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풍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풍등은 덩굴성 초본으로, 줄기는 3미터까지 자라며 다른 물체를 감아 덩굴진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꽃은 6~9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빨갛게 익는다. 전초에는 솔라닌이 함유되어 있어 식용할 수 없으며, 한방에서는 해열, 해독, 이뇨에 사용되는 생약 '백모등'으로 쓰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지속 - 감자
    감자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고지대가 원산지인 덩이줄기 작물로, 잉카 제국 시대에는 주요 식량이었으며 대항해시대를 거쳐 전 세계로 전파되어 현재는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중요한 농작물이다.
  • 가지속 - 감자아속
    감자아속은 가지속의 아속으로, 감자, 토마토, 페피노 등을 포함하며 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작물과 야생 감자 및 토마토 유사 종들을 포함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배풍등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덩굴성 습성
덩굴성 습성
잎의 클로즈업
잎의 클로즈업
학명Solanum lyratum
명명자Thunb.
이명Solanum cathayanum C.Y.Wu & S.C.Huang
Solanum dichotomum Lour.
Solanum kayamae T.Yamaz.
Solanum lyratum var. filamentaceum Hayashi
Solanum lyratum f. purpuratum Konta & Katsuy.
한국어 이름히요도리조고 (hiyodorijogo), 배풍등 (baepungdeung)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강국화아강
가지목
가지과
가지속
아속까마중아속
기타 정보
꽃
열매
열매
일본 고베에서
일본 고베에서
식물 삽화
식물 삽화

2. 생태

줄기는 약 3m 길이까지 자라며, 밑부분만 겨울을 난다. 식물 전체에 흰 털이 나 있고, 잎자루가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덩굴져 자란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달리며, 모양은 달걀 모양 또는 긴 등근꼴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다. 길이는 3cm에서 9cm, 너비는 2cm에서 6cm 정도이며, 간혹 3개에서 5개로 갈라지는 잎도 있다.

꽃은 6월에서 7월 사이에 흰색으로 핀다. 잎과 마주나는 위치에서 가지가 갈라진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부리는 5개로 깊게 갈라지고 뒤로 활짝 젖혀지는 특징이 있다.

열매는 장과의 한 종류로, 둥근 모양이며 지름은 약 8mm이다. 익으면 빨간색을 띤다.

비슷한 식물로는 줄기에 털이 없는 왕배풍등(''S. megacarpum'' Koidz.)이 있다.

3. 형태

덩굴성 초본으로, 줄기는 약 3m 길이까지 자라며 밑부분만 겨울을 난다. 몸 전체에 부드러운 흰 털이 나 있고, 잎자루가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자란다. 다른 나무 등에 얽혀 번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모양은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나팔꽃과 비슷하게 3갈래로 갈라진 것부터 달걀 모양이나 긴 등근꼴까지 변형이 크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며, 길이는 3cm에서 9cm, 너비는 2cm에서 6cm 정도이다. 때로는 3~5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비슷한 식물로 왕배풍등(''Solanum megacarpum'' Koidz.)이 있는데, 왕배풍등은 줄기에 털이 없는 점이 다르다.

3. 1. 꽃

주로 여름철인 6월에서 9월 사이에 흰색 꽃이 핀다.[1][2] 꽃은 잎과 마주나며 가지가 갈라진 취산꽃차례 형태로 아래를 향해 달린다.[1]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뒤로 활짝 젖혀지며,[1][2] 갈라진 조각의 밑부분에는 녹색을 띤 부분이 있다.[2] 수술은 5개이고 약은 타원형이다.[2]

3. 2. 열매

열매는 가을에 맺는 장과로, 둥근 모양이며 지름은 8mm쯤 된다. 주로 붉게 익지만 노란색으로 익는 것도 있다.

배풍등이라는 이름은 동고비가 이 열매를 즐겨 먹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며 겨울에도 열매가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선명한 붉은색 열매는 겨울철의 황량한 들판에 잘 어울린다.

4. 이용

배풍등의 풀 전체(전초)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성 성분이 들어 있어 먹을 수 없다. 하지만 한방에서는 '백모등(白毛藤)'이라는 생약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열을 내리고(해열), 독을 풀며(해독),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이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5. 근연종

비슷한 풀로 줄기에 털이 없는 왕배풍등(''S.megacarpum'' Koidz.)이 있다.


  • 털머위 ''Solanum japonense'' Nakai
  • 왕고들빼기 ''Solanum maximowiczii'' Koidz.
  • 큰왕고들빼기 ''Solanum megacarpum'' Koidz.

6. 사진

참조

[1] 간행물 "''Solanum lyratum'' Thunb." 2022-04-21
[2] 웹사이트 Lyreleaf Nightshade ''Solanum lyratum'' https://davesgarden.[...] MH Sub I, LLC dba Internet Brands. 2022-04-21
[3] 서적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Common Weeds: Volume 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