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노르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노르카섬은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선사 시대 유적과 다양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기원전 123년 로마 제국에 편입된 후 반달족,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287년 아라곤 왕국에 정복되었다. 이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과 프랑스 혁명 전쟁을 겪으며 영국과 스페인의 지배를 반복하다 1802년 스페인에 최종적으로 귀속되었다. 섬의 주요 도시로는 마호와 시우타델라 데 메노르카가 있으며, 8개의 자치구로 나뉜다. 1993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23년에는 타라요트기 메노르카섬의 선사시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지브롤터
    지브롤터는 이베리아 반도 남단의 영국의 해외 영토로, 전략적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가 혼합되었으나 스페인과의 영토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럽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이오니아 제도 합중국
    이오니아 제도 합중국은 빈 회의 결과 1815년부터 1864년까지 영국의 보호령으로 이오니아 제도를 통치한 국가로, 에노시스 운동을 통해 1864년 그리스 왕국에 합병되었다.
  • 발레아레스 제도의 섬 - 마요르카섬
    마요르카섬은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에 속하며, 스페인에서 가장 큰 섬이자 관광 산업이 발달한 곳으로, 마요르키 방언 등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발레아레스 제도의 섬 - 이비사섬
    이비사섬은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름다운 해변과 활기 넘치는 밤 문화로 유명하지만, 역사 유적과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 스페인의 생물권보전지역 - 란사로테섬
    란사로테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아열대 기후를 가진 카나리아 제도 최북단의 섬으로, 티만파야 국립공원 등 특이한 화산 지형으로 인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및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었으며, 아레시페가 행정 중심지이고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스페인의 생물권보전지역 - 푸에르테벤투라섬
    푸에르테벤투라섬은 약 2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카나리아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가장 오래된 섬으로, 강한 바람과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기후, 유럽 최대 규모의 사막과 다양한 해변을 가지고 있으며 관광 산업에 크게 의존하여 2009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메노르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메노르카 섬의 [[센티널-2]] 위성 이미지
센티널-2 위성 이미지
기본 정보
이름메노르카 섬
다른 이름미노르카
라틴어 이름Insula Minor (작은 섬)
별칭해당 없음
위치지중해
군도발레아레스 제도
면적695.8 km²
최고점몬테 토로
해발고도357 m
인구99,005 명 (2023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142.3 명/km²
거주민메노르카인
면적695.7 km²
최고점토로 산
해발고도358 m
행정 구역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발레아레스 제도
발레아레스 제도
수도 및 최대 도시마오
최대 도시 인구30,006 명
정치
정부 형태메노르카 섬 의회
의장아돌포 빌라프랑카 (PP)
역사적 소속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01년카르타고
기원전 123년 – 기원전 27년로마 공화국
기원전 27년 – 455년로마 제국
455년 – 534년반달 왕국
534년 – 628년동로마 제국
903년 – 1015년코르도바 우마이야 왕조
1015년 – 1076년데니아 타이파
1076년 – 1115년마요르카 타이파
1115년 – 1158년알모라비데 왕조
1158년 – 1203년마요르카 타이파
1203년 – 1229년알모아데 왕조
1229년/1231년 – 1287년아라곤 왕관 (메노르카 타이파)
1287년 – 1298년아라곤 왕관
1298년 – 1343년마요르카 왕국
1343년 – 1708년아라곤 왕관
1708년 – 1756년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756년 – 1763년프랑스 왕국
1763년 – 1782년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782년 – 1798년스페인 왕국
1798년 – 1800년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801년 – 1802년대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1802년 – 1808년스페인 왕국
1813년 – 1931년스페인 왕국
1931년 – 1939년스페인 제2공화국
1939년 – 1975/1982년스페인국
1982년 – 현재스페인
1983년 – 현재발레아레스 제도
기타 정보
지역 발음카탈루냐어:
스페인어:
영어 발음,
메노르카 섬의 깃발
메노르카 섬의 깃발

2. 역사

메노르카섬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거석 문화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포에니 전쟁 이후 서지중해에서 해적 행위가 증가하자, 로마는 메노르카섬을 침공하여 기원전 123년에 섬을 점령했다. 이후 로마, 반달족, 동로마 제국, 코르도바 칼리파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1287년 아라곤 왕국에 의해 정복된 후, 마요르카 왕국에 할양되었다가 다시 아라곤 왕국에 병합되었고, 결국 카스티야 왕국과의 통합으로 스페인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에는 튀르키예 해군의 공격으로 마혼과 시우타델라가 파괴되기도 했다.[8]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이던 1708년, 영국 해군에 의해 함락되어 유트레흐트 조약에 따라 영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7년 전쟁미국 독립 전쟁을 거치며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간의 쟁탈전이 벌어졌고, 1802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최종적으로 스페인에 반환되었다.

스페인 내전 당시 메노르카섬은 스페인 제2공화국에 충성했으며,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공습 표적이 되기도 했다. 1939년 미노르카 전투에서 국민군이 승리한 후, 영국 해군의 도움으로 평화로운 권력 이양이 이루어졌다. 1993년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 1. 고대 ~ 중세

메노르카섬에는 나베타(naveta), 타울라(taula), 탈라이오트(talaiot) 등 거석 기념물이 많이 남아 있어 매우 초기의 선사 시대 인류 활동을 보여준다. 메노르카섬의 초기 문화 중 일부는 그리스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2] 예를 들어, 크노소스에서 뒤집어 놓은 회반죽 나무 기둥의 사용이 메노르카섬의 초기 주민들이 이러한 관습을 모방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2]

포에니 전쟁이 끝나면서 서지중해의 해적 행위가 증가했다. 로마의 히스파니아 점령은 이베리아 반도와 이탈리아 반도 사이의 해상 무역 성장을 의미했다. 해적들은 발레아레스 제도의 전략적 위치를 이용하여 로마의 상업을 약탈하고 메노르카섬과 마요르카섬을 근거지로 삼았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로마는 메노르카섬을 침공했다. 기원전 123년까지 두 섬 모두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나중에 히스파니아 키테리오르 속주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13년,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속주 체제를 재편성했고, 발레아레스 제도는 타라코넨시스 제국 속주에 편입되었다. 고대 도시 마고(Mago)는 카르타고 도시에서 로마 도시로 변모했다.[3]

피리 레이스(Piri Reis)가 그린 메노르카섬 지도


메노르카섬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4] 5세기 주교인 세베루스의 「유대인 개종에 관한 편지」에는 서기 418년 섬의 유대인 남녀 540명이 강제 개종당했다는 내용이 나온다.[5] 테오도르를 포함한 여러 유대인들은 세례를 받았다. 테오도르는 동료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모두에게 존경받는 부유한 유대인 대표였다. 개종 행위는 이전까지 평화롭게 공존하던 공동체 내에서 지배적인 유대인 엘리트 계층의 황량한 오지로 추방, 시나고그(회당)의 소각, 그리고 기독교를 강제로 받아들인 후 일부 유대인 가족들의 점진적인 복귀를 초래하여 이미 사망하지 않은 유대인 가족들의 생존을 허용했다.[4] 많은 유대인들은 겉으로는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면서도 은밀히 유대교 신앙을 유지했다. 이들 중 일부는 슈에타(Xueta) 공동체를 구성한다.

5세기에 반달족이 섬을 쉽게 정복했다. 동로마 제국은 534년에 섬을 되찾았다. 우마이야 칼리파의 이베리아 정복 이후 메노르카는 903년 코르도바 칼리파국에 병합되었고, 많은 무슬림들이 섬으로 이주했다.

''Manûrqa'' (منورقةar)는 903년 이삼 알-카울라니(’Isâm al-Khawlânî)에 의해 코르도바 칼리파국에 병합된 이후 마지막 무슬림 라이스(ra'îs)인 아부 우마르 이븐 사이드(Abû 'Umar ibn Sa'îd) 통치 시대인 1287년까지 무슬림들이 섬에 붙인 아랍식 이름이었다. 섬의 유일한 도시 중심지는 ''Madînat al Jazîra'' 또는 ''al Manûrqa''(현대 시우타델라)였다. 대부분의 인구는 부족 구조로 조직된 작은 농장 공동체에 살았다.

1231년, 기독교 세력이 마요르카를 점령한 후, 메노르카는 아라곤의 하이메 1세 왕에게 조공을 바치는 독립적인 이슬람 국가가 되는 것을 선택했다. 섬은 먼저 아부 우스만 사이드 하캄 알 쿠라시(Abû 'Uthmân Sa'îd Hakam al Qurashi, 1234~1282)가 통치했고,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아부 우마르 이븐 사이드(Abû 'Umar ibn Sa'îd, 1282~1287)가 통치했다.

카탈루냐-아라곤의 침략은 알폰소 3세(바르셀로나 백작 알폰스 2세로도 알려짐)가 이끈 1287년 1월 17일에 시작되었고, 그 기념일은 현재 메노르카의 국경일로 기념된다. 섬이 함락되자 대부분의 무슬림 주민들은 노예로 팔려 노예 시장인 이비사, 발렌시아 및 바르셀로나로 팔려갔고, 다른 이들은 기독교인이 되었다.[7]

1287년 기독교 정복 이후, 이 섬은 아라곤 왕관의 일부가 되었다. 한동안 마요르카 왕국(아라곤 왕관의 봉신국)에 할양되었지만, 1343년 아라곤 왕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 결국 아라곤 왕관은 카스티야 왕관과 통합되어 메노르카는 스페인의 일부가 되었다.

2. 2. 근세 ~ 현대



1713년 유트레흐트 조약으로 메노르카섬이 영국의 영토가 되자, 영국은 외국 비가톨릭교도의 이민을 적극 장려했다. 여기에는 주민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유대인도 포함되었다. 마혼(Mahon)의 유대인 공동체가 회당으로 사용할 방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성직자들로부터 고발당했다. 1781년 루이 드 발브 드 베르통 드 크릴롱, 마혼 공작이 메노르카섬을 침공했을 때, 그는 모든 유대인에게 4일 안에 섬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 당시 유대인 공동체는 약 5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4척의 스페인 배를 이용해 메노르카섬에서 마르세유 항구로 이송되었다.[6]

1756년 6월 29일 포트 세인트 필립 공격 및 함락


1798년 함락 후 정박 중인 영국 군함이 있는 메노르카섬의 포트마혼. 존 토마스 세레스 작


1708년 영국 해군에 의해 함락된 메노르카섬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영국의 영토가 되었다. 대영제국은 1713년 유트레흐트 조약의 제11조에 따라 메노르카섬을 공식적으로 할양받았다. 리처드 케인 총독 시대에 섬의 수도는 시우타데야에서 포트마혼으로 이전되었고, 그곳 항구에 해군 기지가 건설되었다.

1756년, 7년 전쟁 중 프랑스는 포트 세인트 필립 공성전과 영국의 구원 시도 실패 후 섬을 점령했다. 1763년 파리 조약에 따라 영국은 7년 전쟁에서의 영국의 승리 후 섬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1781년, 미국 독립 전쟁 중 영국은 프랑스와 스페인 연합군에 의해 두 번째로 패배했으며(메노르카 침공 (1781)), 1782년 1월 5일 스페인은 세인트 필립 성의 장기간 공성전 끝에 섬을 되찾았다. 영국은 이듬해 베르사유 조약에서 스페인에 섬을 할양했다. 메노르카는 1798년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영국에 의해 다시 한번 침략되었지만, 1802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스페인에 최종적으로 반환되었다. 창틀 창문과 같은 요소에서 볼 수 있듯이 영국의 영향은 여전히 지역 건축 양식에 남아 있다.

스페인 내전 당시 메노르카섬은 나머지 발레아레스 제도가 스페인 국민군을 지지한 반면, 스페인 제2공화국 정부에 충성을 유지했다. 섬 자체는 지상전을 치르지는 않았지만, 국민군을 지지하는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공습 표적이 되었다. 많은 메노르카 섬 주민들은 마요르카 섬 침공 실패 작전에 참여하여 목숨을 잃기도 했다. 페드로 마르케스 바버 시대(1936년 7월~12월)에는 일부 마요르카 섬 주민들과 한 명의 사제가 섬에서 처형되었다. 1939년 2월 미노르카 전투에서 국민군이 승리한 후, 영국 해군은 메노르카 섬에서 평화로운 권력 이양을 지원하고, 데번셔호를 통해 일부 정치 망명자들을 대피시켰다.

1993년 10월, 메노르카섬은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05년 7월에는 국제 섬 경기 연맹의 25번째 회원이 되는 신청이 승인되었다.

3. 지리

메노르카섬은 매우 평평하며,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토로 산(Monte Toro)으로 해발 358m이다. 섬에는 갈리(협곡), 동굴, 연못, 석호와 늪으로 이루어진 습지, 계절에 따라 물이 흐르는 하천, 계곡, 사구, 해안의 만, 절벽, 모래사장, 작은 섬 등 다양한 지형이 나타난다.

메노르카섬에는 60종의 고유종을 포함하여 장미과, 국화과 등 약 1000종의 식물이 서식한다. 유럽쇠오리, 흰꼬리수리, 붉은밀잣새 등 약 220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특히 동부의 알부페라 델 그라오 자연공원(Parque natural de la Albufera del Grao) 일대에 많이 분포한다. 1993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25] 섬의 북쪽 해안은 강풍이 부는 날이 많으며, 전원 풍경과 석축을 흔히 볼 수 있다.[25]

3. 1. 기후

발레아레스 제도의 주요 부분인 메노르카섬은 온화한 겨울과 더운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를 가지고 있다. 메노르카섬은 일반적으로 마요르카섬보다 강수량이 많으며, 강수량은 가을 후반에 최고조에 달한다. 연평균 최고 기온은 겨울 14°C에서 여름 29°C까지 다양하다. 해안 위치와 섬의 작은 크기로 인해 기온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메노르카섬 기후 자료 (마온 – 메노르카 공항, 해발 91m, 1981–2010년 평균, 1965–2017년 극값)[28][2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21.521.627.227.730.734.439.637.834.531.325.421.639.6
평균 최고 기온 (°C)14.114.215.918.021.625.828.929.226.222.718.115.220.8
평균 기온 (°C)10.810.812.314.317.821.824.925.422.619.414.912.117.2
평균 최저 기온 (°C)7.57.48.610.613.917.820.821.518.916.111.69.013.6
최저 기온 기록 (°C)-2.4-1.1-0.11.66.410.213.613.69.45.22.0-1.0-2.4
평균 강수량 (mm)52543845371432061788861546
평균 강수일수 (≥ 1mm)77664212578964
평균 일조 시간1441462022222703113473122251831421302632



메노르카섬 평균 해수 온도 및 자외선 지수[13][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해수 온도 (°C)14.613.814.115.718.722.224.425.825.122.920.417.119.4
평균 자외선 지수2356899864225.3


3. 2. 자연환경

메노르카섬에는 900종이 넘는 꽃피는 식물이 서식하며 야생화가 풍부하다. 많은 종이 지중해 지역의 전형적인 식물이지만, 고유종도 있다. 24종 또는 25종의 난초가 서식하며, 이 중 대부분은 3월 말, 4월, 5월 초에 꽃을 피운다.

클레오파트라, 알헨다르 협곡


메노르카섬에서는 30종의 나비가 기록되었으며, 대부분은 3월부터 9월 말까지 활동한다. 여기에는 클레오파트라(Cleopatra), 랑의 짧은꼬리 파랑나비(Lang's short tailed blue), 두꼬리 파샤(two-tailed pasha)가 포함된다.

대규모 습지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메노르카섬에는 잠자리가 풍부하다. 황제잠자리(emperor dragonfly)를 포함하여 17종이 기록되었다.

  • 메노르카섬 나비 목록
  • 메노르카섬 잠자리 목록

양서류는 세 종이 있다. 청개구리, 논개구리, 무줄개구리이다.

섬 전체에서 볼 수 있는 흔한 도마뱀은 이탈리아벽도마뱀이지만, 모로코바위도마뱀도 서식한다. 발레아레스 제도 고유종인 릴포드벽도마뱀는 많은 해안 섬에서 발견된다. 메노르카섬에서는 두 종의 도마뱀붙이가 발견되는데, 모리타니아도마뱀붙이와 터키도마뱀붙이 즉, 지중해집도마뱀붙이도 있다.

뱀은 네 종이 서식한다. 유럽물뱀, 유럽능구렁이, 가짜민뱀, 사다리뱀이다.

헤르만거북는 매우 흔하며 섬 전체에서 발견된다. 두 종의 늪거북도 있는데, 토종인 유럽못거북과 도입종인 미국 붉은귀거북이다.

메노르카섬의 조류는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메노르카섬은 많은 종의 이동 경로 상에 있으며, 봄에는 많은 통과 철새를 볼 수 있는 잘 관찰되는 섬이다.[23] 텃새로는 오듀앵갈매기(Audouin's gull), 푸른바위종다리(blue rock thrush), 테클라종다리(Thekla lark)가 있다. 황조롱이(Booted eagle)와 붉은밀잣새(red kite)는 서식지가 맞다면 이집트독수리(Egyptian vulture)처럼 쉽게 볼 수 있다. 여름에는 벌잡이새(bee-eaters)가 있으며, 메노르카섬에는 코리스슴새(Cory's shearwater)와 발레아레스슴새(Balearic shearwater)의 대규모 서식지가 있다.

메노르카섬에는 큰 토착 포유류가 없다. 토끼, 박쥐, 쥐, 족제비 및 북아프리카 고슴도치의 아종을 포함한 일부 작은 포유류가 있다.

마온 항


메노르카 섬은 매우 평평한 섬으로, 최고봉인 토로 산(Monte Toro)의 해발 고도는 358m이다. 섬에는 갈리(ガリ), 동굴, 연못, 석호와 늪으로 이루어진 습지, 계절별 하천, 계곡, 사구, 해안의 만, 절벽, 사빈, 작은 섬 등 다양한 지형이 있으며, 60종의 고유종을 포함한 약 1000종의 식물(장미과, 국화과 등)이 서식하고 있다. 유럽쇠오리, 흰꼬리수리, 붉은밀잣새 등 약 220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동부의 알부페라 델 그라오 자연공원(Parque natural de la Albufera del Grao) 일대에 많다. 1993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25]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이며, 연평균 기온은 약 17℃이다. 특히 북쪽 해안에서는 강풍이 부는 날이 많다. 섬에는 전원 풍경이 펼쳐져 있으며, 석축 등을 흔히 볼 수 있다.[25]

4. 문화



메노르카섬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4] 5세기 주교인 세베루스의 「유대인 개종에 관한 편지」에는 서기 418년 섬의 유대인 남녀 540명이 강제 개종당했다는 내용이 나온다.[5] 테오도르를 포함한 여러 유대인들은 세례를 받았다. 테오도르는 동료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모두에게 존경받는 부유한 유대인 대표였다. 개종 행위는 이전까지 평화롭게 공존하던 공동체 내에서 지배적인 유대인 엘리트 계층을 황량한 오지로 추방하고, 시나고그(회당)를 소각하는 등, 기독교를 강제로 받아들이게 한 사건이다. 이후 일부 유대인 가족들은 점진적으로 복귀하여 이미 사망하지 않은 유대인 가족들의 생존을 허용했다.[4] 많은 유대인들은 겉으로는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면서도 은밀히 유대교 신앙을 유지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슈에타(Xueta) 공동체를 구성한다.

1713년 메노르카섬이 영국의 영토가 되자 영국은 외국 비가톨릭교도의 이민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는데, 여기에는 주로 기독교인인 주민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유대인도 포함되었다. 마혼의 유대인 공동체가 회당으로 사용할 방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성직자들로부터 고발당했다. 1781년 루이 드 발브 드 베르통 드 크릴롱, 마혼 공작(Louis des Balbes de Berton de Crillon, duc de Mahon)이 메노르카섬을 침공했을 때, 그는 모든 유대인들에게 4일 안에 섬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 당시 유대인 공동체는 약 5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4척의 스페인 배를 이용해 메노르카섬에서 마르세이유 항구로 이송되었다.[6]

지중해 서부 한가운데 위치한 메노르카섬은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이 발레아레스 제도의 섬은 식민지 시대와 현지 건축 양식이 어우러져 있다.

4. 1. 전통 축제

메노르카섬은 특히 여름의 전통 축제 "페스테스(festes)"로 유명하며,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15] 성 요한 축제는 매년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시우타델라 데 메노르카에서 열린다. 페스테스는 사흘 동안 이어진다. 첫째 날에는 잘 손질된 양을 어깨에 진 사람이 마을 거리를 행진한다. 저녁 늦게는 주요 도로가 폐쇄되고 그 위에서 모닥불이 피워진다.

축제에서 카이셰르가 타는 미노르카 말


둘째 날에는 현지에서 사육되는 검은색 말에 리본과 로제트를 장식한다. 기수, 혹은 "카이셰르(caixer)"라 불리는 사람들은 말을 타고 거리를 행진하며, 흥분한 군중과 함께 말들이 뒷발로 일어서도록 부추긴다. 용감한 사람들은 말의 심장에 행운을 빌며 말들 아래를 달려 지나가려 한다.

셋째 날에는 기수들 사이에 장난스러운 형태의 훈련이 벌어지는데, 상당한 속도로 창으로 공중에 매달린 고리를 찌르는 경쟁을 벌인다. 페스테스는 불꽃놀이로 막을 내린다.

섬 곳곳의 마을에서는 여름 내내 '페스테스(festes)'가 열리는데, 그 기원은 14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15] 마혼에서는 국제 오페라 위크와 국제 오르간 축제가, 시우타델라 데 메노르카에서는 여름 음악 축제와 카펠라 다비디카 콘서트가 섬의 주요 행사이다.

4. 2. 언어

메노르카섬의 공식 언어는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이다.[18] 섬 주민들은 메노르카 방언인 ''Menorquí''와 스페인어를 사용하며, 본토 출신 주민들 중에는 스페인어만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교육 및 행정 언어는 카탈루냐어이며, 스페인어도 함께 가르친다.

2014년 발레아레스 제도 정부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5%가 카탈루냐어 사용자, 36.7%가 스페인어 사용자, 7.7%가 두 언어 모두 사용하는 이중언어 사용자라고 응답했다.[19]

메노르카섬에서 사용되는 카탈루냐어 방언은 ''Menorquí''로 알려져 있다. ''Menorquí''와 표준 카탈루냐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대부분의 발레아레스 제도 방언과 마찬가지로 정관사 "the"의 사용이다. ''Menorquí''는 남성 명사에는 "es", 여성 명사에는 "sa"를 사용한다. 따라서 ''Menorquí''의 정관사는 표준 카탈루냐어의 "el"과 "la"(스페인어 ''el'', ''la'', 이탈리아어 ''il'', ''la'' 와 유사하며, 다른 로망스어와 비슷하다)와는 달리, 사르데냐어의 여러 방언(남성 단수 ''su'', 여성 단수 ''sa'')과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카탈루냐의 코스타 브라바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형태와 일치하며, 이 지역에서 무어인으로부터 섬이 재정복된 후 섬이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고 추정된다.

''Menorquí''에는 영국 통치 시대부터 유래한 "grevi", "xumaquer", "boinder", "xoc" 등의 영어 차용어도 몇 가지 있다. 이는 각각 "gravy", "shoemaker", "bow window", "chalk"에서 유래한 것이다.[20]

4. 3. 음식

메노르카의 요리는 지중해식 식단을 기반으로 하며, 매우 건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지 주민들 중 많은 수가 현대적인 태도를 받아들였지만 여전히 옛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16]

와인 생산은 고대부터 이 섬에서 알려져 왔지만, 지난 세기 동안 크게 감소했다. 현재 몇몇 새로운 소규모 와이너리가 생겨나서 현지에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잔존하는 영국식 영향은 메노르카 사람들의 에 대한 취향에서 볼 수 있는데, 마을의 수호성인을 기리는 현지 축제(festes) 기간에는 레모네이드(또는 쓴 레몬)와 섞어 ''포마다(Pomada)''라고 알려진 황금빛 액체를 만든다. 메노르카산 진은 곡물 알코올이 아니라 와인 알코올( 와인 오 드 비(eau de vie de vin))에서 유래하여 브랜디와 더 유사하다. 이 진은 지리적 표시 보호를 받는 특징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진은 긴 쏘리게르(Gin Xoriguer)인데, 이는 최초의 진을 만들 때 사용되었던 전형적인 메노르카 풍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긴 쏘리게르는 긴 드 미노르카(Gin de Minorca) 또는 긴 드 마온(Gin de Mahón)으로도 알려져 있다.

마요네즈는 이 섬의 수도인 마혼 항(Port Mahon)에서 이름이 유래했다고 여겨진다. 이 이론에 따르면, 1756년 프랑스 요리사가 마혼 항 점령 후 승리 축제의 일환으로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크림과 계란을 섞어 소스를 만들었으나, 프랑스 요리사는 크림 대신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마요네즈를 만들었다. 마요네즈라는 이름은 이 섬의 수도인 마혼에서 유래했다.[21] [22]

마온 치즈("formatge de Maó")와 플라온(flaons)으로 알려진 과자류는 메노르카의 대표적인 미식 제품이다.

메노르카섬의 대표적인 진인 긴 쏘리게르(Gin Xoriguer) 병. 레모네이드와 섞어 마시는 경우가 매우 많다.

5. 스포츠

메노르카섬은 작은 섬이기 때문에 최상위 수준의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기회가 제한적이다. 메노르카섬의 축구는 스페인 축구 피라미드의 5부 리그에서 진행된다. 현재 메노르카 지역 프레페렌테에는 11개의 클럽이 참가하고 있으며, 우승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 그룹 XI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이 플레이오프의 우승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며, 마지막으로 승격한 메노르카 클럽은 2009년 CF 스포르팅 마호네스였다.

CV 시우타델라는 스페인 배구 최상위 리그인 수페르리가 페메니나에서 활동하는 여자 프로 배구단으로, 2011년과 2012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시우타델라에 있는 파벨료 무니시팔 데스포르츠에서 경기를 치른다.

CB 메노르카는 스페인 농구 3부 리그인 LEB 플라타에서 활동하는 준프로 농구단이다. 홈 경기장은 마오 외곽 빈타우파 지역에 있는 파벨료 메노르카이다.

최근 몇 년 동안 트라이애슬론 경기인 익스트림 맨 메노르카와 단판식 울트라마라톤 경기인 트레일 메노르카 카미 드 카발스와 같이 수백 명의 참가자를 모으는 스포츠 이벤트가 매년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14년 메노르카섬이 2019년 제18회 섬 경기를 개최한다고 발표되었으나, 메노르카섬은 이후 정부의 변화를 주요 이유로 들어 개최를 취소했다.[17]


  • 메노르카 바스켓(Menorca Bàsquet) - 농구 클럽. 2012년 해산.
  • 포뮬러 원(Formula 1) - 2007년경부터 2009년경까지 메노르카섬의 산 루이스 공항(San Luis Airport)에서는 맥라렌 F1(McLaren F1), 스크데리아 페라리(Scuderia Ferrari), 르노 F1(Renault F1), 토요타 F1(Toyota F1), 혼다 F1(Honda F1), BMW 자우버(BMW Sauber)가 직선 공기역학 테스트를 실시했다. 영국 요크주 엘빙턴 공항 활주로를 이용한 테스트 주행이 2007년경 소음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2009년 이후로는 시즌 중 테스트 주행 자체가 금지되어 있다. 메노르카섬의 주요 공항은 메노르카 공항(Aeropuerto de Menorca)이다.
  • 메노르카 축구 대표팀 - 국제 아일랜드 게임즈 협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아일랜드 게임즈의 축구 경기에 2007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6. 행정 구역

(km2)2001년 11월 1일 인구 조사2011년 11월 1일 인구 조사2021년 1월 1일 인구 조사2023년 1월 1일 추정 인구시우타델라 데 메노르카(Ciutadella de Menorca)186.323,10329,51030,76631,669페레레스(Ferreries)66.14,0484,6674,9035,056에스 메르카달(Es Mercadal)138.33,0895,2925,4745,927에스 미그조른 그란(Es Migjorn Gran)31.41,1671,5201,5121,558알라이오르(Alaior)109.97,1089,4509,6869,879마호 시(Port Mahon) (Maó)117.223,31528,78929,64830,006에스 카스텔(Es Castell)11.76,4247,8957,6887,763산트 루이스(Sant Lluís)34.83,2707,2757,0567,147합계695.771,52494,39896,73399,005


7. 정치

메노르카 섬 의회 의원 (1978년 이후)

|-

! 선거

! 의석 분포

! colspan="2"|의장

|-

| align=center|1979[24]

|

12261



| 프란세스크 투초 베나사르 (UCD)

|

|-

| align=center|1983

|

2514



| 티르소 폰스 (PSIB–PSOE)

|

|-

| align=center|1987

|

2515



| 티르소 폰스 (PSIB–PSOE)

|

|-

| rowspan="2" align=center|1991

| rowspan="2" |

256



| 알베르트 모라게스 (PSIB–PSOE)

|

|-

| 후안 우게 (PP)

|

|-

| rowspan="2" align=center|1995

| rowspan="2" |

1147



| 후안 우게 (PP)

|

|-

| 크리스토폴 트라이 (PP)

|

|-

| align=center|1999

|

1156



| rowspan="2" | 호아나 바르셀로 (PSIB–PSOE)

|

|-

| align=center|2003

|

166



|-

| rowspan="2" align="center" |2007

| rowspan="2" |

166



| 호아나 바르셀로 (PSIB–PSOE)

|

|-

| 마르크 폰스 (PSIB–PSOE)

|

|-

| align=center|2011

|

148



| 산티아고 타데오 (PP)

|

|-

| rowspan="2" align=center|2015

| rowspan="2" |

2335



| 마이테 살로드 (MpM)

|

|-

| 수사나 모라 (PSIB–PSOE)

|

|-

| align=center|2019

|

13414



| 수사나 모라 (PSIB–PSOE)

|

|-

| align=center|2023

|

2461



| 아돌포 빌라프랑카 (PP)

|

|}

8. 교통

메노르카섬에는 섬 전체를 도는 여러 도로가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도로는 마혼에서 시우타델라까지 이어지는 ME-1 고속도로이다. 메노르카섬에는 버스 노선도 많지만, 대부분 관광객 수요에 따라 여름에만 운행된다. 가장 중요한 노선은 01번 노선으로, 에스 카스텔(Es Castell)과 산트 류이스(Sant Lluís)를 제외한 모든 시정촌을 통과하며 ME-1 고속도로를 따라 운행된다.

9. 세계유산

메노르카섬에는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 후기까지 지하 묘소(Hypogeum), 타라요트(Talaiot), 타우라(Taula), 나베타(Naveta), 원형 건물, 다주식 건축(Hypostyle) 등 많은 거석 구조물이 있다. 이러한 타라요트 문화(Talaiotic culture)의 고고학 유적군은 202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26]

참조

[1] 간행물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Madrid 2023
[2] 웹사이트 Knossos fieldnotes http://www.themodern[...] 2007
[3] 서적 The Shores and Islands of the Mediterranean R. Bentley 1851
[4] 서적 Living Together, Living Apart: Rethinking Jewish-Christian Relations in the Middle Ag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 서적 Severus of Minorca: Letter on the Conversion of the Jew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 서적 Minorca, the Illusory Prize: A History of the British Occupations of Minorca between 1708 and 1802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Inc 1990
[7] 학술지 The Last Muslims in Italy 2007
[8]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1993
[9] 웹사이트 Llatzeret (Maó) https://ca.wikipedia[...]
[10] 서적 The Foreign Burial of American War Dead https://play.google.[...] McFarland 2011
[11]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5-11
[12]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Extremo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7-12
[13] 웹사이트 Menorca Sea Temperature https://www.seatempe[...] seatemperature.org 2017-12-14
[14] 웹사이트 Ciutadella de Menorca, Spain – Monthly weather forecast and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17-12-14
[15] 웹사이트 Fiestas Mean Summertime in Menorca https://www.menorca.[...]
[16] 웹사이트 Minorca Geography – Information, climate and weather in Minorca http://www.minorca.c[...] 2009-03-31
[17] 뉴스 Island Games: Menorca pull out of hosting 2019 event https://www.bbc.co.u[...] BBC Sport 2015-07-06
[18] 법률 Statute of Autonomy of the Balearic Islands, Article 4 2007
[19] 뉴스 Las Pitiusas son las islas de Balears en las que menos se conoce y se usa el catalán http://www.diariodei[...] Diario de Ibiza 2017-08-13
[20] 웹사이트 Menorquin English words. https://www.menorcab[...] 2018-06-17
[21] 서적 The Food Chronology https://archive.org/[...] Henry Hold and Company 1995
[22] 웹사이트 The Interesting History of Mayonnaise https://cheflerfoods[...] Cheflerfoods 2022-08-27
[23] 웹사이트 Migrant Birds of Menorca https://bartleholida[...] 2019-04-24
[24] PDF https://ibdigital.ui[...] 2024-08
[25] 웹사이트 Menorca Biosphere Reserve, Spain https://en.unesco.or[...] 2020-05
[26] 웹사이트 Prehistoric Sites of Talayotic Menorca https://whc.unesco.o[...]
[27] 웹사이트 マヨネーズ誕生物語 http://www.kewpie.co[...] キユーピー
[28]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5-11
[29]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Extremo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1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