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향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주자학을 처음으로 들여와 고려 사회에 널리 알린 인물이다. 경상북도 영주 출신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가 동지밀직, 첨의시랑찬성사 등을 역임했다. 1289년 원나라에 유학하여 주자전서를 필사해 온 후 고려에 주자학을 전파하고, 쇠퇴한 국자감을 정비하는 등 유학 진흥에 힘썼다. 그는 후학 양성에도 힘써 권부, 우탁, 백이정, 이조년 등을 길러냈으며, 문성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또한, 그의 초상화는 국보로 지정되었고, 1319년 문묘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향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안향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1243년 출생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 1243년 출생 - 친킴
친킴은 쿠빌라이 칸의 아들이자 원나라 황태자로, 유교를 지지하고 한족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 후 문혜명효황제로 추존되었다.
안향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안향 |
한자 | 安珦 |
자 | 사온(士蘊) |
호 | 회헌(晦軒) |
시호 | 문성(文成) |
출생일 | 1243년 |
사망일 | 1306년 9월 12일 |
사망 당시 나이 | 64세 |
가문 | 순흥 안씨 |
관직 | |
고려 상주 판관 | 1275년 3월 16일 ~ 1278년 8월 26일 |
고려 문하시중 겸 대리집정 | 1304년 2월 29일 ~ 1304년 3월 29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안부 |
어머니 | 강주 우씨 |
조부 | 안영유 |
외조부 | 우성윤 |
장인 | 김녹연, 염수장 |
배우자 | 초배 한남군부인 김씨, 계배 서원군부인 염씨 |
자녀 | 안우기(아들) |
기타 | |
소속 국가 | 고려 |
2. 생애
경상북도 영주시 출신으로, 본관은 순흥 안씨이다. 조선의 과거에 급제하여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에 이르렀다. 1289년 (충렬왕 15) 정동행성의 좌우사 낭중(左右司郎中)과 고려 유학제거(儒學提擧)가 되었으며, 왕을 따라 원나라에 건너가 연경에서 처음으로 《주자전서》를 보고 손수 그 책을 베껴 쓰고, 공자와 주자의 화상(畵像)을 그려 가지고 돌아와서 주자학을 연구하였다.[5][6]
1294년(충렬왕 20) 동지밀직으로 동남도병마사가 되어 합포에서 변방 방어 업무를 잘 처리하였다. 이후 집현전대학사를 거쳐 계림부윤, 첨의참리,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를 역임하였다. 충렬왕이 왕위를 충선왕에게 선위한 뒤에는 상왕 충렬왕을 따라 원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왔으며, 충렬왕 복위 후 다시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를 방문하였다.[1]
학교가 날로 쇠퇴하여 감을 우려하여 유학 진흥을 위해 장학기금으로 6품 이상은 각각 은(銀) 1근씩, 7품 이하는 포(布)를 내게 하여 이를 양현고에 귀속시키고 그 이자로 학교를 운영케 하였다. 박사(博士) 김문정(金文鼎) 등을 원나라에 보내어 공자와 그 제자들의 초상을 그리고, 제기(祭器)·악기와 경서(經書) 등을 구해 오게 하는 등 고려 말기 유학 진흥에 큰 공적을 남겼다.
양현고의 재물이 탕진되어 선비들을 교육할 교육비가 부족하자 섬학전이라는 육영재단을 세워 기금을 마련하고, 국학 대성전을 건립, 공자 및 78명의 현인들의 초상화를 입수, 봉안하고 제사 기물, 악기 그리고 육경 경전과 당시 여러 제자백가들의 서적 등을 입수하여 비치, 유학자 양성에 힘을 쏟았다. 주자학을 크게 떨치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문전태학사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권부, 우탁, 백이정, 이조년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1] 주자를 숭배하여 그의 초상을 벽에 걸어두고, 주자의 호 '회암(晦庵)'에서 '회(晦)'자를 따와 자신의 호를 '회헌(晦軒)'이라 할 정도로,[1] 이는 주자의 저서에 심취했음을 의미하며, 한국 최초의 주자학자로 평가받는다.
2. 1. 출생과 성장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순흥 안씨의 관향) 상평리(上坪里)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안영유이고, 아버지는 밀직부사를 지낸 안부(安孚)이며, 어머니는 순정군부인 강주우씨로 예빈시동정 우성윤(禹成允)의 딸이다. 아버지는 원래 흥주의 관리였으나 의술(醫術)로 출세하여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이르렀다. 수태사 문하시중은 후일 추증된 증직이다.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주자를 배우겠다 하여 호를 주자의 호 회암에서 따와 스스로 아호를 회헌이라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숙수사(宿水寺)에 머물며 공부하여[4] 1260년(원종 원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2. 2. 관료 생활
1270년 (원종 11) 삼별초의 난 때 강화에서 적에게 사로잡혔으나, 계책을 써서 탈출하였다. 왕이 이를 가상히 여겨 상을 내렸다.[1] 감찰어사에 임명되었다.[1] 충렬왕 즉위 초, 상주판관으로 재직 중 백성들을 현혹하는 무속인을 엄하게 처벌하여 미신 습속을 타파하였다.[1] 이후 판도사좌랑, 전중시사를 거쳐 국자감사업이 되었다.[1]1294년(충렬왕 20) 동지밀직으로 동남도병마사가 되어 합포에서 변방 방어 업무를 잘 처리하였다. 밀직사사, 삼사사좌사, 첨의참리세자이보를 거쳤다. 이후 참지기무, 행동경유수가 되었다가 집현전대학사를 거쳐 계림부윤, 첨의참리,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를 역임하였다. 충렬왕이 왕위를 충선왕에게 선위한 뒤에는 상왕 충렬왕을 따라 원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왔다.[1] 충렬왕 복위 후 다시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왔다.[1] 이후 첨의시랑찬성사 겸 판판도사사가 되었다.[1]
2. 3. 주자학 전파
1289년(충렬왕 15) 정동행성의 좌우사 낭중(左右司郎中)과 고려 유학제거(儒學提擧)가 되었으며, 같은 해 왕을 따라 김관과 함께 원나라에 건너갔다. 연경에서 처음으로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보고 기뻐하여 유학의 정통(正統)이라 하여 손수 그 책을 베껴 쓰고, 또 공자와 주자의 화상(畵像)을 그려 가지고 돌아와서 주자학을 연구하였다.[5][6]학교가 날로 쇠퇴하여 감을 우려하여 유학 진흥을 위해 장학기금으로 6품 이상은 각각 은(銀) 1근씩, 7품 이하는 포(布)를 내게 하여 이를 양현고에 귀속시키고 그 이자로 학교를 운영케 하였다. 한편 박사(博士) 김문정(金文鼎) 등을 원나라에 보내어 공자와 그 제자들의 초상을 그리고, 제기(祭器)·악기와 경서(經書) 등을 구해 오게 하는 등 고려 말기 유학 진흥에 큰 공적을 남겼다.
양현고의 재물이 탕진되어 선비들을 교육할 교육비가 부족하자 그는 섬학전이라는 육영재단을 세워 기금을 마련, 국학 대성전을 건립하고, 공자 및 78명의 현인들의 초상화를 입수, 봉안하고 제사 기물, 악기 그리고 육경 경전과 당시 여러 제자백가들의 서적 등을 입수하여 비치, 유학자 양성에 힘을 쏟았다. 주자학을 크게 떨치게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2. 4. 후진 양성
수문전태학사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후학 양성에 힘썼다. 권부, 우탁, 백이정, 이조년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하였다.[1] 주자를 숭배하여 그의 초상을 벽에 걸어두고, 주자의 호 '회암(晦庵)'에서 '회(晦)'자를 따와 자신의 호를 '회헌(晦軒)'이라 할 정도였다.[1] 이는 주자의 저서에 심취했음을 의미하며, 한국 최초의 주자학자로 평가받는다.[1]2. 5. 사후
시호는 도덕박문왈문(道德博問曰文)하고 안민입정왈성(安民立政曰成)이라 하여 문성(文成)의 시호가 추서되었다.[1] 충숙왕은 그의 공적을 기려 원나라 화가에게 안향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였다.[1] 1319년(충숙왕 6년) 문묘에 배향되었고, 장단의 임강서원, 연기군의 합강서원, 곡성의 회헌영당, 순흥의 소수서원, 진주 도통사, 춘천 원곡과 자령 문천의 영당 등에 배향되었다.[1]조선시대에 와서 동회 신익성이 그의 언행록을 편집하고, 동명 김세렴이 그의 신도비를 지었다.[1] 그의 신도비문은 2개로, 후에 다시 공자의 후손인 76대 연성공 공령이(衍聖公 孔令貽)가 그의 또다른 신도비문을 지었다.[1]
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안영유(安永儒) | 1201년 ~ |
할머니 | 경주 박씨 | 문하시중 문열공 박황(朴璜)의 딸 |
아버지 | 안부(安孚) | 1220년 ~ |
어머니 | 순정군부인 강주 우씨(順政郡夫人剛州禹氏) | 예빈시동정 우성윤(禹成允)의 딸 |
부인 | ||
정실 | 한남군부인 김씨(漢南郡夫人 金氏) | 우사간 김록연(金祿延)의 셋째 딸 |
계실 | 서원군부인 염씨(瑞原郡夫人 廉氏) | 예빈시경 염수장(廉守藏)의 딸, 자녀 없음 |
자녀 | ||
아들 | 안우기(安于器) | 1265년 ~ 1329년,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며느리 | 철원군부인 최씨 | 교서랑 최충약의 딸, 안우기의 처 |
손자 | 안목(安牧) | 철원군부인 최씨 소생 |
며느리 | 군부인 이씨 | 본관 미상, 안우기의 후처 |
손자 | 안신(安愼) | 군부인 이씨 소생 |
사위 | 문욱(文頊) |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사위 | 허수(許綏) |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사위 | 박제(朴?) |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사위 | 한수연(韓守延) |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사위 | 김사원(金士元) | 한남군부인 김씨 소생 |
4. 평가 및 영향
안향은 경상북도 흥주(興州) 출신으로, 조선의 과거에 급제하여 도첨의중찬의 관직에 올랐다. 13세기 후반, 충렬왕의 추천으로 원나라에 유학하여 「주자전서」를 필사하고, 귀국 후 고려에 주자학을 처음으로 널리 알렸다.[1] 또한 쇠퇴했던 국자감을 정비하고, 유생 교육 제도를 마련했다.[1] 그의 호 “회헌(晦軒)”은 주희의 호 “회암(晦庵)”에서 따온 것이다.[1]
4. 1. 긍정적 평가
안향은 경상북도 영주시 출신으로, 조선의 과거에 급제하여 도첨의중찬의 관직에 올랐다. 충렬왕의 추천으로 원나라에 유학하여 「주자전서」를 필사하고, 귀국 후 고려에 주자학을 처음으로 널리 알려 연구와 흥륭의 기초를 쌓았다.[1] 또한 국자감을 정비하고 유생 교육 제도를 마련하였다.[1] 그의 호 “회헌(晦軒)”은 주희의 호 “회암(晦庵)”에서 따온 것이다.[1]5. 기타
1318년(충숙왕 5) 왕이 안향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궁중에서 일하던 원나라 화가에게 명하여 그의 초상을 그리게 하였다. 이 초상화는 현재 소수서원에 보관되어 있으며, 고려 시대에 그려진 것으로 이제현의 초상화와 더불어 가장 오래된 그림 중 하나로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111호로 지정되었다.[1]
조선 중종 때 풍기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순흥 백운동(順興白雲洞)에 안향의 사묘(祠廟)를 세우고 서원(書院)을 만들었는데, 이 백운동서원이 한국 서원의 시초가 되었다.[1]
안향은 자신이 거느린 노비를 개성 성균관에 보내어 성균관 유생을 돕게 하였고, 이는 한양 성균관까지 이어져 조선 시대 반촌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1]
안향은 소년 이제현을 주목하여 그가 귀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훗날 이제현은 안향의 문하생 중 한 명인 백이정을 찾아가 사사하고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1]
참조
[1]
인물
[2]
웹사이트
한국의 유교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3]
서적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중앙M&B
2003
[4]
웹사이트
숙수사지 [宿水寺址]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웹사이트
조선 성리학 [朝鮮性理學]
https://terms.naver.[...]
철학사전
2009
[6]
웹사이트
안향(안자) [安珦(安子)]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