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하마후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하마후티아는 짧은 꼬리를 가진 쥐를 닮은 설치류의 일종으로, 몸길이는 최대 60cm까지 자란다. 바하마 제도의 고유종으로, 1966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스트 플라나 케이에서 잔존 개체군이 발견되었다. 현재 이스트 플라나 케이가 마지막 자연 서식지이며, 엑수마 케이즈 육해공원에도 도입되었다. 야행성 동물로 식물의 잎, 새싹, 과일 등을 먹으며, 한 쌍의 결속력이 강하고 최대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현재 6곳에서 서식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취약종으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하마의 고유종 동물 - 바하마깔때기귀박쥐
    바하마깔때기귀박쥐는 바하마의 건조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크고 습한 동굴에서 반향정위를 통해 곤충을 잡아먹는 희귀한 박쥐로,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동굴 보호를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후티아과 - 후티아류
    후티아류는 뉴트리아와 유사한 외형을 가진 설치류로, 굴 대신 나무나 바위 틈에 둥지를 지으며 쿠바에서 식용으로 사냥되기도 하지만 멸종 위협에 직면했고, 분자 계통 연구 결과 가시쥐과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후티아과 - 난쟁이후티아속
    난쟁이후티아속은 쿠바에 서식했던 카프로미스과 설치류 속으로, 털이 거칠고 몸길이와 꼬리 길이가 각각 25~60cm, 10~25cm이며 큰귀후티아와 멸종된 난쟁이후티아 등의 종을 포함하고 일부는 멸종 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몰로니흉내박쥐
    몰로니흉내박쥐는 정보가 없는 박쥐의 일종으로, 학술적 기재나 생태 정보가 없어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명칭으로 보인다.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피그미토끼
    피그미토끼는 북미 서부 그레이트 베이슨 지역에 분포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토끼과 동물로, 짧은 귀와 회색 털을 가졌으며, 굴을 파는 북미 유일의 토끼과 동물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컬럼비아 분지 피그미토끼 보존을 위한 교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바하마후티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하마후티아
바하마후티아
학명Geocapromys ingrahami
명명자J. A. Allen, 1891
멸종 위기 등급VU (취약)
멸종 위기 등급 기준IUCN 3.1
멸종 위기 등급 참고IUCN
동의어없음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호저아목
후티아과
자메이카후티아속
바하마후티아 (G. ingrahami)

2. 특징

바하마후티아는 짧은 꼬리를 가진 를 닮은 설치류로, 몸길이는 최대 60cm 정도이다. 털 색깔은 검은색, 갈색, 회색, 흰색 또는 붉은색 등으로 다양하다.[7][2]

3. 분포 및 서식지

바하마후티아는 바하마 제도의 고유종이다.[2][7] 자연 서식지아열대 또는 열대 습윤 저지대 ,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관목지, 그리고 암석 지대이다.[2]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1966년 생물학자 개럿 클로프가 이스트 플라나 케이에서 잔존 개체군을 발견했다.[3] 이스트 플라나 케이는 롱 아일랜드 동쪽, 애클린스 섬과 마야구아나 섬 사이에 위치한 작은 무인도이다.[3] 현재 플라나 케이즈는 바하마후티아의 마지막 남은 자연 서식지이며, 대부분의 개체군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2][7] 1973년에는 종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엑수마 케이즈 육해공원 내 고립된 지역에 일부 개체를 이주시켰다.[3][4][8]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이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에도 서식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4]

4. 습성

바하마후티아는 야행성 동물의 일종으로, 낮 시간 동안에는 땅 아래에서 지낸다.[7][2] 나무에 오를 수 있지만 주로 땅 위 또는 땅에 가까운 곳에서 먹이를 구하며, 식물의 잎과 새싹, 과일, 견과류 그리고 나무껍질을 먹는다. 가끔 곤충이나 작은 도마뱀을 먹기도 한다.[7][2] 해초를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5][1]

다 자란 바하마후티아는 한 쌍의 결속력이 오랫동안 유지되며, 연중 언제든 번식을 할 수 있다.[7][2] 약 4개월의 임신 기간 이후 최대 4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다.[7][2] 태어난 새끼는 불과 며칠 만에 딱딱한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가족 집단의 일원으로 성적으로 성숙해 질 때까지 최대 2년간 머문다.[7][2]

후티아의 종에 따라 기질이 크게 다르지만, 생물학자 Garrett Clough|개릿 클로eng는 바하마후티아를 "매우 평화로운 설치류"라고 묘사했다.[3]

5. 보전 상태

아종은 현대에 멸종되었다. 초기 유럽 항해자들이 언급했던 '''크루커드섬후티아'''(''Geocapromys ingrahami irrectus'')와 '''큰아바코후티아'''(''Geocapromys ingrahami abaconis'')는 160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5][1][3] 이는 직접적인 사냥보다는 서식지에 대한 개간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5][1]

현재 바하마후티아는 단 여섯 곳의 섬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1] 이에 따라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의 보전 상태를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평가했다.[5][1] 개체수는 적지만 안정적인 상태로 간주되지만, 허리케인과 같은 천재지변이나 야생 고양이와 같은 외래 포식자의 섬 유입 등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다.[5][1][3]

참조

[1] 간행물 Geocapromys ingrahami 2020
[2] 웹사이트 "Geocapromys ingrahami': Bahamian hutia" http://animaldiversi[...] 2015-08-04
[3] 뉴스 Hungry for hutia? Our taste for Bahamas’ "most peaceable rodent" shaped its diversity https://www.eurekale[...]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20-01-28
[4] 서적 IUCN Directory of Neotropical Protected Areas https://archive.org/[...] IUCN
[5] 간행물 Geocapromys ingrahami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Vanished Species Universal Books
[7] 웹인용 "Geocapromys ingrahami': Bahamian hutia" http://animaldiversi[...] 2015-08-04
[8] 서적 IUCN Directory of Neotropical Protected Areas https://books.google[...] IUC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