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치통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치통감은 사마광이 편찬한 중국의 대표적인 통사로, 선진 시대부터 오대 십국 시대까지 16개 시대를 편년체로 서술했다. 황제가 쉽게 역사서를 읽을 수 있도록 방대한 기존 역사서를 정리하고, 유교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정치와 인물의 득실을 평론하여 교훈적인 내용을 담았다. 정사 외에도 야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고, 문관의 시문이나 기이한 현상 등은 삭제하는 등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편집 방식을 선보였다. 자치통감은 송대 이후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치통감강목, 속자치통감장편 등 수많은 파생 저작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역사책 - 신당서
    신당서는 송 인종의 명으로 편찬된 중국 역사서로, 구당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당나라의 역사, 문화, 제도를 상세히 기록하며, 정사 중 최초로 과거 제도를 포함한 관료 임용 방식에 대한 기록을 담고 한유의 문체를 따라 간결하고 고대적인 문체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 11세기 역사책 - 신오대사
    신오대사는 구양수가 편찬하여 1053년에 완성된 중국 오대십국 시대의 역사서로, 5대 왕조와 10국의 역사를 다루며 유교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구오대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했고, 《사기》와 함께 세가가 쓰인 정사이다.
  • 편년체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편년체 - 일본서기
    《일본서기》는 720년에 사인 친왕이 편찬한 신대부터 지토 천황까지의 일본 역사를 기록한 편년체 역사서로, `帝紀`와 `旧辞` 등의 사료를 활용하여 30권으로 구성되었으나 일부 내용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자치통감 - [서적]에 관한 문서
제목자치통감
로마자 표기Zīzhì Tōngjiàn
한자資治通鑑
간체资治通鉴
발음 (표준 중국어)/t͡siɪ.ɖɨ tʰuŋ.kˠamʰ/
발음 (광둥어)/z|i|1|.|z|i|6|-|t|ung|1|.|g|aam|3/
발음 (민난어)Tsu-tī thong-kàm
저자사마광
언어한문
주제중국사
출판일1084년
매체 형식두루마리
원어 코드zh
위키문헌자치통감
설명
의미"정치에 도움이 되는 거울" 자는 문자 그대로 '거울'로 번역될 수 있지만, 여기서 "자신을 비춰보는 것"과 같은 '반성'이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
간략 설명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의 중국 역사를 다룬 1084년 중국 연대기
기타
294권
구성294권
참고 자료
관련 정보柳田節子・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참고 문헌杉山文彦「資治通鑑」, 『中国の古典名著総解説』, 松枝茂夫ほか編、自由国民社, 1990

2. 편찬 배경 및 목적

사마광은 기존 역사서들이 너무 방대하여 황제가 모두 읽기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하나로 정리한 통사(通史) 편찬에 착수하였다. 1064년 영종(英宗)에게 《통지(通志)》 8권을 바쳤는데, 이는 구양수의 《신오대사》처럼 《춘추》의 규범을 따랐다.[31] 신종(神宗) 대에 이르러 이 책은 "정치에 도움이 되는 거울"이라는 의미의 '자치통감'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자치통감'은 정치의 규범으로 삼고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히려는 목적을 담고 있었다. 사실을 그대로 기술하기보다는, 사마광의 역사관에 따라 기사를 선택하고 정치와 인물의 득실(得失)을 평론하여 귀감이 될 만한 내용을 담았다. 위나라와 남조의 연호를 사용하여 정통성을 명시하였다.

사마광은 전국 시대부터 5대(五代)까지 1362년의 정치적 변천을 정리하여 대의명분을 밝히고, 제왕(帝王)의 정치에 거울로 삼고자 했다. 그는 "신(臣)의 정력이 이 서(書)에 다하였도다"라고 상주(上奏)할 정도로 19년간의 편찬 작업에 몰두했다. 각 왕조의 정사(正史) 외에 322종의 잡사(雜史)를 참고하고, · 시대 부분은 구양수의 《신당서》 편찬 이후 수집된 자료까지 채록하여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32] 사마광은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날짜순으로 정리한 '대자료집'(장편)을 완성하고(제1단계), 이 중에서 정치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뽑아 《자치통감》을 완성했다(제2단계).

제1단계는 사마광 혼자 한 것이 아니라, 유반(劉攽)이 전·후한 시대, 범조우(范祖禹)가 당대사, 유서(劉恕)가 삼국에서 남북조 부분을 맡는 등 시대별 전문가들이 분담하였다.[33] 정사(正史)뿐 아니라 실록(實錄) ·야사(野史) ·소설(小說) ·묘지류(墓誌類) 등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고, 《춘추좌씨전》의 서법(書法)에 따라 완성하였다. 중요 기사에는 ‘신광왈(臣光曰)’이라 하여 사마 광 자신의 평론을 덧붙였다.

신종(神宗)은 《자치통감》이라 이름을 붙이고 서문(序文)을 썼다. 사마광은 고증이 필요한 부분을 정리한 《자치통감고이(資治通鑑考異)》(30권), 연표인 《자치통감연표》(30권)를 만들었다. 《통감목록(通鑑目錄)》(30권), 《통감석례(通鑑釋例)》(1권)는 목록과 범례를, 《계고록(稽古錄)》(20권)은 《자치통감》의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것이다.

사마광


사마광은 황제에게 보낸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어려서부터 역사를 두루 살펴왔습니다. 기전체는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많아서 비록 박학한 학자라도 여러 번 읽어도 이해하고 정리하기 어렵습니다. … 저는 늘 전국 시대부터 오대에 이르기까지, 『좌전(左傳)』의 형식을 대략적으로 따르고, 정사 외의 다른 책들을 참고하여 통치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담은, 즉 왕조의 성쇠와 백성의 희로애락과 관련되고, 선은 본보기가 되고 악은 경고가 될 수 있는 연대기 역사를 쓰고 싶었습니다.

사마광은 『자치통감』에서 기전체 대신 편년체를 선택했는데, 이는 유학 경전인 『춘추』를 본받고 객관을 중시하며 주관을 배제하려는 의도였다. 또한, 당시 기전체 사서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사마광은 정사에 없는 야사, 가전, 잡설 등 322종의 자료를 활용했다. 특히 , , 오대 부분은 구양수의 『신당서』 편찬 시 버려진 자료나 이후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3]

당시 정사 편찬은 유교 경전을 암기한 사관이 유교 도덕적으로 문제없는 이야기를 기전체로 쓰는 것이 선호되었다. 귀족 출신 관료들은 무관을 천시하고 문관의 공적을 과장했다.[4] 사마광은 군사적 사실과 민간 야사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역사학자 이나바 이치로는 사마광이 야사를 많이 사용하고 편년체로 역사를 쓰려 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정사가 방대하고 관료 이력서, 상표문으로 가득 차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 송의 과거 관료는 민중 출신이 많아 귀족의 역사 저술에 불만이 있었다.
  • 단대사의 기전체에서는 승자 왕조가 “선”으로 여겨져 불공평한 묘사가 있었다.
  • 춘추학 발달로 편년체가 재검토되었다.[5]


당시 정사 편찬관의 편견에 대해 송의 홍매는 『용재사필』 권11에 자세히 기록했다.[6]

홍매에 따르면, 당시 정사 편찬관은 야사, 종군기, 가전을 버리고 유교 도덕적으로 문제없는 이야기만 사서에 기재했다. 사마광은 야사를 사용하여 부도덕한 일도 기재했다.[7]

사마광이 야사를 채용했기 때문에, 자치통감은 잔혹한 묘사가 많다는 평가를 받았다. 상원규장[8]은 자치통감의 식인 묘사를 바탕으로 “支那人間に於ける食人肉の風習”이라는 논문을 썼다.[9] 사마광은 유교적 곡필을 배제하고, 정사가 배제했던 무인의 종군 기록과 민간인의 수기를 참고했다.[10] 원의 『문헌통고』는 사마광이 세상을 교정하고 어지러운 중국 풍속을 바로잡으려 했다고 변호했다.[11]

사마광은 문관의 시문과 상표문, 기이한 현상은 삭제하고 역사의 큰 흐름만 기록했다. 조수 유서의 아들 류희중은 『통감문의』에서 이를 비판했지만, 사마광은 개의치 않았다. 유방의 백사 벤 이야기만 후에 부활시켰다.[12]

사마광은 제도사·경제사를 경시했던 정사를 한탄하며, 자치통감에 제도의 변천, 경제사, 천문, 지리 등 백과사전적 기재를 많이 했다.[13] 주석을 단 호삼성은 사마광의 백과사전적 기재에 놀라며, “통감을 읽는 사람은 음하의 쥐와 같다. 각자 그 양을 채우는 것뿐이다.”라고 했다.[14]

자료 수집 후 연월일에 정리하여 자료집(장편)을 만들고(제1단계), 사마광이 치세에 도움 되는 것만 골라 『자치통감』을 완성했다(제2단계).

한대는 류탁(류창의 동생), 당대는 범조우, 남북조 시대는 유서가 담당했다. 유서의 사료 수집은 완벽하여 사마광은 할 일이 없었다고 한다.

사마광은 춘추의 서법을 의식했다. 그의 문집, 류창과의 서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증이 필요한 자료는 『'''통감고이'''』 30권, 연표는 『'''통감목록'''』 30권으로 정리했다.

북송 시대에 『자치통감』은 인기가 없었다. 사마광의 정적 왕안석의 신법당은 정부 비판의 책이라며 인정하지 않았다. 사마광 사후 판목을 부수려는 자도 있었지만, 황제의 서문 덕에 면했다.[15]

남송 시대 지식인들 사이에서 읽혔지만, 주희는 정통성에 문제가 있다며 비판했다.[12]

금(金)·원(元) 같은 정복 왕조에서 인기를 얻었다. 금의 세종과 원의 세조 쿠빌라이는 애독자였다.[12] 금 세종은 중국 역대 흥망을 잘 알 수 있다고 극찬했다. 쿠빌라이는 『자치통감』 강의를 듣고, 약본(통감절요)을 몽골어로 번역하게 했다.[12]

3. 편찬 과정

사마광은 황제가 모든 역사책을 다 읽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역사책을 하나로 묶은 《통지》 8권을 편찬했다. 이 책은 편년체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구양수의 《신오대사》처럼 《춘추》의 규범을 따랐다.[31] 1064년 영종에게 처음 바쳐진 이 책은 신종 때에 이르러 "정치에 도움이 되는 거울"이라는 의미의 '자치통감'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사마광은 이 책을 통해 전국 시대부터 5대까지 1362년 동안의 정치적 변화를 정리하고, 왕조 흥망의 원인과 대의명분을 밝혀 제왕의 정치에 귀감이 되도록 하고자 했다. 그는 자신의 역사관을 바탕으로 기사를 선택하고, 정치나 인물의 득실을 평가하여 귀감이 될 만한 내용을 많이 담았다. 편년체 서술에 있어서도 위나라와 남북조 시대에는 남조의 연호를 사용하여 정통성을 명확히 했다.

사마광은 "신(臣)의 정력이 이 서(書)에 다하였도다"라고 말할 정도로 19년간의 편찬 작업에 몰두했다. 그는 각 왕조의 정사뿐만 아니라 322종에 달하는 야사, 소설, 묘지류 등 다양한 자료를 참고했다.[33] 특히 , 시대 부분은 구양수의 《신당서》 편찬 이후 수집된 자료까지 포함하여 사료적 가치를 높였다. 사마광은 가능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날짜순으로 정리해 '장편'이라고 불리는 '대자료집'을 완성했다(제1단계). 그 후, '대자료집'에서 정치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선별하여 《자치통감》을 완성했다(제2단계).

제1단계 작업은 사마광 혼자 한 것이 아니라, 당대 최고의 역사학자들이 함께 참여했다. 전·후한 시대유반이, 당대사범조우가,[32] 삼국에서 남북조 부분은 유서가 맡았다.[33] 이들은 각자 전문 분야를 맡아 효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다. 사마광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사에는 '신광왈(臣光曰)'이라는 자신의 평론을 덧붙여 자신의 사관을 드러냈다.

신종은 《자치통감》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직접 서문을 썼다. 사마광은 자료 중 고증이 필요한 부분을 따로 정리하여 《자치통감고이》(30권)를 만들었고, 연표인 《자치통감연표》(30권)도 만들었다. 《통감목록》(30권)과 《통감석례》(1권)는 사마광이 《자치통감》의 목록과 범례를 수록한 것이며, 《계고록》(20권)은 완성된 《자치통감》의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것이다.

사마광은 의도적으로 기전체 대신 편년체를 선택했다. 이는 유교 경전인 《춘추》를 본받고자 한 목적과 객관성을 중시하고 주관을 배제하는 그의 사상 때문이었다. 또한, 당시 기전체 사서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는 연구도 있다.

《자치통감》은 처음에는 '통지'라고 불렸으며, 1064년 영종에게 8권으로 바쳐졌다. 이후 신종 때 '자치통감'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정사에 기록되지 않은 야사 등 322종의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쓰여졌으며, 특히 , , 오대 부분은 구양수의 《신당서》 편찬 이후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3]

사마광이 야사를 많이 활용한 것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일이었다. 당대 이후 정사 편찬에서는 유교 도덕적으로 문제가 없는 이야기를 기전체로 쓰는 것이 선호되었다. 그러나 사마광은 군사적 측면의 사실과 민간 야사에 남아 있던 이야기를 많이 다루었다.[4]

역사학자 이나바 이치로는 사마광이 야사를 많이 사용하고 편년체로 역사를 쓰려고 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정사가 방대하고 관료들의 이력서와 상표문으로 가득 차 있어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 의 과거 관료는 민중 출신이 많아 귀족 중심의 역사 서술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
  • 정사, 특히 단대사의 기전체에서는 역사를 편찬한 승자 왕조가 '선'으로 여겨져 불공평한 묘사가 있었다.
  • 당시 춘추학이 발달하여 편년체가 재검토되고 있었다.[5]


당시 정사 편찬관들은 야사나 종군기, 가전을 버리고 유교 도덕적으로 문제가 없는 이야기만을 사서에 기록했다. 그러나 사마광은 야사를 사용하여 부도덕한 일도 기록했다.[6][7]

사마광이 야사를 많이 채택했기 때문에 《자치통감》에는 잔혹한 묘사가 많다는 평가도 있다.[8][9] 그는 유교적인 윤색을 배제하고 정사가 배제했던 무인의 종군 기록과 민간인의 수기를 '정치가의 경계'로 삼았기 때문이다.[10] 이 때문에 '통감은 소설을 채용한다'는 비판도 있었지만, 원나라의 《문헌통고》는 사마광이 세상을 교정하고 어지러운 풍속을 바로잡으려 한 것이라고 옹호했다.[11]

반면, 문관의 공적을 칭찬하기 위해 정사가 채택했던 시문과 상표문은 거의 정리되었다. 또한, 기이한 현상도 모두 삭제하고 역사의 큰 흐름만을 기록했다. 유서의 아들 류희중은 이를 비판했지만, 사마광은 개의치 않았다.[12]

사마광은 당시 정사가 제도사, 경제사를 경시하는 것을 한탄하며, 《자치통감》에서는 제도의 변천, 경제사, 천문, 지리 등 백과사전적인 내용도 많이 다루었다.[13] 주석을 단 호삼성은 사마광의 백과사전적인 기록에 감탄하며, "통감을 읽는 사람은 음하의 쥐와 같다. 각자 그 양을 채우는 것뿐이다."라고 말했다.[14]

《자치통감》의 제작 방법은 두 단계로 나뉜다.

1. 자료를 수집하여 연월일순으로 정리한 거대한 자료집(장편)을 만든다.

2. 장편을 바탕으로 사마광이 정치에 도움이 되는 것만을 골라 《자치통감》을 완성한다.

제1단계는 사마광 혼자 한 것이 아니라, 한대는 류탁, 당대범조우, 남북조 시대유서가 담당했다.

사마광은 춘추의 서법을 의식하여 편년체를 취했다. 그의 문집에 남은 기록이나 류창과의 서신 교환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고증이 필요한 자료는 《자치통감고이》 30권으로 정리되었고, 연표인 《자치통감목록》 30권도 만들어졌다.

4. 구성 및 내용

《자치통감》은 총 294권으로, 사마광송나라 영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편년체 역사책이다. 전국 시대부터 오대까지 16개 시대, 1362년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각 시대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각 시대별 주요 사건, 인물, 제도 변화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사에는 사마광 자신의 평론인 '신광왈(臣光曰)'을 덧붙여 자신의 역사관을 드러냈다.[33]

사마광은 자료의 출처와 내용 고증, 목록 등을 정리하기 위해 《자치통감고이(資治通鑑考異)》(30권), 《자치통감목록(資治通鑑目錄)》(30권) 등을 부수적으로 편찬했다.

베이징 중국 국가도서관 고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본 필사본 8장

4. 1. 주기(周紀)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1주기1동주 위열왕(東周 威烈王)기원전 403년 ~ 기원전 369년
(위열왕 23년 ~ 열왕 7년)
rowspan="3" |
동주 안왕(東周 安王)
동주 열왕(東周 烈王)
권2주기2동주 현왕(東周 顯王)기원전 368년 ~ 기원전 321년
(현왕 원년 ~ 현왕 48년)
권3주기3동주 신정왕(東周 愼靚王)기원전 320년 ~ 기원전 298년
(신정왕 원년 ~ 난왕 17년)
rowspan="2" |
동주 난왕(東周 赧王)
권4주기4기원전 297년 ~ 기원전 273년
(난왕 18년 ~ 난왕 42년)
권5주기5기원전 272년 ~ 기원전 256년
(난왕 43년 ~ 난왕 59년)


4. 2. 진기(秦紀)

colspan="2"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6진기1소양왕(昭襄王)진 소양왕
(秦 昭襄王)
기원전 255년 ~ 기원전 228년
(소양왕 52년 ~ 시황제 19년)
rowspan="4" |
효문왕(孝文王)진 효문왕
(秦 孝文王)
장양왕(莊襄王)진 장양왕
(秦 莊襄王)
시황제(始皇帝)
진 시황제
(秦 始皇帝)
권7진기2시황제(始皇帝)
기원전 227년 ~ 기원전 209년
(시황제 20년 ~ 이세황제 원년)
rowspan="2" |
이세황제(二世皇帝)
진 이세황제
(秦 二世皇帝)
권8진기3이세황제(二世皇帝)
기원전 208년 ~ 기원전 207년
(이세황제 2년 ~ 이세황제 3년)



진(秦)기는 진 소양왕부터 이세황제까지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3. 한기(漢紀)

漢紀|한기중국어전한 고제부터 후한 헌제까지 기록된 부분으로 총 60권이다.

漢紀|한기중국어 목록
권수시기 (음력|陰曆중국어)주요 군주비고
권9 ~ 권12기원전 206년 ~ 기원전 188년전한 고제, 전한 혜제
권13기원전 187년 ~ 기원전 178년고황후 여씨전소제, 후소제 부록
권14 ~ 권15기원전 177년 ~ 기원전 155년전한 문제
권16기원전 154년 ~ 기원전 141년전한 경제
권17 ~ 권22기원전 140년 ~ 기원전 87년전한 무제
권23 ~ 권24기원전 86년 ~ 기원전 68년전한 소제해혼후 부록
권25 ~ 권27기원전 67년 ~ 기원전 49년전한 선제
권28 ~ 권29기원전 48년 ~ 기원전 33년전한 원제
권30 ~ 권33기원전 32년 ~ 기원전 6년전한 성제
권34 ~ 권35기원전 5년 ~ 2년전한 애제
권363년 ~ 8년전한 평제, 유자
권37 ~ 권389년 ~ 22년왕망
권3923년 ~ 24년현한 경시제
권40 ~ 권4425년 ~ 60년후한 광무제
권4561년 ~ 75년후한 명제
권46 ~ 권4776년 ~ 91년후한 장제
권4892년 ~ 105년후한 화제
권49106년 ~ 115년후한 상제, 후한 안제
권50 ~ 권51116년 ~ 133년후한 안제북향후 부록
권52134년 ~ 145년후한 순제, 후한 충제
권53146년 ~ 156년후한 질제, 후한 환제
권54 ~ 권56157년 ~ 171년후한 환제
권57 ~ 권59172년 ~ 190년후한 영제홍농회왕 부록
권60 ~ 권68191년 ~ 219년후한 헌제


4. 4. 위기(魏紀)

魏紀중국어는 삼국시대 위나라 문제부터 원제까지를 다룬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69위기1세조문황제(世祖文皇帝) 상위 문제220년 ~ 222년 (황초 원년 ~ 황초 3년)
권70위기2세조문황제(世祖文皇帝) 하223년 ~ 227년 (황초 4년 ~ 태화 원년)
열조명황제(烈祖明皇帝) 상위 명제
권71위기3열조명황제(烈祖明皇帝) 상 - 하228년 ~ 230년 (태화 2년 ~ 태화 4년)
권72위기4열조명황제(烈祖明皇帝) 중 - 상231년 ~ 234년 (태화 5년 ~ 청룡 2년)
권73위기5열조명황제(烈祖明皇帝) 중 - 하235년 ~ 237년 (청룡 3년 ~ 경초 원년)
권74위기6열조명황제(烈祖明皇帝) 하238년 ~ 245년 (경초 2년 ~ 정시 6년)
소릉여공(邵陵厲公) 상소릉여공
권75위기7소릉여공(邵陵厲公) 중246년 ~ 252년 (정시 7년 ~ 가평 4년)
권76위기8소릉여공(邵陵厲公) 하253년 ~ 255년 (가평 5년 ~ 정원 2년)
고귀향공(高貴鄉公) 상고귀향공
권77위기9고귀향공(高貴鄉公) 하256년 ~ 261년 (감로 원년 ~ 경원 2년)
원황제(元皇帝) 상위 원제
권78위기10원황제(元皇帝) 하262년 ~ 264년 (경원 3년 ~ 함희 원년)


4. 5. 진기(晉紀)

晉紀중국어는 자치통감의 한 부분으로, 서진 무제부터 동진 공제까지를 다루며 총 4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군주연호비고
권79265년 ~ 272년무제태시 원년 ~ 태시 8년
권80273년 ~ 279년무제태시 9년 ~ 함녕 5년
권81280년 ~ 288년무제태강 원년 ~ 태강 9년
권82289년 ~ 298년무제, 혜제태강 10년 ~ 원강 8년
권83299년 ~ 300년혜제원강 9년 ~ 영강 원년
권84301년 ~ 302년혜제영녕 원년 ~ 태안 원년
권85303년 ~ 304년혜제태안 2년 ~ 영흥 원년
권86305년 ~ 308년혜제, 회제영흥 2년 ~ 영가 2년
권87309년 ~ 311년회제영가 3년 ~ 영가 5년
권88312년 ~ 313년회제, 민제영가 6년 ~ 건흥 원년
권89314년 ~ 316년민제건흥 2년 ~ 건흥 4년
권90317년 ~ 318년원제건무 원년 ~ 대흥 원년
권91319년 ~ 321년원제대흥 2년 ~ 대흥 4년
권92322년 ~ 323년원제, 명제영창 원년 ~ 태녕 원년
권93324년 ~ 327년명제, 성제태녕 2년 ~ 함화 2년
권94328년 ~ 331년성제함화 3년 ~ 함화 6년
권95332년 ~ 337년성제함화 7년 ~ 함강 3년
권96338년 ~ 341년성제함강 4년 ~ 함강 7년
권97342년 ~ 347년성제, 강제, 목제함강 8년 ~ 영화 3년
권98348년 ~ 350년목제영화 4년 ~ 영화 6년
권99351년 ~ 354년목제영화 7년 ~ 영화 10년
권100355년 ~ 359년목제영화 11년 ~ 승평 3년
권101360년 ~ 368년목제, 애제, 해서공승평 4년 ~ 태화 3년
권102369년 ~ 370년해서공태화 4년 ~ 태화 5년
권103371년 ~ 375년간문제, 효무제함안 원년 ~ 영강 3년
권104376년 ~ 382년효무제태원 원년 ~ 태원 7년
권105383년 ~ 384년효무제태원 8년 ~ 태원 9년
권106385년 ~ 386년효무제태원 10년 ~ 태원 11년
권107387년 ~ 391년효무제태원 12년 ~ 태원 16년
권108392년 ~ 396년효무제태원 17년 ~ 태원 21년
권109397년안제융안 원년
권110398년안제융안 2년
권111399년 ~ 400년안제융안 3년 ~ 융안 4년
권112401년 ~ 402년안제융안 5년 ~ 원흥 원년
권113403년 ~ 404년안제원흥 2년 ~ 원흥 3년
권114405년 ~ 408년안제의희 원년 ~ 의희 4년
권115409년 ~ 410년안제의희 5년 ~ 의희 6년
권116411년 ~ 414년안제의희 7년 ~ 의희 10년
권117415년 ~ 416년안제의희 11년 ~ 의희 12년
권118417년 ~ 419년안제, 공제의희 13년 ~ 원희 원년


4. 6. 송기(宋紀)

宋紀중국어는 유송 시기를 다루며, 무제부터 순제까지 총 1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군주시기(음력)비고
권119무제, 영양왕420년 ~ 423년
(영초 원년 ~ 경평 원년)
권120 - 권127문제424년 ~ 453년
(원가 원년 ~ 원가 30년)
권128 - 권129효무제454년 ~ 464년
(효건 원년 ~ 대명 8년)
권130 - 권133명제, 전폐제, 후폐제465년 ~ 475년
(영광 원년 ~ 원휘 3년)
권134후폐제, 순제476년 ~ 478년
(원휘 4년 ~ 승명 2년)


4. 7. 제기(齊紀)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135제기1남제 고제479년 ~ 483년
(건원 원년 ~ 영명 원년)
rowspan="2" |
남제 무제
권136제기2남제 무제484년 ~ 489년
(영명 2년 ~ 영명 7년)
권137제기3남제 무제490년 ~ 492년
(영명 8년 ~ 영명 10년)
권138제기4남제 무제493년
(영명 11년)
권139제기5남제 명제494년
(융창 원년 ~ 건무 원년)
권140제기6남제 명제495년 ~ 496년
(건무 2년 ~ 건무 3년)
권141제기7남제 명제497년 ~ 498년
(건무 4년 ~ 영태 원년)
권142제기8동혼후499년
(영원 원년)
권143제기9동혼후500년
(영원 2년)
권144제기10남제 화제501년
(영원 3년 ~ 중흥 원년)



제기(齊紀)는 남제(479년–502년) 시대를 다룬 10권 분량의 기록이다.

4. 8. 양기(梁紀)

梁紀|양기중국어는 양나라 무제부터 경제까지 2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145양기1양 무제502년 ~ 504년
(천감(天監) 원년 ~ 천감 3년)
권146양기2505년 ~ 507년
(천감 4년 ~ 천감 6년)
권147양기3508년 ~ 514년
(천감 7년 ~ 천감 13년)
권148양기4515년 ~ 518년
(천감 14년 ~ 천감 17년)
권149양기5519년 ~ 523년
(천감 18년 ~ 보통 4년)
권150양기6524년 ~ 525년
(보통 5년 ~ 보통 6년)
권151양기7526년 ~ 527년
(보통 7년 ~ 대통 원년)
권152양기8528년
(대통 2년)
권153양기9529년
(대통 3년 ~ 중대통(中大通) 원년)
권154양기10530년
(중대통 2년)
권155양기11531년 ~ 532년
(중대통 3년 ~ 중대통 4년)
권156양기12533년 ~ 534년
(중대통 5년 ~ 중대통 6년)
권157양기13535년 ~ 537년
(대동 원년 ~ 대동 3년)
권158양기14538년 ~ 544년
(대동 4년 ~ 대동 10년)
권159양기15545년 ~ 546년
(대동 10년 ~ 중대동(中大同) 원년)
권160양기16547년
(중대동 2년 ~ 태청 원년)
권161양기17548년
(태청 2년)
권162양기18549년
(태청 3년)
권163양기19양 간문제550년
(대보 원년)
권164양기20551년 ~ 552년
(대보 2년 ~ 승성(承聖) 원년)
양 원제
권165양기21553년 ~ 554년
(승성 2년 ~ 승성 3년)
권166양기22양 경제555년 ~ 556년
(소태(紹泰) 원년 ~ 태평 원년)



4. 9. 진기(陳紀)

陳紀중국어는 남조 진나라 무제부터 장성공(말제)까지 다룬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167 진기1
고조무황제(高祖武皇帝)
진 무제(陳 武帝)557년 ~ 559년
(영정 원년 ~ 영정 3년)
권168 진기2
세조문황제(世祖文皇帝) 上
권169 진기3
세조문황제(世祖文皇帝) 下
진 문제(陳 文帝)560년 ~ 566년
(천가(天嘉) 원년 ~ 천강 원년)
권170 진기4
임해왕(臨海王)
임해왕(臨海王)
진 선제(陳 宣帝)
567년 ~ 571년
(광대 원년 ~ 태건 3년)
권171 진기5
고종선황제(高宗宣皇帝) 上 - 下
진 선제(陳 宣帝)572년 ~ 574년
(태건 4년 ~ 태건 6년)
권172 진기6
고종선황제(高宗宣皇帝) 中 - 上
575년 ~ 576년
(태건 7년 ~ 태건 8년)
권173 진기7
고종선황제(高宗宣皇帝) 中 - 下
577년 ~ 579년
(태건 9년 ~ 태건 11년)
권174 진기8
고종선황제(高宗宣皇帝) 下 - 上
580년
(태건 12년)
권175 진기9
고종선황제(高宗宣皇帝) 下 - 下
581년 ~ 583년
(태건 13년 ~ 지덕 원년)
권176 진기10
장성공(長城公) 下
장성공(長城公)584년 ~ 588년
(지덕 2년 ~ 정명 2년)


4. 10. 수기(隋紀)

권수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177수기1문제589년 ~ 591년 (개황 9년 ~ 11년)
권178수기2592년 ~ 599년 (개황 12년 ~ 19년)
권179수기3600년 ~ 603년 (개황 20년 ~ 인수 3년)
권180수기4604년 ~ 607년 (인수 4년 ~ 대업 3년)
양제
권181수기5608년 ~ 612년 (대업 4년 ~ 8년)
권182수기6613년 ~ 615년 (대업 9년 ~ 11년)
권183수기7616년 1월 ~ 617년 5월 (대업 12년 ~ 의녕 원년)
공제
권184수기8617년 6월 ~ 617년 12월 (의녕 원년)



隋紀중국어수 문제부터 수 공제까지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1. 당기(唐紀)

唐紀|당기중국어는 자치통감의 한 부분으로, 당나라 고조부터 소선제(애제)까지 8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치통감 唐紀|당기중국어 목록
권수군주시기(음력)비고
권185 ~ 권191고조618년 1월 ~ 626년 8월
(무덕 원년 ~ 무덕 9년)
권192 ~ 권199태종626년 9월 ~ 655년 9월
(무덕 9년 ~ 영휘 6년)
권199 ~ 권203고종648년 4월 ~ 686년 12월
( 정관 22년 ~ 수공 2년)
권203 ~ 권207측천순성황후682년 1월 ~ 705년 1월
(영순 원년 ~ 신룡 원년)
권207 ~ 권209중종700년 7월 ~ 710년 7월
( 구시 원년 ~ 경운 원년)
권209 ~ 권210예종708년 1월 ~ 713년 12월
( 경룡 2년 ~ 개원 원년)
권210 ~ 권217현종710년 8월 ~ 756년 4월
(경운 원년 ~ 천보 15년)
권217 ~ 권222숙종754년 1월 ~ 763년 6월
(천보 13년 ~ 광덕 원년)
권222 ~ 권226대종761년 1월 ~ 781년 5월
( 상원 2년 ~ 건중 2년)
권226 ~ 권236덕종779년 8월 ~ 805년 12월
( 대력 14년 ~ 영정 원년)
권236순종801년 1월 ~ 805년 12월
( 정원 17년 ~ 영정 원년)
권237 ~ 권241헌종806년 1월 ~ 821년 6월
(원화 원년 ~ 장경 원년)
권241 ~ 권243목종819년 2월 ~ 828년 12월
(원화 14년 ~ 대화 2년)
권243경종823년 1월 ~ 828년 12월
(장경 3년 ~ 대화 2년)
권243 ~ 권246문종823년 1월 ~ 842년 12월
(장경 3년 ~ 회창 2년)
권246 ~ 권248무종838년 1월 ~ 849년 12월
( 개성 3년 ~ 대중 3년)
권248 ~ 권249선종844년 윤 7월 ~ 859년 12월
(회창 4년 ~ 대중 13년)
권250 ~ 권252의종860년 ~ 876년 12월
(함통 원년 ~ 건부 3년)
권252 ~ 권257희종870년 1월 ~ 888년 12월
(함통 11년 ~ 문덕 원년)
권258 ~ 권265소종889년 1월 ~ 906년 12월
(용기 원년 ~ 천우 3년)
권265소선제904년 5월 ~ 906년 12월
(천우 원년 ~ 천우 3년)


4. 12. 후량기(後梁紀)

後梁紀중국어양 태조부터 말제까지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266후량기1양 태조
(梁 太祖) 상
907년 1월 ~ 908년 7월
(개평 원년 ~ 개평 2년)
권267후량기2양 태조
(梁 太祖) 중
908년 8월 ~ 911년 2월
(개평 2년 ~ 건화 원년)
권268후량기3양 태조
(梁 太祖) 하
911년 3월 ~ 913년 11월
(건화 원년 ~ 건화 3년)
rowspan="2"|
영왕
(郢王) 상 - 상
<부록>
권269후량기4양 말제
(梁 末帝) 상 - 하
913년 12월 ~ 917년 6월
(건화 3년 ~ 정명 3년)
권270후량기5양 말제
(梁 末帝) 중
917년 7월 ~ 919년 9월
(정명 3년 ~ 정명 5년)
권271후량기6양 말제
(梁 末帝) 하
919년 10월 ~ 922년 12월
(정명 5년 ~ 용덕 2년)


4. 13. 후당기(後唐紀)

後唐紀중국어후당 장종부터 말제(노왕)까지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272후당기1당 장종923년 2월 ~ 923년 12월
(동광 원년)
권273후당기2당 장종924년 1월 ~ 925년 10월
(동광 2년 ~ 동광 3년)
권274후당기3당 장종925년 11월 ~ 926년 3월
(동광 3년 ~ 동광 4년)
rowspan="2" |
당 명종
권275후당기4당 명종926년 4월 ~ 927년 6월
(천성 원년 ~ 천성 2년)
권276후당기5당 명종927년 7월 ~ 929년 12월
(천성 2년 ~ 천성 4년)
권277후당기6당 명종930년 1월 ~ 932년 6월
(장흥 원년 ~ 장흥 3년)
권278후당기7당 명종932년 7월 ~ 934년 윤 1월
(장흥 3년 ~ 응순 원년)
rowspan="2" |
당 말제
권279후당기8당 말제934년 2월 ~ 935년 12월
(청태 원년 ~ 청태 2년)


4. 14. 후진기(後晉紀)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280후진기1진 고조
(上 - 上)
진 고조936년 1월 ~ 936년 12월
(천복 원년)
권281후진기2진 고조
(上 - 下)
937년 1월 ~ 938년 12월
(천복 2년 ~ 천복 3년)
권282후진기3진 고조
(中)
939년 1월 ~ 941년 12월
(천복 4년 ~ 천복 6년)
권283후진기4진 고조
(下)
942년 1월 ~ 944년 1월
(천복 7년 ~ 천복 9년)
진 출제
(上)
진 출제
권284후진기5진 출제
(中)
944년 2월 ~ 945년 7월
(개운 원년 ~ 개운 2년)
권285후진기6진 출제
(下)
945년 7월 ~ 946년 12월
(개운 2년 ~ 개운 3년)



《자치통감》의 '후진기'는 진 고조부터 진 출제까지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5. 후한기(後漢紀)

목록군주시기(음력)비고
권286후한기1한 고조947년 1월 ~ 947년 4월
(천복 12년)
권287후한기2947년 5월 ~ 948년 2월
(천복 12년 ~ 건우 원년)
권288후한기3948년 3월 ~ 949년 12월
(건우 원년 ~ 건우 2년)
한 은제
권289후한기4950년 1월 ~ 950년 12월
(건우 3년)



후한기는 한 고조부터 한 은제까지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6. 후주기(後周紀)

후주기 목록
군주시기(음력)
태조 (951년 1월 ~ 954년 4월)
세종 (954년 5월 ~ 959년 12월)
공제



후주기는 태조부터 공제까지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영향 및 파생 저작

《자치통감》은 송대 이후 역사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편년체 역사 서술의 모범이 되었으며, 이후 《자치통감강목》, 《속자치통감장편》, 《통감기사본말》 등 많은 파생 저작들이 편찬되었다.[16] 원나라 호삼성의 주석(호주胡注)은 《자치통감》의 기사를 보정하고 다른 사료의 내용도 제공하여 본서를 읽는 데 필수적인 문헌으로 평가받는다.[24]

고려 시대에는 이 책이 '자리통감'(資理通鑑)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읽혔는데, 고려 성종의 휘가 왕치(王治)였기 때문에 피휘를 하기 위해 치(治)를 뜻이 같은 리(理)로 바꾼 것이다. 조선 시대에도 중요한 역사서로 인식되었다. 권중달 역의 《자치통감》 완역본(총 32권)은 1997년 번역을 시작해 2005년에 완료되었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출간되어 한국 독자들이 이 방대한 역사서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35]

《자치통감》의 영향을 받은 역사서는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뉜다.[17]


  • 주희의 《자치통감강목》, 원술의 《통감기사본말》과 같은 다이제스트본(약본) 계통: 《자치통감》은 방대하여 남송 시대부터 여러 다이제스트 판본이 존재했다.
  • 이도의 《속자치통감장편》, 비원의 《속자치통감》, 황이주·진훤업 등의 《속자치통감장편십보》 등과 같이 《자치통감》의 속편을 의도하여 쓰여진 책들이다.


후대에 두 계통을 종합한 《통감집람》, 《경헌유언》과 같은 역사서도 쓰였다.[21]

6. 평가 및 의의

《자치통감》은 방대한 분량, 엄밀한 고증, 객관적인 서술로 중국 역사학의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편년체 서술 방식으로 역사의 흐름을 명확히 제시하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적 사실을 다각도로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3]

사마광은 유교 경전인 《춘추》의 서술 방식을 본받아 편년체를 채택하여 역사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사뿐만 아니라 야사, 가전, 잡설 등 322종에 이르는 풍부한 자료를 참고하여 역사적 사실을 다각도로 조명했다.[3] 특히 당나라와 5대 시대 부분은 《신당서》 편찬 이후 수집된 자료까지 활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3]

사마광은 정사에 기록된 문관들의 시문과 상표문은 거의 정리하고, 기이한 현상에 대한 기록도 삭제하여 역사의 큰 흐름만을 중점적으로 기록했다. 이는 문관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군사적 측면과 민간의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한 시도였다.[4]

《자치통감》은 한국 역사와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려 시대에는 고려 성종의 휘를 피휘하기 위해 '자리통감'이라고 불렀으며, 조선 시대에는 집현전 학사들이 편찬에 참여하기도 했다.[34]

《자치통감》은 단순한 역사 기록을 넘어, 과거의 경험을 통해 현재와 미래를 위한 교훈을 얻고자 하는 실용적인 역사관을 보여준다. 이는 역사를 통해 사회 개혁과 발전을 추구하는 진보적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柳田節子・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 서적 中国の古典名著総解説 自由国民社
[3] 서적 学研 漢和大字典
[4] 서적 世界史の誕生 筑摩書房
[5] 논문 <論説>『歴年図』と『通志』 : 『資治通鑑』の成立過程に関する一考察 https://doi.org/10.1[...] 史学研究会 (京都大学文学部内) 1991-07
[6] 서적 容斎四筆・巻十一・冊府元亀 中華書局
[7] 서적
[8] 서적 近代日本漢學家:東洋學的系譜
[9] 논문 支那人間に於ける食人肉の風習 https://toyo-bunko.r[...] 東洋文庫 1924-07
[10] 서적 古今図書集成 中華書局・巴蜀書社
[11] 서적 文献通考 中華書局・巴蜀書社
[12] 서적
[13] 논문
[14] 서적 唐紀開元十二年 第212卷
[15] 서적 宋史
[16] 백과사전 改訂新版 世界大百科事典 JapanKnowledge
[17]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
[18] 논문 講史小説と歴史書 (1) : 『三国演義』,『隋唐両朝史伝』を中心に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1996-03
[19]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
[20] 서적 中国の歴史8 疾駆する草原の征服者 遼 西夏 金 元 講談社文庫
[21]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
[22] 논문 明治期漢文中国史書物の歴史叙述
[23] 서적 靖献遺言 講談社学術文庫
[24]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
[25] 논문 宋元刊資治通鑑について
[26] 서적 通鑑紀事本末 上海古籍出版社
[27] 서적
[28] 논문 <紹介>佐伯富編 : 資治通鑑索引 https://doi.org/10.1[...] 史学研究会 (京都大学文学部内) 1961-11
[29] 웹사이트 本当に残酷な中国史 大著「資治通鑑」を読み解く https://www.kadokawa[...] 角川新書
[30] 웹사이트 マイケル・ピルズベリー「中国は2049年の覇権国家を目指す」は本当か?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31] 서적
[32] 서적 당감
[33] 서적
[34]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 2012-12-27
[3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