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 (155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58년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은 오스만 제국이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해 발레아레스 제도를 공격한 사건이다. 프랑스의 앙리 2세는 오스만 제국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고, 쉴레이만 대제는 해군 함대를 파견했다. 1558년 7월, 오스만 함대는 메노르카섬의 시우타델라를 공격하여 점령했으며, 도시를 약탈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삼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발레아레스 제도는 황폐화되었고, 시우타델라에서는 매년 7월 9일에 참사의 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 (1558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시기1558년 7월
장소발레아레스 제도
결과오스만 제국의 발레아레스 제도 일부 지역 일시 점령
교전 세력
교전국 1스페인
교전국 2오스만 제국
지휘관
지휘관 1펠리페 2세
지휘관 2드라구트
병력 규모
병력 1총병력 800명, 군사 40~100명
병력 2전함 150척, 총병력 15,000명
피해 규모
피해 1주민 4,000명 노예화
피해 2불명
기타 정보
[[피리 레이스]]의 [[메노르카섬]] 지도
피리 레이스의 메노르카섬 지도

2. 배경

1557년 2월 22일자 프랑스의 앙리 2세가 술레이만 1세와 대사 장 카베나크 드 라 비뉴에게 보낸 편지


1558년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은 오스만 제국과 프랑스 간의 동맹,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지속적인 발레아레스 제도 공격을 배경으로 한다.

1557년 12월 30일, 이탈리아 전쟁에서 합스부르크군과 싸우던 프랑스의 앙리 2세는 오스만 제국술레이만 대제에게 군자금, 초석, 150척의 갤리선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앙리 2세는 주오스만 프랑스 대사 장 카브나크 드 라 비뉴를 통해 1558년 오스만 함대 파견 약속을 받았다.[13]

쉴레이만 대제는 프랑스를 합스부르크에 대항하는 동맹국으로 보고 군사 지원을 위해 함대를 보냈다. 1558년 4월 콘스탄티노플을 떠난 오스만 함대는 1558년 6월 13일 이탈리아 연안을 공격했으나, 소렌토 약탈 외에는 큰 성과가 없었다. 당시 소렌토는 스페인령이었으며, 이곳에서 3,000명을 포로로 잡았다.[14]

2. 1. 오스만 제국의 발레아레스 제도 공격

오스만 제국은 1501년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을 시작으로 이미 수차례에 걸쳐 발레아레스 제도를 공격한 바 있었다. 특히 간헐적으로 발레아레스 제도 곳곳을 공격해 약탈한 사례가 많았는데 1531년/1550년 폴렌사 약탈전, 1535년 마온 약탈전, 1551년 알쿠디아 전투, 1552년 발데모사 전투, 1553년 안드라츠 전투, 1561년 소예르 전투 등이 대표적이다. 오스만 제국의 발레아레스 제도 공격은 1571년 레판토 해전 패배를 계기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17세기까지 계속되었다.[11][12]

1557년 12월 30일, 이탈리아 전쟁에서 합스부르크군과 충돌한 프랑스의 앙리 2세는 오스만 술탄 쉴레이만 대제에게 서부에 주둔할 갤리선 150척과 군자금, 초석 (화약의 원료)을 지원해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앙리 2세는 주오스만 프랑스 대사 장 카브나크 드 라 비뉴의 도움으로 1558년 오스만 함대 파견을 약속받기에 이른다.[13]

쉴레이만 대제는 프랑스를 합스부르크에 대항하는 동맹국 (프랑스-오스만 동맹)으로 여기고, 군사적 지원을 위해 자신의 해군 함대를 우회로로 보냈다. 1558년 4월 콘스탄티노플을 떠난 오스만 함대는 1558년 6월 13일 이탈리아 연안 공격에 나섰으나 실질적으로는 소렌토를 약탈한 것에 그쳤다. 소렌토는 당시 이탈리아 남부에 있던 스페인령의 하나로서 이곳에서만 3,000명의 포로를 잡아들였다.[14]

2. 2. 프랑스-오스만 동맹과 오스만 제국의 참전

오스만 제국은 1501년 발레아레스 제도 침공을 시작으로 이미 수차례에 걸쳐 발레아레스 제도를 공격한 바 있었다. 특히 간헐적으로 발레아레스 제도 곳곳을 공격해 약탈한 사례가 많았는데 1531년/1550년 폴렌사 약탈전, 1535년 마온 약탈전, 1551년 알쿠디아 전투, 1552년 발데모사 전투, 1553년 안드라츠 전투, 1561년 소예 전투 등이 대표적이다. 오스만 제국의 발레아레스 제도 공격은 1571년 레판토 해전 패배를 계기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17세기까지 계속되었다.[11][12]

1557년 12월 30일, 이탈리아 전쟁에서 합스부르크군과 충돌한 프랑스의 앙리 2세는 오스만 술탄 쉴레이만 대제에게 서부에 주둔할 갤리선 150척과 군자금, 초석 (화약의 원료)을 지원해 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앙리 2세는 주오스만 프랑스 대사 장 카브나크 드 라 비뉴의 도움으로 1558년 오스만 함대 파견을 약속받기에 이른다.[13]

쉴레이만 대제는 프랑스를 합스부르크에 대항하는 동맹국 (프랑스-오스만 동맹)으로 여기고, 군사적 지원을 위해 자신의 해군 함대를 우회로로 보냈다. 1558년 4월 콘스탄티노플을 떠난 오스만 함대는 1558년 6월 13일 이탈리아 연안 공격에 나섰으나 실질적으로는 소렌토를 약탈한 것에 그쳤다. 소렌토는 당시 이탈리아 남부에 있던 스페인령의 하나로서 이곳에서만 3,000명의 포로를 잡아들였다.[14]

3. 침공

1558년 7월, 피얄레 파샤와 투르구트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함대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침공했다.[15] 오스만군은 150척의 군함과 15,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어 있었다.[15] 마온 공격이 실패한 후, 오스만군은 메노르카섬시우타델라로 목표를 변경했다.[16]

3. 1. 시우타델라 포위전

1558년 7월, 오스만 함대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약탈하기 시작했다.[15] 오스만군은 군함 150척과 병사 15,0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온 시 공격이 격퇴당한 후, 오스만군은 메노르카섬시우타델라 요새를 공격했는데, 이 요새에는 40명의 병력만이 주둔하고 있었다.[16]

시우타델라 항구.


1558년 7월 9일, 피얄레 파샤와 투르구트 레이스가 지휘하는 오스만군은 8일 동안 시우타델라 마을을 포위한 뒤 성내로 진입하여 마을을 초토화했다.[17] 요새 함락 이후 도시는 황폐화되었고 주민들은 노예 신세로 전락했다.[17] 공성전에서 살아남은 시우타델라 주민 3,099명 전원은 인근 마을 사람들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노예로 넘겨졌으며, 그해 콘스탄티노플 노예 시장에서는 총 3,452명의 주민이 팔려나갔다.[17] 발레아레스 제도는 황폐화되었고 4,000명이 포로로 잡혔다.[18]

19세기에는 호셉 콰드라도가 공격을 기념하기 위해 플라자 데스 본에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여기 1558년에 우리는 우리의 종교와 조국을 위해 죽을 때까지 싸웠다.[6]



매년 7월 9일에는 시우타데야에서 "l’Any de sa Desgràcia", 즉 "재앙의 해"를 기억하는 기념 행사가 열린다.[8]

4. 여파

1553년 프랑스-오스만 동맹군의 코르시카 침공은 드라구트 사령관이 술레이만 대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 바스티아에서 프랑스 함대와의 합류가 지연되는 결과를 낳았다. 쉴레이만 1세는 1558년 말 앙리 2세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에 대해 사과했다.[19][20]

19세기 호셉 콰드라도는 오스만군의 공격을 추모하기 위해 보른광장(Plaza d'es Born)에 오벨리스크를 세웠고, "1558년 이곳에서 우리는 종교와 국가를 위해 죽을 때까지 싸웠다."라는 비문을 남겼다.[16] 오늘날 시우타델라에서는 매년 7월 9일 '참사의 해'(l'Any de sa Desgràcia)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21]

4. 1. 프랑스-오스만 동맹의 균열

1553년 프랑스-오스만 동맹군의 코르시카 침공 이후, 오스만 함대가 코르시카섬 인근 바스티아에서 프랑스 함대와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드라구트 사령관이 술레이만 대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 지연되었다. 술레이만 대제는 1558년 말 앙리 2세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에 대해 사과했다.[19][20]

4. 2. 시우타델라의 추모

19세기 호셉 콰드라도가 오스만군의 공격을 추모하기 위해 보른광장(Plaza d'es Born)에 오벨리스크를 세웠고,[16] 그 오벨리스크에는 "1558년 이곳에서 우리는 종교와 국가를 위해 죽을 때까지 싸웠다."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16]

오늘날 시우타델라에서는 매년 7월 9일 '참사의 해'(l'Any de sa Desgràcia)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21]

참조

[1]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Leiden 1972
[2] 서적 The rough guide to Mallorca & Menorc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4
[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4
[4] 서적
[5] 서적 History of Modern Times: From the Fall of Constantinople to the French Revolution Henry Holt and Company 1894
[6] 서적
[7]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New Press 2009
[8] 웹사이트 Balears Cultural Tour http://www.balearscu[...]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Leiden 1972
[12] 서적 The rough guide to Mallorca & Menorc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4
[1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4
[14] 서적
[15] 서적 History of Modern Times: From the Fall of Constantinople to the French Revolution Henry Holt and Company 1894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New Press 2009
[19] 서적
[20] 서적
[21] 웹사이트 Balears Cultural Tour http://www.balearsc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