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홍규 (195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홍규는 1952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저술가이다. 인물 평전, 저서 번역, 사회 비평, 예술 및 인문학 관련 저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법률, 인권,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 《불편한 인권》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위안부가 아니라 성노예이다》,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법학자 - 신인령
    신인령은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노동부, 법무부 등 여러 기관의 위원과 이사를 지낸 법학자이다.
  • 아나키스트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아나키스트 - 에밀리아노 사파타
    에밀리아노 사파타는 1879년 멕시코에서 태어나 농민들의 토지 권리를 위해 멕시코 혁명에 참여하여 남부 해방군을 이끌었고, 농민 자치 정부를 수립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으며 멕시코 국민 영웅으로 존경받는다.
  • 대한민국의 법학자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대한민국의 법학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박홍규 (195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박홍규
출생일1952년 9월 9일 ()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국적대한민국
경력
경력삼익공업 사외이사
학력
학력대한민국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
직업 관련
직업교수
기타 정보
상훈제38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2. 저서와 역서

박홍규는 역사 속 인물을 이해하기 위해 평전을 쓰고, 그들의 저서를 번역하는 방식을 택했다. 원서명이 영어로 함께 적힌 책은 박홍규가 직접 번역한 것이고, 연도만 있는 책은 해당 인물의 평전이거나 작품론이다. 2000년대와 2010년대 이후 출판된 평전과 번역서는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2. 1. 인물과 평전

박홍규는 역사 속 인물을 이해하기 위해 평전을 쓰고, 그들의 저서를 번역하는 방식을 택했다. 원서명이 영어로 함께 적힌 책은 박홍규가 직접 번역한 것이고, 연도만 있는 책은 해당 인물의 평전이거나 작품론이다.

저서 및 번역서연도
1998
1999



2000년대와 2010년대 이후 출판된 평전과 번역서는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2. 1. 1. 2010년대 이후

존 베리의 《사상의 자유의 역사》(1913)를 번역하였고, 2019년에는 《놈 촘스키》, 《아돌프 히틀러》 평전을 썼다. 소스타인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을 번역했다. 2018년에는 《누가 헤밍웨이를 죽였나》를 쓰고, 비어트리스 웹, 시드니 웹 부부의 《복지국가의 탄생》, 《산업민주주의》(1897)를 번역했다. 2017년에는 《헤세, 반항을 노래하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플라톤 다시보기》 평전을 썼다.

2016년에는 루쉰의 《가거라 용감하게, 아들아!》를 썼고, 2015년에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를 따라서, 스위프트를 찾아서》를 쓰고, 톨스토이의 《내 친구 톨스토이》와 《예술은 무엇인가》,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를 번역했다. 2014년에는 마키아벨리의 《마키아벨리, 시민정치의 오래된 미래》, 2017년에는 《왜 다시 마키아벨리인가》를 썼다. 존 버거의 《피카소의 성공과 실패》(1965)를 번역했다.

2012년에는 《마르틴 부버》 평전을 썼다. 2011년에는 《디오게네스와 아리스토텔레스》, 이반 일리히 평전을 썼고, 《절제의 사회》(1973), 《학교없는 사회》(1971), 《그림자 노동》(1981),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1974), 《병원이 병을 만든다》(1975)를 번역했다. 2010년에는 루이스 멈퍼드의 《메트로폴리탄 게릴라》, 《인간의 전환》(1956), 《예술과 기술》(1952), 《유토피아 이야기》(1922)를 번역했다.

2. 1. 2. 2000년대

2000년대에 박홍규는 더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연구하고 저술했다.

저서 및 번역서연도
오노레 도미에 《오노레 도미에》2000
프란시스코 페레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마라》2002
고야 《야만의 시대를 그린 화가 고야》, 《저항하는 지성, 고야》2002
루쉰 《자유인 루쉰》2002
베토벤 《베토벤 평전》2003
알베르 카뮈 《카뮈를 위한 변명》2003
카프카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2003
조지 오웰 《조지 오웰》2003
에드워드 사이드 《박홍규의 에드워드 사이드 읽기》, 《에드워드 사이드》
에리히 프롬 《우리는 사랑하는가》2004
에리히 케스트너 《삶을 사랑하고 죽음을 생각하라》2004
몽테뉴 《몽테뉴의 숲에서 거닐다》2004
토머스 페인 《인권 이펙트》 / 크리스토퍼 히친스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다》2005
비코 《처음으로 돌아가라》2005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가 사랑한 밀레》2005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두 번 죽이기》2005
세르반테스 《돈키호테처럼 미쳐》2007
간디 《간디 자서전》2007
니체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니체는 틀렸다》2008
헨리 데이비드 소로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2008
사르트르 《카페의 아나키스트 사르트르》2008
클림트 《구스타프 클림트: 정적의 조화》2009


2. 1. 3. 번역서 (인물 평전 외)


  • 존 베리, 《사상의 자유의 역사》(A History of Freedom of Thought|어 히스토리 오브 프리덤 오브 소트영어, 1913)
  • 소스타인 베블런,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더 시어리 오브 더 레저 클래스영어)
  • 비어트리스 웹, 시드니 웹, 《산업민주주의》(Industrial Democracy|인더스트리얼 데모크라시영어, 1897)
  • 톨스토이
  • * 《예술은 무엇인가》 (1893)
  • *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 (1893)
  • 존 버거, 《피카소의 성공과 실패》(The Success and Failure of Picasso|더 석세스 앤드 페일류어 오브 피카소영어, 1965)
  •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Utopia|유토피아영어, 1516)
  • 루이스 멈퍼드
  • * 《인간의 전환》(The Transformations of Man|더 트랜스포메이션스 오브 맨영어, 1956)
  • * 《예술과 기술》(Art and Technics|아트 앤드 테크닉스영어, 1952)
  • * 《유토피아 이야기》(The Story of Utopias|더 스토리 오브 유토피아스영어, 1922)
  • 이반 일리히
  • * 《절제의 사회》(Tools for Conviviality|툴스 포 컨비비앨러티영어, 1973)
  • * 《학교없는 사회》(Deschooling society|디스쿨링 소사이어티영어, 1971)
  • * 《그림자 노동》(Shadow work|섀도 워크영어, 1981)
  • *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Energy and eguity|에너지 앤드 에퀴티영어, 1974)
  • * 《병원이 병을 만든다》(Limits to medicine, medical nemesis : the exproritian of health|리미츠 투 메디슨, 메디컬 네메시스 : 더 익스프로리션 오브 헬스영어, 1975)
  • 존 스튜어트 밀
  • *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 * 《자유론》(On Liberty|온 리버티영어, 1859)
  • 에드워드 사이드
  • * 《음악은 사회적이다》(Musical Elaborations|뮤지컬 일래버레이션스영어, 1991)
  • *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오리엔탈리즘영어, 1978)
  • * 《문화와 제국주의》(Culture and Imperialism|컬처 앤드 임페리얼리즘영어, 1993)
  • 세르반테스,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2016)
  • 간디
  • * 《간디가 말하는 자치의 정신》(Hind Swaraj or Indian Home Rule|힌드 스와라지 오어 인디언 홈 룰영어, 1908년)
  • *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Satyagraha in South Africa|사티아그라하 인 사우스 아프리카영어)
  • 크리스토퍼 히친스, 《인권 이펙트》 / 토머스 페인, 《상식 인권》(Common Sense|커먼 센스영어, 1776)
  • 빈센트 반 고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편지》
  • 윌리엄 모리스
  • * 《모리스 예술론》
  • * 《에코토피아 뉴스》(News from Nowhere|뉴스 프롬 노웨어영어, 1890)
  •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쉬르베이에 에 퓌니르프랑스어, 1975)

2. 2. 저서

박홍규는 법학, 인권, 사회, 예술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담은 저서를 집필했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박홍규의 저서 목록을 연도별로 간략하게 제시한다.

출판 연도제목
1991《UN》, 《한국과 ILO》
1992노동법
1993《비교법: 법을 통한 세계여행》, 《법사회학 서설》
1994《사법의 민주화》
1997《시대와 미술》, 《법은 무죄인가》
1998《사회정책 사회보장법》
2000《지방자치 어떻게》, 《법과 예술》, 《생활법률》, 《시민이 재판을》
2001《근로기준법론》, 《그들이 헌법을 죽였다》
2002《노동단체법》, 《비바 오페라》
2003《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반전과 평화의 미술)
2004《아나키즘 이야기》
2005《의적 정의를 훔치다》, 《교양의 즐거움》, 《젊은날의 깨달음》(공저)
2007《대한민국을 눈물로 씁니다》, 《예술 정치를 만나다》
2008《9인 구색 청소년에게 말걸기》(공저),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 《작은 나라에서 잘 사는길》,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2009《인간시대 르네상스》, 《인디언 아나키 민주주의》, 《그리스 귀신 죽이기》
2010《거꾸로 생각해 봐 세상도 나도 바뀔 수 있어. 2》(공저), 《대한민국 신 권리장전》, 《예술, 법을 만나다》
2011《서른 이후 문득 인생이 무겁게 느껴질 때》, 《세상을 바꾼 자본》, 《무엇이 정의인가》(공저)
2013《세상을 바꾼 자본》, 《까보고 뒤집어보는 종교》
2014《독서독인 讀書讀人》, 《국민참여재판 이대로 좋은가?》, 《자유란 무엇인가》
2015《사랑수업》
2017《인문학의 거짓말》, 《제우스는 죽었다》
2018《몬테베리타, 지와 사랑의 고독한 방랑자들》, 《어린이를 위한 세계 법률 여행》, 《불편한 인권》
2019《내내 읽다가 늙었습니다》
2020《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


2. 2. 1. 법률 및 인권

박홍규는 법학자로서 법률과 인권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로는 《한국과 ILO》, 《UN》(1991), 《노동법》(1992), 《비교법: 법을 통한 세계여행》, 《법사회학 서설》(1993), 《사법의 민주화》(1994), 《시대와 미술》, 《법은 무죄인가》(1997), 《사회정책 사회보장법》(1998), 《지방자치 어떻게》, 《법과 예술》, 《생활법률》, 《시민이 재판을》(2000), 《근로기준법론》, 《그들이 헌법을 죽였다》(2001), 《노동단체법》(2002), 《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반전과 평화의 미술)(2003), 《아나키즘 이야기》(2004), 《의적 정의를 훔치다》, 《교양의 즐거움》(2005), 《대한민국을 눈물로 씁니다》, 《예술 정치를 만나다》(2007),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작은 나라에서 잘 사는 길》,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2008), 《인디언 아나키 민주주의》, 《인간시대 르네상스》, 《예술, 법을 만나다》(2009), 《대한민국 신 권리장전》(2010), 《무엇이 정의인가》(공저), 《세상을 바꾼 자본》(2011), 《까보고 뒤집어보는 종교》, 《세상을 바꾼 자본》(2013), 《국민참여재판 이대로 좋은가?》, 《자유란 무엇인가》(2014), 《제우스는 죽었다》(2017), 《어린이를 위한 세계 법률 여행》, 《불편한 인권》(2018) 등이 있다.

2. 2. 2. 사회 비평

박홍규는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사회 비평서를 다수 집필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2018불편한 인권
2017제우스는 죽었다
2017인문학의 거짓말
2014자유란 무엇인가
2014국민참여재판 이대로 좋은가?
2011무엇이 정의인가 (공저)
2010대한민국 신 권리장전
2009인디언 아나키 민주주의
2008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
2008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2007대한민국을 눈물로 씁니다
2003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 (반전과 평화의 미술)
2001그들이 헌법을 죽였다
2000시민이 재판을
1997법은 무죄인가
1994사법의 민주화
1993법사회학 서설
1991한국과 ILO
1991UN


2. 2. 3. 예술과 인문학

박홍규는 예술과 인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2020《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
2019《내내 읽다가 늙었습니다》
2018《불편한 인권》, 《어린이를 위한 세계 법률 여행》, 《몬테베리타, 지와 사랑의 고독한 방랑자들》
2017《제우스는 죽었다》, 《인문학의 거짓말》
2015《사랑수업》
2014《자유란 무엇인가》, 《국민참여재판 이대로 좋은가?》, 《독서독인》
2013《세상을 바꾼 자본》, 《까보고 뒤집어보는 종교》
2011《서른 이후 문득 인생이 무겁게 느껴질 때》, 《세상을 바꾼 자본》, 《무엇이 정의인가》(공저)
2010《거꾸로 생각해 봐 세상도 나도 바뀔 수 있어. 2》(공저), 《대한민국 신 권리장전》, 《예술, 법을 만나다》
2009《인간시대 르네상스》, 《인디언 아나키 민주주의》, 《그리스 귀신 죽이기》
2008《9인 구색 청소년에게 말걸기》(공저),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 《작은 나라에서 잘 사는길》,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
2007《대한민국을 눈물로 씁니다》, 《예술 정치를 만나다》
2005《교양의 즐거움》, 《젊은날의 깨달음》(공저), 《의적 정의를 훔치다》
2004《아나키즘 이야기》
2003《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반전과 평화의 미술)
2002《비바 오페라》
2000《법과 예술》
1997《시대와 미술》


2. 2. 4. 번역서 (기타)

제목출판 연도
UN1991년
한국과 ILO1991년
노동법1992년
법사회학 서설1993년
비교법: 법을 통한 세계여행1993년
사법의 민주화1994년
법은 무죄인가1997년
시대와 미술1997년
사회정책 사회보장법1998년
지방자치 어떻게2000년
법과 예술2000년
생활법률2000년
시민이 재판을2000년
근로기준법론2001년
그들이 헌법을 죽였다2001년
비바 오페라2002년
노동단체법2002년
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반전과 평화의 미술)2003년
아나키즘 이야기2004년
의적 정의를 훔치다2005년
교양의 즐거움2005년
예술 정치를 만나다2007년
대한민국을 눈물로 씁니다2007년
반민주적인 너무나 반민주적인2008년
작은 나라에서 잘 사는길2008년
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2008년
그리스 귀신 죽이기2009년
인디언 아나키 민주주의2009년
인간시대 르네상스2009년
대한민국 신 권리장전2010년
예술, 법을 만나다2010년
세상을 바꾼 자본2011년
서른 이후 문득 인생이 무겁게 느껴질 때2011년
까보고 뒤집어보는 종교2013년
독서독인 讀書讀人2014년
국민참여재판 이대로 좋은가?2014년
자유란 무엇인가2014년
사랑수업2015년
인문학의 거짓말2017년
제우스는 죽었다2017년
몬테베리타, 지와 사랑의 고독한 방랑자들2018년
어린이를 위한 세계 법률 여행2018년
불편한 인권2018년
내내 읽다가 늙었습니다2019년
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2020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