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리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리섭은 1944년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난 북한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압록강체육단 소속으로 활동했다. 1962년 북한 리그 최고의 선수 40인 중 한 명으로 국가대표팀 후보가 되었으며, 196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두 경기에 출전했다. 1966년 월드컵 이후 공훈체육인 칭호를 받았으며, 2002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The Game of Their Lives'에 생존 선수들이 인터뷰를 진행했으나, 박리섭은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자 축구 선수 - 박성철 (축구 선수)
박성철은 리명수체육단 소속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로, AFC 챌린지컵 득점왕 및 우승 기여, AFC 프레지던트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사카 FC로 이적하여 해외 리그에도 진출,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자 축구 선수 - 한광성
한광성은 1998년생 북한 축구 선수로 평양국제축구학교 출신이며, 유럽 클럽의 관심을 받으며 이탈리아 세리에 A 칼리아리 칼초에서 데뷔하여 북한 선수 최초로 세리에 A 득점을 기록했고, 현재는 4.25체육단 소속으로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북한 국가대표팀으로 복귀하여 활동 중이며, 뛰어난 드리블 능력과 득점 감각으로 유명하지만 정치적 영향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박성철 (축구 선수)
박성철은 리명수체육단 소속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로, AFC 챌린지컵 득점왕 및 우승 기여, AFC 프레지던트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사카 FC로 이적하여 해외 리그에도 진출,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한광성
한광성은 1998년생 북한 축구 선수로 평양국제축구학교 출신이며, 유럽 클럽의 관심을 받으며 이탈리아 세리에 A 칼리아리 칼초에서 데뷔하여 북한 선수 최초로 세리에 A 득점을 기록했고, 현재는 4.25체육단 소속으로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북한 국가대표팀으로 복귀하여 활동 중이며, 뛰어난 드리블 능력과 득점 감각으로 유명하지만 정치적 영향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펠레
펠레는 에드손 아란치스 두 나시멘토라는 본명으로 브라질에서 태어나, 산토스 FC와 브라질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FIFA 월드컵 3회 우승과 1,000골 이상 기록을 세운 "축구 황제"로 불린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다. - 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잔니 리베라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 잔니 리베라는 AC 밀란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발롱도르까지 수상했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도 굵직한 업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정치인으로도 활동하며 이탈리아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박리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Pak Li-Sup |
출생일 | 1944년 1월 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
사망일 | 2002년 이전 |
포지션 | 수비수 |
클럽 경력 | |
클럽 | 압록강체육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연도 | 1962년경–1966년 이후 |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국가대표팀 출장 | 9+ |
2. 선수 경력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 및 클럽 경력
박리섭은 1944년 1월 6일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났으며, 해당 지역은 현재 북한에 속한다.[1] 그는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동했으며, 북한의 최상위 축구 리그인 DPR 코리아 프리미어 풋볼 리그의 압록강체육단 소속으로 클럽 경력을 쌓았다.[1]2. 2. 국가대표팀 경력
1962년경, 박리섭은 북한 국가대표팀 후보 선수로 선발되어 명례현 감독 아래 1966년 FIFA 월드컵을 준비했다.[2][3][4] 대표팀은 성공적인 예선을 거쳐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유일한 본선 진출팀이 되었다.[5]박리섭은 월드컵 최종 22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6][7] 대회 개막 당시 최소 7회[7]에서 10회[3]의 국가대표팀 경기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박리섭은 조별리그 첫 두 경기인 소련전과 칠레전에 출전하여 총 180분을 뛰었다.[9][6] 북한 대표팀은 이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8][10]
2. 2. 1. 1966년 FIFA 월드컵
1957년, 1966년 FIFA 월드컵 출전을 목표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이 재편성되었다.[2] 1962년경, 박리섭은 당시 25만 명 이상으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진 북한 리그에서 최고의 선수 40인 중 한 명으로 선발되어 국가대표팀 후보로 고려되었다.[3][4] 이들 40명의 선수들은 대령 계급의 명례현 감독 지휘 아래 군 장교 신분으로 입대하여, 월드컵 본선을 목표로 4년간 체계적이고 엄격한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했다.[2][3] 박리섭을 포함한 선수들은 오전 6시부터 하루 두 차례 훈련을 받았으며, 미혼 상태 유지, 금연, 금주 등의 규율을 지켜야 했고, 대회 마지막 6개월 동안은 오후 10시 취침 규정까지 따라야 했다.[3]1965년 초, 북한 축구 리그는 대표팀이 월드컵 준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중단되었다.[3] 박리섭과 대표팀 동료들은 북베트남, 인도네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중국 등 여러 국가를 상대로 국제 경기를 치르며 경험을 쌓았다.[4] 같은 해 GANEFO에 참가하여 무패를 기록했고, 결승에서는 중국을 3-1로 꺾고 우승했다.[4] 1965년 후반에는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여 호주를 꺾고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유일한 본선 진출팀이 되었다.[5]
박리섭은 최종적으로 월드컵에 참가할 22명의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6][7] 월드컵 개막 당시 박리섭의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은 최소 10회였으나[3], 다른 보도에서는 7회로 언급되기도 했다.[7] 월드컵 본선에서 북한 팀은 4조에 배정되어 소련, 칠레, 이탈리아와 함께 잉글랜드 미들즈브러의 에어섬 파크에서 조별 리그 경기를 치렀다.[8] 대회 전 성공 가능성이 낮게 점쳐졌던 북한 팀은 첫 경기에서 소련에게 0-3으로 패배했고, 두 번째 경기인 칠레전에서는 1-1로 비겼다.[8] 박리섭은 이 첫 두 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하여 180분 풀타임을 소화했지만, 이후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았다.[9]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북한은 다음 라운드 진출을 놓고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이탈리아와 맞붙었다.[10] 대회 최대 이변 중 하나로 평가받는 이 경기에서 북한은 박두익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8][10] 북한은 이어진 8강전에서 포르투갈에 3-5로 패배하며 대회를 마감했다.[8] 박리섭은 월드컵 본선에서 총 2경기에 출전하여 180분간 활약했다.[6]
3. 은퇴 이후
1966년 FIFA 월드컵에서의 성적을 기념하여 경기에 출전했던 모든 선수들에게 북한 스포츠 선수에게 주어지는 두 번째로 높은 영예인 공훈체육인 칭호가 수여되었다.[11] 월드컵 이후, 북한 대표팀이 이탈리아전 승리를 자축하다가 투옥되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2002년에 진행된 인터뷰에서 여러 선수들이 이를 부인했다.[12][13] 2002년에는 1966년 북한 월드컵 팀의 생존 멤버들을 인터뷰한 다큐멘터리 영화 ''The Game of Their Lives''가 제작되었는데, 이때 박리섭은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11][14]
참조
[1]
웹사이트
Li-Sup Pak (Player)
https://www.national[...]
[2]
뉴스
England are hosts to the elite
https://www.newspape[...]
1966-01-06
[3]
뉴스
No squad better prepared than North Korea
https://www.newspape[...]
1966-05-21
[4]
뉴스
Wizard dribbler with strong shot
https://www.newspape[...]
1966-06-23
[5]
뉴스
Han Bong Jin–he dribbles like Garrincha, shoots like Charlton
https://www.newspape[...]
1966-07-08
[6]
웹사이트
Pak Li-sup Stats
https://fbref.com/en[...]
[7]
뉴스
Meet The Twenty-Two Football Wizards From Pyongyang
https://www.newspape[...]
1966-05-08
[8]
웹사이트
When Middlesbrough hosted the 1966 World Cup Koreans
http://news.bbc.co.u[...]
BBC
2010-06-15
[9]
웹사이트
Pak Li-sup 1966 Match Logs
https://fbref.com/en[...]
[10]
뉴스
North Korea in town to relive game of their lives
https://www.theguard[...]
2002-10-18
[11]
뉴스
수용소에서 만난 축구영웅
https://www.chosun.c[...]
2001-03-04
[12]
뉴스
Korea boys of '66 are alive and kicking
https://www.independ[...]
2001-11-12
[13]
뉴스
1966 World Cup Upstarts Absent but Not Forgotten
https://www.latimes.[...]
2002-06-22
[14]
뉴스
북한 월드컵 8강주역들 영국 방문
http://nk.chosun.com[...]
2002-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