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뱅어는 몸길이 10cm 내외의 흰색 반투명한 물고기로, 몸에 작은 검은 점이 있다. 한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해안과 가까운 민물이나 기수에서 서식한다. 산란기는 4-5월이며, 수심 2-3m의 물풀에 알을 낳는다. 뱅어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살며, 알에서 부화한 지 1년 만에 성숙한다. 일본에서는 시라우오라고 불리며, 사시미나 스시로 먹고, 한국에서는 튀김, 회, 조림 등으로 식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0년 기재된 물고기 - 빨갱이
- 1860년 기재된 물고기 - 그린테러
그린테러는 열대 기후에 서식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시클리드과의 어종으로, 수컷은 이마에 혹이 생기며 수족관 사육 및 뇌 기능 연구에 활용된다. - 유생 - 번데기
완전변태 곤충의 유충에서 성충으로 변화하는 단계인 번데기는 먹이를 섭취하지 않고 유충 구조가 분해, 성충 구조가 형성되는 변태 과정을 거치며 턱 유무와 부속지 형태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고 종에 따라 고치나 번데기방에서 보호받기도 한다. - 유생 - 댓잎장어
댓잎장어는 뱀장어목 어류의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를 의미하며, 측면으로 압착된 투명한 몸체와 긴 유생 기간, 해양 스노우를 먹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뱅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경골어강 |
아강 | 신기아강 |
하강 | 진골어하강 |
상목 | 원극기상목 |
목 | 바다빙어목 |
과 | 뱅어과 |
속 | 뱅어속 |
종 | 뱅어 (S. microdon) |
학명 | Salangichthys microdon |
학명 명명자 | Bleeker, 1860 |
일반 정보 | |
![]() | |
몸길이 | 약 10cm |
생태 정보 | |
서식지 | 강과 바다를 오가며 생활 |
식성 | 육식성 |
학술 정보 | |
과의 재분류 | 아시아 국수물고기과 (Salangidae)의 계통 발생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과의 분류가 재검토됨. |
기타 | |
관련 연구 | 어류의 생식 전략 연구 뱅어의 강해성 및 호소성 생애사 공존 연구 이시카리 강 수계 및 근해에서의 뱅어 이동 패턴 연구 |
2. 특징
몸길이는 10cm 내외로 길고 몸빛깔은 흰색 반투명이다. 배를 따라 작고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몸길이는 10cm 내외로 길고 몸빛깔은 흰색 반투명이다. 배를 따라 작고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해안과 가까운 민물이나 기수에도 분포하며 산란기는 4-5월경이다. 기수에서 살다가 하천으로 올라와서 알을 낳으며, 알은 수심 2m~3m의 물풀에 붙여 놓는다. 어린 새끼는 봄까지 산란장 주변에서 살다가 여름에 연안과 호수 등으로 이동한다. 알에서 나온 지 1년 만에 성숙하고,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1]
논문
A multilocus phylogeny of Asian noodlefishes Salangidae (Teleostei: Osmeriformes) with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3. 생태
4. 분포
5. 식용
참조
[2]
FishBase
[3]
간행물
Larval Ishikawa Icefish, Salangichthys ishikawae from Surf Zones of Central Honshu, Japan
[4]
간행물
Life History of Shirauo Salangichthys microdon; Salangidae in a Brackish Lake, Lake Hinuma, Japan
[5]
논문
Coexistence of anadromous and lacustrine life histories of the shirauo, Salangichthys microdon
[6]
논문
Migration pattern of shirauo Salangichthys microdon Bleeker, in the Ishikari River system and adjacent nearshore sea area, Japan, as estimated by otolith microchemistry analysis
[7]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