출된 물질의 양에 따라, 핵의 축퇴 물질의 잔해가 중성자별이 된다.[57] 이 질량을 초과하면, 잔해는 붕괴하여 블랙홀을 형성한다.[51][63] 이러한 붕괴의 이론적인 경계 질량은 태양질량의 40배에서 50배이며, 이 질량을 초과하면, 초신성을 거치지 않고 직접 블랙홀로 붕괴한다고 생각되고 있다.[64] 다만, 초신성 붕괴 모델의 불확실성 때문에, 이 경계의 계산도 불확실하다.
약한 상호작용과 관련된 중성미자 물리학은 이 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며[66], 죽어가는 별을 구성하는 플라스마의 유체역학또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핵의 붕괴시 그 거동이 언제, 또는 어떻게 충격파가 발생, 정지, 재개되는지를 결정한다.[69]
실제로, 몇몇 이론 모델은 정체된 충격파에 유체역학적 불안정성을 도입한 모델로, "Standing Accretion Shock Instability"(SASI)로 알려져 있다. 이 불안정성은 비구형 섭동으로 나타난다.
5. 초신성 II형의 분류
II형 초신성은 스펙트럼에 발머 계열의 흡수선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I형 초신성과 구별되는 중요한 차이점이다. Ia형 초신성에 비해 II형 초신성은 광도 곡선의 감소율이 더 낮다.
5. 1. II-L형 및 II-P형 초신성
II형 초신성은 광도 곡선의 형태에 따라 II-L형과 II-P형으로 나뉜다. II-L형 초신성은 최대 밝기 이후 광도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II-P형 초신성은 광도 감소 과정에서 평탄한 구간(플래토)을 보이는데, 이 구간에서는 광도 감소율이 느려진다. II-P형의 평균 광도 감소율은 하루에 0.0075 등급이며, II-L형은 하루에 0.012 등급으로 II-P형보다 감소율이 높다.[29]이러한 광도 곡선 형태의 차이는 원형별의 수소 외피층 상태와 관련이 있다. II-L형 초신성은 원형별의 수소 외피층 대부분이 폭발 전에 이미 방출되었기 때문에 광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9] 반면 II-P형 초신성의 평탄한 구간은 외피층의 불투명도 변화 때문에 발생한다. 초신성 폭발 시 발생하는 충격파는 외피층의 수소를 이온화시켜 불투명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이는 내부에서 방출되는 광자의 탈출을 막는다. 이후 수소가 다시 결합할 수 있을 정도로 냉각되면 외피층이 투명해지면서 광도가 다시 감소하게 된다.[30]
5. 2. IIn형 초신성
IIn형 초신성은 스펙트럼에서 좁거나 중간 폭의 수소 방출선을 보인다. "n"은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 폭의 방출선은 폭발로 방출된 물질이 별 주위 물질과 강하게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관측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별 주위 물질의 밀도는 표준 항성 진화 이론에서 예측되는 것보다 훨씬 높다. 이는 IIn형 초신성의 원형별이 큰 질량 손실률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가정한다. 추정되는 질량 손실률은 보통 연간 0.001solar mass보다 크다. 이러한 특징은 발광청색변광성과 같이 폭발 전에 큰 질량 손실을 겪는 별에서 IIn형 초신성이 기원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IIn형 초신성의 예로는 SN 1998S, SN 2005gl, 그리고 극단적으로 강렬한 초신성인 SN 2006gy가 있다.일부 IIn형 초신성은 주변성 매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주변성 먼지의 온도가 상승하여 중적외선에서 밝게 빛나는 것이 관찰된다. 주변성 매질이 초신성에서 더 멀리까지 확장되면, 중적외선 밝아짐은 적외선 에코를 유발하여 1000일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초신성은 SN 2010jl의 이름을 딴 희귀한 2010jl형 초신성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2010jl형 초신성은 퇴역한 스피처 우주 망원경과 광역 적외선 탐사기 (예: SN 2014ab, SN 2017hcc)에 의해 발견되었다.[36][37][38][39]
5. 3. IIb형 초신성
IIb형 초신성은 초기 스펙트럼에서 약한 수소선을 보이기 때문에 II형 초신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소 방출은 사라지고, 광도 곡선에서는 두 번째 최대점이 나타나는데, 이때의 스펙트럼은 Ib형 초신성과 매우 유사하다. 이는 원형별이 쌍성계에서 짝별과의 상호작용으로 대부분 헬륨으로 이루어진 중심핵만 남기고 수소 외피층을 거의 잃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IIb형 초신성의 방출물이 팽창하면서 수소층은 빠르게 투명해지고, 더 깊은 곳의 층이 드러나게 된다.IIb형 초신성의 대표적인 예로는 SN 1993J가 있으며, 카시오페이아자리 A도 IIb형 초신성으로 추정된다. IIb형 초신성의 개념은 1987년에 엔스맨 및 우슬리에 의해 처음 (이론적으로) 소개되었다.[44]
6. 극초신성 (붕괴성)
극초신성은 일반적인 초신성보다 훨씬 더 밝고 강렬한 희귀한 유형의 초신성이다. 초신성 1997ef(Ic형)와 초신성 1997cy(IIn형)이 그 예시이다. 극초신성은 한 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중성자별이 된 중심핵에 물질이 낙하하여 블랙홀이 형성되는 동안 발생하는 상대론적 제트가 초신성의 원인이 되는 붕괴성(''collapsar'') 모형과 별 주위 물질(''circumstellar material'')로 이루어진 고밀도 껍질과의 상호작용이 원인인 CSM 모형, 매우 무거운 별이 일으키는 쌍불안정성 초신성, 그리고 이론적이지만 쌍성이나 쿼크별 모형이 있다.
초기 질량이 태양의 25 배에서 90 배 사이인 별들은 일부 물질이 중성자별로 된 중심핵으로 되떨어지면서 블랙홀을 형성하여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중심핵을 발달시킨다. 많은 경우에서 이것은 초신성의 광도를 감소시키며, 90 ''M''☉ 이상인 경우 별은 초신성 폭발 없이 블랙홀로 곧장 붕괴한다. 하지만 원형별이 충분히 빠르게 회전한다면 낙하하는 물질들이 상대론적 제트를 일으켜 원래 폭발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83] 빔이 조준하는 방향에서 보면 훨씬 더 밝은 천체처럼 보이기도 한다. 모든 초신성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 경우에서 이것은 감마선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84]
II형 초신성이 발광청색변광성에 의해 방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밀도 물질로 이루어진 구름에 별이 둘러싸여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물질은 폭발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며 일반적인 초신성보다 더욱 밝아지게 된다. 가장 밝은 것은 극초신성이 될 만큼 IIn형 초신성에 대해 광도 범위는 다양할 것으로 추정된다.
쌍불안정성 초신성은 극단적으로 무거운 별의 산소로 이루어진 중심핵에서 감마선이 자발적으로 전자-양전자 쌍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 뜨거울 때 발생한다.[85] 이 쌍생성은 중심핵을 붕괴하도록 만드는데, 철의 중심핵의 붕괴가 더 무거운 원소로의 흡열 핵융합을 야기하는 데 비해 산소 중심핵의 붕괴는 폭주적 발열 핵융합을 일으켜 별을 완전히 날려버린다. 방출되는 총 에너지는 초기 질량에 따라 달라지며, 중심핵의 대부분이 56Ni로 변환되어 방출되어 수 개월 동안 초신성의 동력원이 된다. 쌍불안정성 초신성을 일으키기 위한 하한질량은 140 ''M''☉으로 초신성의 수명은 일반적인 초신성에 비해 길다. 상한질량은 250 ''M''☉으로 이 초신성은 극도로 밝고 수명이 매우 긴 극초신성이다. 더욱 무거운 별은 광붕괴에 의해 끝을 맞이한다. 매우 낮은 중원소함량을 가진 항성종족 III형 별들만이 이 단계에 이르게 된다. 더 무거운 원소를 가진 별은 더욱 불투명해지면서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외피층을 방출하여 일반적인 Ib/c형 초신성 폭발을 맞이한다. 은하에도 오래된 낮은 중원소함량 별들이 병합하여 쌍불안정성 초신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무거운 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논문
Stellar nucleosynthesis and γ-ray line astronomy
https://adsabs.harva[...]
1996
[2]
논문
The Short Spectacular Life of a Superstar
2004
[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upernova Remnants
http://heasarc.gsfc.[...]
NASA Goddard/SAO
2007-05-01
[4]
웹사이트
Late stages of evolution for low-mass stars
http://spiff.rit.edu[...]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2006-08-04
[5]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Stars
http://map.gsfc.nasa[...]
NASA 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WMAP) Mission
2006-09-01
[6]
논문
The Physics of Core-Collapse Supernovae
2005-12
[7]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8]
논문
The atomic nuclide with the highest mean binding energy
1995
[9]
웹사이트
Evolution of Massive Stars
http://nu.phys.laure[...]
Laurentian University
2007-08-13
[10]
논문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handrasekhar theory of stellar collapse
http://nrs.harvard.e[...]
2020-03-18
[11]
웹사이트
Gravitational Waves from Gravitational Collapse
http://relativity.li[...]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2006-12-14
[12]
논문
Principle of Universality of Gamma-Process Nucleosynthesis in Core-Collapse Supernova Explosions
2006
[13]
웹사이트
Gravitational Waves from Gravitational Collapse, section 3.1
http://relativity.li[...]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6-12-09
[14]
서적
Shadow of a star: The neutrino story of Supernova 1987A
http://www.whfreeman[...]
W. H. Freeman
2007-11-19
[15]
서적
Stardust: Supernovae and Life – The Cosmic Connection
http://yalepress.yal[...]
Yale University Press
2007-11-19
[16]
웹사이트
APS Neutrino Study: Report of the Neutrino Astrophysics and Cosmology Working Group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006-12-12
[17]
논문
Black Hole Formation from Stellar Collapse
https://zenodo.org/r[...]
2019-11-29
[18]
논문
Mass Limits For Black Hole Formation
1999
[19]
논문
Formation rates of core-collapse supernovae and gamma-ray bursts
2004
[20]
간행물
Core-collapse supernova simulations: Variations of the input physics
2002-02-11
[21]
논문
Tests of the Standard Model and Constraints on New Physics from Measurements of Fermion-pair Production at 189 GeV at LEP
http://publish.edpsc[...]
2007-03-18
[2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4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7-05-30
[23]
논문
Life In A Bubble
2006
[24]
논문
Theory of Core-Collapse Supernovae
[25]
웹사이트
3D Simulations of Standing Accretion Shock Instability in Core-Collapse Supernovae
http://www.mpa-garch[...]
14th Workshop on Nuclear Astrophysics
2008-03-10
[26]
논문
Theoretical light curves for deflagration models of type Ia supernova
2006
[27]
논문
A Parameter Study of Type II Supernova Light Curves Using 6 M He Cores
2004
[28]
논문
Nucleosynthesis in Massive Stars With Improved Nuclear and Stellar Physics
2002
[29]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Supernova Light Curves
1985
[30]
웹사이트
Type II Supernova Light Curves
http://cosmos.swin.e[...]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03-17
[31]
논문
Optical Spectra of Supernovae
[32]
논문
The type IIn supernova 1995G: interaction with the circumstellar medium
2002
[33]
논문
Presupernova Evolution of Massive Single and Binary Stars
2012-09-22
[34]
논문
Caltech Core-Collapse Project (CCCP) observations of type IIn supernovae: typical properties and implications for their progenitor stars
[35]
논문
Spectral Evolution of the Extraordinary Type IIn Supernova 2006gy
[36]
논문
Disentangling Dust Components in SN 2010jl: The First 1400 Days
2020-05-01
[37]
논문
The Carnegie Supernova Project II. Observations of SN 2014ab possibly revealing a 2010jl-like SN IIn with pre-existing dust
https://ui.adsabs.ha[...]
2020-09-01
[38]
논문
Mid-Infrared Detections of SNe II with NEOWISE
2020-12-01
[39]
논문
A long life of excess: The interacting transient SN 2017hcc
https://ui.adsabs.ha[...]
2023-01-01
[40]
논문
Nonthermal ionization and excitation in Type IIb supernova 1993J
1996
[41]
논문
A type IIb model for supernova 1993J
[42]
논문
Type IIb Supernovae with Compact and Extended Progenitors
[43]
논문
The Cassiopeia A supernova was of type IIb
[44]
논문
Supernova 1987A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 the explosion of an approximately 20 solar mass star which has experienced mass loss?
[45]
논문
Supernova 1987K - Type II in youth, type Ib in old age
[46]
논문
The ''Type IIb'' Supernova 1993J in M81: A Close Relative of Type Ib Supernovae
[47]
논문
The Short Spectacular Life of a Superstar
[48]
웹사이트
Solving the Mystery of the Most Violent Event in the Universe: A Core-Collapse Supernovas Explosion
http://www.dailygala[...]
2011-03-07
[4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upernova Remnants
https://heasarc.gsfc[...]
NASA Goddard/SAO
2006-09-07
[50]
웹사이트
Late stages of evolution for low-mass stars
http://spiff.rit.edu[...]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51]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Stars
https://map.gsfc.nas[...]
NASA Wilkinson Microwave Anisotropy Probe (WMAP) Mission
2006-08-23
[52]
논문
The Physics of Core-Collapse Supernovae
2005-12
[53]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4]
논문
The atomic nuclide with the highest mean binding energy
[55]
웹사이트
Evolution of Massive Stars
http://nu.phys.laure[...]
Laurentian University
[56]
논문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handrasekhar theory of stellar collapse
[57]
웹사이트
Gravitational Waves from Gravitational Collapse
http://relativity.li[...]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2006-01-24
[58]
논문
Principle of Universality of Gamma-Process Nucleosynthesis in Core-Collapse Supernova Explosions
[59]
웹사이트
Gravitational Waves from Gravitational Collapse, section 3.1
http://relativity.li[...]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6-01-24
[60]
서적
Shadow of a star: The neutrino story of Supernova 1987A
http://www.whfreeman[...]
W. H. Freeman
[61]
서적
Stardust: Supernovae and Life - The Cosmic Connection
http://yalepress.yal[...]
Yale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APS Neutrino Study: Report of the Neutrino Astrophysics and Cosmology Working Group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004-10-29
[63]
논문
Black Hole Formation from Stellar Collapse
[64]
논문
Mass Limits For Black Hole Formation
[65]
논문
Formation rates of core-collapse supernovae and gamma-ray bursts
[66]
간행물
Core-collapse supernova simulations: Variations of the input physics
2002-02-11
[67]
논문
Tests of the Standard Model and Constraints on New Physics from Measurements of Fermion-pair Production at 189 GeV at LEP
http://publish.edpsc[...]
[6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4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4-10-05
[69]
논문
Theory of Core-Collapse Supernovae
[70]
논문
Theoretical light curves for deflagration models of type Ia supernova
[71]
논문
A Parameter Study of Type II Supernova Light Curves Using 6 M He Cores
[72]
논문
Nucleosynthesis in Massive Stars With Improved Nuclear and Stellar Physics
[73]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Supernova Light Curves
[74]
웹사이트
Type II Supernova Light Curves
http://cosmos.swin.e[...]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03-17
[75]
논문
OPTICAL SPECTRA OF SUPERNOVAE
[76]
논문
The type IIn supernova 1995G: interaction with the circumstellar medium
[77]
논문
Caltech Core-Collapse Project (CCCP) observations of type IIn supernovae: typical properties and implications for their progenitor stars
[78]
논문
SPECTRAL EVOLUTION OF THE EXTRAORDINARY TYPE IIn SUPERNOVA 2006gy
[79]
논문
Nonthermal ionization and excitation in Type IIb supernova 1993J
[80]
논문
A type IIb model for supernova 1993J
[81]
논문
TYPE IIb SUPERNOVAE WITH COMPACT AND EXTENDED PROGENITORS
[82]
논문
The Cassiopeia A Supernova Was of Type IIb
[83]
논문
Hypernovae, gamma-ray bursts, and first stars
[84]
뉴스
Cosmological Gamma-Ray Bursts and Hypernovae Conclusively Linked
http://www.eso.org/o[...]
European Organis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ESO)
2003-06-18
[85]
논문
PAIR INSTABILITY SUPERNOVAE: LIGHT CURVES, SPECTRA, AND SHOCK BREAKOU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