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케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우케리아는 황록색조강에 속하는 사상체 조류의 한 속으로, 전 세계 담수, 해양, 육상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다핵 세포로 이루어진 실 모양의 조체를 가지며,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무성생식은 집합 유주자 또는 부동 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유성생식은 난세포와 정자에 의한 난생식으로 진행된다. 바우케리아는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파란색 빛에 대한 굴광성과 측지 형성을 보인다. 분류학적으로는 형태적 특징과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여러 절로 구분된다. 한국 연안에서도 발견되며, 갯벌과 염습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우케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문적 분류 | |
| 속명 | A.P. 드 캉돌 |
| 속 | 푸시나시미도로속 (Vaucheria) |
| 타입 종 | = () |
| 이명 | |
| 하위 분류 | |
| 절 | 아크란드라절 (Acrandrae) 안드로포라절 (Androphorae) 코르니쿨라절 (Corniculatae) 헤르키니아절 (Hercynianae) 필로볼로이데스절 (Piloboloideae) 라세모사절 (Racemosae) 투불리게라절 (Tubuligerae) 바우케리아절 (Vaucheria) 워로니아절 (Woroninia) |
2. 특징
바우케리아는 사상체 조류로, 직경 10µm~200µm이며 불규칙하게 분지한다.[8][31][10] 다수의 사상체가 밀집하여 매트를 형성하며,[11] 사상체는 격벽이 없는 다핵체이지만 생식 기관 형성 부위에는 격벽이 생긴다.[31] 사상체 중축부는 큰 액포로 채워져 있고, 표층부에 다수의 핵과 엽록체가 존재한다.[8][31][10][12] 엽록체는 녹색 판상이며 피레노이드가 없고,[8][10] 클로로필 ''a'', ''c'' 등 다양한 광합성 색소를 가진다.[35] 엽록체는 빛의 세기에 따라 위치를 바꾸고, 원형질 유동을 보인다.[31][13]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스로 구성되며,[15] 석회가 침착되기도 한다.[8]
2. 1. 형태 및 세포 구조
조체는 사상체이며, 직경 10–200µm이고 선단 성장하며, 불규칙하게 드문드문 분지한다.[8][31][10] 여러 사상체가 밀집하여 바위나 흙 등의 기질 위에 매트를 형성한다.[11] 사상체 선단부에는 엽록체가 거의 없어 투명모라고도 한다.[17] 사상체는 기본적으로 격벽이 없는 다핵체이지만, 생식 기관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격벽이 형성된다.[31] 사상체의 중축부는 큰 액포로 채워져 있으며, 표층부에 다수의 핵이나 엽록체가 존재한다.[8][31][10][12] 엽록체는 녹색의 판상이며 다수 존재하고, 피레노이드는 없다.[8][10] 광합성 색소로는 클로로필 ''a'', ''c'', 디아지노크산틴, 디아톡산틴, 헤테로크산틴, 바우케리아크산틴, β-카로틴을 가진다.[35] 약한 빛 아래에서는 엽록체가 세포 표면에 모이고, 강한 빛 아래에서는 흩어지는 엽록체 위치 운동을 한다.[31][13] 또한, 현저한 원형질 유동을 보인다.[31] 때때로, 무색의 가근을 내어 기질에 부착한다.[8][14]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스로 구성된다.[15] 세포막 위의 셀룰로스 합성 효소 복합체는 다열 선상이다.[16] 세포벽에 석회가 침착되기도 한다.[8]
2. 2. 광합성 및 생리
후시나시미도로는 파란색의 약한 빛에는 정(+)의, 강한 빛에는 부(-)의 굴광성을 보인다.[17][24] 이 반응은 빛이 닿는 쪽과 닿지 않는 쪽의 성장 속도가 달라 생기는 편향 성장이 아니라, 사상체 선단의 성장 부분이 빛의 방향 또는 그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돌출 굴곡에 의한 것이다.[17][24] 이 반응 시에는 프로톤(수소 이온)과 칼슘 이온이 유입된다.[17][24]또한 후시나시미도로는 파란색 빛에 의해 측지 형성이 유도된다.[13] 이 반응의 파란색 빛 수용체는 오레오크롬(aureochrome)이라고 불리며, N말단 쪽에 전사 인자인 bZIP(basic leucine Zipper)가, C말단 쪽에 LOV (Light-Oxygen-Voltage) 도메인이 존재하며, LOV 도메인에는 색소로서 플라빈류의 FMN (flavin mononucleotide)이 결합하고 있다.[13][25] 오레오크롬은 후시나시미도로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그 후, 황록색 조류 이외의 이형편모조류(규조류, 펠라고조류, 황금색조류, 갈조류, 라피도조류)에서도 발견되었지만, 다른 진핵생물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다.[13] 또한 오레오크롬은 후시나시미도로에서 생식 기관의 형성 억제에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25]
2. 3. 생식
푸시나시미도라는 다핵·다편모로 길이가 200um에 달하는 큰 '''집합 유주자'''[17][37](집합성 유주자[18])를 형성하여 무성생식을 한다.[31][22][11][10][18] 사상체의 선단부가 격벽으로 구획화되어 유주자낭이 되고, 그 내부의 원형질이 집합 유주자가 된다.[31][22][11] 엽록체는 세포 표층에 다수 존재한다. 집합 유주자는 유영하여 착생하고, 편모를 흡수하여 세포벽을 형성한다.[31][22][11][17] 편모를 결여하는 부동 포자(aplanospore)나, 사상체의 일부가 구획화되어 세포벽이 두꺼워져 염주 모양으로 아키네트(akinete)를 형성하여 무성 생식을 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8][31][19][37]푸시나시미도라는 '''난세포'''(egg cell) '''와 정자'''(spermatozoid) '''에 의한 난생식'''을 한다.[31][22][37][19] 정자를 형성하는 조정기와, 난자를 형성하는 생난기가 사상체에서 격벽으로 구획되어 측생하지만, 조정기와 생난기가 동일한 주에 붙는 경우(암수한그루)와, 다른 주에 붙는 경우(암수딴그루)가 있다.[14] 이러한 암수 생식기의 특징은 푸시나시미도라 속에서 중요한 분류 형질로 여겨진다.[10]
조정기(antheridium, ''pl.'' antheridia)가 붙는 방식에는 다양성이 있으며, 사상체의 측면에 직접 생기는 것(sessile), 자루(조정기 자루 antheridial pedicel) 위에 붙는 것, 특별한 세포(지지 세포 supporting cell, 안드로포어 androphore) 위에 붙는 것, 생난기와 공통의 자루(자실지 gametophore, fruiting branch)에 붙는 것 등이 있다.[14][37][35] 또한 조정기의 형태에도 다양성이 있으며, 원통형(곧거나 굽은), 방추형, 난형 등이 있다.[14][35] 조정기 내에서는 다수의 정자가 형성되며, 정자는 측면에서 전후로 뻗는 2개의 편모를 가지며, 후편모가 더 길고, 전편모에는 관상 소모가 부착된다.[31][35][19] 정자는 엽록체와 안점을 결여한다.[18][20] 정자의 전단에는 프로보시스 (proboscis)라고 불리는 설상 돌출 구조가 있으며, 미세관성 편모근의 일부 (root 3)가 발달하여 지지된다.[20][17][31][22]
생난기(oogonium, ''pl.'' oogonia)도 사상체의 측면에 직접 생기는 경우와, 자실지에 붙는 경우가 있다.[14] 직경 30um-400um이며, 종종 개구부가 돌출하여 부리 모양 돌기(beak)가 되어 있다.[14] 생난기 내의 원형질은 처음에는 다핵 세포이지만, 최종적으로 1개의 핵을 가지는 1개의 난세포가 된다.[8][21]
정자는 조정기에서 헤엄쳐 나와 생난기의 개구부에서 침입하여, 난세포와 수정하여 접합자가 형성된다.[11][31][22][19][37] 난세포가 생난기에서 나온 후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35] 접합자는 세포벽이 두꺼워져 내구 세포가 되며, 난포자(oospore)라고도 불린다.[17][31][22][19] 난포자는 휴면 후에 발아하여, 사상체를 형성한다.[22][19] 난포자의 발아 시에 감수 분열을 한다고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배우자(정자와 난) 형성 시에 감수 분열이 일어난다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22]
배지에 당을 첨가하여 삼투압 스트레스를 가하거나, 장일 조건하에 두는 것으로, 유성 생식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3]
3. 생태
담수(호수, 하천, 수로 등)산 종이 많지만, 해양산 종(조간대, 갯벌, 맹그로브, 염습지 등)도 존재한다.[8][22][14][26] 또한, 축축한 육상에 생육하는 것도 있다.[8][22] 서식 환경은 항상 수중(aquatic), 때로는 수면 위로 나오는 환경(semi-aquatic), 항상 수중에 잠기지 않는 환경(terrestrial) 등으로 다양하다.[35] 남극이나 북극권에서도 보고되고 있다.[8][27] 사상체가 밀집하여 녹색 매트를 형성하며, 기질의 안정화에 기여한다.[8][21] 다소 저온을 선호하며, 오스트리아에서의 관찰에서는 겨울부터 봄에는 종종 매트를 형성하지만, 여름에는 그 대부분이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한다.[23]
낭설류 바다달팽이의 일종인 엘리시아 클로로티카(Elysia chlorotica|엘리시아 클로로티카la)는 해양 후시나시미도리의 일종(Vaucheria litorea|바우케리아 리토레아la)을 먹지만, 그 엽록체만을 소화하지 않고 보존하여 자신의 엽록체(엽록체 강탈)로 이용한다.[28][29][30] 엽록체 강탈을 획득한 엘리시아 클로로티카는 이후 먹이를 먹지 않고 광합성 생물로서 일생(약 10개월)을 산다.
4. 분류
바우케리아속(황록색조강 부시미도목 부시미도과)은 사상형 조류이다. 장-피에르 에티엔 바우셰르(Jean-Pierre Étienne Vaucher)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나, 바우셰르 본인은 라는 이름을 제안했다.[31][37]
혹미역속()은 해안의 높은 조수선 부근 진흙 위에 서식하며, 두 갈래로 갈라지는 사상체가 잘록해지는 점에서 바우케리아속과 다르지만, 생식기관의 특징은 유사하여 바우케리아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14][32][33]
바우케리아속은 과거 녹조류로 분류되었으나, 클로로필 ''b''와 전분이 없고, 정자가 부등편모를 갖는다는 점 등에서 황록색조강으로 분류된다.[37][10] 특이한 형질 때문에 독립된 문(사상균식물문 Vaucheriophyta)이나 강(사상균강 Vaucheriophyceae)으로 분류되기도 했고, 체제 및 생식기관의 유사성 때문에 난균과 함께 분류되기도 했다.[37][10][36]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는 황록색조강에 속한다는 것이 강력하게 지지되고 있다.[34]
바우케리아속에는 100여 종이 기재되어 있으며(2023년 기준), 주로 생식기관(정자낭, 난기)의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8][14] 형태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은폐종의 존재도 지적된다.[23] 바우케리아속의 종은 정자낭의 특징에 따라 여러 절로 분류된다.[35]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도 이러한 절 분류가 지지되고 있다.[36]
5. 한국의 부시미도속
바우케리아는 황록색조류에 속하는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한국 연안에서도 바우케리아 속의 여러 종이 발견되며, 특히 ''Vaucheria litorea''가 주목할 만하다.
''Vaucheria litorea''는 한국의 갯벌 및 염습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이다. 이 종은 갯벌이나 염습지의 퇴적물 표면에 매트 형태를 이루며 서식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한다. 갯벌 및 염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이자, 오염 물질 정화, 탄소 흡수 등 중요한 기능을 하는 생태계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갯벌 및 염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Vaucheria litorea''를 비롯한 부시미도속 종들은 갯벌 및 염습지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다른 생물들의 먹이원이 된다. 또한, 이들의 매트 형태 서식은 퇴적물을 안정화시키고, 해안 침식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기후 변화, 해수면 상승, 연안 개발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갯벌 및 염습지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부시미도속 종들의 서식지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계를 보전하고, 부시미도속 종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의 환경 정책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갯벌 및 염습지 생태계 보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참조
[1]
논문
Eustigmatophyte, Raphidophyte, and Tribophyte Algae
2003-01-01
[2]
AlgaeBase genus
[3]
AlgaeBase genus
[4]
서적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Eine Enzyklopädie zu eponymischen Pflanzennamen
https://doi.org/10.3[...]
Botanic Garden and Botanical Museum,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2-01-27
[6]
문서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Vaucheria'' A.P.de Candolle, 1801"
https://www.marinesp[...]
2022-12-01
[8]
웹사이트
Vaucheria
https://www.algaebas[...]
2024-04-13
[9]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Family Vaucheriaceae"
https://www.algaebas[...]
2024-04-13
[10]
Cite Kotobank
2024-04-13
[11]
서적
淡水微生物図鑑 原生生物ビジュアルガイドブック
誠文堂新光社
[12]
논문
Developmental cytology of the genus ''Vaucheria'' I. Organisation of the vegetative filament
[13]
논문
二次共生藻類から発見された青色光受容体オーレオクロムとその機能
[14]
서적
日本淡水藻図鑑
内田老鶴圃
[15]
논문
Studies of the 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ell walls of Vaucheriaceae and Saprolegniaceae
[16]
논문
High resolution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cellulose synthesizing complexes in ''Vaucheria hamata''
[17]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18]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9]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第3巻 単細胞性・鞭毛藻類
内田老鶴圃
[20]
서적
Handbook of the Protists
Springer
[21]
서적
日本淡水生物学
北隆館
[22]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논문
Autecology and morphology of selected Vaucheria species (Xanthophyceae)
[24]
웹사이트
フシナシミドロの光屈性と光形態形成
https://www.ige.toho[...]
東北大学大学院生命科学研究科
2024-04-22
[25]
논문
黄色植物フシナシミドロの光応答戦略 -転写因子として働く青色光受容体オーレオクロム-
[26]
웹사이트
フシナシミドロ目
https://tonysharks.c[...]
2024-04-20
[27]
논문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of ''Vaucheria'' section ''Piloboloideae'' (Xanthophyceae: Vaucheriaceae) indicate alternative species identities for broadly distributed taxa
[28]
논문
FISH labeling reveals a horizontally transferred algal (Vaucheria litorea) nuclear gene on a sea slug (Elysia chlorotica) chromosome
[29]
논문
Genome analysis of Elysia chlorotica egg DNA provides no evidence for horizontal gene transfer into the germ line of this kleptoplastic mollusc
[30]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Calvin cycle enzyme phosphoribulokinase in the stramenopile alga ''Vaucheria litorea'' and the plastid hosting mollusc ''Elysia chlorotica''
[31]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32]
논문
The marine Chlorophyceae from Ryukyu, especially from the vicinity of Nawa
https://hdl.handle.n[...]
[33]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第3巻 単細胞性・鞭毛藻類
内田老鶴圃
[34]
논문
Phylogeny and taxonomy of xanthophyceae (Stramenopiles, Chromalveolata)
[35]
논문
A monograph of ''Vaucheria'' (Vaucheriaceae, Chrysophyta) in south-eastern mainland Australia
[36]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32 strains of ''Vaucheria'' (Xanthophyceae) using the ''rbcL'' gene and its two flanking spacer regions
[37]
서적
淡水藻類: 淡水産藻類属総覧
内田老鶴圃
[38]
웹사이트
Xanthophyceae
https://www.algaebas[...]
2024-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