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카르노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카르노 영화제는 1946년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처음 개최된 국제 영화제이다. 초기에는 미국과 이탈리아 영화를 주로 상영하며 관광객 유치에 힘썼으며, 냉전 시기에는 동유럽 영화를 소개하며 국제적인 만남의 장 역할을 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세계적인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며 명성을 이어갔으며, 한국 영화는 1989년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2015년 홍상수 감독의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가 최고상인 황금표범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영화제는 황금표범상, 심사위원 특별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연기상 등을 시상하며, 신인 감독 발굴을 위한 부문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시작된 영화제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마이니치 신문사 주최로 1935년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단을 거쳐 1946년 재개된 일본의 영화상인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일본 영화 대상, 남녀 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하며 매년 2월 시상식이 열리고, 《어느 밤의 영주》, 《이키루》, 《신 고지라》, 《만비키 가족》 등의 역대 수상작이 있다. - 1946년 시작된 영화제 -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는 194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시작되어 동유럽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국제영화제작자연맹(FIAPF)의 공인을 받은 국제 영화 행사이다. - 티치노주 - 루가노
루가노는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도시로, 루가노 호숫가에 자리 잡은 아름다운 자연과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며, 스위스 제3의 금융 중심지이자 주요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 티치노주 - 벨린초나
벨린초나는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도시로, 3개의 성과 성벽을 포함한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기계 공학이 주요 산업이다.
로카르노 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로카르노, 스위스 |
주최 | Associazione Festival del film Locarno |
창립 | 1946년 |
최근 개최 | 2024년 |
웹사이트 | www.locarnofestival.ch |
현재 회차 | 77회 |
이전 회차 | 76회 |
다음 회차 | 78회 |
2. 역사
1946년, 로카르노 관광청과 영화 관계자들의 주도로 로카르노 영화제가 처음 개최되었다.[2] 초기에는 주로 미국과 이탈리아 영화를 상영하며 관광객 유치에 초점을 맞추었다.[2] 첫날 밤은 1946년 8월 23일, 로카르노의 그랜드 호텔에서 자코모 젠틸로모 감독의 영화 ''오 솔레 미오''(O sole mio) 상영으로 시작되었다.[2] 첫 번째 행사는 3개월도 안 되는 기간 동안 15편의 영화를 상영했으며, 그중에는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무방비 도시'', 르네 클레르 감독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1945), 빌리 와일더의 ''이중 배상''(1944), 헨리 킹의 ''베르나데트의 노래''(1943)가 있었다.[2]
1951년에는 자금 부족으로 인해 영화제가 개최되지 못했다.[2] 1953년에는 FIAPF 분류에서 D등급으로 강등되었다.[2] 1954년, 정부는 로카르노 영화제를 국가적 행사로 인정하여 외교 채널을 통해 영화를 초청할 수 있게 되었고, 스위스 배급업체는 영화제를 위해 특별히 연간 할당량에서 영화를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2] 1950년대 중반까지는 스위스에서 상업적으로 배급된 영화만 상영할 수 있었다.[2]
비니시오 베레타의 지휘 아래, 로카르노 영화제는 동유럽 국가 영화에 문호를 개방했다.[2] 1953년부터 매년 동독, 소련 등의 영화를 상영했다.[2] 중립국에서 국제적인 만남의 장으로 두각을 나타냈지만, 일각에서는 공산주의 선전을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
1956년, 1956년 부다페스트 봉기 진압과 관련된 정치적 긴장과 상업적 분쟁으로 인해 영화제가 취소되었다.[2] 1959년에는 A등급을 획득하고, 개최 시기를 7월로 옮겼으며, 시네마테크 스위스와 협력하여 회고전을 도입했다.[2]
1960년부터 비니시오 베레타가 영화제를 감독하면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2]
2. 1. 초기 (1946년 ~ 1950년대)
1946년, 로카르노 관광청과 영화 관계자들의 주도로 로카르노 영화제가 처음 개최되었다.[2] 초기에는 주로 미국과 이탈리아 영화를 상영하며 관광객 유치에 초점을 맞추었다.[2] 첫날 밤은 1946년 8월 23일, 로카르노의 그랜드 호텔에서 자코모 젠틸로모 감독의 영화 ''오 솔레 미오''(O sole mio) 상영으로 시작되었다.[2] 첫 번째 행사는 3개월도 안 되는 기간 동안 15편의 영화를 상영했으며, 그중에는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무방비 도시'', 르네 클레르 감독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1945), 빌리 와일더의 ''이중 배상''(1944), 헨리 킹의 ''베르나데트의 노래''(1943)가 있었다.[2]1951년에는 자금 부족으로 인해 영화제가 개최되지 못했다.[2] 1953년에는 FIAPF 분류에서 D등급으로 강등되었다.[2] 1954년, 정부는 로카르노 영화제를 국가적 행사로 인정하여 외교 채널을 통해 영화를 초청할 수 있게 되었고, 스위스 배급업체는 영화제를 위해 특별히 연간 할당량에서 영화를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2] 1950년대 중반까지는 스위스에서 상업적으로 배급된 영화만 상영할 수 있었다.[2]
비니시오 베레타의 지휘 아래, 로카르노 영화제는 동유럽 국가 영화에 문호를 개방했다.[2] 1953년부터 매년 동독, 소련 등의 영화를 상영했다.[2] 중립국에서 국제적인 만남의 장으로 두각을 나타냈지만, 일각에서는 공산주의 선전을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
1956년, 1956년 부다페스트 봉기 진압과 관련된 정치적 긴장과 상업적 분쟁으로 인해 영화제가 취소되었다.[2] 1959년에는 A등급을 획득하고, 개최 시기를 7월로 옮겼으며, 시네마테크 스위스와 협력하여 회고전을 도입했다.[2]
1960년부터 비니시오 베레타가 영화제를 감독하면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2]
2. 2. 냉전 시기 (1960년대 ~ 1980년대)
냉전 시기 로카르노 영화제는 동유럽 영화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영화를 소개하며 국제적인 만남의 장 역할을 했다.[2] 비니시오 베레타의 지휘 아래, 특히 동유럽 국가 영화에 문호를 개방하여 1953년부터 매년 동독, 소련 등의 영화를 상영했다.[2] 중립국에서 국제적인 만남의 장으로 두각을 나타냈지만, 사회주의 국가의 국가 연주와 국기 게양으로 인해 공산주의 선전 행사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2]1960년대에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라틴 아메리카 및 아시아 영화, 특히 폴란드, 체코, 헝가리 뉴 웨이브 영화를 개척하면서 "전통적인 상업적 배급"에 대한 대안으로 독특한 명성을 얻었다.[2] 1960년, 소련 영화 포마 고르데예프가 최고상을 수상하면서 정치적 긴장과 비난이 발생했고, 베레타는 당국이 제공한 "국가" 선택 위원회 창설을 수용해야 했다.[2]
1970년대에는 모리츠 드 하델른의 지휘 아래 국제화와 안정화를 이루며 전성기를 맞았다.[2]
2. 3. 현대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 이후, 로카르노 영화제는 클로드 샤브롤, 스탠리 큐브릭, 폴 버호벤, 밀로스 포먼 등 세계적인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며 명성을 이어갔다.[4] 2018년, 릴리 힌스틴이 예술 감독으로 임명되면서 성 평등을 장려하고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4]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영화제가 취소되고 특별판 "로카르노 2020 – 영화의 미래를 위해"가 개최되었다.[6][7] 2023년부터는 경쟁 부문에서 성 중립적인 최우수 연기상을 도입하였다.[10]3. 주요 경쟁 부문 및 시상
3. 1. 콘코르소 인터나치오날레 (Concorso internazionale)
콘코르소 인터나치오날레(Concorso internazionale)는 로카르노 영화제의 국제 경쟁 부문이다.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표범상(골든 레오파드)을 비롯하여 심사위원 특별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연기상 등이 수여된다. 과거에는 최우수 여우주연상과 최우수 남우주연상이 있었으나, 2023년부터 최우수 연기상으로 통합되었다.- '''황금 표범상'''(골든 레오파드): 로카르노 시와 지역에서 수여하는 영화제 대상으로, 국제 경쟁 부문 최우수 작품에 수여된다.
- '''심사위원 특별상''': 아스코나와 로소네 시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국제 경쟁 부문에서 두 번째로 좋은 영화에 수여된다.
- '''최우수 감독상''': 로카르노 시와 지역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국제 경쟁 부문에서 연출이 가장 뛰어난 영화에 수여된다.
- '''최우수 연기상''': 2023년부터 국제 경쟁 부문에서 최고의 연기를 보여준 두 명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 '''스와치 데뷔작상:''' 국제 평론가 심사위원단이 ''콘코르소 인터나치오날레'', ''콘코르소 치네스티 델 프레젠테'', ''푸오리 콘코르소'', ''무빙 어헤드 (구: 생명의 징후)'' 및 ''피아차 그란데'' 섹션에 출품된 데뷔작에 수여하는 상이다.
연도 | 수상작 | 감독 | 제작 국가 |
---|---|---|---|
1946년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And Then There Were None) | 르네 클레망 | 미국 |
1947년 | 침묵은 금이다(Le silence est d'or) | 르네 클레망 | 프랑스 |
1948년 | 독일, 0년(Germania, anno zero) | 로베르토 로셀리니 | 이탈리아 |
1949년 | La Ferme des sept péchés | 장 드베르 | 프랑스 |
1950년 | When Willie Comes Marching Home | 존 포드 | 미국 |
1951년 | (영화제 미개최) | - | - |
1952년 | Hunted | 찰스 크라이튼 | 영국 |
1953년 |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 | 데이비드 브래들리 | 미국 |
Kompozitor Glinka |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 | 소련 | |
유리벽(The Glass Wall) | 맥스웰 셰인 | 미국 | |
1954년 | 지옥문 | 이나가키 히로시 | 일본 |
바야자(Bajaja) | 이르지 트룬카 | 체코슬로바키아 | |
Les Fruits sauvages | 에르베 롱베르제 | 프랑스 | |
회전(Rotation) | 볼프강 슈타우테 | 동독 | |
다섯 발가락 양(Le mouton à cinq pattes) | 앙리 베르누이유 | 프랑스 | |
1955년 | 카르멘(Carmen) | 오토 프레밍거 | 미국 |
Cisaruv slavík | 이르지 트룬카 | 체코슬로바키아 | |
1956년 | (영화제 미개최) | - | - |
1957년 | 외침(Il grido)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이탈리아 |
1958년 | 테어 노스 프레데릭(Ten North Frederick) | 필립 던 | 미국 |
1959년 | 킬러스 키스(Killer's Kiss) | 스탠리 큐브릭 | 미국 |
1960년 | 일 벨 안토니오(Il bell'Antonio) | 마우로 볼로니니 | 이탈리아 |
1961년 | 노불 | 이치카와 곤 | 일본 |
1962년 | Un coeur gros comme ça | 프랑수아 레샹바크 | 프랑스 |
1963년 | Transport z raje | 즈데네크 브레네슈 | 체코슬로바키아 |
1964년 | Cerný Petr | 밀로스 포만 | 체코슬로바키아 |
1965년 | Four in the Morning | 앤서니 시몬스 | 영국 |
1966년 | 매일 용기를(Kazdy den odvahu) | 에발트 쇼름 | 체코슬로바키아 |
1967년 | 혼돈의 대지(Terra em Transe) | 글라우베르 로샤 | 브라질 |
1968년 | I visionari | 마우리치오 폰치 | 이탈리아 |
1969년 | 어떻게든 샤를(Charles mort ou vif) | 알랭 타네르 | #REDIRECT |
V ogne broda net | 글레브 판필로프 | 소련 | |
Tres tristes tigres | 라울 루이스 | #REDIRECT | |
Szemüvegesek | 샨도르 시모 | 헝가리 | |
1970년 | End of the Road | 아람 아바키안 | 미국 |
Lilika | 브란코 프레사 | 유고슬라비아 | |
무상 | 지쇼지 아키오 | 일본 | |
Soleil O | 메도 옹도 | 모리타니 | |
1971년 | Les Amis | 제라르 블랑 | 프랑스 |
Hanno cambiato faccia | 코라도 파리나 | 이탈리아 | |
In punto di morte | 마리오 가리바 | 이탈리아 | |
1972년 | Bleak Moment | 마이크 리 | #REDIRECT |
1973년 | Iluminacja | 크시슈토프 자누시 | 폴란드 |
1974년 | Tüzoltó Utca 25.hu | 사보 이슈트반 | 헝가리 |
1975년 | 'Le fils dAmr est mort'' | 장 자크 앙드레 | 벨기에 |
1976년 | Le grand soir | 프랑시스 로이세르 | #REDIRECT |
1977년 | Antonio Gramsci, i giorni di carcere | 리노 델 플라 | 프랑스 |
1978년 | I tembelides tis eforis kiladas | 니코스 파네오토풀로스 | 그리스 |
1979년 | 떼(Sürü) | 이을마즈 귄이 제키 외크텐 | 터키 |
1980년 | Maledetti vi Ameròit | 마르코 툴리오 조르다나 | 이탈리아 |
1981년 | Chakra | 라빈드라 다르마라지 | 인도 |
1982년 | - | - | - |
1983년 | 프린세스(Adj király katonat) | 폴 에르데시 | 헝가리 |
1984년 | 스트레인저 댄 패러다이스(Stranger Than Paradise) | 짐 자무쉬 | 미국 |
1985년 | 산의 불(Höhenfeuer) | 프레디 M. 뮐러 | #REDIRECT |
1986년 | 보덴 호수의 호수(Jezioro Bodenskie) | 야누시 자우르스키 | 폴란드 |
1987년 | O Bobo | 호세 알바로 모라이스 | 폴란드 |
1988년 | Schmetterling | 볼프강 베커 | 서독 |
머나먼 목소리, 살아있는 삶(Distant Voices, Still Lives) | 테렌스 데이비스 | #REDIRECT | |
1989년 | 달마는 동쪽으로 갔다(배용균) | 배용균 | 대한민국 |
1990년 | Sluchainij | 베트라나 프로스쿠리나 | 소련 |
1991년 | 조니 스웨이드(Johnny Suede) | 톰 디실로 | 미국 |
1992년 | 가을 달(Qiuyue) | 클라라 로 | 홍콩 |
1993년 | 'Azghyin ushtykzynazaby'' | 에르메크 시나르바예프 | 카자흐스탄 |
1994년 | Khomreh | 이바라힘 포르제쉬 | 이란 |
1995년 | Raï프랑스어 | 토마 지루 | 프랑스 |
1996년 | 네네트와 보니(Nénette et Boni) | 클레어 드니 | 프랑스 |
1997년 | 거울(Ayneh) | 자파르 파나히 | 이란 |
1998년 | 조 씨(赵先生) | 뤼러 | 중국 |
1999년 | 야수의 마음을 가진 남자(Peau d'homme coeur de bête) | 엘렌 앙젤 | 프랑스 |
2000년 | 아버지(Baba) | 왕숴 | 중국 |
2001년 | Alla rivoluzione sulla due cavalli | 마우리치오 샤라 | 이탈리아 |
2002년 | Das Verlangen | 얀 딜타이 | #REDIRECT |
2003년 | 콰모쉬 파니(Khamosh Pani) | 자비하 서말 | 파키스탄 프랑스#REDIRECT |
2004년 | Private | 사베리오 코스탄조 | 이탈리아 |
2005년 | 나인 라이브즈(Nine Lives) | 로드리고 가르시아 | 미국 |
2006년 | 프라우라인(Das Fräulein) | 안드레아 스타카 | #REDIRECT |
2007년 | 사랑의 예감 | 고바야시 마사히로 | 일본 |
2008년 | 파르케 비아(Parque vía) | 엔리케 리베로 | 이탈리아 |
2009년 | She, a Chinese | 구샤오루 | #REDIRECT 프랑스#REDIRECT |
2010년 | 한자 | 리홍치 | 중국 |
2011년 | Abrir Puertas y Ventanas | 밀라그로스 무멘탈러 | 아르헨티나#REDIRECT |
2012년 | La Fille de nulle part | 장클로드 브리소 | 프랑스 |
2013년 | Història de la meva mort | 알베르토 세라 | 스페인 프랑스 |
2014년 | Mula sa Kung Ano ang Noon | 라브 디아스 | #REDIRECT |
2015년 |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 홍상수 | 대한민국 |
2016년 | 갓레스(Godless) | 라리차 페트로바 | #REDIRECT |
2017년 | 판 부인(Mrs Fang) | 왕빙 | 중국 |
2018년 | 상상된 땅(A Land Imagined) | 요 슈화 | #REDIRECT |
2019년 | 비탈리나(Vitalina Varela) | 페드로 코스타 | #REDIRECT |
2020년 | 스위스 정부의 대규모 행사 제한 방침에 따라 취소[17][18] | ||
2021년 | 복수는 나에게(Seperti Dendam, Rindu Harus Dibayar Tuntas) | 에드윈 | 인도네시아#REDIRECT#REDIRECT |
3. 2. 콘코르소 치네아스티 델 프레젠테 (Concorso Cineasti del Presente)
콘코르소 치네아스티 델 프레젠테(Concorso Cineasti del Presente)는 신인 감독들의 데뷔작 또는 두 번째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현재의 영화감독 부문이다. 황금표범상 - 미래의 영화감독상(Pardo d'oro Cineasti del presente)은 이 경쟁 부문에서 최우수 영화에 수여된다. Ciné+ 특별 심사위원상 – 미래의 영화감독상은 프랑스 텔레비전 채널인 Ciné+ 클럽이 수상작의 방영권을 제공하고 자사 채널에서 방영을 보장한다. 최우수 신인 감독에게는 최우수 신인 감독 표범상(Pardo per il miglior regista emergente)이 수여된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경쟁 부문 ''국제 경쟁'' 또는 ''미래의 영화감독상''에서 상영된 최우수 데뷔작에 최우수 데뷔작 표범상(Pardo per la migliore opera prima)이 수여되었다.3. 3. 파르디 디 도마니 (Pardi di domani)
파르디 디 도마니(Pardi di domani)는 미래의 표범 부문으로, 단편 영화 경쟁 부문이다. 국제 단편 영화 부문과 스위스 단편 영화 부문으로 나뉜다.국제 단편 영화 부문에서는 최우수 국제 단편 영화에 '최우수 국제 단편 영화 파르디노 도로 – SRG SSR 상'을 수여한다. '국제 경쟁 부문 파르디노 다르젠토 SSR SRG'는 국제 경쟁 부문에 출품된 영화에 수여한다.
스위스 단편 영화 부문에서는 최우수 스위스 단편 영화에 '최우수 스위스 단편 영화 파르디노 도로 – 스위스 라이프 상'을 수여한다. '국가 경쟁 부문 파르디노 다르젠토 스위스 라이프'는 국가 경쟁 부문에 출품된 영화에 수여한다.
두 경쟁 부문 중 하나에 출품된 유럽 감독의 단편 영화에는 '유럽 영화상 로카르노 단편 영화 후보 – 피아니피카 상'이 수여되며, 수상작은 유럽 영화상 단편 영화 부문 자동 후보로 지명된다. '최우수 스위스 신인상'은 여러 회사에서 제공하는 장비를 제공한다. '프레미오 메디엔 특허 관리 AG' 상을 수상한 영화는 세 개의 중부 유럽 언어로 자막이 삽입된다.
3. 4. 기타 부문
그린 파르도 WWF는 WWF와 협력하여 환경 테마를 가장 잘 반영하는 영화에게 수여한다. 명예 표범상(Pardo d'onore)은 영화계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엔니오 모리코네(1989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1997년), 장 뤽 고다르(1995년), 켄 로치(2003년) 등 세계적인 영화인들이 수상했다.4. 한국 영화와 로카르노 영화제
한국 영화는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1989년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은 최고상인 황금표범상을 수상하며 한국 영화의 예술성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는 당시 한국 사회의 민주화 열기와 함께, 한국 영화계의 새로운 흐름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2015년에는 홍상수 감독의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가 황금표범상을 수상하고, 주연 배우 정재영이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홍상수 감독 특유의 사실적인 연출과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삶의 진실을 포착하는 능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재영의 섬세한 연기는 한국 배우의 뛰어난 연기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수상들은 한국 영화가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깊이 있는 주제 의식과 독창적인 스타일을 가진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로카르노 영화제에서의 수상은 한국 영화의 다양성과 저력을 국제 영화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 1. 수상 내역
1954년 이노키사 사다요시 감독의 지옥문이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1961년 이치카와 곤 감독의 들불이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1970년 지쓰소지 아키오 감독의 『무상(無常)』이 금표상을 수상했고, 1987년 야마모토 마사시 감독의 『로빈슨의 정원(ロビンソンの庭)』이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1996년 이나즈미 나오 감독의 『연-REN-(連-REN-)』이 VIDEO ART 부문 입선, 1997년 이나즈미 나오 감독의 『An Age Of DECADENCE』가 VIDEO ART 부문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2004년 이치카와 준 감독의 토니 타키타니가 심사위원 특별상을 비롯해 3개의 상을 수상했다.
2005년 국제 경쟁 부문에서 스와 아쓰히코 감독의 불완전한 두 사람이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고, 다큐멘터리 영화를 다루는 인권 작품 부문에서, 저널리스트 와타이 겐요의 『Little Bird - 이라크 전쟁 속 가족들』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07년 고바야시 마사히로 감독의 사랑의 예감이 금표상을 수상했다. 2008년 히라바야시 이사무 감독의 BABIN이 Leopard of Tomorrow 심사위원 특별상, 영 주리 상 2개 부문 수상했다.
2009년 일본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특집한 「Manga Impact」가 개최되어, 애니메이션 연출가 다카하타 이사오와 토미노 요시유키가 명예 표창을 수상했다. 2011년 아오야마 신지 감독의 도쿄 공원이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2015년 오피스 키타노가 「라이몬드 레초니코상」(최우수 인디펜던트 프로듀서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해피 아워 출연의 가와무라 리라, 미하라 마이코, 기쿠치 하즈키, 다나카 사치에가 최우수 여우상을 수상했다.
2016년 시오타 아키히코 감독의 바람에 젖은 여자가 젊은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2021년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용과 주근깨 공주가 키즈상을 수상했다.
1989년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이 황금표범상을 수상했고, 2015년 홍상수 감독의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가 황금표범상, 정재영이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4. 2. 한국 영화계에 미친 영향
5. 역대 영화제
- 제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46년)
- 제2회 로카르노 영화제 (1947년)
- 제3회 로카르노 영화제 (1948년)
- 제4회 로카르노 영화제 (1949년)
- 제5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0년)
- 1951년 미개최
- 제6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2년)
- 제7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3년)
- 제8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4년)
- 제9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5년)
- 1956년 미개최
- 제10회 로카르노 영화제 (1957년)
- 제1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0년)
- 제12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1년)
- 제13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2년)
- 제14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3년)
- 제15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4년)
- 제16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5년)
- 제17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6년)
- 제18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7년)
- 제19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8년)
- 제20회 로카르노 영화제 (1969년)
- 제2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0년)
- 제22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1년)
- 제23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2년)
- 제24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3년)
- 제26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4년)
- 제27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5년)
- 제28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6년)
- 제29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7년)
- 제30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8년)
- 제3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79년)
- 제32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0년)
- 제33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1년)
- 제34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2년)
- 제35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3년)
- 제36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4년)
- 제37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5년)
- 제38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6년)
- 제39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7년)
- 제40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8년)
- 제4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89년)
- 제42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0년)
- 제43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1년)
- 제44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2년)
- 제45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3년)
- 제46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4년)
- 제47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5년)
- 제48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6년)
- 제49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7년)
- 제50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8년)
- 제51회 로카르노 영화제 (1999년)
- 제52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0년)
- 제53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1년)
- 제54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2년)
- 제56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3년)
- 제56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4년)
- 제57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5년)
- 제58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6년)
- 제59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7년)
- 제60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8년)
- 제61회 로카르노 영화제 (2009년)
- 제62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0년)
- 제63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1년)
- 제64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2년)
- 제65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3년)
- 제67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4년)
- 제68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5년)
- 제69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6년)
- 제70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7년)
- 제71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8년)
- 제72회 로카르노 영화제 (2019년)
- 제73회 로카르노 영화제 (2020년)
- 제74회 로카르노 영화제 (2021년)
- 제75회 로카르노 영화제 (2022년)
참조
[1]
웹사이트
Piazza Grande
https://pardo.ch/en/[...]
2017-07-27
[2]
웹사이트
A long story... in a few words
https://pardo.ch/par[...]
2017-07-27
[3]
웹사이트
Wang Bing interview
https://pardo.ch/par[...]
2017-08-14
[4]
웹사이트
Lili Hinstin Steps Down as Locarno Film Festival Artistic Director
https://variety.com/[...]
Variety
2024-11-06
[5]
웹사이트
Locarno Festival’s Nadia Dresti Steps Down; Valentina Merli Heads Industry (EXCLUSIVE)
https://variety.com/[...]
Variety
2024-11-06
[6]
웹사이트
Lucrecia Martel & Lav Diaz Pick Titles For Locarno Film Festival Retro Program; MUBI To Screen Globally
https://deadline.com[...]
2020-07-23
[7]
웹사이트
Locarno Festival: 'Germany, Year Zero,' 'Stranger Than Paradise' Among Lineup
https://www.hollywoo[...]
2020-07-23
[8]
웹사이트
Le Festival de Locarno a renoué avec une partie de son public
https://www.rts.ch/i[...]
2021-10-17
[9]
웹사이트
Locarno Opens With 'Bullet Train', Surprise Brad Pitt Virtual Appearance & Aaron Taylor-Johnson Tribute
https://deadline.com[...]
2022-08-10
[10]
웹사이트
Il Locarno Film Festival diventa gender neutral
https://cinecittanew[...]
Cinecittà
2024-11-06
[11]
뉴스
Jessica Hausner Named Jury President at Locarno Film Festival
https://www.hollywoo[...]
2024-06-03
[12]
웹사이트
Locarno Film Festival Introduces Letterboxd Award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
2024-05-09
[13]
웹사이트
78° Locarno Film Festival
https://www.locarno.[...]
Città di Locarno
2024-11-06
[14]
웹사이트
Press Release : Carlo Chatrian, new Artistic Director. 4/09/2012
http://www.pardolive[...]
Pardo.ch
[15]
웹사이트
Lili Hinstin Named New Locarno Festival Director
https://variety.com/[...]
2021-12-27
[16]
웹사이트
Pardo d’onore Swisscom
http://www.pardolive[...]
2014-07-19
[17]
웹사이트
スイス・ロカルノ国際映画祭が開催中止、インディペンデント映画の支援立ち上げへ
https://natalie.mu/e[...]
2022-07-15
[18]
웹사이트
スイス・ロカルノ国際映画祭が開催中止、インディペンデント映画の支援立ち上げへ
https://web.archive.[...]
2022-07-15
[19]
문서
サンダンス・インスティテュートはロバート・レッドフォードが運営する非営利団体。
[20]
웹사이트
オフィス北野、スイスの映画祭で快挙 日本からの受賞者は初
https://www.oricon.c[...]
ORICON
2015-07-22
[21]
뉴스
ロカルノ映画祭、「ハッピーアワー」で最優秀女優賞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5-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