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용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용균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파리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파리 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연출하여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으며, 1995년에는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을 연출했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서양화과 부교수를 지냈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미디어학과 부교수를 역임했다. 2001년 8월 이후 대중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2020년 한국영상자료원은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의 디지털 복원 작업을 그가 지원했다고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화가 - 윤석남
윤석남은 자연과 여성을 주제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실험하며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이는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가로, 1985년 '시월모임' 결성을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시작을 알렸고 국제적인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여성의 삶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1951년 출생 - 김무성
김무성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핵심 인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역임, 한나라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에서 주요 당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친 정치인이다. - 1951년 출생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배용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배용균 |
한글 이름 | 배용균 |
한자 이름 | 裵鏞均 |
로마자 표기 | Bae Yong-gyun |
출생일 | 1951년 |
출생지 | 대구, 경상북도, 대한민국 |
국적 | 한국 |
직업 | 영화 감독, 화가, 교수 |
대표 작품 |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
인물 정보 (한국어) | |
이름 | 배용균 |
출생일 | 1951년 11월 20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경력 | 영화 감독 |
직업 | 감독 |
2. 생애
파리대학 미술 전공 졸업생이다. 1980년대 초, 한국 영화계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아마추어 배우들을 기용하여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제작에 착수했다.[1] 감독, 각본, 촬영, 편집, 자금 조달까지 모두 혼자 담당하여 প্রায় 10년 만에 완성했다. 이 영화는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고, 1989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상영되었으며,[2] 미국에서 극장 개봉된 최초의 한국 영화였다.
이후 '흰옷을 입은 사람들'(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 1995)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
2001년 8월 이후 공개 석상에 나타나지 않았으나,[4] 2020년 한국영상자료원은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디지털 복원 작업을 지원했다고 밝혔다.[5]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파리대학 대학원에서 조형예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서양화과 부교수,[3]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미디어학과 부교수를 역임했다.2. 2. 교수 경력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서양화과 부교수를 역임하였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미디어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3]3. 영화 제작 활동
배용균은 파리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1989년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제작하여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황금표범상을 수상하고, 1989년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상영되었다.[2] 이 영화는 미국에서 극장 개봉된 최초의 한국 영화였다. 1995년에는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1]
3. 1.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1989)
1980년대 초, 배용균은 한국 영화계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아마추어 배우들을 기용하여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제작에 착수했다.[1] 배용균은 이 영화의 감독, 각본, 촬영, 편집, 자금 조달까지 모두 혼자 담당했으며, 제작 기간은 거의 10년이 걸렸다. 이 영화는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고, 1989년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상영되었다.[2]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은 미국에서 극장 개봉된 최초의 한국 영화였다.3. 2.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 (1995)
배용균은 1995년에 영화 《검으나 땅에 희나 백성》을 연출했다.[1] 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4. 수상 경력
- 1989년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황금표범상[1]
5. 2001년 이후 활동
배는 2000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회화를 가르쳤다.[3] 2001년 8월 이후로는 대중 앞에 나타나지 않았으나,[4] 2020년 한국영상자료원은 그가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의 디지털 복원 작업을 지원했다고 밝혔다.[5]
참조
[1]
뉴스
Ox-Herding Pictures
https://tricycle.org[...]
1994-06-01
[2]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http://www.festival-[...]
2009-08-02
[3]
웹사이트
Detailed information about Bae Yong-gyun
https://www.kmdb.or.[...]
[4]
뉴스
배용균 감독이 보이지 않는 까닭은…
https://n.news.naver[...]
2008-04-26
[5]
뉴스
[뉴스레터] 배용균 감독이 파주로 간 까닭은?
https://www.koreaf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