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응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응순은 조선 선조의 장인으로, 반성부원군에 봉해진 인물이다. 1526년(중종 21년)에 태어나 1580년(선조 13년)에 사망했다. 1569년(선조 2년)에 딸이 선조의 왕비로 간택되면서 돈녕부 도정에 올랐고, 이듬해 도총부 도총관을 역임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왕비의 아버지임에도 정사에 간섭하지 않고 검소하게 살았다는 평가가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6년 출생 - 라파엘 봄벨리
    라파엘 봄벨리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1572년 『대수』에서 복소수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허수의 산술 규칙을 명확히 제시하며 삼차방정식 해법에서 복소수가 나타나는 경우를 최초로 지적하는 등 후대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526년 출생 - 이양원
    조선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오른 문신 이양원은 뛰어난 행정 능력과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으나,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으로서 서울 수비를 맡았음에도 선조의 파천 소식을 듣고 자결하였다.
  • 1580년 사망 - 안드레아 팔라디오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고대 로마 건축 원리에 기반한 팔라디오 양식을 정립하여 르네상스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 건축가로, 《건축 사서》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팔라디안 건축 운동을 일으켰다.
  • 1580년 사망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명종 - 태강릉
    태릉은 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의 단릉으로, 원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길 원했으나 침수 문제로 현재 위치에 안장되었으며, 제향은 태릉봉향회에서 주관하고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 인근에 강릉과 태릉선수촌이 있고 2014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 조선 명종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박응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응순
작위반성부원군
배우자전주 이씨 (이수갑의 딸)
자녀아들 박동언
의인왕후
가문반남 박씨
아버지박소
어머니정경부인 남양 홍씨
출생일1526년 6월 11일
사망일1580년 11월 10일
사망지조선 경기도 양주에서 병사
매장지경기도 양주
왕조조선

2. 생애

1526년(중종 21년) 태어났으며, 본관반남, 는 건중(健仲)이다. 아버지는 사간원 사간을 지낸 박소이며, 어머니는 사섬시 정을 지낸 남양 홍씨 홍사부의 딸이다.

3살 때 고모의 양자가 되었으며, 어렸을 때에는 동생 박응남과 함께 성제원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1555년(명종 10년)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1559년(명종 14년)에 사복시 주부로 있었으나 위법을 저질러 면직되었다. 그러나 1560년(명종 15년) 다시 사헌부 감찰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안음 현감, 돈녕부 주부, 용인 현령 등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1569년(선조 2년) 그의 딸이 선조의 왕비로 선발되면서 돈녕부 도정에 오르고, 이 해 음력 11월 1일 정식으로 중전으로 책봉되어 정1품 영돈녕 부사 및 반성부원군에 제수되었다[2]. 이듬해인 1570년(선조 3년) 도총부 도총관이 되었다.

이후 박응순은 1578년(선조 11년) 모친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다가 병환이 생기고, 결국 1580년(선조 13년) 음력 11월 1일 세상을 떠났다[3]. 묘는 경기도 양주의 박응순의 어머니 묘 근처에 마련되었다.[4]

한편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는 "왕비의 아버지임에도 정사에 간섭하지 않았고, 마음을 편하고 조용히 가졌으며, 사치스럽지 않아 남들이 국구인지 몰랐다."라고 평하고 있다.[3]

2. 1. 초기 생애

1526년(중종 21년) 반남 박소와 남양 홍씨 홍사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는 건중(健仲)이다. 3살 때 고모의 양자가 되었으며, 어렸을 때에는 동생 박응남과 함께 성제원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555년(명종 10년)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1559년(명종 14년)에 사복시 주부로 있었으나 위법을 저질러 면직되었다. 그러나 1560년(명종 15년) 다시 사헌부 감찰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안음 현감, 돈녕부 주부, 용인 현령 등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1569년(선조 2년) 그의 딸이 선조의 왕비로 선발되면서 돈녕부 도정에 오르고, 이 해 음력 11월 1일 정식으로 중전으로 책봉되어 정1품 영돈녕 부사 및 반성부원군에 제수되었다.[2] 이듬해인 1570년(선조 3년) 도총부 도총관이 되었다.

이후 1578년(선조 11년) 모친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다가 병환이 생기고, 결국 1580년(선조 13년) 음력 11월 1일 세상을 떠났다.[3] 묘는 경기도 양주의 박응순의 어머니 묘 근처에 마련되었다.[4]

한편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는 "왕비의 아버지임에도 정사에 간섭하지 않았고, 마음을 편하고 조용히 가졌으며, 사치스럽지 않아 남들이 국구인지 몰랐다."라고 평하고 있다.[3]

2. 2. 국구로서의 삶

1526년(중종 21년) 반남 박소와 남양 홍씨 홍사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는 건중(健仲)이다. 3살 때 고모의 양자가 되었으며, 어렸을 때에는 동생 박응남과 함께 성제원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1555년(명종 10년)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1559년(명종 14년)에 사복시 주부로 있었으나 위법을 저질러 면직되었다. 그러나 1560년(명종 15년) 다시 사헌부 감찰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안음 현감, 돈녕부 주부, 용인 현령 등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냈다.

1569년(선조 2년) 그의 딸이 선조의 왕비로 선발되면서 돈녕부 도정에 오르고, 이 해 음력 11월 1일 정식으로 중전으로 책봉되어 정1품 영돈녕 부사 및 반성부원군에 제수되었다.[2] 이듬해인 1570년(선조 3년) 도총부 도총관이 되었다.

이후 박응순은 1578년(선조 11년) 모친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다가 병환이 생기고, 결국 1580년(선조 13년) 음력 11월 1일 세상을 떠났다.[3] 묘는 경기도 양주의 박응순의 어머니 묘 근처에 마련되었다.[4]

한편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는 "왕비의 아버지임에도 정사에 간섭하지 않았고, 마음을 편하고 조용히 가졌으며, 사치스럽지 않아 남들이 국구인지 몰랐다."라고 평하고 있다.[3]

2. 3. 사망

1578년(선조 11년) 모친상을 당하여 시묘살이를 하다가 병환이 생기고, 결국 1580년(선조 13년) 음력 11월 1일 세상을 떠났다[3]. 묘는 경기도 양주의 박응순의 어머니 묘 근처에 마련되었다.[4]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는 "왕비의 아버지임에도 정사에 간섭하지 않았고, 마음을 편하고 조용히 가졌으며, 사치스럽지 않아 남들이 국구인지 몰랐다."라고 평하고 있다[3].

3. 가족 관계

증조부는 박임종이다.[5] 조부는 박조년이며, 조모는 윤자선(尹孜善)의 딸인 정경부인 파평 윤씨이다. 아버지는 박소(1493년 ~ 1534년)이고, 외조부는 홍사부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남양 홍씨(1494년 ~ 1578년)이다. 형은 박응천(? ~ 1581년)이다.[6] 동생은 박응남(1527년 ~ 1572년)[7], 박응복(1530년 ~ 1598년)[8], 박응인(1532년 ~ 1606년)[9]이다. 누이는 이희백과 박성원의 처이다. 장인은 문천정 이수갑이며, 부인은 전주 이씨(? ~ 1595년 음력 4월 16일)이다.[10] 아들은 박동언(1553년 ~ 1605년)[11]이며, 딸은 의인왕후(1555년 ~ 1600년)로 조선 제14대 왕 선조(1552년 ~ 1608년, 재위 : 1567년 ~ 1608년)의 부인이다.

4. 평가

5. 기타

6. 관련 작품

7.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구

반성부원군 박응순은 조선 선조의 장인이다.

참조

[1] 서적 『박응순 가장』
[2] 역사기록 선조수정실록 3권, 선조 2년 11월 1일 경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선조수정실록 14권, 선조 13년 11월 1일 정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백과사전 《국역 국조인물고》〈박응순〉 https://terms.naver.[...]
[5] 문서
[6] 백과사전 《국역 국조인물고》〈박응천〉 항목 https://terms.naver.[...]
[7] 백과사전 《국역 국조인물고》〈박응남〉 항목 https://terms.naver.[...]
[8] 백과사전 《국역 국조인물고》〈박응복〉 항목 https://terms.naver.[...]
[9]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박응인〉 항목 https://terms.naver.[...]
[10] 웹인용 선조실록 62권, 선조 28년 4월 18일 경신 2번째기사 https://web.archive.[...] 2016-04-19
[11] 웹인용 한국학진흥사업단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박동언〉 항목 https://web.archive.[...] 2016-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