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희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희한은 1907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7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목수이다. 1923년 선린상고를 중퇴하고 일본인 목수 밑에서 견습 생활을 시작했으며, 18세에 대조전 해체 현장에서 궁궐 대목수 최원식에게 전통 목수 수업을 받았다. 그는 삼청동 민영휘 집 사랑채 등을 지었으며, 해방 후에는 경복궁 하향정과 향원정을 수리했다. 1980년 전통 목공 장인으로 인정받아 1982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인이 되었으며, 그의 제자 고택영은 대목장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목장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대목장 - 나자렛의 요셉
나자렛의 요셉은 기독교에서 예수의 양아버지로, 마태오 복음서와 루가 복음서에 등장하며 다윗의 후손이자 나자렛의 목수로 묘사되고, 성령으로 잉태한 예수를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여 가톨릭 교회, 성공회, 개신교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장주원
장주원은 대한민국의 옥공예 장인으로, 전통 기법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옥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997년 사망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1997년 사망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배희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배희한 |
한자 표기 | 裵喜漢 |
로마자 표기 | Bae Huihan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07년 6월 19일 |
출생지 | 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일 | 1997년 11월 5일 (향년 90세) |
국적 | 대한제국 → 대한민국 |
직업 | 대목장 |
2. 생애
배희한은 1907년 6월 1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호적에는 1909년생으로 기록되었다.[4] 1923년 선린상업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인 목수 오다 밑에서 견습 생활을 시작했다.[12] 192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 목수로 일하기 시작했고, 대조전 해체 현장에서 최원식에게서 전통 목수 수업을 받았다.[10] 삼청동의 민영휘 집 사랑채, 돈암장 등 고관대작들의 집을 많이 지었다.[12][13]
해방 후 1959년 경복궁의 하향정과 향원정을 수리했고, 여러 사찰 건물들을 지었다.[12] 1980년 국립민속박물관의 《목공특별연장전》을 통해 전통 목공 장인으로 인정받았고, 1982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가 되었다.[10] 1997년 11월 5일 노환으로 사망하였다.[10]
배희한은 스승이나 선배 대목장과 달리 투전을 하거나 술을 마시지 않았고, "죽은 나무 깎아 먹고 사는 사람에게 원래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돈을 많이 벌지 못했다고 한다.[14]
2. 1. 초기 생애 (1907-1923)
裵喜漢|배희한일본어은 1907년 6월 1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호적에는 1909년생으로 기록되었다.[4] 집안 형편은 여유로웠으나 목수일이 좋아 1923년 17세에 선린상업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인 목수 오다 밑에서 견습 생활을 시작하였다.[12] 1921년 학업을 중단하기 전 이미 조선총독부 철도국 목수로서 일을 시작했으며, 18세 때 경복궁 대조전 해체 현장에서 궁궐 대목수였던 최원식으로부터 전통 목수 수업을 받았다.[10] 이후 삼청동의 민영휘 집 사랑채를 짓는 등 고관대작들의 집을 많이 지었다.[12]2. 2. 전통 목공 수업과 건축 활동 (1923-1945)
배희한은 1923년 17세에 선린상업고등학교(현 선린인터넷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인 목수 오다 밑에서 도제 생활을 시작하였다.[12] 그 전인 1921년 이미 조선총독부 철도국 목수로 일을 시작했으며, 18세 때 대조전 해체 현장에서 궁궐 대목수였던 최원식에게서 전통 목수 수업을 받았다.[10] 이후 삼청동의 민영휘 집 사랑채를 짓는 등 고관대작들의 집을 많이 지었다.[12] 1939년 31세 때 내시였던 송성진의 집인 돈암장을 지었다.[13]2. 3. 해방 이후 활동과 문화재 보수 (1945-1997)
해방 후인 1959년 경복궁의 하향정과 향원정을 수리했고, 이후 많은 사찰 건물들을 지었다.[12] 1980년 12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 《목공특별연장전》을 통해 전통 목공 장인으로 인정받았고, 1982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가 되었다.[10] 1997년 11월 5일 노환으로 사망하였다.[10]배희한은 그의 스승이나 선배 대목장과 달리 투전도 하지 않았고 술도 마시지 않았지만, 큰돈을 벌지는 못했다. 그는 스스로 "죽은 나무 깎아 먹고 사는 사람에게 원래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말하였다.[14]
2. 4. 개인적 성향
배희한은 그의 스승이나 선배 대목장과 달리 투전(鬪牋)을 하지 않았고 술도 마시지 않았지만, 그리 큰돈을 벌지 못했다. 스스로는 "죽은 나무 깎아 먹고 사는 사람에게 원래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라고 말하였다.[14]3. 작품
배희한은 조선 왕실의 마지막 대령목수였던 최원식의 문하였기 때문에 흔히 "마지막 조선 목수"라고 불린다.[15] 화가 김병종은 배희한의 건축에 대해 소박하지만 단단하고 빈틈없다고 평가한다.[14]
3. 1. 주요 작품 목록
준공 연도 | 건물명 | 위치 |
---|---|---|
1927년 | 김익배 형제 가옥 | - |
1935년 | 김재은 가옥 | - |
1936년 | 노유성 별장 | - |
1939년 | 돈암장 (송성진 가옥) | - |
1940년 | 최기태 가옥 | - |
1942년 | 최창학 가옥 | - |
1966년 | 염불암 | 경기도 과천시 |
1967년 | 오래사 | 서울 성북동 |
1969년 | 구암사 | 봉천동 |
1974년 | 해군사관학교 호국사 | - |
1976년 | 서세옥 가옥 | - |
4. 제자
제자로 1997년 대목장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 기능보유자로 지정된 고택영이 있다.[16] 고택영은 배희한에게서 목공술을 배워 대목장으로 지정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배희한(裵喜漢) Heehan Bae (裵喜Han)
https://encykorea.ak[...]
2023-06-19
[2]
논문
"An Analysis of Changes in Korean House Gardens in the 1930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3]
문서
1939년 31살 때 내시였던 송성진의 집인 [[서울 돈암장|돈암장]]을 지었다.
[4]
뉴스
명인명장 <23> 대목장 배희한옹
http://www.mk.co.kr/[...]
매일경제
1982-06-12
[5]
웹사이트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돈암장 (서울 敦岩莊)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eoul Donamjang (Seoul 敦岩莊)
https://www.heritage[...]
2023-06-19
[6]
웹사이트
"[조용헌 살롱] 장급(莊級)저택의 주인들 [Cho Yong-heon Salon] Owners of Jang-Geop's Mansion"
https://www.chosun.c[...]
2020-08-04
[7]
뉴스
Hanmadang- Lee Heung-woo - Gyeongbok Palace Haejungjeong
http://news.kmib.co.[...]
Kukmin Daily
2013-11-25
[8]
서적
Kim Byung-jong's Travels in Painting (김병종의 화첩기행)
Hyohyeong Publishing(효형출판)
2005
[9]
웹사이트
"[부고]‘대목장’ 보유자 고택영씨 별세 Obituary: Go Taek-Young"
https://www.donga.co[...]
2004-12-20
[10]
웹사이트
배희한
http://encykorea.aks[...]
[11]
논문
“1930년대 한국 주택 정원의 변화 양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12]
뉴스
명인명장 <23> 대목장 배희한옹
http://www.mk.co.kr/[...]
매일경제
1982-06-12
[13]
웹인용
"[조용헌 살롱] 장급(莊級)저택의 주인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20-04-09
[14]
서적
김병종의 화첩기행
효형출판
2005
[15]
뉴스
한마당-이흥우 - 경복궁 하향정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3-11-25
[16]
웹사이트
대목장 고택영
https://www.chf.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