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원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원항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안향의 문인으로 1279년 국자감시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충선왕의 환국을 청원하는 상소를 올리고, 권세가 견제 및 밀직사로 재직하며 행궁의 여비를 착복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형부와 선군의 일을 처리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동문선』에 시 16수가 전해지고, 「조강」, 「백사음」, 「연도추야」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2. 생애

안향의 문인으로 1279년(충렬왕 5) 국자감시(國子監試)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아직 관직에 나아가기 전 일찍이 안향으로부터 "훗날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해진다.[3]

2. 1. 관직 활동

안향의 문인으로 1279년(충렬왕 5) 국자감시(國子監試)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아직 관직에 나아가기 전 일찍이 안향으로부터 "훗날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3]

1311년(충선왕 3) 다시 선군(選軍)을 설치할 때 지언부사(知讞部事)로서 별감사(別監使)가 되었다. 이때 사복영사(司僕令史)를 매로 때려 죽게 한 일로 영흥도(靈興島)에 귀양갔다. 뒤에 풀려나 전교령(典校令)이 되었다. 1314년(충숙왕 1)에는 윤신걸(尹莘傑)·윤선좌(尹宣佐) 등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강의했다. 1317년(충숙왕 4)에는 총부전서(摠部典書)로 동지공거(同考試官)가 되어 진사(進士)를 뽑을 때 홍의손(洪義孫) 등을 급제시켰다.[4]

1321년(충숙왕 8) 밀직사(密直使)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으며, 그 해 박효수(朴孝修)와 함께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대위왕(충선왕)의 귀국을 청원하는 글을 올렸다.[4]

2. 2. 원나라와의 관계

1321년(충숙왕 8) 밀직사(密直使)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다. 같은 해 박효수(朴孝修)와 함께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충선왕(당시 원나라에 머물며 대위왕(大尉王)으로 불림)의 고려 귀국을 요청하는 상서(上書)를 올렸다.[4]

2. 3. 권세가 견제

백원항은 충선왕의 신임을 바탕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김순, 윤석 등과 함께, 상왕 충선왕의 신임을 이용하여 권세를 부리고 뇌물을 받아 막대한 부를 축적한 권한공채홍철 등을 귀양 보냈다.

3. 평가

(내용 없음)

3. 1. 부정적 평가

밀직사(密直司)로 있을 때 행궁(行宮)의 여비를 착복하였다는 비난을 받았다.

4. 작품

동문선』(東文選)에 「조강」(祖江) 등 한시 16수가 전한다. 많은 수의 한시를 남겼음에도 생몰년 등 작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5]

4. 1. 대표작

동문선』에 「조강」(祖江) 등 한시 16수가 전한다.[5] 많은 수의 한시를 남겼음에도 생몰년 등 작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5]

「조강」(祖江)과 「백사음」(白絲吟), 「연도추야」(燕都秋夜)를 대표작으로 꼽는다.[5]

4. 2. 작품 세계

동문선(東文選)에 「조강」(祖江) 등 한시 16수가 전한다. 많은 수의 한시를 남겼음에도 생몰년 등 작가에 대해 알려진 자료가 많지 않음이 애석하다.[5]

  • 「백사음」(白絲吟)
  • 「연도추야」(燕都秋夜)
  • 「상최정승종준」(上崔政丞宗峻)
  • 「주상제태부심양왕」(主上除太傅瀋陽王)
  • 「권우생가음주」(權友生家飮酒)
  • 「설제모춘소우」(雪齋暮春小雨)
  • 「행도조강유작」(行到祖江有作)
  • 「취제한원」(醉題翰院)
  • 「궁거동일(窮居冬日)」
  • 「금련천」(金連川)
  • 「증소년이이동 종련」(贈少年李異同 終聯) 등이 전해진다.


「조강」(祖江)과 「백사음」(白絲吟), 「연도추야」(燕都秋夜)를 대표작으로 꼽는다.

5. 가계


  • 부 : 백진생(白眞生), 중랑장(中郞將)
  • 모 : 이씨(李氏)[2]

참조

[1] 서적 『동문선』
[2] 서적 『경주이씨세보』권지일 1/16 p.39
[3] 서적 『고려사』「안향열전」
[4] 서적 『고려사』「세가」
[5] 논문 백원항의 생애와 시세계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