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아레스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레아레스 제도는 스페인 지중해에 위치한 섬들로,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자, 포르멘테라를 포함하며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고대 시대부터 뛰어난 투석기 기술로 유명했으며, 로마 제국, 반달족, 아랍인 등의 지배를 거쳐 아라곤 왕국에 병합된 후 스페인에 흡수되었다. 지중해의 전략적 위치로 인해 영국과 프랑스 등 열강의 각축장이 되기도 했다. 1978년 자치주가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8명의 주지사가 행정 수반을 역임했다. 주요 산업은 관광업이며, 독특한 문화와 카탈루냐어,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지역 요리, 스포츠, 다양한 해상 교통 수단, 고유한 동식물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군도 - 카나리아 제도
카나리아 제도는 아프리카 북서쪽 해안의 대서양에 위치한 스페인 자치 지방의 군도로,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7개의 주요 섬과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의 섬'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고, 원주민 관체인은 스페인에 동화되었으며, 유럽 연합 최외곽 지역 중 하나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고,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테이데 산이 있다. - 스페인의 군도 - 온스섬
스페인 폰테베드라 지방의 리아 데 비고 입구에 있는 온스섬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가진 관광 명소로, 갈리시아 대서양 도서 국립공원에 속해 자연 유산 보존과 생물 다양성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해변, 등대, 하이킹, 해양 액티비티 등의 관광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 카탈루냐어권 - 안도라
안도라는 피레네 산맥 동부에 위치한 산악 국가로,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에 있으며, 1993년 헌법 제정 이후 우르젤 주교와 프랑스 대통령을 공동 군주로 하는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카탈루냐어권 - 알게로
알게로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제노바, 아라곤 왕국, 사보이 가문의 지배를 거쳐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으로 발전했고, 현재는 산호, 관광, 교통의 요충지로 경제적 중요성을 지닌다.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살라망카 (마드리드)
살라망카는 1860년 마드리드 확장 계획으로 조성되어 호세 데 살라망카 후작의 이름을 딴 마드리드의 부유한 지역으로, 고급 주택과 상업 시설, 주요 거리, 외국 대사관, IE 비즈니스 스쿨 등이 위치하며 보수 성향을 띤다.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칸타브리아주
칸타브리아주는 스페인 북부의 자치 지역으로, 험준한 산맥과 리아스식 해안의 지형, 다채로운 역사, 풍부한 자연 및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탄데르를 중심으로 경제와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102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자치 정부를 운영한다.
발레아레스 제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
유형 | 자치 지방 및 도 |
수도 | 팔마 |
가장 큰 도시 | 팔마 |
속한 주 | 발레아레스 제도 |
공용어 |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
정부 형태 | 헌법 군주제 하의 권한 위임 정부 |
정부 기구 | 발레아레스 제도 정부 |
입법부 | 발레아레스 제도 의회 |
자치 정부 수반 | 마르가 프로헨스 (PP) |
하원 의석수 | 8 |
상원 의석수 | 7 |
형성 | 1276 (마요르카 왕국) 1715 (누에바 플란타) 1833 (역사적 지역) |
자치 헌장 | 1983년 (첫 번째 자치 헌장) 2007년 (두 번째 자치 헌장 - 현행) |
면적 | |
면적 순위 | 17위 |
총 면적 | 5,040 km² |
인구 | |
인구 순위 | 12위 |
추정 인구 (2023년) | 1,209,906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주민 | 발레아레스 ; , -a (카탈루냐어) ; , -a (스페인어) |
경제 | |
GDP 순위 | 12위 |
GDP (2022년) | 354억 6,500만 유로 |
1인당 GDP | 29,603 유로 |
1인당 GDP 순위 | 6위 |
인간 개발 지수 | |
HDI (2021년) | 0.879 |
HDI 순위 | 매우 높음 · 13위 |
시간대 | |
시간대 | CET (UTC+1) |
일광 절약 시간 | CEST (UTC+2) |
기타 | |
우편 번호 접두사 | 07XXX (IB) |
ISO 코드 | ES-IB |
통화 | 유로 (€) |
전화 코드 | +34 971 |
기념일 | 3월 1일 |
공식 웹사이트 | caib.es |
2. 역사
고대 발레아레스 제도는 뛰어난 투석기 기술을 가진 용병(傭兵)의 출신지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등에서 그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로마 제국 지배 이후 반달족, 동로마 제국, 아랍인 세력, 아라곤 왕국 등으로 소유주가 바뀌었다. 아라곤 왕국은 이 지역에 있던 마요르카 왕국을 속국으로 지배했지만 1344년에 병합, 이후 스페인에 흡수되었다.
근대 이후 지중해의 관문에 위치한 지정학적 이유로 영국과 프랑스 등이 관심을 보였고, 스페인이 참전한 전쟁에서는 종종 이 제도를 둘러싸고 해전이 벌어졌다. 메노르카섬은 18세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영국에 점령되어 우트레히트 조약에 따라 지브롤터와 함께 영국에 귀속되었다. 그러나 7년 전쟁 중 미노르카섬 해전에서 프랑스가 점령했고, 이후 스페인이 탈환했다. 1802년 아미앵 조약에 따라 스페인에 반환되었다.
2. 1. 고대
발레아레스 제도에 사람이 거주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3천년경, 기원전 2500년에서 2300년 사이 이베리아 반도 또는 남부 프랑스에서 온 벨비커 문화와 관련된 사람들에 의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1][22]고대 시대 동안 섬 주민들에 대해서는 기록이 거의 없지만, 많은 전설이 전해진다. 리코프론이 보존한 이야기에 따르면, 난파된 그리스 보이오티아인들이 섬에 알몸으로 표착했는데, 이는 짐네시아(Gymnesiae, Γυμνήσιαι|귐네시아이grc)라는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그리스인들이 여름철에 주민들이 알몸(γυμνοί)이었기 때문에 섬을 짐네시아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23] 또한 트로이 전쟁 후 로도스가 이 섬들을 식민지화했다는 전통도 있다.[12]
섬 주민들은 매우 혼합된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이한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묘사된다. 어떤 사람들은 일년 내내 알몸으로 지냈고(이것이 섬 이름의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하는 민속어원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여름에만 알몸으로 지냈으며, 또 어떤 사람들은 페니키아인이 도착하여 넓은 테두리가 있는 튜닉을 제공할 때까지 양가죽만 입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주민들은 움푹 들어간 바위와 인공 동굴에 살았고, 남자들은 여자를 매우 사랑하여 한 여자를 몸값으로 치르기 위해 세 명이나 네 명의 남자를 거래했다. 금이나 은화가 없었고 귀금속의 수입을 금지했기 때문에 용병으로 복무하는 사람들은 돈 대신 포도주와 여자로 급여를 받았다고 한다. 로마의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로마 관찰자들이 특이하다고 생각한 그들의 결혼과 장례 관습(제6권 5장)을 묘사했다.

고대에 짐네시아 제도(''Illes Gimnèsies'')의 섬 주민들은 탈라요트를 건설했고, 스링 기술로 유명했다. 스링어로서 그들은 먼저 카르타고인들 휘하에서, 그 후 로마인들 휘하에서 용병으로 복무했다. 그들은 허리띠를 매지 않고 작은 방패와 끝이 불에 탄 창(Fire hardening),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작은 철촉이 달린 창을 가지고 전투에 임했다. 하지만 그들의 효과적인 무기는 스링이었는데, 각자 세 개의 스링을 가지고 다녔다. 스트라보(p. 168)와 유스타티우스에 따르면 머리에 감았으며, 다른 자료(디오도로스)에 따르면 머리에 하나, 몸에 하나, 손에 하나를 들고 있었다. 세 개의 스링은 크기가 다른 돌을 사용하기 위해 길이가 달랐다. 가장 큰 돌은 투석기로 던진 것처럼 힘차게 던졌으며, 거의 표적을 놓치지 않았다. 이들은 용병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유년기부터 훈련받았으며, 어머니들은 아이들이 스링으로 기둥에서 빵을 쳐서 떨어뜨릴 때만 빵을 먹게 했다고 한다.[24]
페니키아인들은 매우 초기 시대에 섬을 점령했다.[25] 그들의 식민지화의 주목할 만한 흔적은 메노르카 섬의 마오 마을에 보존되어 있다.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 멸망 후 섬들은 사실상 독립적인 것으로 보인다. 전쟁에서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조용하고 해가 없었다.[26] 그러나 로마인들은 그들을 지중해 해적과 공모했다는 구실을 쉽게 찾아, 기원전 123년 Q.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에게 정복되었고, 그는 발레아리쿠스라는 별명을 얻었다.[27] 메텔루스는 더 큰 섬에 3,000명의 로마와 스페인 식민자들을 정착시키고 팔마와 폴렌티아 도시를 건설했다.[28] 섬들은 로마 제국 아래 카르타고 노바(현재의 카르타헤나)의 콘벤투스에 속했으며, 속주인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에 속해 있었다. 이 속주의 네 번째 지역을 형성하며, 레가투스 총독의 통치를 받았다. 네로 시대의 비문은 PRAEF. PRAE LEGATO INSULAR. BALIARUM을 언급한다. 그 후 콘스탄티누스 치하 제국의 분할에서 아마도 히스파니아 발레아리카라는 별도의 속주가 되었을 것이다.[29]
두 개의 가장 큰 섬(역사적 의미에서의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입구가 험준하고 입항에 주의가 필요했지만, 수많은 우수한 항구가 있었다(스트라보, 유스타티우스; 포트 마혼은 세계 최고의 항구 중 하나이다). 두 섬 모두 포도주와 올리브 오일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에서 매우 비옥했다.[30] 특히 작은 섬의 노새로 유명한 가축으로 유명했고, 엄청난 수의 토끼가 있었으며 모든 독사가 없었다.[31] 로마인들이 식량으로 여겼던 달팽이 중에는 동굴에서 사육되었기 때문에 cavaticae|카바티카이la라고 불리는 발레아레스 제도산 종류가 있었다.[32] 그들의 주요 광물 생산물은 화가들이 사용했던 sinope|시노페la라고 불리는 붉은 흙이었다.[33] 그들의 수지와 피치는 디오스코리데스에 의해 언급된다.[34] 디오도로스는 두 섬의 인구를 30,000명으로 언급한다.
스페인 동쪽 지중해의 발레아레스 제도 주변 지역은 Mare Balearicum|마레 발레아리쿰la[35] 또는 Sinus Balearicus|시누스 발레아리쿠스la[36]라고 불렸다.
2. 2. 중세
반달족의 겐세리크 지휘 아래, 461년에서 468년 사이에 로마 제국과의 전쟁 중에 발레아레스 제도가 정복되었다. 그러나 533년 말이나 534년 초, 아드 데키무스 전투 이후 벨리사리우스의 군대가 로마인들을 위해 섬들을 다시 장악했다. 698년 카르타고와 아프리카 총독령이 우마이야 칼리파에 함락되면서 서지중해의 제국 권력은 급격히 약해졌고, 707년에는 섬들이 우마이야 함대의 조건에 항복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전통과 종교, 그리고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명목상 비잔티움과 우마이야 양쪽에 속했던 이 섬들은 사실상 독립적인 상태였다. 번영했던 이 섬들은 859년에서 862년 사이에 스웨덴의 바이킹 왕 비요른 철측과 그의 형제 하스테인이 지중해를 침략하는 동안 철저히 약탈당했다.902년, 섬이 해적 기지로써 광범위하게 이용되자 코르도바 에미르국이 침략하여 섬을 자국 영토에 편입했다. 그러나 코르도바 에미르국은 11세기 초 내전과 분열로 붕괴되어 ''타이파''라고 불리는 더 작은 국가들로 나뉘었다. 데니아 타이파의 통치자 무자히드 알-시클라비는 1015년에 섬을 장악하고 이곳을 사르데냐와 피사로의 이후 원정의 기지로 사용했다. 1050년, 섬의 총독 압드 알라 이븐 아글랍이 반란을 일으켜 독립적인 마요르카 타이파를 세웠다.
수 세기 동안 발레아레스 제도의 선원과 해적들은 서지중해의 지배자였다. 그러나 이탈리아 해양 공화국의 세력 확장과 이베리아 반도의 지배권이 무슬림 국가에서 기독교 국가로 이동하면서 섬들은 취약해졌다. 1113년 십자군이 시작되었다. 우고 다 파를라시오 에브리아코와 대주교 피에트로 모리코니(피사 공화국)의 지휘 아래, 이 원정에는 420척의 함선, 대규모 군대, 그리고 파스칼 2세 교황의 특사가 포함되었다. 피사인들 외에도 이 원정에는 피렌체, 루카, 피스토이아, 로마, 시에나, 볼테라 등 이탈리아 도시들과 사르데냐, 코르시카의 병력이 참여했다. 라몬 베렝게르 3세, 엠푸리아스의 위그 2세, 카르도나의 라몬 폴크 2세 휘하의 카탈루냐 군대는 스페인에서, 오크시타니아의 몽펠리에의 빌렘 5세, 나르보나의 에메리 2세, 보의 레이몽 1세 휘하의 병력은 프랑스에서 왔다.
십자군은 1115년 팔마를 약탈하고 섬들을 대체로 정복하여 해양 강국으로서의 시대를 끝냈지만, 이후 철수했다. 1년 만에 황폐해진 섬들은 베르베르의 알모라비드 왕조에 정복되었다. 알모라비드 왕조는 1147년 알모하드 왕조에 의해 정복당하고 몰락했다. 알모라비드 왕위 계승자인 무함마드 이븐 가니야는 팔마로 도망쳐 그곳에 수도를 세웠다. 그의 왕조인 바누 가니야는 알모하드 왕조로부터 왕국을 회복하기 위해 동맹을 찾았고, 이는 제노바와 피사에 섬에서 최초의 상업적 특권을 부여하게 되었다. 1184년, 이프리키야를 탈환하기 위한 원정이 파견되었으나 패배로 끝났다. 보복을 두려워한 발레아레스 주민들은 알모라비드 왕조에 반기를 들고 1187년 알모하드 왕조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다.

1229년 마지막 날, 아라곤의 하이메 1세 국왕은 3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팔마를 함락시켰다. 마요르카의 나머지 지역도 빠르게 함락되었다. 메노르카는 1232년에, 이비자는 1235년에 함락되었다. 1236년, 하이메 1세는 섬 대부분을 우르젤 백작 페드로 1세에게 넘겼고, 우르젤을 자신의 왕국에 편입시켰다. 페드로 1세는 팔마에서 통치했지만, 1258년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섬들은 아라곤 왕관에 반환되었다.
하이메 1세는 1276년에 사망했고, 그의 유언에 따라 그의 영지를 아들들에게 분할했다. 유언은 발레아레스 제도와 루시옹 또는 몽펠리에의 본토 백작령으로부터 새로운 마요르카 왕국을 건설했고, 이는 그의 아들 마요르카의 하이메 2세에게 상속되었다. 그러나 유언의 조건은 새로운 왕국이 그의 형인 아라곤의 페드로 3세에게 상속된 아라곤 왕관의 봉신국이 되도록 명시했다. 봉신 관계에 불만을 품은 하이메 2세는 교황 마르티누스 4세와 프랑스의 필리프 3세와 연합하여 그의 형제에 대항하여 아라곤 원정에 참여했고, 1295년 아나니 조약 이전 10년간의 아라곤 점령으로 이어졌다. 왕국 간의 긴장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되었고, 마침내 하이메 2세의 손자인 마요르카의 하이메 3세는 페드로 3세의 손자인 아라곤의 페드로 4세의 침략군에 의해 1349년 류크마요르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 후 발레아레스 제도는 아라곤 왕관에 직접 편입되었다.
2. 3. 근현대
1469년,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가 결혼했다. 두 사람이 사망한 후, 그들의 영토는 손자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 의해 공동으로 통치되었다. 이는 현대 스페인 국가의 기초로 간주될 수 있다.[37]발레아레스 제도는 북아프리카 출신의 오스만 제국과 바르바리 해적의 잦은 공격을 받았다. 포르멘테라는 심지어 주민들이 일시적으로 버리고 떠나기도 했다. 1514년, 1515년, 그리고 1521년에, 발레아레스 제도와 스페인 본토의 해안은 오스만 해군의 사략선 함대 사령관 하이레딘 바르바로사의 지휘 아래 터키 사략선들의 습격을 받았다. 발레아레스 제도는 1558년 오스만 제국 코르세어 튀르귈트 레이스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4,000명의 사람들이 노예로 끌려갔다.[37]
메노르카섬은 1713년 우트레히트 조약에 따라 18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대영제국의 속령이었다. 이 조약으로 지브롤터와 메노르카는 대영제국에, 사르데냐는 오스트리아에, 시칠리아는 사보이아 왕가에 할양되었다. 메노르카 섬은 1756년 프랑스군에 함락되어 7년 전쟁 기간 동안 점령되었다.
영국은 전쟁 후 섬을 재점령했지만, 미국 독립 전쟁으로 군사력이 분산됨에 따라 7개월간의 포위 공격(1781~1782) 끝에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에게 함락되었다. 스페인은 1783년 파리 조약에 따라 메노르카를 유지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스페인이 프랑스의 동맹국이 되자, 메노르카는 프랑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메노르카는 아미앵 조약에 따라 마지막 영국 점령(1798년부터 1802년까지) 이후 마침내 스페인에 반환되었다. 그러나 영국 해군의 지속적인 존재는 나폴레옹 전쟁 동안 발레아레스 제도가 프랑스에 점령되지 않도록 했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이어진 스페인 내전에서 이 섬들은 제한적인 전투를 경험했다. 메노르카섬과 포르멘테라섬은 공화정부에 충성을 유지했지만, 나머지 발레아레스 제도는 스페인 국민파를 지지했다. 공화파는 전쟁 초기에 이비사섬을 탈환했지만, 1936년 8월 마요르카 전투에서 마요르카섬을 장악하지 못했다. 전투 후 국민파는 1936년 9월 이비사섬을 재탈환했다. 메노르카섬은 메노르카 전투 이후인 1939년 2월 국민파에 점령당했다.
3. 지리
발레아레스 제도는 발레아레스 곶이라 불리는 융기된 지형 위에 있으며, 지각 융기에 의해 형성되었다. 북서-남동 방향의 단층들이 이 지역을 여러 갈래로 나누고 있다.[14][15] 이웃 국가로는 남쪽의 알제리, 서쪽의 스페인 카탈루냐와 발렌시아 지방, 북쪽의 프랑스 남부, 동쪽의 프랑스 코르시카와 이탈리아 사르데냐가 있다. 발레아레스 제도 주는 스페인의 어떤 주보다도 가장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길이는 1428km이다.
발레아레스 전선은 발레아레스 제도 북쪽의 대륙붕 사면에 있는 해양 밀도 체계로, 발레아레스 해의 일부 표층 흐름 특성을 담당한다.[16]
3. 1. 주요 섬

이 자치 지역의 주요 섬으로는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자, 포르멘테라가 있으며, 모두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작은 섬들 중에는 카브레라 군도 해양-육상 국립공원이 있는 카브레라가 있다.
섬들은 짐네시안 제도(마요르카, 메노르카, 카브레라)와 피튜시안 제도(이비자와 포르멘테라, 카탈루냐어 공식 명칭)로 나뉜다. 피튜시안 제도는 영어로 비공식적으로 파인 제도(Pine Islands)라고도 불린다. 에스 코닐스, 에스 베드라, 사 코닐레라, 드라고네라, 세스팔마도르, 세스파르델, 세스 블레데스, 산타 에울라리아, 플라나, 포라다다, 타고마고, 나 레도나, 콜롬, 엘 에어레 등과 같이 많은 작은 섬이나 섬들이 가장 큰 섬들 근처에 있다.
thumb
3. 2. 기후
지중해 서쪽에 위치한 발레아레스 제도는 대부분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 (여름 고온형)(쾨펜: Csa)를 보이며, 마요르카 섬의 일부 고지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 (여름 온난형)(쾨펜: Csb)를 나타낸다. 반건조 기후(쾨펜: BSh 및 BSk) 또한 발레아레스 제도, 특히 이비자섬과 포르멘테라 섬, 그리고 마요르카 섬 남부에서 발견된다.[17]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팔마, 항구[60] | |||||||||||||
평균 최고 기온 (°C) | 15.4 | 15.5 | 17.2 | 19.2 | 22.5 | 26.5 | 29.4 | 29.8 | 27.1 | 23.7 | 19.3 | 16.5 | 21.8 |
평균 기온 (°C) | 11.9 | 11.9 | 13.4 | 15.5 | 18.8 | 22.7 | 25.7 | 26.2 | 23.5 | 20.2 | 15.8 | 13.1 | 18.2 |
평균 최저 기온 (°C) | 8.3 | 8.4 | 9.6 | 11.7 | 15.1 | 18.9 | 21.9 | 22.5 | 19.9 | 16.6 | 12.3 | 9.7 | 14.6 |
강수량 (mm) | 43mm | 37mm | 28mm | 39mm | 36mm | 11mm | 6mm | 22mm | 52mm | 69mm | 59mm | 48mm | 449mm |
평균 강수일수 (≥ 1mm) | 6 | 6 | 5 | 5 | 4 | 2 | 1 | 2 | 5 | 7 | 6 | 7 | 53 |
평균 일조시간 | 167 | 170 | 205 | 237 | 284 | 315 | 346 | 316 | 227 | 205 | 161 | 151 | 2779 |
이비자 공항[61] | |||||||||||||
평균 최고 기온 (°C) | 15.7 | 15.9 | 17.7 | 19.7 | 22.7 | 26.8 | 29.7 | 30.3 | 27.7 | 24.0 | 19.6 | 16.7 | 22.2 |
평균 기온 (°C) | 11.9 | 12.1 | 13.7 | 15.6 | 18.6 | 22.6 | 25.6 | 26.3 | 23.8 | 20.2 | 15.9 | 13.1 | 18.3 |
평균 최저 기온 (°C) | 8.1 | 8.3 | 9.6 | 11.4 | 14.6 | 18.4 | 21.4 | 22.2 | 19.9 | 16.5 | 12.3 | 9.5 | 14.3 |
강수량 (mm) | 37mm | 36mm | 27mm | 31mm | 27mm | 11mm | 5mm | 18mm | 57mm | 58mm | 53mm | 52mm | 413mm |
평균 일조시간 | 162 | 166 | 211 | 246 | 272 | 299 | 334 | 305 | 236 | 205 | 157 | 151 | 2744 |
메노르카 공항[62] | |||||||||||||
평균 최고 기온 (°C) | 14.1 | 14.2 | 15.9 | 18.0 | 21.6 | 25.8 | 28.9 | 29.2 | 26.2 | 22.7 | 18.1 | 15.2 | 20.8 |
평균 기온 (°C) | 10.8 | 10.8 | 12.3 | 14.3 | 17.8 | 21.8 | 24.9 | 25.4 | 22.6 | 19.4 | 14.9 | 12.1 | 17.2 |
평균 최저 기온 (°C) | 7.5 | 7.4 | 8.6 | 10.6 | 13.9 | 17.8 | 20.8 | 21.5 | 18.9 | 16.1 | 11.6 | 9.0 | 13.6 |
강수량 (mm) | 52mm | 54mm | 38mm | 45mm | 37mm | 14mm | 3mm | 20mm | 61mm | 78mm | 88mm | 61mm | 546mm |
평균 일조시간 | 144 | 146 | 202 | 222 | 270 | 311 | 347 | 312 | 225 | 183 | 142 | 130 | 2632 |
4. 행정 구역
발레아레스 제도의 네 개 섬은 각각 주변의 작은 섬들과 암초와 함께 동일한 이름의 섬 의회(''consell insular''ca)에 의해 관리된다. 이 네 개의 섬 의회는 발레아레스 자치 공동체(및 주)의 최초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48]
1977년 행정 개혁 이전에는 이비사섬과 포르멘테라섬이 피티우사스 제도 전체를 관할하는 단일 섬 의회를 구성했다.
마요르카섬 섬 의회는 6개의 코마르카로 더 세분화되며, 나머지 세 개의 섬 의회는 각각 하나의 코마르카를 관할한다.
이 9개의 코마르카는 다시 지방 자치체(''municipis''ca)로 세분화되지만, 포르멘테라섬은 섬 의회, 코마르카, 지방 자치체를 동시에 맡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발레아레스 제도의 해양 및 육지 자연 보호 구역은 해당 지역 내에 속하더라도 지방 자치체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섬 의회가 소유하고 관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지방 자치체는 전통적인 종교 교구보다 약간 더 큰 시민 교구(''parròquies''ca)로 더 세분화된다.
이비사섬과 포르멘테라섬의 교구는 행정 마을(''véndes''ca)로 더 세분화되며, 각 ''vénda''는 여러 인접한 마을(''casaments''ca)과 그 주변 지역을 묶는다. 이러한 ''casaments''는 전통적으로 여러 개의 입방형 주택을 묶어 동쪽(열기를 피해)으로 창문이 열린 방어 블록을 형성하고, 귀중한 공동 수자원을 공유하며, 주민들이 공동의 집단 작업을 결정하고 계획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최하위 행정 구역은 자체 지역 행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들은 주로 농업을 위한 자연 경제 단위(따라서 건설 및 도시화에 관한 지역 규범에도 언급됨)이자 가족을 위한 참조 공간(사람과 그들의 재산의 이름에 추가될 수 있음)이며, 통계에도 여전히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방어 목적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특히 레콩키스타 이후로 지역 가톨릭 교회와 교구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5. 정치
2011년 5월 22일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 의회 선거에서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PPIB)은 35석, 발레아레스 제도 사회당(PSIB-PSOE)은 19석, 발레아레스 사회당-민족주의 협정(PSM-Entesa)은 5석을 얻었다.[1] 이 선거 결과로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대표 호세 라몬 바우사가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 총리(President del Govern de les Illes Balears)로 선출되었다.[1]
5. 1. 역대 주지사
대 | 성명 | 임기 | 정당 | 비고 |
---|---|---|---|---|
제로니 알베르티 피콜넬 | 1978년 7월 24일 – 1982년 9월 27일 | 민주중도연합 | 자치주 설립 전 | |
프란세스크 투초 베나세르 | 1982년 9월 27일 – 1983년 6월 10일 | 민주중도연합 | 자치주 설립 전 | |
1 | 가브리엘 카넬야스 폰스 | 1983년 6월 10일 – 1995년 8월 2일 | 국민동맹/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 자치주 |
2 | 크리스토폴 솔레르 클라데라 | 1995년 8월 2일 – 1996년 6월 18일 |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 자치주 |
3 | 자우메 마타스 팔루 | 1996년 6월 18일 – 1999년 7월 27일 |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 자치주 |
4 | 프란세스크 안티크 올리베르 | 1999년 7월 27일 – 2003년 6월 27일 | 발레아레스 제도 사회당 | 자치주 |
5 | 자우메 마타스 팔루 | 2003년 6월 27일 – 2007년 7월 6일 |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 자치주 |
6 | 프란세스크 안티크 올리베르 | 2007년 7월 6일 – 2011년 6월 18일 | 발레아레스 제도 사회당 | 자치주 |
7 | 호세 라몬 바우사 디아스 | 2011년 6월 18일 – 2015년 6월 30일 | 발레아레스 제도 국민당 | 자치주 |
8 | 프란시나 아르맹골 | 2015년 6월 30일 – | 사회노동당 | 자치주 |
6. 경제
2018년 자치구의 국내총생산(GDP)은 325억 유로였으며, 이는 스페인 경제 생산량의 2.7%를 차지한다.[52] 구매력을 고려한 1인당 GDP는 같은 해 29,700유로로, EU27 평균의 98%에 해당한다.
6. 1. 주요 산업
2018년 발레아레스 제도의 국내총생산(GDP)은 325억유로로, 스페인 경제 생산량의 2.7%를 차지한다.[52] 같은 해 구매력을 고려한 1인당 GDP는 29700EUR로, EU27 평균의 98%에 해당한다.7. 사회
발레아레스 제도의 사회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 스포츠가 공존하는 곳이다.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가 공용어이며, 주민 대부분이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섬마다 고유한 발레아레스 방언을 사용하며, 관광 산업의 영향으로 영어, 독일어 등도 사용된다. 로마 가톨릭이 주요 종교이며, 마요르카 섬에는 슈에타 기독교라는 독특한 혼합 종교도 존재한다.
발레아레스 제도는 카탈루냐 요리, 스페인 요리, 지중해 요리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특히 페이스트리, 치즈, 와인, 돼지고기, 해산물을 많이 사용하며, 소브라사다라는 돼지고기 소시지와 메노르카 섬의 해산물 스튜가 유명하다. 마요네즈는 마오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축구 클럽 RCD 마요르카가 팔마에 있으며, 라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과 카를로스 모야, 모터사이클 레이서 조르제 로렌소와 호안 미르 등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들을 배출했다.
7. 1. 인구
발레아레스 제도의 인구는 2021년 1월 1일 기준 1,183,415명이다.[43] 2017년에는 1,115,999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16.7%가 외국인이었다.[45]
2017년 기준,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모로코인 23,919명, 독일인 19,209명, 이탈리아인 16,877명, 영국인 14,981명이 거주하고 있었다.[45] 그 외에도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 아르헨티나인(6,584명), 프랑스인, 콜롬비아인, 에콰도르인(5,437명)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살고 있다.[45] 2007년과 2017년 사이 독일인, 영국인, 남미인의 수는 감소한 반면, 모로코인, 이탈리아인, 루마니아인의 수는 증가했다.[45]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가장 큰 종교는 로마 가톨릭으로, 2012년 기준 주민의 68.7%가 로마 가톨릭 신자였다.[46] 마요르카 섬에는 슈에타 기독교라는 혼합적인 종교가 존재하는데, 이는 박해받은 유대인 중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의 후손들이 따르는 종교로 알려져 있다.[47]
7. 2. 언어
카탈루냐어와 카스티야어는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의 공용어이며,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 헌법에서는 카탈루냐어를 "우리의 언어"(llengua propia)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발레아레스 제도 주민 전원이 카스티야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40] 발레아레스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발레아레스 방언은 표준 카탈루냐어와 여러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발레아레스 카탈루냐어 화자들은 각 섬에 특정한 이름으로 자신의 언어를 부른다. ''마요르카어'', ''미노르카어'', ''이비사어'', ''포르멘테라어'' 등이다. 2003년 조사에 따르면 제도 주민의 74.6%가 카탈루냐어(발레아레스 방언 또는 본토 방언)를 구사할 수 있었고, 93.1%가 이해할 수 있었다.[41]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질문 방식이 약간 달랐지만, 63.4%가 유창하게 말할 수 있고 88.5%가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42]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 기타 언어들도 현지 주민, 특히 관광 산업 종사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7. 3. 문화
카탈루냐어와 카스티야어는 발레아레스 제도 자치주의 공용어이다. 발레아레스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7. 3. 1. 음식

발레아레스 제도의 요리는 카탈루냐 요리, 스페인 요리, 지중해 요리의 일부로 분류될 수 있다. 이곳의 음식은 많은 양의 페이스트리, 치즈, 와인, 돼지고기, 해산물을 특징으로 한다. 소브라사다는 지역 돼지고기 소시지이다. 메노르카 섬의 해산물 스튜(`caldereta`)는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이다.[38] 마요네즈는 메노르카 섬의 도시 마오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으며,[39] 이 도시에서는 자체 치즈도 생산한다. 지역 페이스트리에는 엔사이마다, 플라오, 코카가 있다. 메노르카섬의 명물로는 랍스터 조림이 있으며, 후안 카를로스 1세마저 발레아레스 제도로 이끌었다.
7. 3. 2. 스포츠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가장 유명한 축구 클럽은 팔마의 RCD 마요르카이다. 1916년에 창단된 이 클럽은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이며, 현재(2023-24 시즌) 최상위 리그인 라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RCD 마요르카는 2003년 코파 델 레이에서 우승하여 유일한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고,[54] 1999년 UEFA컵 위너스컵 준우승을 차지했다.[55] 이들은 제도의 다른 오래된 팀인 CD 아틀레티코 발레아레스와 오랜 기간 팔마 더비를 치르고 있다.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UD 이비사를 포함한 여러 프로 축구 클럽이 있다. UD 이비사는 피닉스 클럽으로, SD 이비사의 후신인 UD 이비사-에이비사의 후신이다. 인카의 CE 콘스탄시아는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1940년대 초와 1960년대 전반에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했으며, 1942-43 세군다 디비시온과 1943-44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2시즌 연속 3위를 기록하는 등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현재는 해체된 CF 스포르팅 마호네스는 메노르카섬에서 세군다 디비시온 B에 진출한 유일한 클럽이었다.
발레아레스 제도 축구 대표팀과 비공식 메노르카 대표팀도 있으며, 국제 아일랜드 게임에 참가한다. 지역 클럽들은 지역 디비전에서 발레아레스 제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경기에 참가한다.
농구에서 발레아레스 제도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노르카 바스켓(Menorca Bàsquet)은 2012년 해체되기 전까지 총 5시즌 동안 리가 ACB(Liga ACB)에 진출한 유일한 메노르카 섬 및 발레아레스 제도의 농구팀이 되었다. 현재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지난 5년 동안 2부 리그인 LEB 오로(LEB Oro)에 속한 두 개의 클럽이 있다. CB 바이아 산 아구스틴(CB Bahía San Agustín)(팜 데 마요르카 소재)은 2021-22 LEB 오로 시즌(2021-22 LEB Oro season)에서 LEB 오로에서 강등되었고, 메노르카 바스켓의 재창단 팀인 CB 메노르카(CB Menorca)는 2023-24 LEB 오로 시즌(2023-24 LEB Oro season)에 데뷔하여 리그 순위 12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발레아레스 제도 출신의 여러 농구 선수들이 있는데, 그중에는 루디 페르난데스, 세르히오 률(Sergio Llull), 호안 사스트레(Joan Sastre), 세르지 가르시아가 포함되며, 률과 페르난데스는 유로바스켓(Eurobasket)과 FIBA 농구 월드컵(FIBA Basketball World Cup) 우승을 차지하는 등 가장 성공적인 선수들이다.
테니스 선수 라파엘 나달(Rafael Nadal)은 그랜드슬램 단식 22회 우승을 차지했고, 전 세계 1위 테니스 선수 카를로스 모야(Carlos Moyá)는 모두 마요르카 출신이다. 라파엘 나달의 삼촌인 미겔 앙헬 나달(Miguel Ángel Nadal)은 전 스페인 국가대표 축구 선수이다. 다른 유명한 스포츠 선수로는 농구 선수 루디 페르난데스(Rudy Fernández), 그리고 2010년, 2012년, 2015년 모토GP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모터사이클 레이서 조르제 로렌소(Jorge Lorenzo)와 2020년 모토GP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호안 미르(Joan Mir)가 있다.
이비자는 세계 최고의 요트 정박지 중 하나로, 다양한 전세 요트를 유치하고 있다.[56]
7. 4. 교통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여러 교통 수단이 있으며, 특히 발레아리아(Baleària) 등을 이용한 수상 교통이 발달하였다.[53]7. 4. 1. 수상 교통

마요르카와 다른 목적지 사이에는 매주 약 150척의 페리가 운항하며,[53] 대부분은 스페인 본토로 향한다.
운항 회사 | 노선 |
---|---|
발레아리아(Baleària) (Baleària) | 데니아, 발렌시아, 바르셀로나(Barcelona)에서 발레아레스 제도로 운항 |
트라스메디테라네아(Trasmediterránea) (Trasmediterránea) | |
그란디 나비 벨로치(Grandi Navi Veloci) (Grandi Navi Veloci) | 발렌시아와 바르셀로나에서 팔마로 |
코르시카 페리스(Corsica Ferries) (Corsica Ferries) | 툴롱(Toulon) (프랑스)에서 팔마와 알쿠디아(Alcudia)로 |
8. 생태
인간이 도착했을 당시 발레아레스 제도에 서식하는 유일한 육상 포유류는 마요르카섬과 메노르카섬에 서식했던 난쟁이염소영양인 *미오트라구스(Myotragus)*, 거대도르마우스인 *힙노미스(Hypnomys)*, 쥐잡이인 *네시오티테스 히달고(Nesiotites hidalgo)*였으며, 이들은 인간이 도착한 직후 멸종되었다. 섬에 서식하는 다른 유일한 육상 척추동물로는 현재 마요르카섬과 메노르카섬 주변의 해안섬에만 서식하는 릴포드 벽도마뱀(Lilford's wall lizard), 피티우사 제도에 서식하는 이비자 벽도마뱀(Ibiza wall lizard), 마요르카섬 산악 지대에서만 발견되는 마요르카산파도마뱀(Majorcan midwife toad)이 있다.[49] 라타스트 살무사(Lataste's viper)의 멸종된 난쟁이 아종인 *비페라 라타스테이 에부시타나(Vipera latastei ebusitana)* 또한 인간 정착 이후 멸종될 때까지 피티우사 제도에 서식했다.[50] 발레아레스 휘파람새(Balearic warbler)는 메노르카섬을 제외한 섬들에서 발견되는 고유종 조류이다. 섬에 서식하는 바닷새로는 발레아레스슴새(Balearic shearwater), 유럽슴새(European storm petrel), 스코폴리슴새(Scopoli's shearwater), 유럽가마우지(European shag), 오두앵갈매기(Audouin's gull), 황다리갈매기(yellow-legged gull)가 있다.[51]
참조
[1]
웹사이트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https://ine.es/prens[...]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3]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Ley 3/1986, de 19 de abril, de normalización linguística
https://web.archive.[...]
Boe.es
2012-07-07
[5]
웹사이트
Ley 13/1997, de 25 de abril, por la que pasa a denominarse oficialmente Illes Balears la Provincia de Baleares
https://web.archive.[...]
Boe.es
2012-07-07
[6]
웹사이트
Ley Orgánica 1/2007, de 28 de febrero, de reforma del Estatuto de Autonomía de las Illes Balears
https://web.archive.[...]
Boe.es
2012-07-07
[7]
문서
Estatut d'Autonomia de les Illes Balears, Llei Orgànica 1/2007, article 1r
[8]
웹사이트
The Party Island of Ibiza
https://www.vice.com[...]
[9]
문서
Plin.; Agathem.; Dion Cass. ap. Tzetz. ad Lycophr. 533; Eustath.
[10]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Abacaenum-Hytanis
Little, Brown and Company
[11]
문서
[[Diodorus|Diod.]] v. 17, Eustath. ad Dion. 457; Baliareis – {{lang|grc|Βαλιαρεῖς}}, Baliarides – ''{{lang|grc|Βαλιαρίδες}}'', [[Stephanus of Byzantium|Steph. B.]]; Balearides – ''{{lang|grc|Βαλεαρίδες}}'', [[Strabo]]; Balliarides – ''{{lang|grc|Βαλλιαρίδες}}'', [[Ptolemy|Ptol.]] ii. 6. § 78; Baleariae – ''{{lang|grc|Βαλεαρίαι}}'' Agathem.
[12]
문서
Strab. xiv. p. 654; Plin. l. c "The Rhodians, like the Baleares, were celebrated slingers"
Sil. Ital. iii. 364, 365: "Jam cui Tlepolemus sator, et cui Lindus origo, Funda bella ferens Balearis et alite plumbo."
[13]
웹사이트
The Geography of Strabo, Volume III (of 3) by Strabo
http://www.hellenica[...]
2022-01-05
[14]
서적
Regional Geology and Tectonics: Phanerozoic Passive Margins, Cratonic Basins and Global Tectonic Maps, Volume 1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6-06-21
[15]
웹사이트
History of Mallorca
http://www.mantleplu[...]
2016-06-21
[16]
웹사이트
Balearic Sea
http://www.eoearth.o[...]
[17]
웹사이트
Standard climate values, Illes Balears
http://www.aemet.es/[...]
Aemet.es
2014-12-10
[18]
웹사이트
Guía resumida del clima en España (1981–2010)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Ibiza, Aeropuerto
http://www.aemet.es/[...]
2021-06
[20]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21-06
[21]
논문
The spread of steppe and Iranian-related ancestry in the islands of the western Mediterranean
2020-03-01
[22]
논문
The First Mallorcans: Prehistoric Colonization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2008-03-01
[23]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5, chapter 17
https://www.perseus.[...]
[24]
문서
Strabo; Diod.; Flor. iii. 8; [[Tzetzes]] ''ad Lycophron''.
[25]
문서
Strabo iii. pp. 167, 168.
[26]
문서
Strabo; but Florus gives them a worse character, iii. 8.
[27]
문서
[[Livy]] ''Epit. Ix.''; Freinsh. Supp. lx. 37; Florus, Strabo ''ll. cc.''
[28]
문서
Strabo, [[Pomponius Mela]], [[Pliny the Elder]].
[29]
문서
''[[Notitia Dignitatum]]'' Occid. c. xx. vol. ii. p. 466, Böcking.
[30]
문서
Aristot. de Mir. Ausc. 89; Diodorus, but Pliny praises their wine as well as their corn, xiv. 6. s. 8, xviii. 7. s. 12: the two writers are speaking, in fact, of different periods.
[31]
문서
Strabo, Mela; Pliny l. c., viii. 58. s. 83, xxxv. 19. s. 59; Varro, R. R. iii. 12; Aelian, H. A. xiii. 15; [[Gaius Julius Solinus]] 26.
[32]
문서
Pliny xxx. 6. s. 15.
[33]
문서
Pliny xxxv. 6. s. 13; Vitruv. vii. 7.
[34]
문서
Materia Medica i. 92.
[35]
문서
{{lang|grc|τὸ Βαλλεαρικὸν πέλαγος}}, Ptol. ii 4. § 3.
[36]
문서
Flor. iii. 6. § 9.
[37]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archive.org/[...]
Leiden
1968
[38]
웹사이트
Curiosidades turísticas en Menorca
http://sobreespana.c[...]
2013-07-12
[39]
웹사이트
Mayonnaise
http://www.andalucia[...]
2013-07-06
[40]
웹사이트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a les Illes Balears 2014 - Anàlisi
https://www.caib.es/[...]
Conselleria de Cultura, Participació i Esports (Govern de les Illes Balears) - Departament de Cultura (Generalitat de Catalunya) - Universitat de les Illes Balears
2017-10
[41]
웹사이트
Estad
http://www.ibestat.c[...]
2013-07-12
[42]
웹사이트
2011 census, from Institut Balear d'Estadística, Govern de les Illes Balears
https://ibestat.caib[...]
Caib.es
2022-06-30
[43]
웹사이트
1.1.1.01 Población por año de nacimiento, isla de residencia y sexo.
https://ibestat.caib[...]
2019-06-27
[44]
간행물
INE (01-01-2021)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de España
[45]
뉴스
British and German foreign communities decreasing
https://majorcadaily[...]
Majorca Daily Bulletin
2018-01-19
[46]
웹사이트
Interactivo: Creencias y prácticas religiosas en España
https://www.lavangua[...]
2015-04-02
[47]
웹사이트
El cristianismo judío de un chueta pobre
http://www.monografi[...]
2003-02-09
[48]
법률
Ley 13/1997, de 25 de abril, por la que pasa a denominarse oficialmente Illes Balears la provincia de Baleares
https://www.boe.es/e[...]
1997-04-26
[49]
논문
Three islands, three worlds: Paleogeography and evolution of the vertebrate fauna from the Balearic Islands
https://linkinghub.e[...]
2008-05
[50]
논문
Origin, extinction and ancient DNA of a new fossil insular viper: molecular clues of overseas immigration
https://academic.oup[...]
2021-04-30
[51]
웹사이트
Seabirds of the Balearic Islands: status and recent changes (1987-2014)
https://www.caib.es/[...]
[52]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53]
웹사이트
Mallorca Ferry Schedule
https://www.directfe[...]
Direct Ferries Limited
[54]
웹사이트
Spain Cups 2002/03
https://www.rsssf.or[...]
2013-07-12
[55]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Cup Winners Cup, UEFA Cup 1998–99
https://www.rsssf.or[...]
2013-07-12
[56]
웹사이트
Yacht Charter Ibiza Boat Charter Ibiza Magenta Yachts Brokers
https://www.magentay[...]
[57]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Cup Winners Cup, UEFA Cup 1998-99
http://www.rsssf.com[...]
[58]
웹사이트
Spain Cups 2002/03
http://www.rsssf.com[...]
[59]
웹인용
1.1.1.01 Población por año de nacimiento, isla de residencia y sexo.
https://ibestat.caib[...]
2019-06-27
[60]
웹인용
Guía resumida del clima en España (1981–2010)
http://www.aemet.es/[...]
[61]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Ibiza, Aeropuerto
http://www.aemet.es/[...]
2021-06
[62]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Minorca / Aeropuerto
http://www.aemet.es/[...]
2021-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